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236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236B1
KR102340236B1 KR1020200024365A KR20200024365A KR102340236B1 KR 102340236 B1 KR102340236 B1 KR 102340236B1 KR 1020200024365 A KR1020200024365 A KR 1020200024365A KR 20200024365 A KR20200024365 A KR 20200024365A KR 102340236 B1 KR102340236 B1 KR 10234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ct
treatment apparatus
drum
soundproof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284A (ko
Inventor
신태진
김진수
장철민
서성진
장진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4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236B1/ko
Priority to US17/031,251 priority patent/US11674259B2/en
Priority to DE102020215797.9A priority patent/DE102020215797B4/de
Priority to CN202120283929.5U priority patent/CN215251808U/zh
Publication of KR20210109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측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고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덕트; 상기 드럼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팬;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온도를 높이는 압축기; 상기 열교환부에서 제거된 수분을 저장하는 집수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는 무게 증가 및 재료 추가로 인한 비용 증가를 최소화 하면서 하부 베이스를 통한 소음을 차폐하여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모두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드럼에서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이동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건조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드럼에 위치하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품의 개수가 적어 중량이 가벼워 하부에 지지구조의 강성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를 금속재질을 이용하는 경우, 압축기부의 공냉이 불가능하고, 건조기 내부의 다습한 환경에서 부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실장하는 경우도 있어, 상대적인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베이스는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실장되는 압축기, 열교환기, 팬 등의 주요 부품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베이스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금속재질의 베이스에 비해 차음 성능이 약해 소음이 바닥면을 통해 누설될 수 있고, 누설된 소음이 거치면에 반사되어 방사될 수 있다.
미국 공개공보2019-0101330 (2017년 7월 2일 공개)에 공개된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는 상판과 하판의 두겹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전체 하부면적을 두 겹의 금속재질로 구성하여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분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압축기부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국 공개공보제2019-010133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의 하부 베이스 구조를 개선하여 소음을 차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측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고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덕트; 상기 드럼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팬;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온도를 높이는 압축기; 상기 열교환부에서 제거된 수분을 저장하는 집수부; 및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부의 하부에 부착되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방음판과 중첩된 제1 영역과 상기 방음판과 중첩되지 않고 하부가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이 발생하는 상기 팬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방음판을 통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위치하여 소음이 심한 부품을 배면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제거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배수펌프에 대응되는 부분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방음판은 상기 배수펌프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음판은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돌출된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면과 타면 방향은 상면 또는 하면이 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비드는 상기 방음판의 외각으로부터 균일한 거리를 유지하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방음판의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상면에 부착된 흡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웹슐러(Websuler) 중 하나를 포함하며 섬유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조직은 다공성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4mm 이상 10mm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흡음판 사이의 이격공간을 채울 수 있다.
상기 방음판은 0.4mm이상 1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드를 통해 강성을 보강할 수 있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방음판은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무게 증가 및 재료 추가로 인한 비용 증가를 최소화 하면서 하부 베이스를 통한 소음을 차폐하여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판은 기존의 베이스 구조 및 내부 부품의 배치 변화를 최소로 하며 소음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교환부 및 세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구비된 부품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부 및 방음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방음판의 일면 및 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3),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덕트(3)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덕트(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구동부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 상기 풀리(2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열교환부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할 수 있다.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한다.
