KR102343118B1 -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 Google Patents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118B1
KR102343118B1 KR1020210029542A KR20210029542A KR102343118B1 KR 102343118 B1 KR102343118 B1 KR 102343118B1 KR 1020210029542 A KR1020210029542 A KR 1020210029542A KR 20210029542 A KR20210029542 A KR 20210029542A KR 102343118 B1 KR102343118 B1 KR 10234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mersible
absorbing
disposed
wave pow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이풍
Original Assignee
김진태
이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이풍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21002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해안 구조물로부터 바다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균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는 저위 잠사체 및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저위 잠사체에 적층되되, 적어도 일부가 평균 해수면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고위 잠사체를 포함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이 소개된다.

Description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STRUCTURE FOR ABSORPTION AND DISPERSION OF WAVE POWER}
본 발명은 파도가 갖는 에너지를 분산시켜 해안가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파도에 포함된 모래를 포집하여 해안가를 복구시키는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자연상태의 해안가에는 자연스럽게 모래가 축적될 수 있다. 파도가 해안가의 모래와 충돌하고 흡수되며 자연스럽게 파력(波力)을 상실하고, 함께 휩쓸려온 모래가 쌓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이 개발됨에 따라 해안 구조물이 형성되는 경우는 오히려 해안가의 모래가 유실될 수 있다. 해안 구조물은 콘크리트와 같은 경성 구조물인 경우가 많은데, 경성 구조물에 파도가 부딪히면 파력이 흡수 또는 분산되지 못하고 유지된 상태로 바다방향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때, 파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파도가 되돌아 감에 따라, 오히려 해안가에 쌓여있는 모래는 함께 휩쓸고 내려가 점차 해안가의 모래 유실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도의 파력을 흡수 및 분산시켜 해안가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해안가에 모래가 쌓이기 용이하도록 하여 해안가를 복구할 수 있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은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해안 구조물로부터 바다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균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는 저위 잠사체 및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저위 잠사체에 적층되되, 적어도 일부가 평균 해수면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고위 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위 잠사체는 지표면 보다 낮게 배치되는 제1저위 잠사체 및 적어도 일부가 지표면에 노출되는 제2저위 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위 잠사체는 양빈재에 의해 묻히는 제1고위 잠사체 및 적어도 일부가 양빈재 위로 노출되는 제2고위 잠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안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개의 주머니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재는, 모래, 자갈, 토사 및 퇴비 중에 선택된 1이상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위 잠사체 및 상기 저위 잠사체의 적어도 일부를 묶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는 그물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위 잠사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위 잠사체를 서로 감싸며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위 잠사체 또는 상기 고위 잠사체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그물 형상으로서 일단이 적층된 잠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육지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지표면 아래로 묻혀 고정되는 지지 그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물 형상으로서 일단이 적층된 잠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육지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양빈재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 그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위 잠사체 또는 상기 고위 잠사체의 적어도 일면은 야자열매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저위 잠사체와 상기 고위 잠사체를 결속시키는 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은 해안가로 밀려오는 파도의 파력을 흡수 및 분산시켜 바다로 되돌아가는 파도에 의한 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은 해안가로 밀려오는 파도의 파력을 흡수 및 분산시킴으로써, 파도와 함께 휩쓸려온 모래가 잠사 구조물 주변에 모래가 쌓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은 해안 구조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파도가 잠사 구조물을 넘어 올 수 있고, 파도에 포함된 모래를 해안 구조물과 잠사 구조물 사이에 포집하여 해안가의 모래를 복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의 잠사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의 잠사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의 