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1705B1 -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 Google Patents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1705B1
KR101811705B1 KR1020160075555A KR20160075555A KR101811705B1 KR 101811705 B1 KR101811705 B1 KR 101811705B1 KR 1020160075555 A KR1020160075555 A KR 1020160075555A KR 20160075555 A KR20160075555 A KR 20160075555A KR 101811705 B1 KR101811705 B1 KR 10181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water level
floating
support portion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척
강성영
Original Assignee
(주) 씨플렉스코리아
신상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플렉스코리아, 신상척 filed Critical (주) 씨플렉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7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에 따라 경사도를 완만하게 유지하도록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부력재를 구비한 복수의 부교, 상기 복수의 부교 사이 또는 상기 부교와 도교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연결된 연결부교, 상기 연결부교와 적어도 일단부가 연결되는 도교, 상기 연결부교의 하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재는 알루미늄 또는 PE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부교 및 지지부는 상기 부력재를 통해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다.

Description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FLOATING LANDING STAGE OF WHICH SLOP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본 발명은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를 완만하게 유지하도록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라 함은 배를 접안(接岸)시키기 위해 물가에 만들어진 잔교(棧橋)와, 육지를 연결하는 도교(渡橋)를 말한다.
이러한, 부잔교는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잔교는 통상적으로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e; 스티로폼) 수지를 원기둥 또는 상자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기둥 또는 상자모양들을 목재나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으로 체결하여 부력체를 형성한다. 상기 부력체에 상판을 부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은 잔교는 부력체가 발포폴리스타이렌수지로 만들어져 쉽게 손상되며, 손상되면서 발생한 발포폴리스타이렌수지 가루가 해양을 오염 시켰다.
또한, 어류들이 발포폴리스타이렌수지 가루를 섭취하게 되면서 2차 오염이 발생한다.
또한, 금속재로 잔교를 바지선으로 제작하고 상판을 콘크리트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잔교의 경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 되었다.
또한, 폴리에틸렌관을 중간 중간 칸막이를 하여 부력체을 형성 후 상부에 목재나 폴리에틸렌 각재로 이루어진 상판을 설치하여 잔교를 형성한다. 이러한 잔교는 간조시 해수면과 마찰되어 소손될 경우 교체가 불가하여 간조시 노출되는 선착장에 설치시 내구성이 낮아지며 파손시에 수리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잔교는 파도가 치는 상태에서 도교를 고정한 도교와 잔교를 분리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또한 체인블록을 사람이 직접 조작함에 있어 어촌의 고령화로 인해 작업에 애로가 많다.
또한,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달라지면서 저수위시 부잔교의 급격한 경사도를 보여 보행자의 통행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24277호(등록일: 2004.03.11., 명칭: 부잔교)
본 발명은 바다, 호수, 강의 고수위와 저수위에 상관없이 완만한 각도의 부잔교를 형성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폴리스타이렌(EPS)이 충전된 알루미늄 부력재를 구비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는 부잔교의 각도가 유지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는,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부력재를 구비한 복수의 부교; 상기 복수의 부교 사이 또는 상기 부교와 도교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연결된 연결부교; 상기 연결부교와 적어도 일단부가 연결되는 도교;및 상기 연결부교의 하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재는 알루미늄 또는 PE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부교 및 지지부는 상기 부력재를 통해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교와 연결부교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 적층된 부력재는 고수위와 저수위의 깊이에 따라 부력재의 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교는 일단부가 잔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는, 육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고 수위시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양측의 육지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도교; 상기 도교와 도교 사이를 연결하고 하부에 부력재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연결부교; 상기 연결부교의 하단부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구비하며 상기 도교와 연결된 연결부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력재는 알루미늄 또는 PE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교 및 지지부는 상기 부력재를 통해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교와 연결부교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 사이에 닻(anchor)과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 또는 콘크리트싱커와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복수개 계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탄성재질을 이용하여 높이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볼 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수위 시에는 수위와 평행한 경사도를 이루고, 저수위시에는 완만한 경사도를 이루어 사용자의 통행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곽이 알루미늄 또는 PE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발포폴리스타이렌을 충전하여 부력재를 형성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 하단에 탄성재질을 이용한 높이조절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부잔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 하단에 볼부재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어느 위치에서든 용이하게 좌우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의 고수위 때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의 저수위 때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의 고수위 때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의 저수위 때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의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로, 육지와 잔교(10) 사이를 연결하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부교(110), 연결부교(120), 지지부(130), 및 도교(140)를 포함한다.
부교(110)는 수면위에 구비된 잔교(10)와의 거리를 고려하여 복수개 구비하되, 잔교(10)와 직접 연결하지 않고 부교(110) 사이사이에 도교(140) 및 연결부교(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연결하도록 한다.
부교(110)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부력재(150)를 구비하여 고수위시 부교(110)가 수면위로 부유 될 수 있도록 한다.
부교의 상단으로는 패널이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양측으로 난간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부교(110)는 고수위 시에는 부력재(150)에 의해 수면위로 떠올라 수면과 수평상태를 이루지만 저수위 시에는 연결된 연결부교(120)의 높이로 기울어지게 된다.
