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097A - 세탁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097A
KR20180127097A KR1020170062475A KR20170062475A KR20180127097A KR 20180127097 A KR20180127097 A KR 20180127097A KR 1020170062475 A KR1020170062475 A KR 1020170062475A KR 20170062475 A KR20170062475 A KR 20170062475A KR 20180127097 A KR20180127097 A KR 20180127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air
passage
tub
cond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870B1 (ko
Inventor
박수일
김두현
김정곤
용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터브에서 유출되어 상기 터브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배기통로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 유닛; 및 상기 배기통로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응축수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통로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 1구간의 하측부에서 유입구를 형성하고,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 {Device for treat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과정에서 발생된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장치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세탁물에 공급하는데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배기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와 순환식 건조시스템이 구비된 세탁물 처리장치로 분류된다.
순환식 건조시스템의 경우 터브에서 배출된 뒤 터브로 재공급되는 공기의 제습을 위해 냉각수를 공급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냉각수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고, 배기식 건조시스템의 경우 세탁물과 열교환을 마친 공기가 외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짐에도 세탁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는 배기되고 나머지는 순환되어 다시 터브로 공급되는 하이브리드(Hybrid)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가 발명되었다.
상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비한 세탁물 처리장치는, 터브에서 유출된 공기 중 일부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통로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배기통로를 통해 공기가 곧바로 외기 중에 배출되어 기기 주변에 많은 수증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세탁물 건조 시 배기되는 공기에 의한 기기 주변의 결로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응축 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배기되는 습증기를 효율적으로 응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배기되는 공기 중의 습증기 뿐만 아니라 순환되는 공기 중의 습증기를 효율적으로 응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면서 얻어진 폐열을 재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터브에서 유출되어 상기 터브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배기통로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 유닛; 및 상기 배기통로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응축수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통로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 1구간의 하측부에서 유입구를 형성하고,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에 배치된다. 상기 응축수통로는 상기 제 2구간의 하측에 연결된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 2구간 내의 공기가 상기 제 2구간의 상측에서 유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간은 상기 터브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구간은 상기 제 1구간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응축 유닛을 수용하는 응축 유닛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응축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 2구간의 외표면으로 냉기를 공급해주도록 구비된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응축 유닛을 거쳐간 냉각수가 상기 흡기통로 상의 공기와 열교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상기 응축 유닛을 거쳐간 냉각수가 상기 제 1구간 또는 상기 제 2구간 내로 배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을 나누어주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 유닛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나누어줄 수 있다.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의 내부의 상측에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는, 일측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 1수류 유도부와, 상기 일측의 반대측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 2수류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장치는, 냉각수가 상기 제 1수류 유도부를 따라 흐른 후 상기 제 2수류 유도부를 따라 흐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구간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제 1방향으로의 폭이, 상하 방향 및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는, 상기 제 2구간 내의 냉각수가 하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제 1방향의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터브에서 유출되어 상기 터브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배기통로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 유닛; 및 상기 배기통로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응축수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통로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 1구간의 하측부에서 유입구를 형성하고,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응축 유닛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나누어준다.
