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152A -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152A
KR20160020152A KR1020140105131A KR20140105131A KR20160020152A KR 20160020152 A KR20160020152 A KR 20160020152A KR 1020140105131 A KR1020140105131 A KR 1020140105131A KR 20140105131 A KR20140105131 A KR 20140105131A KR 20160020152 A KR20160020152 A KR 20160020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bag
fabric bag
nonwoven
e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철
이효중
Original Assignee
(주)지오에코텍
뉴에코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에코텍, 뉴에코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오에코텍
Priority to KR102014010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152A/ko
Publication of KR20160020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식방지구조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제방, 해안 등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천(1)에 길게 설치된 하천구조물(10, 20) 부근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구조물로서, 상기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Erosion preven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식방지구조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제방, 해안 등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식(浸蝕, erosion) 작용은, 중력에 따른 반응이나 생물에 따른 생물 침식(bioerosion)으로 바람, 유수, 얼음 따위의 유동체에 의하여 지표(토양, 바위, 침전물)가 깎임으로써 광물 입자가 떨어지거나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편 우리나라는, 4대강 등 큰 하천이 내륙에 분포되며, 3면이 바다인 만큼 뛰어난 경관을 지닌 양질의 백사장이 고루 분포되어 있다.
그런데, 기후변화에 따른 연안의 자연 환경 변화와, 해안 매립, 구조물 건설과 같은 인위적 환경 변화로 인하여, 해안에서 백사장의 대규모 침식이 이루어져 해마다 새로운 모래를 깔아 백사장을 유지하는 등 막대한 예산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백사장 등 해빈을 형성하는 토사는, 해수를 머금고 있어서 유도에 의하여 저지대인 근해로 밀리며 파도 등의 해수로 인하여 대규모 침식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지성 폭우, 홍수 등으로 인하여 하천 내 급류가 발생하여 제방 비탈면 등의 세굴현상이 발생되어 제방 등의 하천구조물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보들을 건설하였는데, 보의 하류측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되어 보가 설치된 지반을 약화시켜 보에 균열이 가거나 붕괴의 위험성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 또는 해안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천(1)에 길게 설치된 하천구조물(10, 20) 부근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구조물로서, 상기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 하천구조물(10, 20)은, 제방(10), 보(20) 및 둑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은, 하천(1)의 바닥에 고정된 앵커부재(32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은, 상기 하천구조물(10, 20)에 지지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천구조물(10, 20)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앵커부재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천구조물(10, 20)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오그리드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은, 일부가 하천(1)의 바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천구조물(10, 20)은, 제방(10)이며, 상기 제방(10)은,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복수의 부직포포대(200)들이 적층되어 축조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은, 복수층으로 적층되며 각 층들 사이에는 지오그리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 200)은, 식물종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 200)은,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 200)은,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보호물질로 코팅할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해안의 해빈(2)에 매립되어 해빈(2)에 존재하는 해수의 수압에 의하여 바다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방지구조물로서, 해빈(2)에 매립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매립부직포백(40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상하길이를 가지는 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해빈(2)에 수직방향으로 해안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고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해빈(2)을 따라서 해저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5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은, 해저에 고정된 앵커부재(32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은,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되는 앵커부재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해빈(2)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오그리드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 400)은, 해초종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 400)은,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 400)은,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보호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침식방지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으로서,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상기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침식방지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으로서,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매립부직포백(400)을 해빈(2)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의 시공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은,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함으로써,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구조물(10, 20) 및 부직포백(100) 사이에 토사가 퇴적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굴현상을 방지하여 하천구조물(10, 2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부직포백(100)들이 기존에 설치된 수중잠제 등의 부근에 설치됨으로써 기 설치된 수중잠재 부근의 침식 또는 세굴현상을 방지하여 기 설치된 수중잠재의 기반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은, 해빈(2)에 매립된 매립부직포백(400)이 토사유동방지구조를 가짐으로써 해빈(2)에 머금은 해수에 의하여 유동을 최대한 방지하여 파도 등의 해수에 의한 침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은, 매립부직포백(400)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해저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500)들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빈(2) 및 부직포백(500) 사이에 토사가 퇴적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침식현상을 방지하여 해빈(2)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은, 상기와 같은 부직포백(500)들이 기존에 설치된 수중잠제 등의 부근에 설치됨으로써 기 설치된 수중잠재 부근의 침식 또는 세굴현상을 방지하여 기 설치된 수중잠재의 기반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침식방지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침식방지구조물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침식방지구조물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침식방지구조물의 부직포백의 부직포 단면을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침식방지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침식방지구조물의 변형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의 침식방지구조물에 사용되는 매립부직포백의 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10는, 도 6의 침식방지구조물의 다른 변형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하천 또는 해안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에 길게 설치된 하천구조물(10, 20) 부근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구조물로서,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한다.