연결부교(120)는 부교(110)와 부교(110)사이 또는 부교(110)와 도교(140) 사이에 위치하여 부교(110)와 부교(110)사이를 연결하거나, 부교(110)와 도교(14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부에는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패널과 길이방향으로 양측으로 난간부재를 구비한다.
고수위 시에는 부교(110)의 패널과 연결부교(120)의 패널이 평행을 이루다가 저수위가 되면 부교(110)의 패널과 연결부교(120)의 패널간에 20ㅀ이하의 경사도가 발생한다.
이때, 부교(110)와 연결부교(120), 연결부교(120)와 도교(140)는 회동 가능한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저수위시 연결부교(120)의 높이로 기울어진다.
여기서 힌지부는 부교(110)의 패널과 연결부교(120)의 패널을 연결하고, 난간부재는 경사도에 따라 겹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0)는 연결부교(1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31)과 수직 프레임(131) 사이에 수평 프레임(132)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저수위 시 연결부교(120)를 일정 높이로 고정한다.
지지부(130)의 높이는 연결부교(120)의 위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육지의 높이보다 저수위시의 잔교(10) 높이가 현저히 낮은 상태로 육지에서 멀어질수록 지지부(1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지지부(130) 사이에는 닻(anchor)과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 또는 콘크리트싱커와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복수개 계류부재가 구비되어 연결부교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파도와 같은 외부 힘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지지부(130)의 하부에 위치한 수직 프레임(131)의 끝단에 탄성재질을 이용한 높이조절부재(133)를 구비한다.
또한, 높이조절부재(133) 하부에 구비되어 볼 부재(134)를 통해 상기 지지부(130)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있어 이에 따라 지지부(130)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교(120)가 평행을 이루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볼 부재(134)를 통해 수직 프레임(131)이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볼 부재(134)는 안착부(135) 내측에 위치하여 수직 프레임(131)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부(135)는 지지부(130)의 최하단에 위치한 구성으로 지면에 맞닿는 구성이다.
또한, 지지부(130) 내측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150)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고수위 시 부유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30)에 적층된 부력재(150)는 고수위와 저수위의 깊이에 따라 부력재(150)의 수가 결정된다.
예컨대, 잔교(10)에 가까워질수록 지지부(130)의 높이가 낮아지고 부력재(150)의 수는 지지부(130)의 높이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부교(110) 및 지지부(130)에 구비된 부력재(150)는 알루미늄 케이스로 형성되어 내부에 발포폴리스타이렌(EPS)이 충전되어 환경오염을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케이스에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복수의 부력재(150)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알루미늄 케이스 내측에 충전되는 발포폴리스타이렌(EPS)은 부유 깊이에 따라 충전양을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교(140)는 일측이 수면위에 구비된 잔교(10)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부에 별도의 부력재(150)를 구비하지 않고 타측에 연결부교(120)와 연결된다.
즉, 도교(140)는 연결부교의 높이와 잔교(10)의 높이 차이에 대한 기울기를 유지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로, 육지와 육지 사이를 연결하는 부잔교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는 도교(210), 연결부교(220), 및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도교(210)는 고 수위시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양측 육지에 각각 연결된다.
연결부교(220)는 육지 양측에 연결된 도교(210)와 도교(210) 사이를 연결하되, 양측의 도교(210)가 연결부교(22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양측의 도교(210)가 연결부교(220)의 상단에 위치하여 연결함으로써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연결부교(220)에 의해 도교 역시 상하로 같이 이동되게 되어 자연스럽게 연결부교(220)와 연동되게 된다.
연결부교(220)의 하부에는 부력재(250)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하여 연결부교(220)의 부유를 돕는다.
제2 실시예 따른 연결부교(2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교와 달리 육지와 육지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큰 경사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도교(210)와 도교(210)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30)는 연결부교(2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도교(210)와 연결된 연결부교(220)의 하부를 지지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250)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구비하되, 연결부교(22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연결부교(22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수직 프레임(231)과 수평 프레임(232)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30) 사이에는 닻(anchor)과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 또는 콘크리트싱커와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의 복수개 계류부재가 구비되어 연결부교(220)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파도와 같은 외부 힘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230)의 하부에 위치한 수직 프레임(231)의 끝단에 탄성재질을 이용한 높이조절부재(233)를 구비한다.
또한, 높이조절부재(233) 하부에 구비되어 볼 부재(234)를 통해 상기 지지부(230)의 경사도를 조절한다.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이 있어 이에 따라 지지부(230) 상단에 구비된 연결부교(220)가 평행을 이루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볼 부재(234)를 통해 수직 프레임(231)이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볼 부재(234)는 안착부(235) 내측에 위치하여 수직 프레임(231)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부(235)는 지지부(230)의 최하단에 위치한 구성으로 지면에 맞닿는 구성이다.
또한, 지지부(230) 내측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250)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고수위시 부유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교(220) 및 지지부(230)에 구비된 부력재(250)는 부력부재에 해당되고, 부력재(250)는 알루미늄 또는 PE케이스로 형성되어 내부에 발포폴리스타이렌(EPS)이 충전되어 환경오염을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또는 PE케이스에 결합부재를 형성하여 복수의 부력재(250)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알루미늄 또는 PE케이스 내측에 충전되는 발포폴리스타이렌(EPS)은 부유 깊이에 따라 충전량을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수위 시에는 수위와 평행한 경사도를 이루고, 저수위시에는 완만한 경사도를 이루어 사용자의 통행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곽이 알루미늄 또는 PE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발포폴리스타이렌을 충전하여 부력재를 형성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해양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 하단에 탄성재질을 이용한 높이조절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부잔교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 하단에 볼 부재를 이용하여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어느 위치에서든 용이하게 좌우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잔교 110 : 부교
120, 220 : 연결부교 130, 230 : 지지부
131, 231 : 수직 프레임 132, 232 : 수평 프레임
133, 233 : 높이조절부재 134, 234 : 볼 부재
135, 235 : 안착부 140, 210 : 도교
150, 250 : 부력재 240 : 계류부재

