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161B1 -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 Google Patents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161B1
KR102341161B1 KR1020170101887A KR20170101887A KR102341161B1 KR 102341161 B1 KR102341161 B1 KR 102341161B1 KR 1020170101887 A KR1020170101887 A KR 1020170101887A KR 20170101887 A KR20170101887 A KR 20170101887A KR 102341161 B1 KR102341161 B1 KR 102341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reg
carbon fiber
epoxy resin
density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087A (ko
Inventor
강재식
정훈희
이재원
김현석
김보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161B1/ko
Priority to CN201810876198.8A priority patent/CN109385042B/zh
Publication of KR2019001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3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carbo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1Epoxy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가벼우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는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이 개시된다. 상기 저밀도 프리프레그는 탄소섬유 베일; 및 상기 탄소 섬유 베일에 함침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의 기지재 역할을 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및 발포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은 상기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제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는 외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Low density prepreg and sandwich composite art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벼우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는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프리프레그(prepreg)는 "Preimpregnated Material"의 약어로서, 기지재 (matrix)를 보강 섬유에 미리 함침시킨 시이트(sheet) 형태의 제품을 의미하며, 복합 재료 성형을 위한 중간 재료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프리프레그는 보강 섬유가 일방향으로 정렬된 형태의 일방향(unidirectional) 프리프레그와 보강 섬유가 직물 형태로 이루어진 직물형(woven) 프리프레그로 구분된다. 통상의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보강 섬유로는 강도와 탄성이 높은 탄소 섬유 등을 이용하고, 기지재로는 에폭시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를 주로 사용한다.
복합재료 성형에 프리프레그가 적용되는 이유를 살펴보면, 보강재(보강 섬유)의 함량과 배열을 제어할 수 있어, 설계한 소재의 물성을 최대한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은 섬유 체적비를 가지는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어,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복합재료 성형공정은, 중간재를 사용하므로 원료의 가격이 높은 편이나, 성형 공정이 깨끗하고 단순하므로,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프리프레그는 주로 시이트 형태를 가지므로, 취급이 쉽고, 성형 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고, 재단 성형의 특성상 가공에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항공, 우주, 자동차, 스포츠, 레저, 토목, 건축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복합재 성형을 위한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인 일방향 또는 직물형 프리프레그는 강성이 우수한 반면, 밀도가 커서 무겁고, 원하는 강성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층의 프리프레그를 적층하여야 하므로, 성형품의 두께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미국특허공개 2015-0174791
특허문헌 2: 국제특허공개 WO 2014-078496
특허문헌 3: 미국특허공개 2009-0185340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우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는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일방향 또는 직물형 프리프레그와 접착성이 우수한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탄소섬유 베일; 및 상기 탄소 섬유 베일에 함침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의 기지재 역할을 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제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는 외면층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은 가벼우면서도 얇은 두께를 가지며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저밀도 프리프레그는 통상적인 일방향 또는 직물형 프리프레그와 접착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10)는 탄소섬유 베일(12, veil) 및 상기 탄소 섬유 베일(12)에 함침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소섬유 베일(12)은 프리프레그(10)의 보강재 역할을 하며, 탄소섬유 필라멘트가 무작위로(randomly) 배열되어 시트 형태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탄소섬유 베일(12)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직경은 6 내지 12 ㎛, 예를 들면 8 내지 10 ㎛이고, 길이는 30 내지 50 mm, 예를 들면 35 내지 45 mm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12)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15 내지 150 g/m2,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g/m2이다. 