상기 하천(1)은, 물길을 따라 흐르는 유수(流水)로서, 강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천구조물(10, 20)은, 하천(1)에 길게 설치된 구조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 변을 따라서 설치되는 제방(1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보(20), 저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둑(미도시)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방(10)은,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복수의 부직포포대(200)들이 적층되어 축조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은,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겨, 복수개로 적층됨으로써 제방(10)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예로서, 상기 부직포포대(200)는, 후술하는 부직포백(100)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면 등의 섬유들로 형성된 부직포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인장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120)은,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과 일체화되어 직물구조에 의한 인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부직포층(110, 130)과 동일·유사한 재질을 가지거나, 미리 설정된 기능성을 가지기 위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층(120) 및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백(10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층(110, 130)에 대하여 직물층(120)이 밀착된 후 니들펀칭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10, 130)은, 직물층(120)과 일체화되어 물이 흐르는 하천(1) 주변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한 특징인 벌키성, 흡수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로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포대(200)는, 부직포를 포함함에 있어서, 직물구조의 직물층 및 부직포의 조합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상기 부직포포대(200)는, 부직포층에 제1결합사 및 제2결합사가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결합사가 결합된 제1부직포층 및 제2결합사가 결합된 제1부직포층이 서로 밀착되어 니들펀칭에 의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사 및 제2결합사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직물구조를 이루며, 부직포층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또는 상면 및 하면 각각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부직포포대(200)는, 축조된 제방(10)에 풀 등의 식물이 자라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제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식물종자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은, 복수층으로 적층되며 각 층들 사이에는 지오그리드(29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290)는, 적층된 부직포포대(200)들이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을 부가하여 부직포포대(200)들이 적층되어 형성된 제방(10)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 즉 자외선에 노출되는데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로 조직이 파손되고 부직포포대(200)의 파손에 의하여 제방의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은, 자외선보호물질이 분사 등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보호와 관련하여, 부직포 형성 전의 섬유형성 단계에서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거나 자외선보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이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면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에도 물성변화가 적어 축조되는 제방(10)의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방(10)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직포포대(200)들이 적층될 때, 지반부분에서 제방(10)의 안정적인 구조로 적층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은, 지반부분, 즉 기초부분에서 제방(10)의 폭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적층되어, 소위 기초부(1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부(11)는, 제방(10)의 폭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지반에 축조됨으로써 축조된 제방(10)의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하천구조물(10, 20)의 다른 예로서, 보(20)는, 상류 측에서 일정한 깊이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천(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 바닥 내에 일부가 매립된 지지구조물(21)과, 지지구조물(21)의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 체적이 가변되어 상류 측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보(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방(10)은 하천(1) 바닥에서 유수에 의하여 침식이 일어나 제방(10)의 기초를 약화시켜 제방(10)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20)의 경우, 보(20)의 하류측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되어 보(20)가 설치된 지반을 약화시켜 보에 균열이 가거나 붕괴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백(100)은,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백(100)은,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길 수 있는 구조이면 튜브구조, 포대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백(100)은,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들로 형성된 부직포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인장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120)은,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과 일체화되어 직물구조에 의한 인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부직포층(110, 130)과 동일·유사한 재질을 가지거나, 미리 설정된 기능성을 가지기 위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층(120) 및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백(10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층(110, 130)에 대하여 직물층(120)이 밀착된 후 니들펀칭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10, 130)은, 직물층(120)과 일체화되어 물이 흐르는 하천(1) 바닥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한 특징인 벌키성, 흡수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로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직포백(100)은, 물이 항상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는바, 흡수성이 높은 부직포 재질을 가짐으로써 하천(1)의 바닥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백(100) 또한 부직포포대(200)와 유사하게,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 즉 자외선에 노출되는데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로 조직이 파손되고 부직포백(100)이 파손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백(100)은, 자외선보호물질이 분사 등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보호와 관련하여, 부직포 형성 전의 섬유형성 