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541B1 -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541B1
KR102341541B1 KR1020200063007A KR20200063007A KR102341541B1 KR 102341541 B1 KR102341541 B1 KR 102341541B1 KR 1020200063007 A KR1020200063007 A KR 1020200063007A KR 20200063007 A KR20200063007 A KR 20200063007A KR 102341541 B1 KR102341541 B1 KR 10234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edestal
supply device
stor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028A (ko
Inventor
공병민
Original Assignee
공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민 filed Critical 공병민
Priority to KR1020200063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5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1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automatically urged towards the dispensing aperture, e.g.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Abstract

본 발명의 용지 보관공급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며 구동력이 발생하는 모터와, 상측으로 용지가 얹혀지며 하우징의 내측에서 용지와 함께 승강하는 받침대와, 모터와 받침대를 연결하며 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리드 스크류와, 용지 중 일부를 하우징 외부로 일정량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지를 개구부로 일정거리 밀어내어 돌출된 용지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용지를 설정량 만큼 분출 사용하게 된다.

Description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PAPER STORAGE AND SUPPLY DEVICE FOR EASY EJECTION AND RE-STORAGE OF PAPER}
본 발명은 용지 보관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 용지 등의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용지는 일정 수량이 묶음 형태로 개별 포장된 후, 개별 포장된 용지가 박스에 수납된다. 이때, 용지는 통상적으로 인쇄장치의 주변에 적치된 상태로 보관된다. 용지는 개별포장을 해제한 후 인쇄장치 등에 공급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지가 떨어지면 온라인 또는 전화 등을 통해 개별 주문하고 배송이 완료되면 인쇄장치의 주변 또는 탕비실 등에 보관한다. 그러나, 용지는 사용시에 박스를 분해하고 개별포장을 해제한 후 재배치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피곤하였다. 또한, 용지의 재고 파악이 쉽지 않고 용지의 재고가 없으면 업무는 정지된다. 즉, 용지의 관리에 인력이 낭비되고, 사무실 미관을 훼손하며, 용지 수급 시간에 따른 업무 로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용지보관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여기서 용지보관장치란, 프린터 또는 인쇄장치에 공급될 용지를 저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용지보관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147203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용지보관장치는 용지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온도 습도를 유지하도록 소량만 보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량의 용지를 적치하고, 적치된 용지를 배출 사용한만큼 용지를 상승시키는 구조를 찾아볼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72036호(2014.12.0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를 개구부로 일정거리 밀어내어 용지를 설정량 만큼 분출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지를 장치 밖으로 분출 후 특정 조건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기능을 제공하여 분출된 용지 중 일부를 다시 수납할 수 있는 용지 보관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지 보관공급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구동력이 발생하는 모터; 상측으로 용지가 얹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용지와 함께 승강하는 받침대; 상기 모터와 받침대를 연결하며 상기 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용지 중 일부를 하우징 외부로 일정량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구동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는 종동축에 의해 종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벨트와 슬라이더는 이송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동축의 종동풀리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 단부에는 제1 가이드 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의 반대 단부에는 제2 가이드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가이드 풀리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벨트와 슬라이더는 이송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지가 분출되면 상기 받침대는 상승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승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용지가 분출되면 상기 받침대는 상승하며, 상기 받침대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승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지를 분출 후 상승하는 상기 받침대의 상승 높이를 기억하고, 상기 받침대는 기억된 상승 높이 미만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돌출된 용지의 높이는 사전 설정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승 후 사전 설정된 높이 미만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지가 분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받침대는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에 따르면, 용지를 개구부로 일정거리 밀어내어 돌출된 용지를 사용자가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용지를 설정량 만큼 분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용지를 장치 밖으로 분출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기능을 제공하여 분출된 용지 중 일부를 다시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 사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용 용도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는 모터와 감속기 등의 용지 승강 이송장치, 용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 유선 및 무선통신 장치와 이 모든 것을 관리,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지를 반출하면 자동으로 적재된 용지를 개구부로 이송하며 적재된 용지의 잔량, 제품의 고장 등의 제품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 주체의 서버장치로 보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용지 