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979B1 -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979B1
KR102342979B1 KR1020210027274A KR20210027274A KR102342979B1 KR 102342979 B1 KR102342979 B1 KR 102342979B1 KR 1020210027274 A KR1020210027274 A KR 1020210027274A KR 20210027274 A KR20210027274 A KR 20210027274A KR 102342979 B1 KR102342979 B1 KR 102342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support
light
reflecting plate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혜림
안병용
문승철
Original Assignee
(주)고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이엔지 filed Critical (주)고려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2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30Circuits for braking, traversing, or slew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6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 B66C15/065Arrangements or use of warning devices electric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가볍고 크기가 작은 물체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은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함으로, 비교적 가볍고 작은 물체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Scaffolding Hoist Gantry Crain}
본 발명은 비교적 가볍고 크기가 작은 물체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에서 무거운 물체를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호이스트 크레인은 공장의 양측벽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트롤리바와, 상기 트롤리바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윈치가 구비된 트롤리로 구성되어, 상기 윈치를 이용하여 들어올린 물체를 전후방향과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호이스트 크레인은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비교적 가볍고 크기가 작은 물체를 이동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14-008070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가볍고 크기가 작은 물체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지바(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하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캐스터(15)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트롤리(30)와, 상기 트롤리(30)에 구비된 윈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전후방 수직바(21,22)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고정바(23)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방 수평바(24,25)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중간부에 고정된 고정대(26)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면 전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26)의 전후측에 각각 고정된 경사바(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롤리(30)는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의 상면에 올려지는 한 쌍의 로울러(31)와,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의 하측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울러(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32)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32)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패널(33)을 포함하고, 상기 윈치(40)는 상기 지지패널(33)의 하측면 중앙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트롤리(30)의 로울러(31)에 연결되어 로울러(31)가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1)와, 상기 제1 지지바(11)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바(12)쪽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된 발광수단(52)과, 상기 제2 지지바(12)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수단(60)과, 상기 캐스터(15)에 구비된 제동수단(53)과, 상기 회전감지센서(51)와 수광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동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4)과, 상기 제어수단(54)에 연결되며 제어수단(54)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된 경보수단(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광수단(60)은 상기 제2 지지바(12)의 측면에 상기 발광수단(52)을 향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61)과, 반사면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된 제1 반사판(62)과, 상기 제1 반사판(62)의 상측에서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반사판(62)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1 수광센서(63)와, 상기 제1 반사판(62)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반사면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된 제2 반사판(64)과, 상기 제2 반사판(6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반사판(64)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2 수광센서(65)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52)은 상기 제1 반사판(62)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회전감지센서(51)에 상기 로울러(31)가 회전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캐스터(1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1 수광센서(63)와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1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면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2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캐스터(1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은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함으로, 비교적 가볍고 작은 물체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을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지바(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하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캐스터(15)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트롤리(30)와, 상기 트롤리(30)에 구비된 윈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는 하부판(13)과, 상기 하부판(13)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스터(15)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전후단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부재(16)와, 상기 지지부재(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휠(17)로 구성되어, 갠트리 크레인이 자유롭게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전후방 수직바(21,22)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고정바(23)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방 수평바(24,25)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중간부에 고정된 고정대(26)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면 전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26)의 전후측에 각각 고정된 경사바(27)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바(27)는 중간부에 턴버클(27a)이 구비되어, 턴버클(27a)을 회전시켜 조임으로서,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롤리(30)는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의 상면에 올려지는 한 쌍의 로울러(31)와,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의 하측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회전축(32a)에 의해 상기 로울러(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32)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32)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패널(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트롤리(30)를 측방향으로 밀면 트롤리(30)가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를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윈치(40)는 상기 지지패널(33)의 하측면 중앙부에 고정된 것으로, 작업자가 체인(41)을 당기면 하측에 구비된 후크(42)가 승강되는 수동식 윈치(40)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갠트리 크레인을 이동시킬 물체의 상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윈치(40)의 후크(42)를 물체에 걸고 윈치(40)를 조작하여 물체를 들어올린 후, 트롤리(3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갠트리 크레인 전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밀어 물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갠트리 크레인은 크기가 작고 구조가 간단함으로, 비교적 가볍고 작은 물체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트롤리(30)의 로울러(31)에 연결되어 로울러(31)가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1)와, 상기 제1 지지바(11)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바(12)쪽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된 발광수단(52)과, 상기 제2 지지바(12)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수단(60)과, 상기 캐스터(15)에 구비된 제동수단(53)과, 상기 회전감지센서(51)와 수광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동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4)과, 상기 제어수단(54)에 연결되며 제어수단(54)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된 경보수단(55)이 더 구비된다.