단계에서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거나 자외선보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부직포백(100)이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면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에도 물성변화가 적어 안정적인 침식방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백(100)은, 침식방지구조물의 형성 후에 풀 등의 식물이 자라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침식방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초 등의 식물종자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백(100)은,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하천(1)을 흐르는 유수에 노출되는바 하천(1) 바닥의 설치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부직포백(100)은, 하천구조물(10, 20)에 지지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하천구조물(10, 20)에 결합되어 부직포백(1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오그리드, 와이어, 로프, 앵커부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하천구조물(10, 20)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앵커부재(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311)는, 철근, 와이어, 로프 등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은 하천구조물(10, 20) 내부에 설치된 지지블록(312) 등에 고정됨으로써 부직포백(1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부직포포대(200)들 사이에 설치된 지오그리드가 연장되어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됨으로써 부직포백(1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하천구조물(10, 20)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오그리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오그리드는, 하천(1) 바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백(100)의 다른 고정방법으로서, 부직포백(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1)의 바닥에 고정된 앵커부재(32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32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천(1) 바닥에 깊게 박혀 고정된 상태에서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됨으로써 하천(1)의 바닥에서 부직포백(10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320)는,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게 늘어선 부직포백(100)을 사이에 두고 부직포백(100)의 양측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하천(1)의 바닥에서 부직포백(1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100)의 또 다른 고정방법으로서, 부직포백(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하천(1)의 바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함으로써,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구조물(10, 20) 및 부직포백(100) 사이에 토사가 퇴적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세굴현상을 방지하여 하천구조물(10, 2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물의 흐름에 의한 토사의 침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안의 해빈(2)에 매립되어 해빈(2)에 존재하는 해수의 수압에 의하여 바다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방지구조물로서, 해빈(2)에 매립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매립부직포백(400)들을 포함한다.
상기 해빈(2)은, 해안에 형성된 해안이나 호수의 연안을 따라 집적된 퇴적지형으로서,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백사장이 대표적이다.
한편 상기 해빈(2)을 형성하는 토사는, 바다와 인접하는바 내부에 머금은 해수의 유동으로 인하여 근해로 밀려나 파도 등의 해수에 의하여 침식되어 바다로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해빈(2)에 매립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매립부직포백(400)들을 포함함으로써 해수를 머금은 토사의 유동을 방지하여 해수에 의한 해빈(2)의 침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매립되어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길 수 있는 구성이면, 포대, 튜브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길 수 있는 구조이면 튜브구조, 포대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앞서 설명한 부직포백(100)과 유사하게,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들로 형성된 부직포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인장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120)은,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과 일체화되어 직물구조에 의한 인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부직포층(110, 130)과 동일·유사한 재질을 가지거나, 미리 설정된 기능성을 가지기 위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층(120) 및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으로 이루어진 매립부직포백(40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층(110, 130)에 대하여 직물층(120)이 밀착된 후 니들펀칭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10, 130)은, 직물층(120)과 일체화되어 해빈(2) 내에 매립되는데 바람직한 특징인 벌키성, 흡수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로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물이 항상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해빈(2)에 매립되는바, 흡수성이 높은 부직포 재질을 가짐으로써 해빈(2)에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매립부직포백(400) 또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직포백(100)과 유사하게, 설치환경에 따라서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 즉 자외선에 노출되는데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로 조직이 파손되고 매립부직포백(400)이 파손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립부직포백(400)은, 자외선보호물질이 분사 등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보호와 관련하여, 부직포 형성 전의 섬유형성 단계에서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거나 자외선보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 내에 매립되는바 자외선 노출가능성은 적으나 시공과정이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바 자외선보호물질이 분사 등에 의하여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이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면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에도 물성변화가 적어 안정적인 침식방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침식방지구조물의 형성 후에 해초 등의 식물이 자라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침식방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초 등의 식물종자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머금은 해수에 의하여 유동을 최대한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토사유동방지구조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길이를 가지는 기둥형상을 가지며, 해빈(2)에 수직방향으로 해안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상하길이를 가지는 기둥형상을 가지며, 해빈(2)에 수직방향으로 