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957B1 - 리밋 스위치 - Google Patents

리밋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957B1
KR102340957B1 KR1020207004821A KR20207004821A KR102340957B1 KR 102340957 B1 KR102340957 B1 KR 102340957B1 KR 1020207004821 A KR1020207004821 A KR 1020207004821A KR 20207004821 A KR20207004821 A KR 20207004821A KR 102340957 B1 KR102340957 B1 KR 10234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haft
rotation
shaft portion
projection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007A (ko
Inventor
마나부 타카하시
카즈유키 츠키모리
코우헤이 요시다
히로야스 코메야마
마코토 코마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21/285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having an operating arm actuated by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mounted on an axis converting its rotating movement into a rectilinear switch activat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01H2021/287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with adjustable head, e.g. the actuator head can have different positions in relation to the limit switch itsel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리밋 스위치가, 내부에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본체와, 이 스위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를 구비한다. 조작부가, 회동축부 또는 축받이부의 일방이, 회동축부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를 가지며, 회동축부 또는 축받이부의 타방이, 돌기부에 대해 회동축부 둘레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돌기부의 회동축부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리밋 스위치
본 개시는, 리밋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내조(內槽) 스위치가 수용된 하우징을 구비하는 리밋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리밋 스위치에서는,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내부까지 늘어나 있음과 함께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샤프트와, 샤프트의 하우징의 외부측의 단부에 접속되어 샤프트를 회동 가능한 암을 갖고 있다.
상기 리밋 스위치는, 암에 외력을 가하여 암을 초기 위치로부터 회동시키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샤프트에 접속된 캠(cam)부가 회동하여 내장 스위치를 온 시키는 한편, 암에 가하여져 있던 외력을 해방하면, 암이 초기 위치에 복귀하여 내장 스위치를 오프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5-204223호 공보
상기 리밋 스위치에서는, 암에 상정(想定) 이상의 크기의 외력 가하여진 경우, 캠(cam)부 등의 리밋 스위치를 온 오프 시키기 위한 구동부품이 파손되어, 리밋 스위치가 고장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리밋 스위치의 수리에 수고가 들고, 편리성이 부족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수리하기 쉽고 편리성이 높은 리밋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한 예의 리밋 스위치는,
내부에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접속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까지 늘어나 있음과 함께, 그 연재 방향 둘레로 회동 가능한 회동축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축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회동축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조작 레버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의 일방이,
상기 회동축부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의 타방이,
상기 돌기부에 대해 상기 회동축부 둘레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기 회동축부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갖는다.
상기 리밋 스위치에 의하면, 스위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를 가지며, 이 조작부가, 회동축부 또는 축받이부의 일방이, 회동축부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를 가지며, 회동축부 또는 축받이부의 타방이, 돌기부에 대해 회동축부 둘레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돌기부의 회동축부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갖고 있다. 즉, 상기 리밋 스위치는, 회동축부 및 축받이부에 있어서, 회동축부의 회동을 규제함에 의해, 조작 레버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에 그 회동 방향부터 상정(想定) 이상의 크기의 외력이 가하여졌다고 하여도,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구동부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부를 교환할 뿐으로 리밋 스위치를 수리할 수 있다. 즉, 수리하기 쉽고 편리성이 높은 리밋 스위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리밋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밋 스위치의 조작 레버를 제거한 상태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리밋 스위치의 하우징 및 조작 레버를 제거한 상태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리밋 스위치의 제1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1의 리밋 스위치의 제2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리밋 스위치의 제3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 2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이하, 본 개시의 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응하여 특정한 방향 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면, 「상」, 「하」, 「우」, 「좌」를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그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본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 그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반드시 일치하고는 있지 않다.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의 리밋 스위치(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접점 기구부(도시 생략)를 갖는 스위치 본체(2)와, 이 스위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3)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본체(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中空)의 개략 직방체형상을 가지며, 그 긴변 방향으로 서로 대하는 측면의 일방(즉, 도 1의 상측의 면)에, 조작부(3)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3)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내부까지 늘어나면서 그 연재 방향 둘레로 회동 가능한 회동축부(20)와, 하우징(10)에 마련되고 회동축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30)(도 3 참조)와, 하우징(10)의 외부에서 회동축부(20)에 접속된 조작 레버(40)를 갖고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2)에 접속된 중공으로 개략 입방체형상의 하우징 본체(11)와, 이 하우징 본체(11)의 한 면에 마련된 주벽부(周壁部)(12)를 갖고 있다. 하우징 본체(11)에는, 축받이부(30)가 마련되고, 이 축받이부(30)에 하우징 본체(11)의 외부로부터 하우징 본체(11)의 내부까지 늘어난 회동축부(2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주벽부(12)는, 한 예로서 개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외부에서 축받이부(30)를 회동축부(20) 둘레로 둘러싸고 있다.