상기 회전감지센서(51)는 상기 회전축(32a)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트롤리(30)를 측방향으로 밀어 상기 로울러(31)가 회전되면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수단(52)은 렌즈를 이용하여 빛을 확산되지 않는 직선형태로 모아 상기 수광수단(60)을 향해 조사할 수 있도록 된 LED램프를 이용한다.
상기 수광수단(6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바(12)의 측면에 상기 발광수단(52)을 향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61)과, 반사면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된 제1 반사판(62)과, 상기 제1 반사판(62)의 상측에서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반사판(62)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1 수광센서(63)와, 상기 제1 반사판(62)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반사면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된 제2 반사판(64)과, 상기 제2 반사판(6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반사판(64)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2 수광센서(6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52)은 상기 제1 반사판(62)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전후방 수평바(24,25)의 양단이 전후방 수직바(21,22)에 의해 지지됨으로, 상기 윈치(40)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지 않은 경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윈치(40)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경우, 전후방 수평바(24,25)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은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벌어지는 것에 비례하여, 점차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발광수단(52)은 상기 제1 반사판(62)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됨으로, 전후방 수직바(21,22)가 수직인 상태, 즉,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은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수단(52)에서 조사된 빛이 제1 반사판(62)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 수광센서(63)에 수광된다.
그리고, 상기 윈치(40)를 이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릴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 수평바(24,25)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양측으로 조금 벌어질 경우, 발광수단(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제1 반사판(62)과 제2 반사판(64) 사이의 공간으로 조사되어, 제1 및 제2 수광센서(63,65)에 빛이 수광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양측으로 많이 벌어질 경우,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2 반사판(64)에 조사되어 하측으로 반사된 후 상기 제2 수광센서(65)에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조사되는 빛이 제1 및 제2 수광센서(63,65)에 수신되는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벌어지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동수단(53)은 상기 캐스터(15)의 지지부재(16)에 구비되어, 작동시 지지부에 구비된 지지휠(17)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보수단(55)은 제1 및 제2 경보음이 저장되며, 상기 제어수단(54)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된 스피커가 구비된 것으로, 제1 및 제2 경보음은 작업자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음악이나 음향 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갠트리 크레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회전감지센서(51)에 상기 로울러(31)가 회전되는 것이 감지되면, 작업자가 상기 트롤리(30)를 측방향으로 밀어 물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캐스터(15)의 지지휠(17)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캐스터(15)가 고정되면, 상기 지지바와 상부프레임(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 작업자가 트롤리(30)의 측방향 위치를 정확히 조절하여, 물체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제1 및 제2 수광센서(63,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1 수광센서(63)와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1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면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2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캐스터(15)의 지지휠(17)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1 반사판(62)에 반사되어 제1 수광센서(63)에 수신된다는 것은, 상기 전후방수직바(21,22)가 수직을 이루어 상부프레임(20)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함으로,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경보수단(55)과 제동수단(53)을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1 수광센서(63)와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윈치(40)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부프레임(20)에 무리가 갈 수 있음으로,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1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된다는 것은, 상기 윈치(40)를 이용하여 과도하게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상기 상부프레임(20)에 문제가 발생되어 상부프레임(20)의 강도가 저하된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 상부프레임(20)이 붕괴되어 윈치(40)와 윈치(40)에 의해 들어올려진 물체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2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이러한 위험의 발생을 알리고, 상기 제동수단(53)을 제어하여 캐스터(15)의 휠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바와 전후방 수직바(21,22)가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부프레임(20)이 더 이상 손상되는 것을 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갠트리 크레인은 작업자가 트롤리(3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제동수단(53)을 이용하여 캐스터(15)의 지지휠(17)을 고정함으로써, 물체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하게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려 상부프레임(20)의 전후방 수직바(21,22)의 하단이 과도하게 외측으로 벌어질 경우, 경보수단(55)을 작동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고,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전후방 수직바(21,22)가 더 이상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후방 수직바(21,22)가 과도하게 외측으로 벌어져 상부프레임(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12. 제1 및 제2 지지바 15. 캐스터
20. 상부프레임 30. 트롤리
50. 윈치

Claims (3)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측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 지지바(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하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캐스터(15)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에 측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된 트롤리(30)와,