보관공급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통신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용지 부족 시 자동으로 용지를 배송, 재급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장비 이상 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 및 고장수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모든 관리 서비스 행위를 사용자의 요청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업무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용지 보관공급장치에 의해 보관 및 공급되는 대상물이 용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지 보관공급장치(A)의 하우징(100) 내에는 카탈로그 등의 홍보용 인쇄물, 인쇄책자 등이 보관 및 공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A)는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용지(P)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하단에 설치되며 구동력이 발생하는 모터(200)와, 상측으로 용지(P)가 얹혀지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용지(P)와 함께 승강되는 받침대(300)와, 상기 모터(200)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이송축(410)과, 상기 받침대(30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이송축(410)의 회전에 의해 받침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너트(420)로 구성된 리드 스크류(400) 및 상기 받침대(300)의 처짐 방지와 받침대(300)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500)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보관공급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02)과 외형을 마감하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00)의 전면 마감재에는 용지공급장치의 상태, 기업 및 제품 홍보용 영상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측 정면부에는 용지(P)가 인출되어 사용하도록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에는 본 발명의 용지 보관공급장치(A)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전원 ON/OFF 및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제어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모터(200)는 정역 회전하는 일반적인 모터가 적용되거나 회전범위를 특정한 각도 또는 단계로 정밀 회전하는 스텝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00)는 용지(P)의 종류에 따라 면적이 결정되며 판형으로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400)는 수나사인 회전이송축(410)과 암나사인 너트(420)로 구성되며 그 사이로 강구가 구르도록 삽입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 즉, 회전이송축(410)의 외주면 및 너트(420)의 내주면은 스크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이송축(410)의 회전 운동은 너트(420) 및 너트(420)와 결합된 받침대(300)의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화될 수 있다.
회전이송축(410)의 상측 말단에는 받침대(300)의 승강 높이를 측정하는 센서휠(6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서휠(610)은 회전이송축(410)에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전이송축(4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센서휠(610)에는 카운트 필름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거나 타공부위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운트 필름 및/또는 타공부위는 센서휠(610)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의 기판에는 센서휠(610)의 회전을 센싱하는 회전 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센서는 상기 카운트 필름 및/또는 타공부위로부터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센서휠(610)의 회전수, 즉 회전이송축(410)의 회전수를 카운팅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받침대(300)의 승강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이송축(410)의 수나사 피치를 사전에 제어부(600)에 입력하여 회전이송축(410)의 1회전에 따른 너트(420)의 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대(300)의 승강 높이에 따라 받침대(300)의 높이를 파악하여 용지(P)의 잔여 용지량(%)을 손쉽게 산출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받침대(300)의 상단 이동과 하단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미트 스위치(103)가 구비되어 있어 받침대(300)의 상,하단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103)는 잔여 용지량(%)의 산출 시 기준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300)가 하우징(100)의 내측 상단부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103)까지 올라온 경우에서 용지(P)의 잔여 용지량은 0%, 받침대(300)가 하우징(100)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103)까지 내려온 경우에서 용지(P)의 잔여 용지량은 100%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내측 상단부에 구비된 리미트 스위치(103)는 사용자가 장치로부터 용지(P)를 인출한 것을 감지하는 역할과, 인출된 이후 받침대(30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장치 내에 남아있는 용지(P)가 리미트 스위치(103)까지 올라온 경우 받침대(300)의 상승 동작을 정지시키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주요 특징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부호에 대해서도 전술한 구성부호를 동일하게 기재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의 슬라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 사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용지 보관공급장치(A)로부터 용지(P)를 분출하는 양은 인쇄장치로 용지를 공급할 때 이루어지며, 이는 인쇄장치에 따라 항상 일정한 양의 용지(P)가 반복적으로 분출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임의로 용지를 분출할 경우 한 번에 사용하게 될 양보다 많은 양을 분출하게 되어 용지의 잔량이 발생하여 처리가 곤란한 경우가 수시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지 보관공급장치(A)는 용지(P)를 개구부(101)로 일정거리 밀어내어 돌출된 용지(P)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용지(P)를 설정량만큼 정확하게 분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A)는 장치 내에 수납되어 있는 용지(P) 중 일부 양을 하우징(100)의 개구부(101)로 일정량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슬라이딩부(7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부(700)는 본 발명의 구체적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700)의 구조 및 동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라 그 구성 및 배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용지 보관공급장치(A)의 모터(200), 회전이송축(410) 및 가이드부(500) 등에 대한 도시는 도 4에서는 생략되었다.
