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932A - 지오 폴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오 폴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932A
KR20190052932A KR1020170148803A KR20170148803A KR20190052932A KR 20190052932 A KR20190052932 A KR 20190052932A KR 1020170148803 A KR1020170148803 A KR 1020170148803A KR 20170148803 A KR20170148803 A KR 20170148803A KR 20190052932 A KR20190052932 A KR 2019005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
sand
stone
waves
co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영
Original Assignee
오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영 filed Critical 오준영
Priority to KR102017014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2932A/ko
Publication of KR2019005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7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bags filled at th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02B3/108Temporary dykes with a filling, e.g. filled by water or s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오 폴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해안가가 파도에 의하여 침식되고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해안에 돌(11)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하되, 지오 폴리 시스템을 해안가에 구비되는 유입된 바닷물을 지연되어 흘러나가게 바닷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폴리인도부(1)와 해안가에 일정거리 이격된 해안의 해저면에 설치어 파도를 저감시키는 폴리감조부(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본 발명은 해안가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와 파도를 저감시켜 이안류를 억제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오 폴리 시스템{Geo poly system}
본 발명은 지오 폴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에 돌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하여서 해안가가 파도에 의하여 침식되고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가는 파도에 밀려온 모래가 퇴적되어 완만한 경사의 모래사장을 형성하여 수영하기 좋은 환경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해안가에는 퇴적된 모래가 파도에 유실되는 것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테드라포트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한편, 도시확대 및 간척사업과 같은 해안가 개발에 따라 해안가의 해류 흐름이 변경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안가의 해류의 흐름이 발생되면 해안가의 모래가 유실되어 모래사장이 없어지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트라포트와 같은 파도 저감장치 등을 이용하여 해안가의 모래 유실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테트라포트와 같은 파도저감장치는 해안가의 경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테트라포트의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파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나 해안가의 모래 유실은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6-002835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테트라포트와 같은 파도저감장치는 해안가의 경관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테트라포트의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며, 파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나 해안가의 모래 유실은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은 해안에 돌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오 폴리 시스템을 해안가에 구비되는 유입된 바닷물을 지연되어 흘러나가게 바닷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폴리인도부와 해안가에 일정거리 이격된 해안의 해저면에 설치어 파도를 저감시키는 폴리감조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인도부를 해안가의 육지 측에 바닥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형성하는 폴리백지지체와 상기 폴리백지지체의 상부에 타설 형성되며 유입된 바닷물이 지연 배출되게 하는 폴리인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감조부를 해안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해저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폴리백감조체를 다단으로 조적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본 발명은 해안에 돌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하되, 지오 폴리 시스템을 해안가에 구비되는 유입된 바닷물을 지연되어 흘러나가게 바닷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폴리인도부와 해안가에 일정거리 이격된 해안의 해저면에 설치어 파도를 저감시키는 폴리감조부로 구성함으로써, 해안가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와 파도를 저감시켜 이안류를 억제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폴리인도부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폴리감조부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해안가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고 파도를 저감시켜 해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해안에 돌(11)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지오 폴리 시스템은 해안가의 육지 측에 형성되는 폴리인도부(1)와 해안가에 일정거리 이격된 해안의 해저면에 형성되는 폴리감조부(2)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폴리인도부(1)는 해안가에 구비되어 유입된 바닷물을 흡수하였다 서서히 배출시켜 해안가 파도에 의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폴리인도부(1)는 해안가의 육지 측에 바닥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형성하는 폴리백지지체(20)와 상기 폴리백지지체(20)의 상부에 타설 형성되며 유입된 바닷물이 지연 배출되게 하는 폴리인도(10)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폴리백지지체(20)는 내부에 폴리접착제(12)에 의하여 접착 배합된 돌(11)로 이루어진 폴리골재가 투수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폴리백(13)에 수용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폴리백지지체(20)를 구성하는 폴리골재의 그 최대외경이 1~2cm 크기인 돌(11)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돌(11)의 크기가 1cm 이하로 형성하게 되면 투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2cm 이상으로 실시하게 되면 단위 체적당 중량이 저감되어 폴리지지체로서의 충분한 중량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최대외경이 1~2cm 크기인 돌(11)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폴리인도(10)는 폴리백지지체(20)의 상측에 폴리접착제(12)에 의하여 접착 배합된 폴리골재가 타설형성된 투수블럭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폴리인도(10)는 그 최대외경이 1.5~5cm의 돌(11)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돌(11)의 크기가 1.5cm 이하로 형성하게 되면 유입된 바닷물이 충분히 배수되지 않아 폴리인도(10)가 상시 젖어 있게 되고, 5cm 이상으로 실시하게 되면 인도가 울퉁불퉁하여 보행자의 보행이 불편함이 과도하게 증가하므로 최대외경이 1.5~5cm 크기인 돌(11)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감조부(2)는 해안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해저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폴리백감조체(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폴리백감조체(30)는 폴리접착제(12)에 의하여 접착 배합된 투수블럭체가 투수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폴리백(13)에 수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폴리백감조체(30)를 구성하는 투수플럭체는 그 최대외경이 1~2cm의 돌(11)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돌(11)의 크기가 1cm 이하로 형성하게 되면 투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2cm 이상으로 실시하게 되면 단위 체적당 중량이 저감되어 폴리백감조체(30)로서의 충분한 중량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최대외경이 1~2cm 크기인 돌(11)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안에 돌(11)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하되, 상기 지오 폴리 시스템을 해안가에 구비되는 유입된 바닷물을 지연되어 흘러나가게 바닷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폴리인도부(1)와 해안가에 일정거리 이격된 해안의 해저면에 설치어 파도를 저감시키는 폴리감조부(2)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폴리인도부(1)가 유입된 바닷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지연시켜 해안가의 모래가 바닷물에 유실되는 것이 최소화되며 폴리인도부(1)의 배수가 원활하여 인도가 바닷물에 잠기거나 젖어 있지 않아 보행이 편안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폴리감조부(2)에 의하여 해안가로 몰려드는 파도를 저감시켜 과도한 파도로 인한 안전하고가 방지되고 이안류도 억제하여 해안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1 : 폴리인도부
2 : 폴리감조부
11 : 돌 12 : 폴리접착제 13 : 폴리백
10 : 폴리인도
20 : 폴리백지지체
23 : 폴리접착제
30 : 폴리백감조체