해안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되면 해빈(2)에 머금은 해수에 의하여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토사유동방지구조의 다른 예로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도 8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고리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토사유동방지구조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도 8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토사유동방지구조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도 8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매립부직포백(400)이 토사유동방지구조를 가짐으로써 해빈(2)에 머금은 해수에 의하여 유동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해빈(2)은, 근해에서 해빈(2)을 향하여 유동하는 파도 등의 유수에 의하여 침식되어 바다로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빈(2)을 따라서 해저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5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은, 해빈(2)을 따라서 해저에 설치되는 것외에 제1실시예에서의 부직포백(100)과 유사한 기능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직포백(500)은, 해빈(2)과 간격을 두고 평행, 즉 해안을 따라서 길게 해저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백(500)은,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길 수 있는 구조이면 튜브구조, 포대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백(500)은,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들로 형성된 부직포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며, 인장강도의 향상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물층(120)은,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과 일체화되어 직물구조에 의한 인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부직포층(110, 130)과 동일·유사한 재질을 가지거나, 미리 설정된 기능성을 가지기 위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직물층(120) 및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으로 이루어진 부직포백(50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부직포층(110, 130)에 대하여 직물층(120)이 밀착된 후 니들펀칭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10, 130)은, 직물층(120)과 일체화되어 즉 물이 흐르는 해저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한 특징인 벌키성, 흡수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부재로 PP 등의 합성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직포백(500)은, 해수에 잠겨 설치되는바, 흡수성이 높은 부직포 재질을 가짐으로써 해저에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백(500) 또한 제1실시예의 부직포백(100)과 유사하게,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 즉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는데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로 조직이 파손되고 부직포백(500)이 파손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백(500)은, 자외선보호물질이 분사 등에 의하여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보호와 관련하여, 부직포 형성 전의 섬유형성 단계에서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거나 자외선보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부직포백(500)이 자외선보호물질에 의하여 코팅되면 태양광에 대한 장시간의 노출에도 물성변화가 적어 안정적인 침식방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백(500)은, 침식방지구조물의 형성 후에 해초 등의 식물이 자라 외관이 미려하고 안정적인 침식방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초 등의 식물종자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직포백(500)은, 해변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해저에 설치되며, 해저에 흐르는 유수에 노출되는바 해저 바닥의 설치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상기 부직포백(500)은,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10)는, 매립부직포백(400)에 결합되어 부직포백(50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오그리드, 와이어, 로프, 앵커부재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3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되는 앵커부재(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311)는, 철근, 로프,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은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된 지지블록(312) 등에 고정됨으로써 부직포백(500)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1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부직포포대(200)들 사이에 설치된 지오그리드가 연장되어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됨으로써 부직포백(5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되는 지오그리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오그리드는, 해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백(500)의 다른 고정방법으로서, 부직포백(5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에 고정된 앵커부재(32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재(320)는, 해저에 깊게 박혀 고정된 상태에서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됨으로써 해저에서 부직포백(500)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재(320)는, 해변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길게 늘어선 부직포백(500)을 사이에 두고 부직포백(500)의 양측에 다수개로 설치되어 해저에서 부직포백(1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백(500)의 또 다른 고정방법으로서, 부직포백(50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일부가 해저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은, 매립부직포백(400)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해저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500)들을 포함함으로써,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빈(2) 및 부직포백(500) 사이에 토사가 퇴적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침식현상을 방지하여 해빈(2)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하천 2 : 해빈
10, 20 : 하천구조물
100, 500 : 부직포백
200 : 부직포포대
400 : 매립부직포백

Claims (27)

  1. 하천(1)에 길게 설치된 하천구조물(10, 20) 부근에서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침식방지구조물로서,
    상기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천구조물(10, 20)은, 제방(10), 보(20) 및 둑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100)은, 하천(1)의 바닥에 고정된 앵커부재(320)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100)은, 상기 하천구조물(10, 20)에 지지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천구조물(10, 20)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앵커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1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천구조물(10, 20)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오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100)은, 일부가 하천(1)의 바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구조물(10, 20)은, 제방(10)이며,