슬라이딩부(700)는 슬라이딩 바디(710)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710)에 대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720)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710)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720)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디(710)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면만 개방되어 있어 그 내부로 액츄에이터와 같은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슬라이더(720)는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면은 용지(P)를 밀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720)는 슬라이딩 바디(710)의 상면에 얹혀지며 그 전면이 슬라이딩 바디(710)와 면 접촉하며 후방으로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선단 운동이 이루어지는 유압, 공압 실린더, 리니어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솔레노이드 또는 에어 솔레노이드 등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액츄에이터(730)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730)에는 구동풀리(731)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710)에는 종동축(732)에 의해 종동풀리(733)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731)와 종동풀리(733)는 벨트(73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벨트(734)와 슬라이더(720)는 이송부재(7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730)에 의해 구동풀리(731)와 종동풀리(733)는 회전하고, 그 회전은 벨트(734)와 이송부재(735)를 이동시키며 슬라이더(720)는 용지(P)를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축(732)은 슬라이딩 바디(710)의 장변과 평행하게 그 내부에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732)의 종동풀리(733)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 단부에는 제1 가이드 풀리(741)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731)의 반대 단부에는 동일 회전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바디(710)에 축 결합된 제2 가이드 풀리(742)가 설치되고, 상기 제1,2 가이드 풀리(741, 742)는 벨트(74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벨트(743)와 슬라이더(720)는 이송부재(744)에 의해 연결된다.
즉, 슬라이더(720)의 양측 단부를 동시에 동작시켜 슬라이더(720)의 틀어짐을 억제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720)를 구동시켜 용지(P)를 개구부(101)로 일정거리 밀어내어 돌출된 용지(P)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으므로 용지(P)를 설정량 만큼 분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부(700)에 의해 분출되는 용지의 양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더(720)의 전면 면적을 설정함에 따라 용지의 분출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슬라이딩부(700)는 전면 면적이 각기 다른 슬라이더(720)를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사용자의 분출량 설정에 따라 용지(P)에 대한 슬라이딩부(7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지의 분출량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슬라이딩부(700)의 상면을 용지(P)들 중 최상면에 위치한 용지와 동일한 레벨에 위치시킨 채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경우, 슬라이딩부(700)는 슬라이더(720)의 전면 면적만큼의 용지를 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슬라이딩부(700)의 상면을 용지(P)들 중 최상면에 위치한 용지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시킨 채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경우, 슬라이딩부(700)는 용지(P)들 중 최상면에 위치한 용지로부터 슬라이더(720)의 전면 최하단까지의 용지를 분출할 수 있다(즉, 슬라이더(720)의 전면 면적에 대응되는 양보다 적은 양의 용지를 분출).
또 다른 예로, 슬라이딩부(700)의 상면을 용지(P)들 중 최상면에 위치한 용지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시킨 채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경우, 슬라이딩부(700)는 용지(P)들 중 최상면에 위치한 용지로부터 슬라이더(720)의 전면 최하단까지의 용지를 분출할 수 있다(즉, 슬라이더(720)의 전면 면적에 대응되는 양보다 많은 양의 용지를 분출). 이 때, 슬라이딩부(700)의 상면보다 높은 레벨에 위치된 용지들은 슬라이더(720)에 의한 물리적 힘을 받지 않더라도, 용지들간 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더(720)에 의해 힘을 받는 용지들과 함께 분출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용지 보관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라 그 구성 및 배치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는 용지 보관공급장치(A)의 모터(200), 회전이송축(410) 및 가이드부(500) 등에 대한 도시는 도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생략되었다.