Claims (9)

  1. 육지와 잔교를 연결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부력재를 구비한 복수의 부교;
    상기 복수의 부교 사이 또는 상기 부교와 도교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연결된 연결부교;
    상기 연결부교와 적어도 일단부가 연결되는 도교;및
    상기 연결부교의 하부를 지지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구비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 사이에 닻(anchor)과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인 복수개의 계류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탄성재질을 이용한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볼 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며,
    상기 부력재는 알루미늄 또는 PE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부교 및 지지부는 상기 부력재를 통해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교와 연결부교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적층된 부력재는 고수위와 저수위의 깊이에 따라 부력재의 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교는 일단부가 잔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5. 육지와 육지를 연결하는 부잔교에 있어서,
    고 수위시 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양측 육지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도교;
    상기 도교와 도교 사이를 연결하고 하부에 부력재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연결부교;
    상기 연결부교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도교와 연결된 연결부교의 하부를 지지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력재를 수직으로 적층하여 구비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 사이에 닻(anchor)과 탄성로프, 합성섬유로프 연결방식인 복수개의 계류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탄성재질을 이용한 높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볼 부재를 통해 상기 지지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며,
    상기 부력재는 알루미늄 또는 PE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교 및 지지부는 상기 부력재를 통해 수위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교와 연결부교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75555A 2016-06-17 2016-06-17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KR10181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55A KR101811705B1 (ko) 2016-06-17 2016-06-17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555A KR101811705B1 (ko) 2016-06-17 2016-06-17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705B1 true KR101811705B1 (ko) 2017-12-22

Family

ID=6093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555A KR101811705B1 (ko) 2016-06-17 2016-06-17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51B1 (ko)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1043A (ja) * 2013-08-02 2015-02-16 株式会社タスカーマリーナサービス 可変勾配浮上式斜路桟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1043A (ja) * 2013-08-02 2015-02-16 株式会社タスカーマリーナサービス 可変勾配浮上式斜路桟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051B1 (ko) 2020-12-17 2021-05-27 김용채 부유식 연락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7003B2 (en) Pile guide
US3969901A (en) Floating breakwaters
US10822063B1 (en) Floating platform
US20110002739A1 (en) Temporary floating breakwater and causeway with simulated beach and kelp
CN114207218A (zh) 浮动式防波堤结构
KR101811705B1 (ko) 수위에 따라 경사도가 조절되는 부잔교
US11236521B2 (en) Dynamic artificial wave facility for surfing practice
US20180214757A1 (en) A dynamic artificial wave facility for the practice of surfing
KR101954345B1 (ko) 플로팅 플랫폼을 이용한 접안시설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JP6084323B1 (ja) 高さ調整装置及び高さ調整システム
KR20130070174A (ko) 계류시설
US5517936A (en)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KR101974243B1 (ko) 수직제어가 가능한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제어방법
CN211773298U (zh) 定位桩浮动游艇码头
US5398633A (en)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US2200550A (en) Wharf
KR101074923B1 (ko) 피어가 없는 선박 계류장
KR102495853B1 (ko)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CN210368842U (zh) 护岸结构
KR102646244B1 (ko) 동적 안정화 폰툰
KR102014912B1 (ko) 계류장 구조물
FI90109C (fi) Pontonbrygga
JP2005193730A (ja) 人工浮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