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597A -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597A
KR20150017597A KR1020130093743A KR20130093743A KR20150017597A KR 20150017597 A KR20150017597 A KR 20150017597A KR 1020130093743 A KR1020130093743 A KR 1020130093743A KR 20130093743 A KR20130093743 A KR 20130093743A KR 20150017597 A KR20150017597 A KR 2015001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s
grid
retaining wall
support lay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모홀딩스엔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3009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597A/ko
Publication of KR2015001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옹벽 구조는, 상측으로 적층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진 복수의 포대; 상기 복수의 포대 중 상측 포대에서 내리박혀, 상기 상측 포대와 상기 상측 포대의 하측에 있는 하측 포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수평바; 상기 복수의 포대의 후방에 성토된 토사지지층; 및 상기 복수의 수평바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말뚝이 관통되며, 2 단으로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에 의하면, 그리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연결부재의 변형을 막아 옹벽 구조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씨앗의 발아하여 성장하면서 녹지가 조성되고, 미관이 개선된다.

Description

옹벽 구조{Structure of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생 포대를 이용한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벽체를 의미한다. 즉 옹벽은 지반이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형성되었을 경우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벽돌 등의 다양한 재료로 축조될 수 있고, 최근에는 친환경, 녹색 성장 등의 환경 친화적 산업 발전이란 사회적 이슈와 맞물려, 식생 포대를 활용한 옹벽이 다양한 곳에서 축조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국내 등록특허 제10-0557703호에서는 종래 옹벽 구조(10)의 일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옹벽 구조(10)는 복수의 옹벽 유닛(11), 지오그리드 시트(12), 결합부재(13) 및 뒷채움 흙(1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옹벽 유닛(11)은 상기 뒷채움 흙(14)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적층되고, 상기 결합부재(13)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는 메쉬(Mesh) 형상을 하고,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뒷채움 흙(14)의 내부에 매입된다. 상기 결합부재(13)는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 중 전측에 위치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를 상기 복수의 옹벽 유닛(11)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상기 뒷채움 흙(14)의 회전활동(Revolutionary landslide)을 막는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는 그 일부가 상기 결합부재(13)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재(13)와 인접하는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의 내부 교차점(12a)이 파손되기 쉽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뒷채움 흙(14)의 회전활동으로 인하여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가 후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부재(13)와 인접하는, 상기 지오그리드 시트(12)의 구성하고 있는 서로 직교하는 케이블의 교차점(12a)이 결합이 쉽게 파손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13)는 상기 복수의 옹벽 유닛(11)에 의해 뒤틀려서 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상기 옹벽 구조(10)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지오그리드 시트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부재가 뒤틀려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친화경적인 옹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옹벽 구조는, 상측으로 적층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진 복수의 포대; 상기 복수의 포대 중 상측 포대에서 내리박혀, 상기 상측 포대와 상기 상측 포대의 하측에 있는 하측 포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수평바; 상기 복수의 포대의 후방에 성토된 토사지지층; 및 상기 복수의 수평바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말뚝이 관통되며, 2 단으로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말뚝은, 상기 상측 포대에 내리박히는 한 쌍의 레그와,상기 한 쌍의 레그의 상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그는, 단면이 각각“+”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포대는, 흙을 감싸는 내피,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피의 외측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고정되는 씨앗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리드는,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상측 그리드, 상기 상측 그리드의 하측에서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하측 그리드, 및 상기 상측 그리드와 하측 그리드를 상기 수평바의 전면에서 연결하는 연결 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에 의하면, 그리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연결부재의 변형을 막아 옹벽 구조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고, 씨앗의 발아하여 성장하면서 녹지가 조성되고, 미관이 개선된다.
도 1은 종래의 옹벽 구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옹벽 구조에서 지오그리드 시트와 결합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옹벽 구조의 구성인 포대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옹벽 구조의 구성인 말뚝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A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옹벽 구조에서 말뚝, 수평바 및 그리드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옹벽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옹벽 구조는 복수의 포대(100), 복수의 말뚝(200), 복수의 수평바(300), 토사지지층(400) 및 복수의 그리드(50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포대(100)는 상기 토사지지층(400)의 전면에서 상측으로 적층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진다.
상기 복수의 포대(100)는 내피(110), 외피(120) 및 씨앗(130)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내피(110)는 흙을 감싸고, 상기 외피(120)는 상기 내피(110)를 감싸며, 상기 외피(120)의 표면에는 상기 씨앗(130)이 발아하여 성장할 때 줄기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씨앗(130)은 상기 내피(110)와, 상기 외피(120)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포대(100)는, 상기 내피(110)의 외측면에 접착재가 도포되어 상기 내피(100)에 뿌려진 상기 씨앗(130)이 상기 내피(11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내피(110)의 외측면에 상기 외피(120)의 내측면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옹벽 구조는 상기 씨앗(130)이 발아하여 자라면, 녹지가 조성되는 장점이 있고, 친 환경적이며,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말뚝(200)은, 상기 복수의 포대(100) 중 상측 포대에서 내리박혀, 상기 상측 포대와 상기 상측 포대의 하측에 있는 하측 포대를 서로 고정한다.
상기 복수의 말뚝(200)은, 한 쌍의 레그(210)와 연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그(210)는 상기 상측 포대에 내리박히고,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한 쌍의 레그(210)의 상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레그(210)를 상호 연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레그(210)는, 단면이 각각“+”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 쌍의 레그(210)의 단면이 각각 “+”형상을 하는 상기 복수의 말뚝(200)은 상기 복수의 포대(100)의 미세한 움직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에 대한 저항력이 개선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수평바(300)는, 상기 복수의 말뚝(20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그리드(500)를 고정시킨다. 즉 상기 복수의 수평바(300)는 상기 복수의 포대(100)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말뚝(200)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그리드(500)가 상기 토사지지층(400)의 회전활동(Revolutionary landslide)에 의해 각각 후측으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수평바(300)의 전면에 상기 복수의 그리드(500)가 각각 감싸면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그리드(500)를 구성하는 케이블의 교차 지점이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활동이란 경사면을 구성하는 상기 토사지지층(400)이 후방에 위치하는 기존의 흙덩어리를 타고, 곡선 형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토사지지층(400)은 상기 복수의 포대(100)의 후방에 성토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그리드(500)는 상기 복수의 수평바(300)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말뚝(200)이 관통되며, 2 단으로 상기 토사지지층(400)에 매입되어 정착된다.
상기 복수의 그리드(500)는, 상측 그리드(510), 하측 그리드(520) 및 연결 그리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그리드(510)와 상기 하측 그리드(520)는 각각 상기 토사지지층(400)에 매입되어 정착되고, 상기 연결 그리드(530)는 상기 상측 그리드(510)와 상기 하측 그리드(520)를 상기 복수의 수평바(300)의 전면에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그리드(530)는, 상기 복수의 수평바(300)에 고정되어, 상기 토사지지층(40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상측 그리드(510)와 상기 하측 그리드(520)가 각각 후측으로 끌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복수의 포대
200...복수의 말뚝
300...복수의 수평바
400...토사지지층
500...복수의 그리드