    상기 제방(10)은,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복수의 부직포포대(200)들이 적층되어 축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포대(200)들은, 복수층으로 적층되며 각 층들 사이에는 지오그리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100, 200)은, 식물종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100, 200)은,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100, 200)은,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보호물질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3. 해안의 해빈(2)에 매립되어 해빈(2)에 존재하는 해수의 수압에 의하여 바다 쪽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침식방지구조물로서,
    해빈(2)에 매립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매립부직포백(40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상하길이를 가지는 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해빈(2)에 수직방향으로 해안을 따라서 복수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원, 타원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의 고리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은, 해빈(2)에 수평으로 설치될 때 평면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8.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해빈(2)을 따라서 해저에 설치되며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50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500)은, 해저에 고정된 앵커부재(320)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500)은,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부재(310)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매립부직포백(400)에 지지되는 앵커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10)는, 일단이 상기 부직포백(500)과 고정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해빈(2) 내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오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3.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500, 400)은, 해초종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4.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500, 400)은, 직물구조의 하나 이상의 직물층(120)과, 직물층(12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110, 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5.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백(500, 400)은, 자외선에 의한 물성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보호물질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2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으로서,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부직포백(100)들을 상기 하천구조물(10, 20)과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하천(1)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 시공방법.
  27.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침식방지구조물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으로서,
    내부에 토사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가 담긴 하나 이상의 매립부직포백(400)들을 해빈(2)에 매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식방지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40105131A 2014-08-13 2014-08-13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KR201600201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131A KR20160020152A (ko) 2014-08-13 2014-08-13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131A KR20160020152A (ko) 2014-08-13 2014-08-13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152A true KR20160020152A (ko) 2016-02-23

Family

ID=5544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131A KR20160020152A (ko) 2014-08-13 2014-08-13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1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18B1 (ko) * 2021-03-05 2021-12-28 김진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18B1 (ko) * 2021-03-05 2021-12-28 김진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0674B2 (en) Submarine construction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tidal energy and energy storage, and for fish farming
AU2009240383A1 (en) Device and method for flood protection, coastal protection and scour protection
Lee et al. Utilization of geotextile tube for sandy and muddy coastal management: A review
Safari A short review of submerged breakwaters
CN100445470C (zh) 一种用于岸边防护并有利于多种生物繁育的潜水丁坝系统
Winterwerp et al. A sustainable solution for massive coastal erosion in Central Java
US9181668B1 (en) Shoreline erosion control arrangement and method
KR100574741B1 (ko)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udale et al. Use of sand-filled geotextile tubes for sustainable coastal protection-case studies in Indian scenario
KR20160020152A (ko)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Greenway et al. Engineered approaches for limiting erosion along sheltered shorelines: a review of existing methods
Sulaiman et al. Beach profile changes due to low crested breakwaters at Sigandu beach, Central Java
US10724195B2 (en) Aquatic curtain device and uses thereof
KR20170095763A (ko)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KR20170095657A (ko) 침식방지구조물 및 침식방지 시공방법
KR101062728B1 (ko)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Simanjuntak Performance evaluation on low-crest breakwater at north coast of Java Island
KR0147723B1 (ko) 하천 저수로의 수충부 자연형호안공법
Lawson Geotextiles in marine engineering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JP3088245B2 (ja) 人工海浜の法面保護工法
Ghazali et al. New innovations and technologies in coastal rehabilitation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3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10

Effective date: 2018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