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703A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703A
KR20210128703A KR1020200046684A KR20200046684A KR20210128703A KR 20210128703 A KR20210128703 A KR 20210128703A KR 1020200046684 A KR1020200046684 A KR 1020200046684A KR 20200046684 A KR20200046684 A KR 20200046684A KR 20210128703 A KR20210128703 A KR 2021012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tridge
filter
frame
rear fram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김명종
마티아스 헤르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8703A/ko
Publication of KR2021012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필터 설치부가 형성된 지지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다시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 유로; 필터 설치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외측 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외측 전면 프레임과, 외측 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외측 후면 프레임을 구비하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 외측 필터 카트리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측 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내측 전면 프레임 및 내측 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내측 후면 프레임을 구비하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내측 후면 프레임과 외측 후면 프레임은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내측 전면 프레임과 외측 전면 프레임보다 큰 각도로 경사시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FABRIC DRYER}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를 갖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는 의류가 투입된 드럼 내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의류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의류 건조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식 의류 건조기와,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를 순환시켜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식 의류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 건조기의 경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로부터 린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순환 유로 상에 필터 카트리지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는 의류 건조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용자는 이를 분리하여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 카트리지와 의류 건조기 사이에는 씰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씰링 부재는 순환하는 공기가 필터 카트리지와 의류 건조기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물질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2중 필터구조의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9657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2중 필터구조의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크기가 다른 린트 또는 먼지를 필터링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2중 필터구조의 필터 카트리지의 경우 외측 필터카트리지와 내측 필터카트리지를 구비하며 필터 카트리지의 장착시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장착 후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내측에 내측 필터 카트리지를 장착하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경우 필터 카트리지가 외측 필터 카트리지와 내측 필터 카트리지로 구비되며, 외측 필터 카트리지와 내측 필터 카트리지의 각 필터의 경우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으로 작용되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개선하여 필터 카트리지에서 발생하는 유로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의류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며,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필터 설치부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다시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 유로; 상기 필터 설치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외측 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외측 전면 프레임과, 외측 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외측 후면 프레임을 구비하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측 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내측 전면 프레임 및 내측 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내측 후면 프레임을 구비하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은 상기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보다 큰 각도로 경사시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은 각 하부가 상기 필터 설치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 설치부는 상기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장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전방과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후방과 상기 연장광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관의 전방부는 상기 필터 설치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의 후방부는 직선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후방과 상기 연장광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전방과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격보다 적어도 2배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은 상기 직선부에 대하여 4~6ㅀ각도로 하부가 상기 연장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은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이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내측 힌지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이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외측 힌지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내측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따르면 필터 카트리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제 1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의 제 1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필터 카트리지와 내측 필터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필터 카트리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간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 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3), 덕트(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의류 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전방패널(11)에는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되는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의류 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의 하부에는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예를 들어 드럼(2), 덕트(3), 열교환부(4) 등)가 지지 및 설치되는 베이스(12)가 구비된다. 베이스(12)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캐비닛(1) 내부에는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지지부(17), 및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지지부(17)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 1고정바디(171), 제 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제 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 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 1지지바디(175), 투입구(111)와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고정바디(171)는 드럼 투입구(173), 연결바디(177) 및 제 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제 1지지바디(175)는 제 1고정바디(171)에서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 투입구(173)는 제 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연결바디(177)는 드럼 투입구(173)에서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디(177)에는 덕트(3)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178)는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덕트(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공기 배출구(178)에는 내에는 필터 카트리지(8)를 장착하기 위한 필터 설치부(178a)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8)는 필터 설치부(178a)에 삽입 설치되어 배출 덕트(5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지지부(19)는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 2고정바디(191), 제 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 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 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2지지부(19)에는 제 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바디(21) 내부를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덕트(3)는 제 1지지부(17)의 공기 배출구(178) 및 제 2지지부(19)의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 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와, 풀리(25)의 원주면과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한편, 제 1지지부(17)에는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롤러(179)가 구비되고, 제 2지지부(19)에는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덕트(3)는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배기덕트(31)와 공급덕트(33)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부(4)는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부(4)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열교환부(4)는 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 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제 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 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한다.