회동축부(2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원주형상을 가지며, 그 연재 방향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20)는, 회동축부(20)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21)와,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교차(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고 돌기부(21)를 수용 유지하는 오목부(22)를 갖고 있다. 이 돌기부(21)는, 회동축부(20)에 대해 별도 부재로 구성되고, 그 일부가 오목부(22)에 압입되어 수용 지지되어 있다. 돌기부(21) 및 오목부(22)의 각각은,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후술하는 봉지부(13)보다도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의 가까이에서, 돌기부(21)가 후술하는 축받이부(30)의 회동 규제부(31)에 회동축부(20)에 대한 둘레 방향에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축받이부(30)의 회동 규제부(31)에 의해, 돌기부(21)의 회동축부(20) 둘레의 회동이 규제되어, 회동축부(20)의 회동 범위가 획정(劃定)되어 있다.
축받이부(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에 마련되고,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로부터 먼 쪽의 단부가 주벽부(1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축받이부(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개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 회동 규제부(31)가 마련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3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20)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는 노치(切欠)로 구성되고, 회동축부(20)에 대한 둘레 방향의 제1 단부(32) 및 제2 단부(33)가, 회동축부(20)의 돌기부(21)에 접촉하여, 회동축부(20)의 돌기부(21)의 회동축부(20)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주벽부(12) 내이면서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축받이부(30)보다도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는, 봉지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봉지부(13)는, 예를 들면, 오일 실로 구성되고,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를 봉지하고 있다.
조작 레버(4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외부에 배치되고, 회동축부(20)에 교차(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조작 레버(40)의 그 연재 방향의 일단부는, 회동축부(20)에 접속되어, 조작 레버(40)의 회동과 함께 회동축부(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의 연재 방향의 타단부에는, 회동축부(20)에 개략 평행한 회동축(L)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41)가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는,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띄워서 배치된 중간의 복귀 위치(P1)와, 양단의 제1 동작 위치(P2) 및 제2 동작 위치(P2)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밋 스위치(1)에서는, 복귀 위치(P1), 제1 동작 위치(P2) 및 제2 동작 위치(P3)는, 회동축부(20) 둘레의 둘레 방향에서 상호 약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조작 레버(40)의 연재 방향에 늘어나는 중심선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는,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복귀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조작 레버(40)는, 회동축부(20)로부터 스위치 본체(2)의 긴변 방향을 따라서 스위치 본체(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또한,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위치 본체(2) 내의 접점 기구부는 오프로 되어 있다.
한편, 조작 레버(40)에 회동축(L)에 대한 둘레 방향의 외력을 가하면, 조작 레버(40)가, 회동축부(20)와 함께,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 또는 제2 동작 위치(P3)로 회동한다. 이 조작 레버(40)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부(20)에 접속된 후술하는 제1 캠부(61) 및 제2 캠부(61)가 회동하고, 스위치 본체(2) 내의 접점 기구부를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즉, 조작 레버(40)는, 회동축부(20)를 회동시켜서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밋 스위치(1)에서는, 조작 레버(40)가 제1 동작 위치(P2)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회동축부(20)의 돌기부(21)는, 축받이부(30)의 회동 규제부(31)의 회동축부(20)에 대한 둘레 방향의 제1 단부(32)에 접촉하는 한편, 조작 레버(40)가 제2 동작 위치(P3)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회동축부(20)의 돌기부(21)는, 축받이부(30)의 회동 규제부(31)의 회동축부(20)에 대한 둘레 방향의 제2 단부(33)에 접촉한다.