상기 팬(49)은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에서 상기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도 3은 상기 집수부(37)가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상기 집수부(371, 372)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3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1, 43)가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3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372)는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1, 43)가 접촉하는 지지판(373), 상기 지지판(373)과 상기 집수바디(3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5), 및 상기 지지판(37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37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376)은 상기 지지판(37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4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4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376)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을 따라 상기 발열부(4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발열부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여과부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구비된 제1여과부(5) 및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제2여과부(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8)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제4필터, 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113, 도 1참고)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도 1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필터장착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세척부(6), 및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531), 제2필터(551), 제3필터(571), 및 흡열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덕트(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펌프(61)만으로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배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7)는 배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배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배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분사부(65)는 상기 연결덕트(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이 연결되는 덕트 관통홀(651), 상기 덕트 관통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53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3), 상기 제1가이드(653)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5)는 물이 상기 제1필터(531)를 거쳐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3)와 상기 제2가이드(65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3)에는 가이드 관통홀(6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은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덕트 관통홀(651)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을 통해 상기 흡열부(41)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의 전방영역은 상기 흡열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2), 상기 저장바디(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장바디(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장바디(72)가 삽입되는 배수부 장착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바디(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패널(71)은 상기 배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71)은 상기 저장바디(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배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3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95),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제1전극(951) 및 제2전극(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951, 953)이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531)와 상기 제2필터(55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100)의 하부에 구비된 부품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드럼(2) 이외에 다른 부품(열교환부(4), 압축기(45), 팬(49), 모터(23) 등) 들은 소정의 무게가 있어 하부에 위치한다.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2)은 전면의 투입구(111)를 통해 의류가 투입되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드럼(2)의 전방과 후방에 연결되는 덕트(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며, 덕트(3) 내부에 위치하는 열교환부(4)를 통해 수분제거 및 가열되어 다시 드럼(2)에 공급된다.
열교환부(4)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5)는 부피가 크므로 덕트(3) 내부에 위치시키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3) 외부에 배치할 수 있다. 드럼(2) 내부의 공기가 덕트(3)로 유입되고 다시 덕트(3)에서 건조된 고온의 공기는 다시 드럼(2)으로 이동한다. 덕트(3)와 드럼(2) 사이의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팬(49)은 덕트(3)의 입구 또는 출구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팬(49)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이 가능한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않도록 의류처리장치(100)의 배면방향에 팬(49)을 배치할 수 있다. 압축기(45)도 모터(23)를 이용하여 강제로 냉매를 압축하므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압축기(45) 역시 배면 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소음이 발생하는 부품을 배면 방향으로 치우쳐서 배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조기능을 하는 의류처리장치(100)는 부품의 개수가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가벼워 하부의 베이스부(14)는 플라스틱과 같은 사출물로 구성할 수 있다. 사출물을 이용하더라도 강성을 높이기 위해 리브 구조나 허니컴 구조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리브 구조나 허니컴 구조를 적용하면 적은 재료를 이용하여 가볍고 강성이 높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내부 부품이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폐하기에는 플라스틱 사출물은 밀도가 낮아 소리가 새어 나오는 문제가 있다. 소음을 차폐하기 위해 밀도가 높은 금속소재의 베이스부(14)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의류처리장치(100) 내부는 고온 다습하므로 금속재질의 배이스부는 쉽게 부식되고, 압축기(45)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소음을 차폐할 수 있는 구조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각 부품을 감싸는 구조물을 부가할 수도 있으나, 내부공간을 더 확보해야하고, 역시 고온다습한 환경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에 의류처리장치(100)의 베이스부(14)의 하부에 방음판(15)을 추가하여 하부로 새어 나오는 소음을 차폐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베이스부(14) 및 방음판(15)을 도시한 도면으로 베이스부(14)의 하부에 방음판(15)을 더 추가할 수 있다. 방음판(15)은 금속과 같이 밀도가 높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음판(15)은 사출물인 베이스부(14)를 통해 내부의 고온다습한 환경과 분리될 수 있어 방음판(15)이 금속재질을 포함하더라도 부식 우려가 없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4)의 일부만 차폐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무게가 증가하지 않으며, 재료비 증가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베이스부(14)의 제1 영역의 하부는 방음판(15)으로 커버하고 제2 영역은 노출시킬 수 있다. 압축기(45)나 팬(49)과 같이 동작시 소음이 발생하는 부재가 배치되는 제1 영역에 방음판(15)을 배치하여 소음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베이스부(14)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42)가 돌출되어 있어, 베이스부(14)가 직접 바닥과 닿지 않는다. 방음판(15)이 직접 지지면에 닿지 않도록 방음판(15)은 지지다리(142)의 높이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100)의 방음판(15)의 하면 및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음판(15)은 제1 영역을 커버하도록 제1 영역의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할 수 있고, 집수부(37)에 모인 물을 덕트(3)에서 제거하기 위한 배수펌프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덕트(3)보다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4)의 배수펌프에 대응되는 부분(141)은 돌출될 수 있고, 배수펌프가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펌프에 대응되는 부분(141)에 개구부(153)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들은 공기순환을 위해 연속적으로 동작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부품 중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경우가 있으며 해당부분의 방음판(15)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15)에 비드(152)를 형성할 수 있다. 방음판(15)의 강성을 높이고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해 두껍게 형성하면 좋으나 무게가 증가하고 재료비 증가의 원인이 되므로 방음판(15)을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밀어 돌출시키는 방식으로 비드(152)를 형성할 수 있다.