상기 탄소섬유 베일(12)은 액체 매체에 30 내지 50 mm 길이의 탄소섬유 필라멘트를 분산시키고, 이를 벨트 상에서 웹을 형성하게 한 뒤 건조시켜 시트 형태로 제조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의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필라멘트의 직경, 길이 등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제조된 프리프레그(10)의 강성 또는 균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은 프리프레그(10)의 기지재(matrix) 역할을 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및 발포제(14a)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로는 경화 가능한 통상의 에폭시 수지를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상온에서, 고상, 반고상, 액상 또는 이들의 혼합상으로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액상 에폭시 수지 40 내지 60 중량% 및 고상 에폭시 수지 40 내지 60 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와 반응하여 에폭시 수지가 소정의 점도를 가지도록 경화시키는 화합물로서,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를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시안디아마이드 (dicyandiamide), 디클로로페닐디메틸우레아(dichlorophenyl dimethylure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제(14a)는 에폭시 수지의 열경화 과정에서 발포되어, 프리프레그 내부에 기공(22, 도 2 참조)을 형성하여, 프리프레그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포제(14a)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열팽창성 마이크로스피어 발포제, 구체적으로는 Akzonobel사의 Expancel 920 DU20, Expancel 920 DU4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70 내지 96 중량%, 바람직하게는 79 내지 92 중량%이고, 경화제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중량%이고, 발포제의 함량은 3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이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에폭시 수지의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에폭시 수지의 경화가 불충분하여 시이트 상의 프리프레그가 형성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혼련이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발포제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발포량이 적어, 프리프레그 성형품의 밀도 감소가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저밀도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탄소섬유 베일(12)과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의 중량비(탄소섬유 베일(12) : 에폭시 수지 조성물(14))는 2 : 8 내지 5 : 5, 바람직하게는 3 : 7 내지 4 : 6이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 베일(12)의 함량이 너무 많으면, 프리프레그 끈점임(tacky)이 저하되거나, 적층시 접착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12)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프리프레그 생산시 장력 약화로 생산에 어려움이 있으며, 성형품의 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는, 용액법(Solution process), 필름법 (film process), 파우더 코팅법 (Powder coating process), 혼방사 이용법(Co-mingled yarn process), 직접 용융법(Direct melt process) 등의 통상의 프리프레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이트 형태의 탄소섬유 베일(12)이 감겨져 있는 롤(roll)로부터 탄소섬유 베일(12)이 풀려나오며 공급되며, 공급된 탄소섬유 베일(12)의 양면(상부면 및 하부면) 혹은 단면에,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을 용액 또는 필름 형태로 공급한 다음,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이 함침 또는 적층된 탄소섬유 베일(12)을 가열 및 가압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을 탄소섬유 베일(12)에 용융 함침시킴으로써, 프리프레그(10)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 제조의 중간재로 사용되는 일방향 (unidirectional: UD) 탄소섬유(밀도: 1.8 g/cm3) 또는 탄소섬유 직조물에 에폭시 수지(밀도: 1.2 g/cm3)가 함침된 시이트 형태의 프리프레그는 열경화 후 밀도가 약 1.5 내지 1.6 g/cm3 이다. 이에 비해 탄소섬유 필라멘트가 일정 길이로 잘려져 무작위로 배열되어 있는 탄소섬유 베일(12)에 열경화시 팽창되는 발포제(14a)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14)을 함침시켜 제조한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면, 제조된 성형품의 밀도는 대략 0.7 g/cm3 이하, 예를 들면, 0.3 내지 0.7 g/cm3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는 통상의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에 비해, 밀도가 50% 수준인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은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며, 발포제(14a)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 기공(22)을 포함하는 코어층(20) 및 상기 코어층(20)의 양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는 외면층(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20)의 두께는 통상 0.3 내지 0.7 mm, 바람직하게는 0.60 내지 0.65 mm이고, 상기 외면층(30)의 두께는 통상 0.3 내지 0.7 mm,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25 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은 탄소섬유 베일 프리프레그(저밀도 프리프레그)의 외면에 통상의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를 적층한 후, 열경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은 대략 1.0 g/cm3 이하, 예를 들면, 0.7 내지 1.0 g/cm3의 밀도를 가지며, 플라스틱(열가소성 고분자) 코어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더 얇고, 가벼우며, 강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형성된 코어층(20)은 외면층(30)을 형성하는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코어층(20)과 외면층(30)의 접착을 위하여, 추가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저밀도 프리프레그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코어(core)재로 사용되어,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성형품의 무게 및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경량화 및 슬림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제조한 성형품은, 기존 프리프레그 성형품과 비교하여, 밀도가 낮고, 예를 들면, 1 mm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강화 성형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자제품 하우징 등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성형품 제조