또한, 조작부(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 지지부(50)를 갖고 있다. 이 회동축 지지부(50)는, 주벽부(12) 내이면서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축받이부(30)보다도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회동축부(20) 둘레에 마련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회동축 지지부(5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20) 둘레 전둘레에 걸쳐서 배치된 개략 원환형상의 제2의 축받이부(51)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의 축받이부(51)는,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즉, 도 1에 도시하는 회동축(L)에 따라서의 외력(F))이 조작 레버(40)에 가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동축부(20)의 회동을 허용하고,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이 조작 레버(40)에 가하여진 상태에서는, 회동축부(20)에 대한 지름 방향 외측의 단부(52)가 주벽부(12)의 내주면(121)(도 3에 도시한다)에 접촉하여 회동축부(20)를 지지한다.
또한, 조작부(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서 회동축부(20)에 각각 접속된 제1 캠부(61) 및 제2 캠부(62)와,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부(63)를 갖고 있다. 제2 캠부(62)는, 회동축부(20)에 대해 제1 캠부(61)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캠부(61), 제2 캠부(62) 및 탄성부(63)가 접속되어 있는 회동축부(20)는, 그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의 단면(斷面)이 개략 반원호 형상을 가지며, 후술하는 제1 캠부(61) 및 제2 캠부(62)의 계지 돌기부(613, 623)가 계지하는 계지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캠부(6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형상(완전한 원환형상뿐만 아니라, 일부 노치가 마련된 개략 원환형상도 포함한다)으로,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로 회동할 때에는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여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고,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로 회동할 때에는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지 않는 제1 전달부(611)를 갖고 있다. 즉, 제1 전달부(611)는,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로 회동함에 의해 발생하는 회동축부(20)의 회동 운동의 동력을 구동부품에 전달하여,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킨다.
제1 캠부(61)의 개략 중앙에는, 개략 원형상의 관통구멍부(61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부(612)의 내주면에는, 회동축부(20)의 계지면(23)에 계지하는 계지 돌기부(61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계지 돌기부(613)에 의해,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를 향하는 제2 방향(B)으로 회동할 때에는, 제1 캠부(61)가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는 한편,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를 향하는 제1 방향(A)으로 회동할 때에는, 제1 캠부(61)가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지 않고, 제1 캠부(61)에 대한 회동축부(20)의 회동을 허용하고 있다.
제1 전달부(611)에서의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를 향하는 제2 방향(B)의 하류측의 단부에는, 제1 접촉면(61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1 접촉면(614)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 접촉 돌기부(71)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전달부(611)의 회동축부(20)에 대한 제1 접촉면(614)의 반대측에는, 탄성부(63)의 제1 단부(631)를 계지하는 스프링 계지부(615)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캠부(6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환형상(완전한 원환형상뿐만 아니라, 일부 노치가 마련된 개략 원환형상도 포함한다)으로,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로 회동할 때에는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여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고,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로 회동할 때에는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지 않는 제2 전달부(621)를 갖고 있다. 즉, 제2 전달부(621)는,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로 회동함에 의해 발생하는 회동축부(20)의 회동 운동의 동력을 구동부품에 전달하여,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킨다.
제2 캠부(62)의 개략 중앙에는, 개략 원형상의 관통구멍부(622)가 마련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부(622)의 내주면에는, 회동축부(20)의 계지면(23)에 계지하는 계지 돌기부(6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계지 돌기부(623)에 의해,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를 향하는 제1 방향(A)으로 회동할 때에는, 제2 캠부(62)가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는 한편,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를 향하는 제2 방향(B)으로 회동할 때에는, 제2 캠부(62)가 회동축부(20)와 함께 회동하지 않고, 제2 캠부(62)에 대한 회동축부(20)의 회동을 허용하고 있다.
제2 전달부(621)에서의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를 향하는 제1 방향(A)의 하류측의 단부에는, 제2 접촉면(62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2 접촉면(624)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2 접촉 돌기부(7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전달부(621)의 회동축부(20)에 대한 제2 접촉면(624)의 반대측에는, 탄성부(63)의 제2 단부(632)를 계지하는 스프링 계지부(62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밋 스위치(1)에서는, 제1 캠부(61)의 제1 접촉면(614) 및 제2 캠부(62)의 제2 접촉면(624)은,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직교하는 동일한 가상 평면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6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제1 캠부(61)와 제2 캠부(62)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단부(631)가 제1 캠부(61)의 스프링 계지부(615)에 계지되고, 제2 단부(632)가 제2 캠부(62)의 스프링 계지부(625)에 계지된 상태에서, 회동축부(2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탄성부(63)는, 제1 캠부(61) 및 회동축부(20)를 통하여 조작 레버(40)를 제1 동작 위치(P2)로부터 복귀 위치(P1)를 향하여 가세함과 함께, 제2 캠부(62) 및 회동축부(20)를 통하여 조작 레버(40)를 제2 동작 위치(P3)로부터 복귀 위치(P1)를 향하여 가세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3)는,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 각각 마련된 제1 캠 회동 규제부 및 제2 캠 회동 규제부를 갖고 있다.