Claims (5)

  1. 상측으로 적층되고, 내부에 흙이 채워진 복수의 포대;
    상기 복수의 포대 중 상측 포대에서 내리박혀, 상기 상측 포대와 상기 상측 포대의 하측에 있는 하측 포대를 서로 고정하는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의 수평바;
    상기 복수의 포대의 후방에 성토된 토사지지층; 및
    상기 복수의 수평바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말뚝이 관통되며, 2 단으로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말뚝은,
    상기 상측 포대에 내리박히는 한 쌍의 레그와,
    상기 한 쌍의 레그의 상단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레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그는,
    단면이 각각“+”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포대는,
    흙을 감싸는 내피,
    표면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피의 외측을 감싸는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에 고정되는 씨앗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리드는,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상측 그리드,
    상기 상측 그리드의 하측에서 상기 토사지지층에 매입되어 정착되는 하측 그리드, 및
    상기 상측 그리드와 하측 그리드를 상기 수평바의 전면에서 연결하는 연결 그리드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
KR1020130093743A 2013-08-07 2013-08-07 옹벽 구조 KR20150017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43A KR20150017597A (ko) 2013-08-07 2013-08-07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43A KR20150017597A (ko) 2013-08-07 2013-08-07 옹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97A true KR20150017597A (ko) 2015-02-17

Family

ID=5304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743A KR20150017597A (ko) 2013-08-07 2013-08-07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5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429A (zh) * 2015-04-09 2015-07-22 重庆大学 一种整体式预应力加筋挡土墙的施工方法
CN111827312A (zh) * 2020-07-28 2020-10-27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边坡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2343118B1 (ko) * 2021-03-05 2021-12-28 김진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0429A (zh) * 2015-04-09 2015-07-22 重庆大学 一种整体式预应力加筋挡土墙的施工方法
CN111827312A (zh) * 2020-07-28 2020-10-27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边坡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11827312B (zh) * 2020-07-28 2021-11-16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边坡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2343118B1 (ko) * 2021-03-05 2021-12-28 김진태 파력 흡수 및 분산용 잠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20150017597A (ko) 옹벽 구조
KR102084588B1 (ko) 모종심기가 가능한 식생매트 고정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53214B1 (ko) 절개지 보수 백과,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CN113062263B (zh) 一种沉管充填式采煤塌陷地治理方法
CN205530295U (zh) 边坡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20080090718A (ko) 환경친화적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200403507Y1 (ko) 식생형 중공블록
CN107419855B (zh) 一种适用于地下车库顶板上的大型乔木种植方法
JPWO2011152495A1 (ja) 擁壁構造及び植栽可能な擁壁構築法
CN205530339U (zh) 一种柔性生态挡墙护坡系统
CN104264697A (zh) 一种高陡石质边坡绿化防护结构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101321473B1 (ko) 식생토낭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식생토낭을 이용한 옹벽 축조 구조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105407B1 (ko) 수분 전도체를 갖는 자연 친환경 옹벽 구조물
KR20120057407A (ko) 식생포대 고정장치
CN202689030U (zh) 柔性或薄壁材料加拉杆式自承重挡土墙
KR101238787B1 (ko) 녹화가 가능한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04409083U (zh) 一种砂砾石地苗木种植穴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