액상 비스페놀 A형(BPA) 에폭시 수지 34 중량% 및 고상 BPA형 에폭시 수지 50 중량%, 경화제 6 중량% 및 발포제 10 중량%를 혼합하여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 65 중량부를 탄소섬유 베일 35 중량부에 함침시켜 저밀도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저밀도 프리프레그의 FAW(fiber aerial weight)는 15 g/m2였고, RC(resin content in 1 square meter of prepreg)는 70 %였다. 제조된 저밀도 프리프레그를 5 플라이(ply) 적층하고, 150 ℃로 예열한 금형에서 5 MPa로 가압하고, 30분간 유지하여, 0.7 g/cm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적층 저밀도 프리프레그의 양면에 일방향 프리프레그 (FAW 75 g/m2, RC 36%) 2 플라이(ply)를 각각 적층하고, 150 ℃로 예열한 금형에서 5 MPa로 가압하고, 30분간 유지하여, 밀도 1.0 g/cm3 이하의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일방향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성형품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일방향 프리프레그(FAW 75 g/m2, RC 36%) 14 플라이(ply)를 적층하고, 150 ℃로 예열한 금형에서 5 MPa로 가압하고, 30분간 유지하여,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참고예 1]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밀도
발포제 10 중량%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150 ℃ 오븐에서 30분간 유지하여 경화시켰다. 경화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밀도는 1.20 g/cm3 이었다.
[참고예 2] 발포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밀도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150 ℃ 오븐에서 30분간 유지하여 경화시켰다. 경화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밀도는 0.43 g/cm3 이었다.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제조한 성형품의 두께 및 밀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형품 두께
(mm)
밀도(g/cm3) 굴곡강성
(GPa)
비교예 일방향 프리프레그
(FAW 75g/m2, RC 36%, 14 ply)
0.98 1.60 113
실시예 1 저밀도 프리프레그
(FAW 15g/m2, RC 70% 5 ply)
0.43 0.70 6.89
실시예 2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0˚/90 ˚/core/90 ˚/0˚)
일방향 프리프레그
(FAW 75g/m2, RC 36%, 4 ply)
저밀도 프리프레그
(FAW 15g/m2, RC 70%, 5 ply)
0.84 0.95 53.3
참고예 1 발포제를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1.20
참고예 2 발포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0.4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제조된 성형품은 밀도가 낮으면서도, 더 얇고, 가벼우며, 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탄소섬유 베일; 및
    상기 탄소 섬유 베일에 함침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의 기지재 역할을 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섬유 베일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직경은 6 내지 12 ㎛이고, 길이는 30 내지 50 mm 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의 단위 면적 당 무게는 15 내지 30 g/m2 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은 프리프레그(10)의 보강재 역할을 하며, 탄소섬유 필라멘트를 무작위로 분산시켜 시트 형태로 제조한 것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의 두께는 10 내지 30 ㎛인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열팽창성 마이크로스피어 발포제인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70 내지 96 중량%이고, 경화제의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이고, 발포제의 함량은 3 내지 20 중량%인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베일과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중량비는 2 : 8 내지 5 : 5인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제조된 성형품의 밀도는 0.7 g/cm3 이하인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
  7. 탄소섬유 베일; 및 상기 탄소 섬유 베일에 함침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의 기지재 역할을 하는 에폭시 수지, 상기 에폭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섬유 베일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직경은 6 내지 12 ㎛이고, 길이는 30 내지 50 mm 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의 단위 면적당 무게는 15 내지 30 g/m2 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은 프리프레그(10)의 보강재 역할을 하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은 프리프레그(10)의 보강재 역할을 하며, 탄소섬유 필라멘트를 무작위로 분산시켜 시트 형태로 제조한 것이며, 상기 탄소섬유 베일의 두께는 10 내지 30 ㎛인 것인 저밀도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제의 발포에 의해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양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일방향 또는 직물 프리프레그로 형성되는 외면층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은 1.0 g/cm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것인,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KR1020170101887A 2017-08-10 2017-08-10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KR102341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87A KR102341161B1 (ko) 2017-08-10 2017-08-10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CN201810876198.8A CN109385042B (zh) 2017-08-10 2018-08-03 低密度预浸料以及包含其的夹层复合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887A KR102341161B1 (ko) 2017-08-10 2017-08-10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087A KR20190018087A (ko) 2019-02-21