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중 벽체를 형성하는 하나의 단위 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단위 벽체가 적층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를 적층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潛沙)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은 벽체(160) 및 잠사체(潛沙體)(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160)는 해안 구조물(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벽체(160)는 해안 구조물(300)과 후술할 잠사체(110, 120) 사이에 배치되되, 해안 구조물(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해안 구조물(300)은 자연의 환경을 개발하여 인공적으로 배치한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옹벽, 석축, 해안도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안 구조물(300)은 콘크리트와 같은 경성 구조물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성 구조물 자체는 파력(波力)으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을 수 있으나, 경성 구조물과 지표면(400)이 연결되는 부분은 그러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성 구조물에 파도가 부딪히면 파력이 흡수 또는 분산되지 못하고 반사되어 파력이 유지된 상태로 바다방향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 때, 파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파도가 되돌아 감에 따라, 오히려 경성 구조물 주변의 바닥에 쌓여있는 모래를 함께 휩쓸고 내려가 점차 모래가 유실될 수 있다. 따라서, 해안가로 밀려오는 파도의 파력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파도의 파력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해안 구조물(300)을 철거하는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으나, 해안 구조물(300)의 철거에는 많은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해안도로와 같은 구조물은 그 기능적 수요로 인하여 철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은 기존의 해안 구조물(300)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해안의 모래 유실을 방지하고 회복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160)는 망사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재를 내포하는 여러 개의 단위 벽체(161)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층된 단위벽체(161)는 파일(13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160)는 파도와 충돌할 때 파도를 반사시키지 않고, 일부를 벽체(160) 내부로 흡수할 수 있다. 벽체(160)에 충돌한 파도는 망사를 통과하여 충진재의 공극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파력의 대부분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바다측으로 되돌아 갈 때에도 모래를 휩쓸고 가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파도가 밀고 들어오는 과정에서 파도와 함께 휩쓸려온 모래가 파도에 휩쓸려 되돌아가지 않고 일부가 해안가에 남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도의 반복적인 퇴적작용에 따라 해안가의 모래가 다시 축적되어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해안 구조물(300)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잠사체(110, 120)가 해안 구조물(300)로부터 이격된 거리는 회복시키고자 하는 해안가의 넓이 및 크기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모래에 파묻히는 형태의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저위 잠사체(110)와 고위 잠사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잠사체(110, 120)는 망사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재를 내포하는 여러 개의 저위 잠사체(110) 및 고위 잠사체(120)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사체(110, 120)는 벽체(16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해안 구조물(30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잠사체(110, 120)는 1차적으로 파도와 충돌할 수 있다. 이때, 파도의 일부는 잠사체(110, 120)를 넘어 해안 구조물(3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일부는 잠사체(110, 120)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 잠사체(110, 120)에 흡수된 파도는 망사를 통과하며 충진재의 공극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파력의 대부분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파도가 되돌아 가는 과정에서 유속이 느려져 잠사체(110, 120)의 바다 방향 주변의 모래를 휩쓸고 가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파도에 휩쓸려온 모래를 다시 가져가지 못하여 해안가에 모래가 퇴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를 넘어 해안 구조물(300) 측으로 이동한 파도는 벽체(160)에 의해 파력을 잃을 뿐만 아니라, 바다로 되돌아 가는 과정에서 파도에 남아 있는 모래가 잠사체(110, 120)의 육지측 면에 걸러져 쌓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벽체(160)와 잠사체(110, 120) 사이의 공간에 모래가 쌓이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와 벽체(160) 사이의 공간에는 양빈(養濱)재(200)가 채워질 수 있다. 양빈재(200)는 지표면(400)위에 별도로 쌓아 올리는 것으로써 모래일 수 있다. 잠사체(110, 120)와 벽체(160) 사이의 공간이 파도가 운반하는 모래에 의한 퇴적작용으로 자연 복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잠사체(110, 120)와 벽체(160) 사이에 양빈재(200)로 채워 넣어 해안 복구의 효과가 단시간에 나타나도록 할 수 있고 심미적으로도 깔끔한 해안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양빈재(200)에 의해 복구된 해안가는 잠사체(110, 120) 및 벽체(160)에 의하여 모래가 유실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의 잠사체(110, 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저위 잠사체(110), 고위 잠사체(120) 및 파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을 설명함에 있어 잠사체는 저위 잠사체(110) 및 고위 잠사체(120)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일 수 있다. 