Claims (5)

  1. 해안에 돌(11)을 폴리접착제로 결속시킨 투수블럭체에 의하여 모래의 유실을 방지하고 파도를 저감시키는 지오 폴리 시스템을 구비하되;
    지오 폴리 시스템은 해안가에 구비되는 유입된 바닷물을 지연되어 흘러나가게 바닷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폴리인도부(1)와 해안가에 일정거리 이격된 해안의 해저면에 설치어 파도를 저감시키는 폴리감조부(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폴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인도부(1)는 해안가의 육지 측에 바닥에 설치되어 지지력을 형성하는 폴리백지지체(20)와 상기 폴리백지지체(20)의 상부에 타설 형성되며 유입된 바닷물이 지연 배출되게 하는 폴리인도(1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폴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감조부(2)는 해안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해저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폴리백감조체(30)를 다단으로 조적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폴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백지지체(20)는 내부에 폴리접착제(12)에 의하여 접착 배합된 돌(11)로 이루어진 폴리골재가 투수성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된 폴리백(13)에 수용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리백지지체(20)를 구성하는 폴리골재의 그 최대외경이 1~2cm 크기인 돌(11)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폴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인도(10)는 폴리백지지체(20)의 상측에 폴리접착제(12)에 의하여 접착 배합된 폴리골재가 타설형성된 투수블럭체로 구성되며;
    상기 폴리인도(10)는 그 최대외경이 1.5~5cm의 돌(11)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 폴리 시스템.
KR1020170148803A 2017-11-09 2017-11-09 지오 폴리 시스템 KR20190052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03A KR20190052932A (ko) 2017-11-09 2017-11-09 지오 폴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03A KR20190052932A (ko) 2017-11-09 2017-11-09 지오 폴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32A true KR20190052932A (ko) 2019-05-17

Family

ID=6667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03A KR20190052932A (ko) 2017-11-09 2017-11-09 지오 폴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29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18B1 (ko) * 2021-03-05 2021-12-28 김진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356A (ko) 2004-09-25 2006-03-29 두우균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356A (ko) 2004-09-25 2006-03-29 두우균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시공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시공된 해안 침식 방지 시스템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118B1 (ko) * 2021-03-05 2021-12-28 김진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746B1 (ko)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ES2785750T3 (es) Barrera sensible a las mareas
CN110382780B (zh) 海滩侵蚀抑制器
US8979427B2 (en) Coastal recovery utilizing repositionable shoal module
CN202416251U (zh) 一种防波式海洋平台
KR20190052932A (ko) 지오 폴리 시스템
US20080056823A1 (en) Beach erosion abatement
JP6084824B2 (ja) 波力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113018A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JP4636985B2 (ja) 汚濁防止装置
KR102243564B1 (ko) 부유상태 전환이 가능한 차단막 연결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쓰레기 차단장치
US10294620B1 (en) Wave-energy absorption system
KR20210060782A (ko) 해상 태양광 발전장치의 가드 펜스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US11149393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WO2012000495A1 (en) Floating breakwater
KR100544571B1 (ko) 부유식 해상 마리나 구조물
KR101811705B1 (ko)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JP4776694B2 (ja) 港湾構造物及びこのような構造物の建設方法
CN109440722A (zh) 一种张力腿锚系可下潜浮式防波装置及防波堤
US20170268191A1 (en) Modular shell reef for erosion abatement
US20200318305A1 (en) Beach erosion inhibitor
JP6749571B2 (ja) 津波減衰溝構造体
JP2006125102A (ja) 海岸用ブロック
JP2615403B2 (ja) フラップボードによる波高減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