비드(152)는 연속적인 폐곡선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비드(15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끊어진 형태를 가지는 경우 끊어진 부분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해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수 있다. 비드(152)를 폐곡선으로 구성하면 구조물 전체적으로 강성을 균등하게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방음판(15) 전체의 균일한 강성을 위해 비드(152)의 폐곡선은 방음판(15)의 외곽선을 따라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연장할 수 있다.
비드(1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를 배치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생략한 경우 생략된 부분을 외곽선으로 보아 꺾어진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방음판(15)에 비드(152)를 형성한 경우, 0.4mm이상 1mm 이하의 두께로도 충분히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방음판(15)의 두께가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무게증가 및 비용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방음판(15)은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나, 반사되어 소리가 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방음판(15)에 닿은 소리가 반사되어 새어나오지 않도록 방음판(15)의 상면에 흡음재(155)를 더 부가할 수 있다.
흡음재(155)는 다공성 구조의 탄성을 가진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얇은 실 형태로 구성하여 패브릭 형태로 구성한 섬유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155)는 소정의 탄성이 필요하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웹슐러(Websuler)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155)는 베이스부(14)와 방음판(15)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두꺼울수록 흠음효과가 우수하다. 다만, 베이스부(14)와 방음판(15) 사이 이격공간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없으므로 흡음재(155)는 4mm 이상 10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무게 증가 및 재료 추가로 인한 비용 증가를 최소화 하면서 하부 베이스를 통한 소음을 차폐하여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음방지를 위한 방음판(15)을 추가하기 위해 기존의 베이스 구조 및 내부 부품의 배치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00)에도 쉽게 부가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1: 투입구 112: 도어
113: 필터장착홀 114: 장착홀 도어
117: 컨트롤패널 14: 베이스부
15: 방음판 152: 비드
155: 흡음재 16: 락 체결부
17: 제1지지부 171: 제1고정바디
173: 드럼 투입구 175: 제1지지바디
177: 연결바디 178: 공기 배출구
19: 제2지지부 191: 제2고정바디
198: 공기 유입구 195: 제2지지바디
2: 드럼 21: 드럼 바디
23: 모터 25: 풀리
27: 벨트 3: 덕트
31: 배기덕트 33: 공급덕트
34: 덕트 관통홀 35: 연결덕트
37: 집수부 371: 집수바디
372: 열교환기 지지부 373: 지지판
375: 스페이서 376: 지지판 관통홀
4: 열교환부 41: 흡열부
43: 발열부 45: 압축기
47: 압력조절기 48: 냉매관
49: 팬 5: 제1여과부
513: 락(lock) 531: 제1필터
551: 제2필터 57: 제1측면
571: 제3필터 58: 제2측면
8: 제2여과부 81: 프레임
83: 제4필터 6: 세척부
61: 펌프 611: 제1연결관
613: 제2연결관 63: 유로전환부
631: 분사부 공급관 633: 배수부 공급관
65: 분사부 651: 덕트 관통홀
653: 제1가이드 654: 가이드 관통홀
655: 제2가이드 7: 배수부
71: 패널 711: 홈
72: 저장바디 721: 연통홀
722: 유입구 722a: 노즐
91: 집수부 수위감지부 95: 건조도 감지부
951: 제1전극 953: 제2전극
96: 온도감지부

Claims (13)

  1. 일측에 투입구를 포함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덕트;
    상기 드럼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팬;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온도를 높이는 압축기;
    상기 열교환부에서 제거된 수분을 저장하는 집수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제1 영역에 부착되는 방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제거된 수분을 상기 열교환부로부터 제거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배수펌프에 대응되는 부분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방음판은 상기 배수펌프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방음판과 중첩되지 않고 하부가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 및 상기 압축기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은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돌출된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폐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상기 방음판의 외각으로부터 균일한 거리를 유지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의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상면에 부착된 흡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웹슐러(Websuler) 중 하나를 포함하며 섬유조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4mm 이상 10mm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은 0.4mm이상 1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은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24365A 2020-02-27 2020-02-27 의류처리장치 KR10234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65A KR102340236B1 (ko) 2020-02-27 2020-02-27 의류처리장치