팬(49)은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임펠러(491)는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임펠러(491)가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흡열부(41)는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연결덕트(35)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발열부(43)는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연결덕트(35)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흡열부(41)와 발열부(43)는 연결덕트(35) 내부에 배기덕트(31)에서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냉매관(48)에는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흡열부(41)는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발열부(43)는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의류 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집수부(126)는 후술할 베이스(1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26)는 연결덕트(35)에 결합에 의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2)의 집수부(126)는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연결덕트(35)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챔버(127)를 구비될 수 있다. 흡열부(41)와 발열부(43)가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집수챔버(127)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 지지부(128)는 흡열부(41) 및 발열부(43)와 집수챔버(127)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흡열부(41)와 발열부(43)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128)에는 흡열부의 위치에 대응되어 다수의 지지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 관통홀은 흡열부(41)에서 발생되는 물 또는/및 흡열부(41)를 세척한 물을 집수챔버(127)로 안내할 수 있다.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류 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카트리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8)는 드럼 바디(21)에서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8)는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배출구(178)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여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의 경우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흡열부(41)를 세척하는 세척부(6) 및 집수챔버(127) 내부의 물을 집수챔버(127)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6)는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흡열부(41)에 분사함으로써 흡열부(41)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6)는 덕트(3)에 구비되어 흡열부(41)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펌프(61)는 집수챔버(127)에서 배출되는 물을 제 2연결관(613)을 통해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61)와 집수챔버(127)는 인접하여 위치하여 집수챔버(127)의 물이 이동되거나 별도의 제 1연결관(6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100)가 하나의 펌프(61)만으로 분사부(65) 및 배수부(7)로 집수챔버(127)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의류 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전환부(63)는 제 2연결관(613)을 통해 펌프(61)에 연결되고,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배수부(7)는 배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63)에는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배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장치(100)는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배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배수부(7)는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2), 저장바디(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배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바디(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저장바디(72)는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저장바디(72)가 삽입되는 배수부 장착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저장바디(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패널(71)은 배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널(71)은 저장바디(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유입구(722)는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노즐(722a)은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부 공급관(633)은 노즐(722a)과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배수부(7)는 사용자가 저장바디(72)를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저장바디(72)를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여기서,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이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100)는 집수챔버(127)의 수위를 측정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 수위감지부는 집수챔버(127)에 저장된 물을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하여 집수챔버(127)의 물이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하는 건조도 감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미도시) 및 드럼(2)에서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는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드럼(2), 덕트(3), 열교환부(4), 세척부(6). 배수부(7) 등은 캐비닛(1)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12)에 지지 및 설치되며, 베이스(12)에는 열교환부(4)에서 생성되는 응축수, 세척부(6)에서 흡열부(41)를 세척하는 세척수 등은 집수부(126)의 집수챔버(127)에서 집수되어 펌프(61)에 의해 분사부(65) 또는 배수부(7)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필터 설치부(178a) 및 필터 카트리지(8)의 설치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제 1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의 제 1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부(17)의 연결바디(177) 하부에는 필터 카트리지(8)가 설치되는 필터 설치부(178a)가 형성된다. 필터 설치부(178a)는 필터 카트리지가 안착되는 안착홀(178b)과, 안착홀(178b)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배기덕트(31)와 연결되는 연장관(178c)을 구비한다. 따라서, 필터 설치부(178a)에 설치되는 필터 카트리지(8)는 안착홀(178b)을 통하여 삽입되어 연장관(178c)의 내측에 위치 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카트리지(8)는 안착홀에 삽입되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와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내측에 장착되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를 구비할 수 있다.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와 외측 필터 카트리지(82)는 상호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서, 외측 필터 카트리지(82) 내에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수용된 상태로 제 1지지부(17)의 필터 설치부(178a)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 및 외측 필터 카트리지(82)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기덕트(31)로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상단은 안착홀(178b) 상에 안착되며,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하부는 배기덕트(31)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상면에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821)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필터 카트리지(81)는 개구부(821)를 통해 외측 필터 카트리지(82) 내에 수용되거나, 또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내측 필터 카트리지(81)는 상부에 드럼(2)의 공기가 유입구(811)가 형성되고,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복수개의 필터망(816)들 및 필터망(816)을 고정하기 위한 내측 프레임(8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필터망(816)들은 각 필터 카트리지(8) 상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및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외측 필터 카트리지(82)는 상부에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삽입되는 개구부(821)가 형성되며,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필터망(816)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복수개의 외측 필터망(826) 및 외측 필터망(826)을 고정하기 위한 외측 프레임(8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외측 필터망(826)은 외측 필터 카트리지(82) 상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개수 및 형태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필터망(816)과 외측 필터망(826)은 각기 다른 크기의 린트 및 먼지를 필터링 하도록 구비되며, 외측 필터망(826)은 내측 필터망(816) 보다 더 작은 린트, 먼지 등이 필터링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2)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필터망(816)에서 비교적 큰 린트 및 먼지가 필터링되며,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에서 필터링되지 않는 비교적 작은 린트 및 먼지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필터망(826)에 의해 필터링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8)는 제 1지지부(17)의 필터 장착부(82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카트리지(8)는 제 1지지부(17)의 연결바디(177)에 형성된 필터 설치부(178a)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카트리지(8)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가 필터 설치부(178a)에 먼저 삽입되어 설치되며, 이후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개구부(821)에 삽입됨으로써 필터 카트리지(8)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와,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필터 카트리지와 내측 필터 카트리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내측 필터 카트리지(81)는 상부에 드럼(2)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811)가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면과 후면에 다수의 내측 필터망(816)이 구비되는 내측 프레임(81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프레임(812)은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전면을 형성하고 내측 전면 필터망(816a)을 구비하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후면을 형성하고 내측 후면 필터망(816b)을 구비하는 내측 후면 프레임(815),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의 하부를 연결하여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이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내측 힌지연결부(814)를 구비한다.