제1 캠 회동 규제부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캠부(61)의 제1 접촉면(614)과, 하우징 본체(11)에 접속된 제1 접촉 돌기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촉 돌기부(71)는,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서 제1 접촉면(614)을 향하여 늘어나고,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있을 때에 제1 접촉면(614)에 접촉하여,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를 향하는 제1 방향(A)으로의 제1 캠부(61)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캠 회동 규제부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캠부(62)의 제2 접촉면(624)과, 하우징 본체(11)에 접속된 제2 접촉 돌기부(72)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접촉 돌기부(72)는,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에서 제2 접촉면(624)을 향하여 늘어나고,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있을 때에 제2 접촉면(624)에 접촉하여,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2)를 향하는 제2 방향(B)으로 제2 캠부(62)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촉면(614) 및 제2 접촉면(624)의 각각은, 예를 들면, 제1 전달부(611)의 제1 방향 하류측의 단부 및 제2 전달부(621)의 제2 방향 하류측의 단부를 스퀴즈(squeezing) 가공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밋 스위치(1)에서는, 조작부(3)가,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이 조작 레버(40)에 가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우징 본체(11)에 대한 회동축부(20)의 회동을 허용하고,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이 조작 레버(40)에 가하여진 상태에서는 주벽부(12)에 접촉하여 회동축부(20)를 지지하는 회동축 지지부(50)를 갖고 있다. 이 회동축 지지부(50)에 의해,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에 기인하는 회동축부(20)의 변형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고장나기 어려운 리밋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회동축 지지부(50)가, 회동축부(20) 둘레 전둘레에 걸쳐서 배치된 원환형상의 제2의 축받이부(51)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회동축부(20) 둘레의 임의의 위치에서,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에 기인하는 회동축부(20)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밋 스위치(1)에서는, 스위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3)를 가지며, 이 조작부(3)가, 회동축부(20)가, 이 회동축부(20)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21)를 가지며, 축받이부(30)가, 돌기부(21)에 대해 회동축부(20) 둘레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돌기부(21)의 회동축부(20)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31)를 갖고 있다. 즉, 상기 리밋 스위치(1)는, 스위치 본체(2) 또는 조작부(3)의 내부가 아니라, 회동축부(20) 및 축받이부(30)에서 회동축부(20)의 회동을 규제함에 의해, 조작 레버(40)의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40)에 그 회동 방향부터 상정(想定) 이상의 크기의 외력이 가하여졌다고 하여도, 각 캠부(61, 62) 등의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구동부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부를 교환할 뿐으로 리밋 스위치(1)를 수리할 수 있다. 즉, 수리하기 쉽고 편리성이 높은 리밋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가, 하우징 본체(11)의 외부에서 축받이부(30)를 회동축부(20) 둘레로 둘러싸는 통형상의 주벽부(12)와, 주벽부(12) 내이면서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축받이부(30)보다도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를 봉지하는 봉지부(13)를 가지며, 돌기부(21)가,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봉지부(13)보다도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작부(3)의 내부를 봉지하면서, 캠부(61, 62) 등의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구동부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리밋 스위치(1)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회동축부(20)에, 이 회동축부(20)로부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돌기부(21)가 마련되고, 축받이부(30)에, 회동 규제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리하기 쉽고 편리성이 높은 리밋 스위치(1)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21)가, 회동축부(20)에 대해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회동축부(20)가, 그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서 돌기부(21)의 일부를 수용 유지하는 오목부(22)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돌기부(21)를 회동축부(20)보다도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돌기부(2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밋 스위치(1)에서는, 조작부(3)가, 회동축부(20) 및 제1 캠부(61)를 통하여 조작 레버(40)를 제1 동작 위치(P2)로부터 복귀 위치(P1)를 향하여 가세함과 함께, 회동축부(20) 및 제2 캠부(62)를 통하여 조작 레버(40)를 제2 동작 위치(P3)로부터 복귀 위치(P1)를 향하여 가세하는 탄성부(63)와,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2 동작 위치(P3)를 향하는 제1 방향(A)에서의 제1 캠부(61)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캠 회동 규제부(614, 71)와,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를 향하는 제2 방향(B)에서의 제2 캠부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캠 회동 규제부(624, 72)를 갖는다. 