본 발명의 용지 보관공급장치(A)는 설치기사나 장치 관리자에 의한 제품의 운전 테스트가 아닌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용지(P)를 추가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받침대(300)의 하강 기능은 허용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용지 보관공급장치(A)는 사용자가 용지(P)를 분출하여 사용하고 나면 자동으로 적재된 용지를 개구부(101)의 높이로 이송하게 된다.
다만, 용지(P)를 분출량이 실제 사용할 양보다 많은 경우, 그 잔량을 다시 장치에 넣지 못하고 방치하면 용지(P)의 상태가 훼손되기 쉽고 주변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용지(P)의 잔량을 설정된 조건에 한하여 장치에 다시 수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재수납 기능의 구현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가 분출된 후 받침대가 상승하고, 받침대의 상승 후 특정 조건 하에서 일회성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지가 분출된 후 받침대는 용지 분출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승하여야 하는 높이(일 예로, 10cm) 중 일부 높이(일 예로, 7cm)만이 상승된 후, 설정된 시간동안 용지 재수납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경우 잔여 높이(일 예로, 3cm)만큼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재수납 기능의 구현은 상술한 예시 외에도 다양한 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승 후 일회성 하강이 수행되는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지(P)가 분출되면 상기 받침대(300)는 상승하며, 상기 받침대(300)는 상승 후 특정 조건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특정 조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일회성 하강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일회성 하강은 사용자가 잔여 용지를 개구부(101) 근처로 접근시키면 센서 등으로 이를 감지(즉, 분출된 용지의 재진입 행위 등을 검출)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일회성 하강은 별다른 조건 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지 보관공급장치(A)는 용지(P)를 분출 후 상승하는 상기 받침대(300)의 상승 높이를 기억하고, 상기 받침대(300)는 기억된 상승 높이 미만으로 하강할 수 있다. 즉, 받침대(300)의 상승 높이를 제어부(600)는 센서휠(610)과 리미트 스위치(103)에 의해 매번 측정하여 산출하고, 그 산출값에 맞춰 상기 받침대(300)는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P)를 분출하고 받침대(300)가 상승한 값이 10cm이고, 받침대(300)는 10cm 미만으로 하강 후 30초간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용지(P) 잔량을 장치로 다시 수납할 수 있다.
다시, 용지(P)를 분출하고 받침대(300)가 상승한 값이 15cm이고, 받침대(300)는 15cm 미만으로 하강 후 30초간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용지(P) 잔량을 장치로 다시 수납할 수 있다.
결국, 용지(P)의 분출량을 매번 측정하고 받침대(300)의 하강 높이를 매번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받침대(300)의 하강 높이는 예를 들면 상승 높이의 백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300)의 설정된 하강 높이는 상승 높이의 10% 내지 80%일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슬라이딩부(700)에 의해 돌출된 용지(P)의 높이는 사전 설정되고, 상기 받침대(300)는 상승 후 사전 설정된 용지(P)의 높이 미만으로 하강할 수 있다. 즉, 받침대(300)의 상승 높이를 매번 산출하지 않고 고정된 값으로 하강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700)에 의해 돌출된 용지가 10cm이고, 상기 받침대(300)는 사전 설정된 5cm만큼 하강 후 30초간 유지될 수 있다. 용지(P)의 잔량은 상술한 받침대(300)의 하강 기간동안 장치 내로 다시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용지(P)가 분출되고, 받침대(300)가 하강하여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는, 받침대(300)가 자동적으로 상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과분출된 용지(P) 잔량을 받침대(300)가 상승하기 이전에 다시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용지 보관공급장치 100 - 하우징
200 - 모터 300 - 받침대
400 - 리드 스크류 500 - 가이드부
600 - 제어부 700 - 슬라이딩부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구동력이 발생하는 모터;
    상측으로 용지가 얹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용지와 함께 승강하는 받침대;
    상기 모터와 받침대를 연결하며 상기 받침대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리드 스크류; 및
    상기 용지 중 일부를 하우징 외부로 일정량 돌출되도록 밀어내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바디와,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대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되,
    상기 액츄에이터는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구동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바디에는 종동축에 의해 종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벨트와 슬라이더는 이송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용지가 분출되면 상기 받침대는 상승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승 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승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용지가 분출되면 상기 받침대는 상승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승 후 설정된 시간 내에 일회성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용지를 분출 후 상승하는 상기 받침대의 상승 높이를 기억하고, 상기 받침대는 기억된 상승 높이 미만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돌출된 용지의 높이는 사전 설정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승 후 사전 설정된 높이 미만으로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용지가 분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받침대는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보관공급장치.