내부의 충진재는 모래, 자갈, 토사 및 퇴비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래로 형성될 수 있다. 망사의 간극은 액체는 통과시키되 내부의 모래는 유실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파도를 모래의 공극을 통해 수용하여 파력을 흡수 및 분산시키고, 파력이 약해진 파도가 천천히 바다로 되돌아 가면서 잠사체(110, 120)의 공극은 회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잠사체(110, 120)를 안정적으로 적층하기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위 잠사체(110)는 평균 해수면(10)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는 잠사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저위 잠사체(111)는 해안가의 지표면(400) 아래로 파묻히는 잠사체를 의미할 수 있고, 제2저위 잠사체(113)는 제1저위 잠사체(111) 위에 적층되되 적어도 일부는 지표면(400) 위로 노출되는 저위 잠사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저위 잠사체(110)는 제1저위 잠사체(111)와 제2저위 잠사체(113)를 모두 포함하거나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과정에서 제1저위 잠사체(111)만 있고 제2저위 잠사체(113)는 없을 수 있다. 반대로, 제2저위 잠사체(113)만 있고, 제1저위 잠사체(111)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위 잠사체(120)는 저위 잠사체(110)위에 적층되고, 평균 해수면(10)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잠사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고위 잠사체(121)는 벽체(160)와 잠사체 사이를 양빈재(200)로 채우는 경우에 양빈재(200)에 의해 전체가 묻히는 고위 잠사체를 의미할 수 있고, 제2고위 잠사체(123)는 제1고위 잠사체(121) 위에 적층되되 적어도 일부는 양빈재(200) 위로 노출되는 고위 잠사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위 잠사체(120)는 제1고위 잠사체(121)와 제2고위 잠사체(123)를 모두 포함하거나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과정에서 제1고위 잠사체(121)만 있고 제2고위 잠사체(123)는 없을 수 있다. 반대로, 제2고위 잠사체(123)만 있고, 제1고위 잠사체(121)가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고위 잠사체(123)가 바로 저위 잠사체(11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사체(110, 120)는 파일(130)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일(130)을 저위 잠사체(110) 상호 간을 결속하는데 활용될 수 있고, 고위 잠사체(120) 상호 간을 결속하는데 활용되 수 있다. 또는 저위 잠사체(110)와 고위 잠사체(120) 상호간을 결속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일(130)은 인접한 잠사체(110, 120)를 서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130)은 하측이 뾰족하고 갈퀴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못과 같은 형상으로서, 파일(130)을 잠사체(110, 120)에 삽입하는 것은 용이하나, 역방향으로 뽑는 것은 매우 어렵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일(130)은 하나의 막대에 2개 이상의 못이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자 또는 ㄷ자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파일(130)이 잠사체(110, 120)를 결속시킬 때, 더더욱 파일(130)을 뽑기 어렵게 되고, 막대와 잠사체(110, 120)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잠사체 표면이 찢기는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의 잠사체(110, 120)는 바인더(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더(140)는 2개 이상의 잠사체(110, 120)를 묶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인더(140)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물의 간격이 잠사체(110, 120)를 형성하는 그물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더(140)는 야자 열매 섬유와 같이 천연 식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140)는 해안가의 모래와 색상이 비슷하여 위화감이 적어 보다 자연 친화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인더(140)는, 복수개가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가 겹쳐져 형성된 바인더(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야자 열매 섬유로 제작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합성 섬유가 겹쳐져 형성될 수 있다. 이로서 자연친화적 외관과 자외선 저항능력을 갖춰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은 지지 그물망(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그물망(150)은 일단이 적층된 잠사체(110, 12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은 육지 쪽으로 펼쳐져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그물망(150)의 타단은 육지 쪽의 지표면(400) 내측에 파묻거나, 말뚝을 박아 지지 그물망(150)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지지 그물망(150)의 타단에 양빈재(200)를 얹고 다져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쌓아 올려진 잠사체(110, 120)가 바다 방향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잠사체(110, 120)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의 잠사체(110, 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의 잠사체(110, 120)는 도 2에 도시된 잠사체(110, 120)를 이중으로 배치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잠사체(110, 12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파도가 거세더라도 잠사체(110, 120)를 온전하게 유지하면서 주변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의 벽체(16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160)는 해안 구조물(300)을 철거하지 않고 해안 구조물(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벽체(160)는 복수개의 단위 벽체(161)가 적층되어 형성될 있다. 