    상기 트롤리(30)에 구비된 윈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전후방 수직바(21,22)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상단에 고정된 상부고정바(23)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양단이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전후방 수평바(24,25)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방 수직바(21,22)의 중간부에 고정된 고정대(26)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바(11,12)의 상면 전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대(26)의 전후측에 각각 고정된 경사바(27)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30)의 로울러(31)에 연결되어 로울러(31)가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1)와,
    상기 제1 지지바(11)의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지지바(12)쪽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된 발광수단(52)과,
    상기 제2 지지바(12)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수단(60)과,
    상기 캐스터(15)에 구비된 제동수단(53)과,
    상기 회전감지센서(51)와 수광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동수단(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4)과,
    상기 제어수단(54)에 연결되며 제어수단(54)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된 경보수단(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광수단(60)은
    상기 제2 지지바(12)의 측면에 상기 발광수단(52)을 향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61)과,
    반사면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된 제1 반사판(62)과,
    상기 제1 반사판(62)의 상측에서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반사판(62)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1 수광센서(63)와,
    상기 제1 반사판(62)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반사면이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된 제2 반사판(64)과,
    상기 제2 반사판(64)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반사판(64)에서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제2 수광센서(65)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수단(52)은 상기 제1 반사판(62)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54)은 상기 회전감지센서(51)에 상기 로울러(31)가 회전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캐스터(1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1 수광센서(63)와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1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발광수단(52)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제2 수광센서(65)에 수광되면 상기 경보수단(55)을 제어하여 제2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동수단(53)을 작동시켜 캐스터(15)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30)는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의 상면에 올려지는 한 쌍의 로울러(31)와,
    상기 전후방 수평바(24,25)의 하측둘레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로울러(31)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브라켓(32)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32)의 하단에 고정결합되는 지지패널(33)을 포함하고,
    상기 윈치(40)는 상기 지지패널(33)의 하측면 중앙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갠트리 크레인.
  3. 삭제
KR1020210027274A 2021-03-02 2021-03-02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KR102342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274A KR102342979B1 (ko) 2021-03-02 2021-03-02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274A KR102342979B1 (ko) 2021-03-02 2021-03-02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979B1 true KR102342979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274A KR102342979B1 (ko) 2021-03-02 2021-03-02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99B1 (ko) 2023-05-09 2023-10-10 젠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중 분산 모듈형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776A1 (en) * 2005-10-31 2007-05-03 Wierzba Jerry J Panel turner for gantry crane
KR200453747Y1 (ko) * 2010-11-11 2011-05-27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기어높이조절식 갠트리 크레인
KR20140080709A (ko) 2012-12-14 2014-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호이스트 크레인의 위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593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95776A1 (en) * 2005-10-31 2007-05-03 Wierzba Jerry J Panel turner for gantry crane
KR200453747Y1 (ko) * 2010-11-11 2011-05-27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기어높이조절식 갠트리 크레인
KR20140080709A (ko) 2012-12-14 2014-07-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호이스트 크레인의 위치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5931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트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099B1 (ko) 2023-05-09 2023-10-10 젠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중 분산 모듈형 조립식 중량물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979B1 (ko) 비계 호이스트 갠트리 크레인
US3955844A (en) Crane cable attachment
KR101052383B1 (ko) 기계실을 갖지 않는 승강기용 차량 구동 기계 장착을 위한 방법
KR101797683B1 (ko) 조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led 가로등
KR101514259B1 (ko) 무대설비용 승강장치
KR102319169B1 (ko) 호이스트크레인
JP7189489B2 (ja) 移動式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システム
JP2630906B2 (ja) ホイストの横方向ずれ検知装置
TW201326021A (zh) 一種升降式物料平台及其使用方法
KR20120000686U (ko)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KR101908698B1 (ko) 타워크레인의 안전장치
JP7189490B2 (ja) 位置調節補助装置及び移動式クレーン
KR102397925B1 (ko) 무대장치용 수직활차의 부하 판별장치
US3111232A (en) Jack for light fixtures
CN217996591U (zh) 一种小型吊装设备
JPH02144307A (ja) 棚積機械における過負荷検出装置
JP5859776B2 (ja) 立体駐車装置
KR20210000407U (ko)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KR102509735B1 (ko) 호이스트크레인
JP4329027B2 (ja) 昇降式の物品移載装置
KR102645359B1 (ko) 양중 시스템
CN214785834U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升降过程监测预警装置
JP3148510U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06001652A (ja) クレーンによる吊下げ安定補助装置
JP2768613B2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ロープ切断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