탄성부(63), 제1 캠 회동 규제부(614, 71) 및 제2 캠 회동 규제부(624, 72)에 의해, 복귀 위치(P1)에서의 조작 레버(40)의 요동을 저감하여, 조작 레버(40)를 복귀 위치(P1)에서 곧바로 정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레버(40)의 복귀 위치(P1)의 편차를 억제하여, 정확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한 리밋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캠 회동 규제부가, 제1 전달부(611)에서의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로부터 제1 동작 위치(P2)를 향하는 제2 방향(B)의 하류측의 단부에 마련된 제1 접촉면(614)과, 하우징 본체(11)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있을 때에 제1 접촉면(614)에 접촉하여 제1 캠부(61)의 제1 방향(A)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접촉 돌기부(71)를 가지며, 제2 캠 회동 규제부가, 제2 전달부(621)에서의 제1 방향(A)의 하류측의 단부에 마련된 제2 접촉면(624)과, 하우징 본체(11)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 레버(40)가 복귀 위치(P1)에 있을 때에 제2 접촉면(624)에 접촉하여 제2 캠부(62)의 제2 방향(B)으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2 접촉 돌기부(72)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복귀 위치(P1)에서의 조작 레버(40)의 요동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밋 스위치(1)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하지 않고, 조작부(3)가 회동축 지지부(50)를 갖고 있으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동축 지지부(50), 제1 캠 회동 규제부 및 제2 캠 회동 규제부는, 생략하여도 좋다.
회동축 지지부(50)는, 회동축부(20) 둘레 전둘레에 걸쳐서 배치된 개략 원환형상의 제2의 축받이부(51)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부(20)로부터 그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돌출부(53)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돌출부(53)는, 한 예로서, 복수 마련되고, 회동축부(20)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띄워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동축 지지부(50)는,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F)이 조작 레버(40)에 가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회동축부(20)의 회동을 허용하고,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 따라서의 외력이 조작 레버(40)에 가하여진 상태에서는 주벽부(12)에 접촉하여 회동축부(2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고장나기 어려우면서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리밋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돌기부는, 회동축부(20)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받이부(30)의 회동축부(20)에 대향하는 내주면부터 회동축부(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34)라도 좋다. 또한, 도 10의 회동축부(20)에는, 축받이부(30)의 돌기부(34)를 수용 가능하면서 회동축부(20)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나는 홈형상의 회동 규제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부(21)는, 회동축부(20)에 대해 별도 부재로 구성한 경우로 한하지 않고, 회동축부(20)와 같은 부재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캠 회동 규제부 및 제2 캠 회동 규제부의 각각은, 접촉면(614, 624) 및 접촉 돌기부(71, 72)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캠 회동 규제부를 제3 접촉면(616)과 제1 탄성 스토퍼(73)로 구성하고, 제2 캠 회동 규제부를 제4 접촉면(626)과 제2 탄성 스토퍼(74)로 구성하여도 좋다. 제3 접촉면(616) 및 제4 접촉면(626)의 각각은, 회동축부(20)가 복귀 위치(P1)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보아, 제1 전달부(611) 및 제2 전달부(621)의 사이면서 조작 레버(40)의 연재 방향(즉, 도 11의 상향)에서 하우징 본체(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탄성 스토퍼(73) 및 제2 탄성 스토퍼(74)의 각각은, 각각 제3 접촉면(616) 및 제4 접촉면(626)에 접촉하여, 각 캠부(61, 62)를 회동축부(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접촉 돌기부(71) 및 제2 접촉 돌기부(72)의 각각은, 하우징 본체(11)와 동일한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고, 별도 부재(예를 들면, 고무 등의 탄성부재, 셋스크류(set screw) 또는 심(shim))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1 캠 회동 규제부 및 제2 캠 회동 규제부의 각각은, 제1 캠부(61)의 제2 방향(B)으로의 회동, 또는, 제2 캠부(62)의 제1 방향(A)으로의 회동을 규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정확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면서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리밋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주벽부(12)는, 하우징(10)에 대해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별체로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주벽부(12)는, 하우징 본체(11)와 같은 재료로 구성하여도 좋고, 다른 재료로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의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최후로, 본 개시의 여러 가지의 상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예로서, 참조 부호도 첨부하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리밋 스위치(1)는,
내부에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본체(2)와,
상기 스위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3)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3)가,
상기 스위치 본체(2)에 접속된 하우징 본체(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부까지 늘어나 있음과 함께, 그 연재 방향 둘레로 회동 가능한 회동축부(2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30)와,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축부(20)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회동축부(20)를 회동시켜서 상기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조작 레버(40)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20) 또는 상기 축받이부(30)의 일방이,
상기 회동축부(20)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21, 34)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20) 또는 상기 축받이부(30)의 타방이,
상기 돌기부(21, 34)에 대해 상기 회동축부(20) 둘레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21, 34)의 상기 회동축부(20)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31, 24)를 갖는다.