복수개의 단위 벽체(161)를 쌓아 올려 벽체(160)를 형성할 때, 상측에 배치된 단위 벽체(161)가 하측에 배치된 단위 벽체(161)보다 육지 방향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벽체(160)가 전체적으로 육지 방향을 향해 경사지도록 적층될 수 있고, 이로써 벽체(160)가 바다 쪽으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해안 구조물(300)과 벽체(160) 사이에는 모래, 자갈, 토사 등이 충진되어 벽체(16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100) 중 벽체(160)를 형성하는 하나의 단위 벽체(16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단위 벽체(161)가 적층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벽체(161)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면은 야자 열매 섬유와 같이 천연 식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벽체(161)는 해안가의 모래와 색상이 비슷하여 위화감이 적어 보다 자연 친화적일 수 있다. 다만, 천연 식물성 재료의 경우 염분이 높은 바닷물과 태양의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내구성이 부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벽체(161)의 일면은, 복수개가 겹처져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섬유로 형성된 단위 벽체(161) 표면에 야자 열매 섬유가 덧붙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위 벽체(161)의 일면은 단위 벽체(161)가 적층될 때 바다 방향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6과 같이 노출된 면이 야자 열매 섬유 부분이 되도록하여 자연친화적 외관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함성 섬유를 통한 자외선 저항능력을 갖춰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160)를 적층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횡적층 방식으로 단위 벽체(161)의 긴 방향을 해안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적층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의(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횡적층 방식으로 적층된 벽체의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평면도이다. 육지 방향을 향하여 바라보면 벽돌을 쌓듯이 아래쪽 단위 벽체(161)와 위쪽의 단위 벽체(161) 서로 중간 위치에서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방식일 수 있다. 횡적층 방식은 단위 면적당 투입되는 단위 벽체(161)를 최소의 개수로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종적층 방식으로 단위 벽체(161)의 짧은 방향을 해안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하여 적층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의(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종적층 방식으로 적층된 벽체의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평면도이다. 종적층 방식 또한 횡적층 방식과 유사하게 아래쪽 단위 벽체(161)와 위쪽의 단위 벽체(161)가 서로 중간 위치에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종적층 방식은 벽체(16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 벽체(160)의 강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도 9는 혼합 적층 방식으로 임의의 어느 한층은 횡적층 방식으로 적층하고, 다른 한층은 종적층 방식으로 적층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의(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적층 방식으로 적층된 벽체의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c)는 벽체를 각 층마다 분리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아래쪽 단위 벽체(161)와 위쪽의 단위 벽체(161)가 서로 중간 위치에서 중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아래층과 가장 위층은 종적층 방식을 사용하고, 그 사이에는 횡적층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종적층과 횡적층 방식의 교번하도록 적층할 수도 있다. 또는 같은 층 내에서도 종적층과 횡적층 방식을 혼합하여 벽체를 적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혼합 적층 방식은 벽체(160)의 두께를 증가시키되 투입되는 단위 벽체(161)의 개수를 최소화 시켜 종적층 방식과 횡적층 방식의 이점을 모두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잠사 구조물 110 : 저위 잠사체
111 : 제1저위 잠사체 113 : 제2저위 잠사체
120 : 고위 잠사체 121 : 제1고위 잠사체
123 : 제2고위 잠사체 130 : 파일
140 : 바인더 150 : 지지 그물망
160 : 벽체 161 : 단위 벽체
200 : 양빈재 300 : 해안 구조물
400 : 지표면

Claims (12)

  1.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액체에 의해 충진재의 공극이 채워지거나 회복되고, 해안 구조물로부터 바다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평균 해수면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는 저위 잠사체;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이며, 액체에 의해 충진재의 공극이 채워지거나 회복되고, 상기 저위 잠사체에 적층되되, 적어도 일부가 평균 해수면보다 높은 곳에 배치되는 고위 잠사체; 및
    상기 저위 잠사체 상호간, 상기 고위 잠사체 상호간 또는 상기 저위 잠사체 및 상기 고위 잠사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저위 잠사체는
    지표면 보다 낮게 배치되는 제1저위 잠사체; 및
    적어도 일부가 지표면에 노출되는 제2저위 잠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위 잠사체는
    양빈재에 의해 묻히는 제1고위 잠사체; 및