KR1020200063007A 2020-05-26 2020-05-26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KR10234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07A KR102341541B1 (ko) 2020-05-26 2020-05-26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007A KR102341541B1 (ko) 2020-05-26 2020-05-26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28A KR20210146028A (ko) 2021-12-03
KR102341541B1 true KR102341541B1 (ko) 2021-12-20

Family

ID=7886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007A KR102341541B1 (ko) 2020-05-26 2020-05-26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995A (ja) 2000-04-05 2001-10-31 Bdt Buero & Datentechnik Gmbh & Co Kg 記録媒体の用紙の供給装置
JP2008081295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
CN205344146U (zh) * 2015-12-29 2016-06-29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送纸装置、打印装置及自助移动终端
CN208948439U (zh) * 2018-09-21 2019-06-07 浙江沧田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助打印的大容量纸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974U (ja) * 1992-02-21 1993-09-17 日立工機株式会社 用紙供給装置
KR101472036B1 (ko) 2014-04-14 2014-12-10 (주)풀린키 용지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995A (ja) 2000-04-05 2001-10-31 Bdt Buero & Datentechnik Gmbh & Co Kg 記録媒体の用紙の供給装置
JP2008081295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Mita Corp 給紙装置
CN205344146U (zh) * 2015-12-29 2016-06-29 航天信息股份有限公司 送纸装置、打印装置及自助移动终端
CN208948439U (zh) * 2018-09-21 2019-06-07 浙江沧田智能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助打印的大容量纸仓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28A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2619B (zh) 成像设备
JP2009029291A (ja) 用紙補給・搬送補助装置
KR102341541B1 (ko) 용지의 분출 및 재수납이 용이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JP2922390B2 (ja) 平面状の切断された印刷物を連続的に排出する装置
JP2007055693A (ja) 画像形成装置
EP1762523B1 (en) Sheet stacking device
US20070056453A1 (en) Sheet stacking device
US8220389B2 (en) Tray surface cleaning device
US6142462A (en) Horizontal feed table and method
JP5896835B2 (ja) 採血管準備装置
KR102410537B1 (ko) 용지 잔여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US8834049B2 (en) Print system, paper prin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print system
JP5968090B2 (ja) 採血管準備装置
JP2005320158A (ja) パイルの記録媒体のシートをさばく方法および装置
KR102395721B1 (ko) 용지 보관공급장치
JPH09290545A (ja) プリンタ
KR100438095B1 (ko) 메달가공프린터를 이용한 자판기용 메달 자동이송장치
KR102448648B1 (ko) 용지 보관공급장치
CN210257669U (zh) 一种无人值守数码印花定制产品售卖一体化设备
JP2010070354A (ja) プリント装置
CN217599988U (zh) 一种放卷装置
JP3043693B2 (ja) プリンタ装置等に用いられる給紙装置
CN213197687U (zh) 一种切纸机
JP3867943B2 (ja) 排紙仕分け装置
JP2010180038A (ja) 給紙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