US17/031,251 US11674259B2 (en) 2020-02-27 2020-09-24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102020215797.9A DE102020215797B4 (de) 2020-02-27 2020-12-14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CN202120283929.5U CN215251808U (zh) 2020-02-27 2021-02-01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365A KR102340236B1 (ko) 2020-02-27 2020-02-27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284A KR20210109284A (ko) 2021-09-06
KR102340236B1 true KR102340236B1 (ko) 2021-12-16

Family

ID=7727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365A KR102340236B1 (ko) 2020-02-27 2020-02-27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74259B2 (ko)
KR (1) KR102340236B1 (ko)
CN (1) CN215251808U (ko)
DE (1) DE102020215797B4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563A (ja) *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2605A (en) 1989-04-14 1990-11-27 Montalvo Guy L Insulation system for clothes dryer apparatus
KR960012446B1 (en) * 1993-07-08 1996-09-20 Miwon Petrochemical Co Ltd Process for biodegradable foaming polystyrene resin particles
KR20000003830U (ko) * 1998-07-29 2000-02-25 윤종용 전자렌지의 조리실의 바닥부 진동 소음 방지 구조
DE102006004349B3 (de) * 2006-01-30 2007-01-25 Miele & Cie. Kg Gehäuse für ein Haushaltgerät mit Lärmdämmung
KR101272552B1 (ko) 2011-07-06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폐 시트의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흡차음재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흡차음재 조성물
CA3004434A1 (en) * 2015-11-06 2017-05-11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Acoustically insulated machine
KR101950694B1 (ko) * 2017-09-06 2019-02-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실내소음 저감을 위한 차벽용 차음판
US10619920B2 (en) 2017-10-02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Two piece base assembly of a dryer
KR20190087004A (ko) * 2018-01-15 201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190128487A (ko) * 2018-05-08 201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306393B1 (ko) 2019-08-12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처리 장치 및 음성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563A (ja) * 2006-12-28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284A (ko) 2021-09-06
CN215251808U (zh) 2021-12-21
US11674259B2 (en) 2023-06-13
DE102020215797B4 (de) 2023-08-10
DE102020215797A1 (de) 2021-09-02
US20210269964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58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US20060075790A1 (en) Washing machine and lint removing apparatus thereof
US20080053166A1 (en) Auxiliary dryer and complex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080058590A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2009010512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0808199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EP4119712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775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4023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28702A (ko) 의류 건조기
CN113322633B (zh) 衣物处理装置
KR20180127097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210128703A (ko) 의류 건조기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498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19835A (ko) 소음저감장치 및 전자장치
RU28050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20100073839A (ko) 의류 처리장치용 스팀 제너레이터
KR20080010921A (ko) 건조기
CN113355894A (zh) 洗涤物烘干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4009574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11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
KR20210111448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