상기 해결 수단들을 통해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습증기에 의해 세탁물 처리장치 주변 환경에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측으로 공기가 이동되게 안내하는 상기 제 2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의 하측에 연결된 응축수통로 등을 통해, 상기 제 2구간 내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제 2구간 내에서 흘러내리면서 응축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응축수의 배출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공기가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 및 제 1구간의 하측부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2구간 내에서 발생한 응축수뿐만 아니라 상기 제 1구간 내에서 발생한 응축수도 쉽게 배출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구간 내의 공기는 상기 제 2구간의 상측에서 유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2구간 내에서 공기가 충분히 경유할 수 있게하여, 응축 성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의 배치 관계를 통해, 공간 활용을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은 겹쳐지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응축 유닛에 의한 상기 제 2구간 내의 온도 저하로 인해 인접한 상기 제 1구간도 냉각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구간 내에서도 응축 기능이 발휘되게 된다. 이를 통해, 결로 방지 성능뿐만아니라 세탁물의 건조 성능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응축 유닛 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모듈화하기 용이해지고, 기설정한 설계 내용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이 하나의 응축 유닛 수용부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2구간에 인접한 상기 제 1구간 내의 응축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기 및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응축장치의 응축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수가 상기 제 1구간 또는 상기 제 2구간 내로 배출되게 구비됨으로써, 냉각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장치없이 상기 응축수통로를 이용하여 상기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2구간을 나누어줌과 동시에, 상기 제 2구간에 인접한 상기 제 1구간 내의 응축 성능이 발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의 사이에 배치된 상기 응축 유닛을 통해, 상기 응축 유닛이 동시에 상기 제 1구간내의 공기 및 상기 제 2구간내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를 통해 냉각수를 상기 제 2구간 내로 분사시킴으로써, 냉각수가 직접 제 2구간 내의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응축수통로를 통해 응축수와 함께 냉각수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류 유도부를 통해, 상기 냉각수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제 2구간 내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늘림으로써, 상기 냉각수와 상기 제 2구간 내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상호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수류 유도부를 구비하거나 냉각수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냉각수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제 2구간 내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더욱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의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브(13)의 후측면을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세탁물 처리장치(1)의 각종 통로와 공기 및 물의 흐름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의 공기 및 물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a)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5b는 (b)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며, 도 5c는 (c)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5d는 (d)실시예에 따른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1)의 응축 유닛(160, 260, 360, 460, 560, 66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160) 및 응축 유닛 수용부(49)를 도 3의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와, 응축 유닛(160)의 부분 입면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260) 및 응축 유닛 수용부(49)를 도 3의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와, 응축 유닛(26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3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360) 및 응축 유닛 수용부(49)를 도 3의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와, 응축 유닛(36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460) 및 응축 유닛 수용부(49)를 도 3의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와, 응축 유닛(460)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560), 응축 유닛 수용부(49) 및 냉각팬(59)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6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660), 응축 유닛 수용부(49) 및 냉각팬(59)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r)/후(Re)/좌(Le)/우(Ri)/상(Up)/하(Do)”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류' 및 '하류'는, 정상적인 공기 또는 물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한 표현이다.
본 발명인 세탁물 처리장치는 건조 시스템이 구비된 세탁기, 건조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하 실시예로서 건조 시스템이 구비된 프론트 로딩형 세탁기로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조시스템은, 터브 내부의 공기 일부를 순환시키고, 다른 일부를 배기시키는 하이브리드 건조 시스템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세탁물 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을 포함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케이싱(10)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13)를 포함한다. 터브(13)의 내부 공간에 세탁수가 담길수도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터브(1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드럼(15)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13)에는, 내부의 세탁물로부터 발생된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담긴다.
또한, 세탁물 처리장치(1)는, 외부의 급수원(미도시)로부터 물을 터브(13) 내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21), 및 터브(13)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25)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장치(1)는, 터브(13) 내부의 세탁수가 케이싱(10)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통로(30), 및 배수통로(30) 상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배수시키도록 작동하는 배수펌프(33)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장치(1)는 공기유로(40)를 포함한다. 공기유로(40)는 터브(13) 내부의 공기를 유출시키거나 터브(13)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공기유로(40)는 터브(13) 내부의 공기를 유출시켜 상기 터브(13) 내부로 재공급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공기유로(40)는 터브(13)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터브(13)에서 유출되어 터브(13)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41)를 포함한다. 터브(13)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47)를 포함한다. 배기통로(47)는 순환통로(41)를 흐르는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공기유로(40)는 외부의 공기가 터브(1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45)를 포함한다. 흡기통로(45)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통로(41) 내로 유입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터브(13) 내부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흡기통로(45)는 터브(13) 외부 또는 케이싱(10) 외부의 공기가 터브(13)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공기유로(40)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팬(51)은 순환통로(41) 상에 배치된다. 팬(51)은 터브(13) 내부의 공기를 순환통로(41)를 따라 순환시킨다. 팬(51)의 작동에 따라 흡기통로(45) 및 배기통로(47) 상의 공기도 이동하게 된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터브(13)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5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53)는 순환통로(41) 상에 배치된다.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히터(53)는 순환통로(41) 상에서 순환통로(41)와 흡기통로(45)의 연결 지점보다 하류측에 배치된다. 히터(53)는 순환통로(41) 상의 공기를 가열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터브(13) 내로 가열된 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공기유로(40) 상에 배치되는 필터(57)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57)는 공기를 여과시킨다. 필터(57)는 흡기통로(45) 또는 순환통로(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57)는 순환통로(41)상에 배치된다. 필터(57)는 순환통로(41)와 흡기통로(45)의 연결점의 하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터브(13)와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싱(10)은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0a),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10b)와, 후측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10c)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바닥면을 형성하며 세탁물 처리장치(1)를 지지하는 베이스(10e)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0d)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투입구(10h)를 형성한다. 투입구(10h)를 통해, 포가 드럼(15)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드럼(15) 내의 포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00)는 투입구(10h)를 여닫는 도어(18)를 포함한다. 도어(18)는 프론트 커버(1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18a)과, 도어 프레임(18a)에 설치되는 도어 글래스(18b)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8a)은 중앙부에 홀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18a)의 상기 홀에 도어 글래스(18b)가 설치된다. 도어 글래스(18b)는 드럼(15)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어 글래스(18b)는 드럼(15)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이다.