제1 양태의 리밋 스위치(1)에 의하면, 조작 레버(40)에 그 회동 방향부터 상정(想定) 이상의 크기의 외력이 가하여졌다고 하여도, 캠부(61, 62) 등의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구동부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부를 교환할 뿐으로 리밋 스위치(1)를 수리할 수 있다. 즉, 수리하기 쉽고 편리성이 높은 리밋 스위치(1)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리밋 스위치(1)는,
상기 조작부(3)가,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외부에서 상기 축받이부(30)를 상기 회동축부(20) 둘레로 둘러싸는 통형상의 주벽부(12)와,
상기 주벽부(12) 내이면서 상기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상기 축받이부(30)보다도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부를 봉지하는 봉지부(13)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21, 34)가, 상기 회동축부(20)의 연재 방향에서 상기 봉지부(13)보다도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내부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양태의 리밋 스위치(1)에 의하면, 조작부(3)의 내부를 봉지하면서, 캠부(61, 62) 등의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구동부품의 파손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리밋 스위치(1)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리밋 스위치(1)는,
상기 회동축부(20)에, 상기 회동축부(20)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상기 돌기부(21)가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부(30)에, 상기 회동 규제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제3 양태의 리밋 스위치(1)에 의하면, 수리하기 쉽고 편리성이 높은 리밋 스위치(1)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리밋 스위치(1)는,
상기 돌기부(21)가, 상기 회동축부(20)에 대해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부(20)가, 그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서 상기 돌기부(21)의 일부를 수용 유지하는 오목부(22)를 갖고 있다.
제4 양태의 리밋 스위치(1)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돌기부(21)를 회동축부(20)보다도 경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돌기부(2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 중의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례를 적절히 조합시킴에 의해, 각각이 갖는 효과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례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례와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례의 중의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이 숙련된 사람들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속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리밋 스위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조립 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1 : 리밋 스위치
2 : 스위치 본체
3 : 조작부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
12 : 주벽부
121 : 내주면
13 : 봉지부
20 : 회동축부
21 : 돌기부
22 : 오목부
23 : 계지면
24 : 회동 규제부
30 : 축받이부
31 : 회동 규제부
32 : 제1 단부
33 : 제2 단부
34 : 돌기부
40 : 조작 레버
41 : 롤러
50 : 회동축 지지부
51 : 제2의 축받이부
52 : 단부
53 : 돌출부
61 : 제1 캠부
611 : 제1 전달부
612 : 관통구멍부
613 : 계지 돌기부
614 : 제1 접촉면
615 : 스프링 계지부
616 : 제3 접촉면
62 : 제2 캠부
621 : 제2 전달부
622 : 관통구멍부
623 : 계지 돌기부
624 : 제2 접촉면
625 : 스프링 계지부
626 : 제4 접촉면
63 : 탄성부
631 : 제1 단부
632 : 제2 단부
71 : 제1 접촉 돌기부
72 : 제2 접촉 돌기부
73 : 제1 탄성 스토퍼
74 : 제2 탄성 스토퍼
1 : 복귀 위치
P2 : 제1 동작 위치
P3 : 제2 동작 위치
A : 제1 방향
B : 제2 방향
L : 회동축

Claims (4)

  1. 내부에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접속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까지 늘어나 있음과 함께, 그 연재 방향 둘레로 회동 가능한 회동축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축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회동축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조작 레버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의 일방이,
    상기 회동축부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의 타방이,
    상기 돌기부에 대해 상기 회동축부 둘레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기 회동축부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회동축부에, 상기 회동축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늘어나는 상기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받이부에, 상기 회동 규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밋 스위치.