여기서, 내측 전면 프레임(813)은 내측 전면 필터망(816a)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는 내측 후면 필터망(816b)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은 내측 힌지연결부(814)를 회동축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내측 필터 카트리지(81)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잔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내측 힌지연결부(814)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측 힌지연결부(814)를 중심으로 내측 전면 프레임(813) 또는 내측 후면 프레임(815)이 회전함으로써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전개 또는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 전면 프레임(813) 또는 내측 후면 프레임(815)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는 공기 유입구(81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811)는 공기 유입구(811)가 형성되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또는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서 외측 전면 프레임(823)(또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 측으로 연장되어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811)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리브(811a)들이 구비될 수 있다. 리브(811a)들은 공기 유입구(811)를 복수개의 작은 영역들로 구분할 수 있다. 리브(811a)들은 동전, 단추 등과 같이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내측 필터 카트리지(8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811)의 상면 일측에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장착되는 방향을 알리기 위한 표식(811b)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식(811b)은 화살표 형태로 이루어지고,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이 드럼(2)의 전방일 수 있다.
한편,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의 결합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소재의 탄력성만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내측 전면 프레임(813)(또는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811)에 중 적어도 하나에는 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측 후면 프레임(815)(또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에 후크에 대응되는 위치로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내측 전면 프레임(813)의 양측에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좌우면 전면을 형성하는 내측 전면 측벽(81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후면 프레임(815)의 양측에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좌우면 후면을 형성하는 내측 후면 측벽(8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의 양측에 형성되는 각 내측 전면 측벽(813a)과 내측 후면 측벽(815a)은 각각 접하여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좌우면을 형성한다.
또한, 내측 전면 측벽(813a)과, 내측 후면 측벽(815a)은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과 함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필터링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내측 필터 카트리지(81)로 유입된 공기 및 필터링된 린트가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좌우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측 필터 카트리지(82)는 상부에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개구부(821)가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면과 후면에 다수의 외측 필터망(826)이 구비되는 외측 프레임(822)을 포함할 수 있다.이러한, 외측 필터 카트리지(82)는 내부 공간이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외부보다 확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필터 카트리지(8)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내측에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삽입됨으로써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필터망(816)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필터망(826)에 의해 공기 중의 린트 등의 이물질이 필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내부 공간은 내측 필터 카트리지(81)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외측 프레임(822)은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전면을 형성하고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구비하는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후면을 형성하고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구비하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하부를 연결하여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이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외측 힌지연결부(824)를 구비한다.
한편, 외측 전면 프레임(823)의 양측에는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좌우면 전면을 형성하는 외측 전면 측벽(8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양측에는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좌우면 후면을 형성하는 외측 후면 측벽(825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측 전면 측벽(823a)과 외측 후면 측벽(825a)은 각각 접하여 내측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외측 전면 프레임(823), 외측 후면 프레임(825), 외측 전면 측벽(823a) 및 외측 후면 측벽(825a)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에서 필터링되어 유출되는 공기가 재차 필터링될 수 있는 공간 및 재차 필터링되는 린트가 잔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외측 전면 프레임(823)은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후면 프레임(825)에는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이 설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은 외측 힌지연결부(824)를 회동축으로 하여 내부의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힌지연결부(824)는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측 힌지연결부(824)를 중심으로 외측 전면 프레임(823) 또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이 회전함으로써 외측 필터 카트리지(82)가 전개 또는 접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결합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소재의 탄력성만을 이용하여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측 전면 프레임(823)의 외측 전면 측벽(또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외측 후면 측벽)에 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대향되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외측 후면 측벽(또는 외측 전면 프레임(823)의 외측 전면 측벽)에는 후크와 결합되는 적절한 형상의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8)의 경우 제 1지지부(17)의 필터 설치부(178a)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필터 카트리지(8)에 구비되는 각 필터망(816, 826)의 경우 필터 카트리지(8)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기의 이동 방향에 저항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즉, 드럼(2)의 공기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입구(811)를 통하여 필터 카트리지(8)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유입되며,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전면 필터망(816a) 및 내측 후면 필터망(816b)을 통과하고,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전면 필터망(826a) 및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과하여 배기덕트로 이동된다.