KR102341161B1 true KR102341161B1 (ko) 2021-12-20

Family

ID=6541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887A KR102341161B1 (ko) 2017-08-10 2017-08-10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1161B1 (ko)
CN (1) CN1093850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5755B (zh) * 2019-11-21 2022-06-03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发泡环氧胶膜、芳纶蜂窝夹芯板及其制备方法
CN115785512B (zh) * 2022-11-24 2023-08-25 卡本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三维开孔泡沫结构的碳纤维复合材料及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1670A (ja) * 2013-11-26 2015-06-04 東邦テナックス株式会社 発泡樹脂シート、該発泡樹脂シートを用いる繊維強化熱硬化性樹脂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243B1 (ko) * 1998-12-30 2002-06-20 조민호 프리프레그 및 그 제조방법
GB0402221D0 (en) * 2004-02-02 2004-03-03 L & L Products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posite materials
KR20110039044A (ko) * 2009-10-09 2011-04-15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프리프레그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KR101672722B1 (ko) * 2009-12-29 2016-11-0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제조방법
RU2013126414A (ru) * 2010-11-08 2014-12-20 Торэй Индастриз, Инк. Эпоксидн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армированного волокнами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препрег и армированный волокнами 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TWI621639B (zh) * 2013-01-07 2018-04-21 東麗股份有限公司 環氧樹脂組成物及預浸漬物
JP6389654B2 (ja) * 2014-06-18 2018-09-1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炭素繊維複合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1670A (ja) * 2013-11-26 2015-06-04 東邦テナックス株式会社 発泡樹脂シート、該発泡樹脂シートを用いる繊維強化熱硬化性樹脂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85042A (zh) 2019-02-26
KR20190018087A (ko) 2019-02-21
CN109385042B (zh)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0742B2 (ja) 複合プリプレグ基材の製造方法、積層基材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
EP2495099B1 (en) Fiber-reinforced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70050390A1 (en) Composite Material Including Unidirectional Continuous Fibers and Thermoplastic Resin
KR20080033315A (ko) 등방성의 섬유강화 열가소성 수지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성형판
KR20140127868A (ko) 섬유강화 복합 재료
CN109196026B (zh) 预浸料坯及其制造方法
JP2008088276A (ja) 部分含浸プリプレグとそれを用いた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102341161B1 (ko) 저밀도 프리프레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
KR20140127867A (ko) 섬유강화 복합 재료
KR101672722B1 (ko) 샌드위치 복합 성형품의 제조방법
EP1582553B1 (en) Method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and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lastic
Cheon et al. Improvement of interfacial bonding force between PMI foam and CFRP in PMI foam-cored CFRP sandwich composites
CN108045039B (zh) 一种结构高阻尼碳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5966969B2 (ja) 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
US20190001593A1 (en) Fiber composites with reduc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KR20180079729A (ko) 준등방성 특성을 가지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
EP3585607B1 (en) Fiber composite with reduc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190061662A (ko) 충격 흡수 및 진동 저감을 위한 준이방성 프리프레그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210138027A (ko) 섬유 복합재의 제조 방법
US20230235140A1 (en) Fiber-reinforced resin mold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fiber-reinforced resin molding prepreg, fiber-reinforced molded body and production method of fiber-reinforced molded body and resin sheet, fiber-reinforced sandwich composite, and production method of fiberreinforced molded body
US20220227110A1 (en) Hybrid-type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CN108752929A (zh) 一种玄武岩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25383A (ko) 경량 프리프레그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43621A (ja) 樹脂組成物、強化繊維基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繊維強化複合材料の製造方法
Perepelkin Polymer Fibre Composites, Basic Types, Principles of Manufacture, and Properties. Part 2. Fabrication and Properties of Polymer Composit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