    적어도 일부가 양빈재 위로 노출되는 제2고위 잠사체;를 포함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잠사체와 해안 구조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해안 구조물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개의 주머니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충진재가 배치되고, 액체가 통과 가능하도록 망사로 형성된 벽체;를 더 포함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모래, 자갈 및 토사 중에 선택된 1이상의 구성요소로 형성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위 잠사체 및 상기 저위 잠사체의 적어도 일부를 묶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그물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위 잠사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위 잠사체를 서로 감싸며 결합시키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그물 형상으로서 일단이 적층된 잠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육지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지표면 아래로 묻혀 고정되는 지지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그물 형상으로서 일단이 적층된 잠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육지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이 양빈재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위 잠사체 또는 상기 고위 잠사체의 적어도 일면은 야자열매 섬유로 형성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12. 삭제
KR1020210029542A 2021-03-05 2021-03-05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KR10234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42A KR102343118B1 (ko) 2021-03-05 2021-03-05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42A KR102343118B1 (ko) 2021-03-05 2021-03-05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118B1 true KR102343118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542A KR102343118B1 (ko) 2021-03-05 2021-03-05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1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728B1 (ko) * 2010-12-10 2011-09-06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17597A (ko) * 2013-08-07 2015-02-17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옹벽 구조
KR20160020152A (ko) * 2014-08-13 2016-02-23 (주)지오에코텍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KR20160027646A (ko) * 2014-09-02 2016-03-10 최의용 해안 및 하안의 침식방지용 제방축조를 위한 토목섬유 튜브공법의 항구적인 제방 시공방법과 제방축조물
KR20190052932A (ko) * 2017-11-09 2019-05-17 오준영 지오 폴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728B1 (ko) * 2010-12-10 2011-09-06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17597A (ko) * 2013-08-07 2015-02-17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옹벽 구조
KR20160020152A (ko) * 2014-08-13 2016-02-23 (주)지오에코텍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KR20160027646A (ko) * 2014-09-02 2016-03-10 최의용 해안 및 하안의 침식방지용 제방축조를 위한 토목섬유 튜브공법의 항구적인 제방 시공방법과 제방축조물
KR20190052932A (ko) * 2017-11-09 2019-05-17 오준영 지오 폴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970B2 (en) Gabion
US20150299977A1 (en) Gabion system
Safak et al. Coupling breakwalls with oyster restoration structures enhances living shoreline performance along energetic shorelines
US20140270960A1 (en) Device for coastal restoration
KR20050042110A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2343118B1 (ko)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CN108442320B (zh) 一种含生态栖息地的组合式护岸及其施工方法
JP6049382B2 (ja) 耐震耐越流堤体構造
KR100821351B1 (ko)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US20060093441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sedimentation retaining barrier packing and handling
Nordstrom et al. Increasing the dynamism of coastal landforms by modifying shore protection methods: examples from the eastern German Baltic Sea Coast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5322068B1 (ja) 潜堤の構築方法
JP5931001B2 (ja) 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US11149393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KR20090058940A (ko) 친환경생태복원용 하천 경사면의 구조
KR200486017Y1 (ko) 에코 식생블록
KR101162842B1 (ko) 하천둑 및 그 축조방법
RU26481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откосов земляной насыпи
KR20190025118A (ko)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KR100666031B1 (ko) 호안 블럭을 이용한 해안 구조물 축조 공법
Charlier et al. Beach protection and restoration part I: hard structures and beach erosion
JP2974628B2 (ja) 自然石保持ユニット、壁体、自然石保持ユニットの使用方法
JP6871583B1 (ja) 洗堀防止ユニット及び洗堀防止構造
KR100954606B1 (ko) 건축 및 토목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