여기서,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전면 필터망(816a) 및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전면 필터망(826a) 및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의 경우 필터 카트리지(8) 내부에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어 필터 카트리지(8) 내부의 공기가 각 필터망(816, 826) 측으로 굴절되어 이동될 수밖에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공기의 이동 경로가 각 필터망(816, 826)을 향하여 이동되기 위하여 굴절됨에 따라 공기의 이동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8)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의 경로를 개선하여 공기의 압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8)의 장착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필터 카트리지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8)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프레임(822)과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프레임(812)의 각 하부가 필터 카트리지(8)의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드럼(2)의 내부에서 공기 배출구(178)로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 설치부(178a)의 연장관(178c)을 통과하여 배기덕트(31)로 이동된다. 이때, 공기 배출구(178), 연장관(178c), 배기덕트(31)는 공기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직선형태의 유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프레임(822)과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프레임(812)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공기 배출구(178)로 유입된 공기의 이동경로가 공기 배출구(178), 연장관(178c), 배기덕트(31)의 형성방향을 따라 비교적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필터 카트리지(8)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공기의 이동경로에서의 유로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기 내에 포함된 린트 등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경우 필터 카트리지(8)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은 각각 필터 카트리지(8)가 삽입되는 필터 설치부(178a)의 연장관(178c)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측 전면 프레임(823)의 하부와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하부는 외측 힌지연결부(824)에 의해 연결되며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간격은 외측 힌지연결부(824)로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각도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하부가 공기 배출구(178), 연장관(178c), 배기덕트(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에 대하여 전방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DR)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약 4~6ㅀ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전면 프레임(823)의 각도는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에는 외측 전면 필터망(826a)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전면 필터망(826a)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하여 필터 카트리지(8)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필터링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경우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의 사이로 삽입되며 외측 전면 프레임(823)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외측 후면 프레임(825)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내측 후면 프레임(81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전면 프레임(813)과 내측 후면 프레임(815)은 각각 필터 카트리지(8)가 삽입되는 필터 설치부(178a)의 연장관(178c)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프레임(812)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프레임(822)은 연장관(178c) 및 배기덕트(31)의 연결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DR)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내측 프레임(812)에 구비되는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프레임(822)에 구비되는 외측 후면 필터망(826b)도 연장관(178c) 및 배기덕트(31)의 연결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DR)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공기 유입구(811)로 유입되는 공기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부로 유입되어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전면 필터망(816a) 및 내측 후면 필터망(816b)을 통과하면서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전면 필터망(826a) 및 외측 후면 필터망(826b)에 의해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물질이 필터링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은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DR)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필터링될 때 공기의 이동경로의 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8)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유량의 대부분은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하여 필터링되나, 필터 카트리지(8)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유량의 일부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될 수 있다. 즉, 필터 카트리지(8)에서 필터링되는 공기의 유량은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통과하는 유량보다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과하는 유량이 많게 형성된다.
여기서, 내측 필터 카트리지(81)의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필터 카트리지(82)의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은 내측 후면 필터망(816b) 및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의 형성 각도(DR)보다 다소 작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통과하는 공기의 다소의 유로 변경이 불가피 하다.
한편, 필터 카트리지(8)가 삽입되는 연장관(178c)의 전면은 필터 카트리지(8)의 각 프레임(813, 815, 823, 825) 형성되는 방향에 대응되어 연장관(178c)의 일부가 소정 간격(G)로 확장 돌출되는 돌출부(178d)가 형성되며, 돌출부(178d)에 대응되는 연장되는 후방부는 직선부(178e)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78d)에 의해 형성되는 간격(G)은 필터 카트리지(8)의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 공간을 형성하며, 직선부(178e)는 필터 카트리지(8)의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카트리지(8)에 의해 필터링되는 공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보다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과하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필터 카트리지(8)의 전면과 후면으로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다르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필터 카트리지의 전면으로 필터링되어 배출되는 공기와 후면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터 카트리지(8)의 전면은 연장관(178c)의 돌출부(178d)에 의해 제 1간격(D1)으로 형성되며, 필터 카트리지(8)의 후면은 연장관(178c)의 직선부(178e)와 제 2간격(D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간격(D1)에 대비하여 제 2간격(D2)은 적어도 2배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8)의 내부에서 내측 전면 필터망(816a) 및 외측 전면 필터망(826a)을 통과하여 필터링된 공기는 제 1간격(D1)을 통하여 배기덕트(31)로 이동되며, 필터 카트리지(8)의 내부에서 내측 후면 필터망(816b) 및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과하여 필터링된 공기는 제 2간격(D2)을 통하여 배기덕트(31)로 이동된다.