  2. 내부에 접점 기구부를 갖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스위치 본체에 접속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까지 늘어나 있음과 함께, 그 연재 방향 둘레로 회동 가능한 회동축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회동축부에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회동축부를 회동시켜서 상기 접점 기구부를 온 오프 시키는 조작 레버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의 일방이,
    상기 회동축부에 대한 지름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축부 또는 상기 축받이부의 타방이,
    상기 돌기부에 대해 상기 회동축부 둘레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돌기부의 상기 회동축부 둘레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회동축부에 대해 별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부가, 그 연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늘어나서 상기 돌기부의 일부를 수용 유지하는 오목부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밋 스위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7004821A 2018-03-14 2019-03-06 리밋 스위치 KR102340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6938 2018-03-14
JP2018046938A JP6866862B2 (ja) 2018-03-14 2018-03-14 リミットスイッチ
PCT/JP2019/008737 WO2019176664A1 (ja) 2018-03-14 2019-03-06 リミット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007A KR20200027007A (ko) 2020-03-11
KR102340957B1 true KR102340957B1 (ko) 2021-12-20

Family

ID=6790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821A KR102340957B1 (ko) 2018-03-14 2019-03-06 리밋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56295B2 (ko)
JP (1) JP6866862B2 (ko)
KR (1) KR102340957B1 (ko)
CN (1) CN111066111B (ko)
DE (1) DE112019001279T5 (ko)
TW (1) TWI697929B (ko)
WO (1) WO201917666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826B2 (ja) * 1998-02-24 2007-08-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ミットスイッチ
JP2013145676A (ja) * 2012-01-13 2013-07-25 Omron Corp リミット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34814A5 (ko) * 1971-04-21 1972-12-08 Telemecanique Electrique
CN1063577A (zh) * 1991-01-20 1992-08-12 李国宁 限位开关
JPH11176290A (ja) * 1997-12-11 1999-07-02 Omron Corp リミットスイッチおよびその動作点調整方法
CN100573762C (zh) * 2006-01-27 2009-12-23 上海拜骋电器有限公司 开关组件
CN202189713U (zh) * 2011-01-24 2012-04-11 黄文敏 一种刀开关旋转操作机构
CN102956393A (zh) * 2011-08-24 2013-03-06 欧姆龙株式会社 开关装置
JP5842527B2 (ja) * 2011-10-14 2016-01-13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6080359B2 (ja) * 2012-01-13 2017-02-15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ミットスイッチ
ITMI20130061U1 (it) * 2013-02-18 2014-08-19 Elesa Spa Cerniera avente un interruttore di sicurezza incorporato.
JP6316075B2 (ja) * 2014-04-15 2018-04-25 アズビル株式会社 リミット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826B2 (ja) * 1998-02-24 2007-08-15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ミットスイッチ
JP2013145676A (ja) * 2012-01-13 2013-07-25 Omron Corp リミット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9001279T5 (de) 2020-11-26
US20210027958A1 (en) 2021-01-28
WO2019176664A1 (ja) 2019-09-19
JP6866862B2 (ja) 2021-04-28
KR20200027007A (ko) 2020-03-11
JP2019160629A (ja) 2019-09-19
TWI697929B (zh) 2020-07-01
CN111066111A (zh) 2020-04-24
CN111066111B (zh) 2022-02-08
US11056295B2 (en) 2021-07-06
TW201939557A (zh)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956B1 (ko) 리밋 스위치
TWI529043B (zh) 操縱裝置
KR102280350B1 (ko) 리밋 스위치
KR102340957B1 (ko) 리밋 스위치
KR102255613B1 (ko) 누름버튼 스위치
JP2008069826A (ja) ボール弁
US20240105406A1 (en) Limit switch
JP2018062305A (ja) 車両用保持装置
JP2020112259A (ja) 開閉弁
JP2013185661A (ja) トグル弁
US20230078664A1 (en) Limit switch
JP2007154496A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6209544A (ja) 操作レバーとセンサー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