여기서, 필터 카트리지(8)의 내측 후면 필터망(816b) 및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을 통해 필터링되는 공기는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의 경사 각도(DR)에 의해 최소한의 유로변경만으로 이동됨으로 공기의 이동에 따른 유로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기의 압력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카트리지(8) 내부에 내측 후면 필터망(816b)과 외측 후면 필터망(826b)으로 통과하지 못한 일부 공기는 내측 전면 필터망(816a)과 외측 전면 필터망(826a)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의류 건조기 1: 캐비닛
111: 투입구 112: 도어
12: 베이스 121: 압축기 장착부
122: 모터 장착부 123: 팬 장착부
124: 공급덕트 장착부 125: 배기덕트 장착부
126: 집수부 129: 펌프 장착부
17: 제 1지지부 171: 제 1고정바디
173: 드럼 투입구 175: 제 1지지바디
177: 연결바디 178: 공기 배출구
178a: 필터 설치부 178b: 안착홀
19: 제 2지지부 191: 제 2고정바디
198: 공기 유입구 195: 제 2지지바디
2: 드럼 21: 드럼 바디
23: 모터 3: 덕트
31: 배기덕트 33: 공급덕트
34: 덕트 관통홀 35: 연결덕트
4: 열교환부 41: 흡열부
43: 발열부 45: 압축기
47: 압력조절기 48: 냉매관
49: 팬 6: 세척부
61: 펌프 63: 유로전환부
65: 분사부 7: 배수부
72: 저장바디 721: 연통홀
8: 필터 카트리지 81: 내측 필터 카트리지
811: 공기 유입구 812: 내측 프레임
813: 내측 전면 프레임 813a: 내측 전면 측벽
814: 내측 힌지연결부 815내측 후면 프레임
815a: 내측 후면 측벽 816: 내측 필터망
82: 외측 필터 카트리지 821: 개구부
822: 외측 프레임 823: 외측 전면 프레임
823a: 외측 전면 측벽 824; 외측 힌지연결부
825: 외측 후면 프레임 825a: 외측 후면 측벽
826: 외측 필터망

Claims (9)

  1.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며,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및 필터 설치부가 형성된 지지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다시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순환 유로;
    상기 필터 설치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외측 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외측 전면 프레임과, 외측 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외측 후면 프레임을 구비하는 외측 필터 카트리지;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되며, 내측 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내측 전면 프레임 및 내측 후면 필터망이 형성되는 내측 후면 프레임을 구비하는 내측 필터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은 상기 공기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보다 큰 각도로 경사시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은 각 하부가 상기 필터 설치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설치부는 상기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연장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전방과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후방과 상기 연장광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전방부는 상기 필터 설치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의 후방부는 직선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후방과 상기 연장광 사이의 간격은 상기 외측 필터 카트리지의 전방과 상기 연장관 사이의 간격보다 적어도 2배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은 상기 직선부에 대하여 4~6ㅀ각도로 하부가 상기 연장부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은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에 대하여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이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내측 힌지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내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내측 후면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여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이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하는 외측 힌지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외측 전면 프레임과 상기 외측 후면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내측 필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200046684A 2020-04-17 2020-04-17 의류 건조기 KR20210128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84A KR20210128703A (ko) 2020-04-17 2020-04-17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84A KR20210128703A (ko) 2020-04-17 2020-04-17 의류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703A true KR20210128703A (ko) 2021-10-27

Family

ID=7828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684A KR20210128703A (ko) 2020-04-17 2020-04-17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87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0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02A1 (ko) * 2022-02-18 2023-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7314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40095741A (ko) 의류처리장치
AU2021233722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24676B1 (en) Method to position a rack in a laundry dryer and laundry dryer including a rack
CN113646478B (zh) 冷凝式干衣机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210128702A (ko) 의류 건조기
KR2021007752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8703A (ko) 의류 건조기
KR20210052079A (ko) 의류 건조기
CN113322633B (zh) 衣物处理装置
EP2990520B1 (en) Laundry dryer including a heat pump system
KR2021007677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775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215251808U (zh) 衣物处理装置
KR20210111595A (ko) 세탁물 건조기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95429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301370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20014623A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10921A (ko) 건조기
KR20220118090A (ko) 건조기
KR2024001084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