상기 프론트 커버(10a)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인 컨트롤패널(16)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6)은 사용자가 세탁기의 제어부(미도시)와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컨트롤패널(16)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에 전원공급명령을 입력하는 전원입력부(미도시), 및 사용자가 장치의 구현 가능한 세탁물 처리방법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컨트롤패널(16)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탁물 처리방법 또는 세탁기의 작동과정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는 터브 지지부(14)에 의해 케이싱(10) 내부에 고정된다. 터브(13)의 전방면에는 투입구(10h)와 연통하는 터브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투입구와 투입구(10h) 사이에는 가스켓(12)이 구비된다. 가스켓(12)은 터브(13)에 발생된 진동이 케이싱(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터브(13)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켓(12)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할 수 있다.
드럼(15)은 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모터(M)는 터브(13)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15)은 상기 터브투입구와 연통하는 드럼투입구(미도시)를 형성한다. 드럼(15)은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럼(15)은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세탁물을 퍼올리는 리프터(15a)를 포함한다. 드럼(15)은 원주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드럼 관통홀(15b)을 형성한다.
물공급부(21)는, 케이싱(10)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제공급부(25)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통로(23)를 포함한다. 물공급부(21)는 급수통로(23)를 개폐하는 급수밸브(22)를 포함한다.
세제공급부(25)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26)를 포함한다. 세제공급부(25)는 세제저장부(26)로부터 터브(13) 내부로 세제가 포함된 물을 안내하는 터브공급관(27)을 포함한다. 세제저장부(26)는 프론트 커버(10a)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배수통로(30)는 터브(13)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배수되는 세탁수에 의한 워터트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33)는 터브(13) 내부의 세탁수 수위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배수통로(30) 상의 최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공기유로(40)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 유닛(60)을 포함한다. 응축 유닛(60)은 배기통로(47)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다. 응축 유닛(60)은 순환통로(41)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응축 유닛(60)은 배기통로(4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 유닛(60)은 배기통로(47)와 순환통로(4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응축 유닛(60)은 배기통로(47)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 및 순환통로(41)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동시에 응축시킬 수 있다. (도 5d 및 도 8 참고)
다른 예로, 응축 유닛(60)은 순환통로(4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응축 유닛(60)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응축수통로(70)를 포함한다. 응축수통로(70)는 배기통로(47)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는 순환통로(41)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응축수통로(70)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에 연결된다.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으로 흘러내려,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된다.
응축수통로(70)는 배수통로(30)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를 배수통로(30) 내로 유입되게 안내할 수 있다. 응축수는 응축수통로(70) 및 배수통로(30)를 순차적으로 거쳐, 케이싱(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예로, 응축수통로(70)는 배수통로(30)에 연결되지 않고,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응축수가 곧바로 케이싱(10) 외부로 배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응축 유닛(6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통로(80)를 포함한다. 냉각수통로(80)를 통해 응축 유닛(60)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공기유로(40) 상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예를 들어, 응축 유닛(60)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배기통로(47) 상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응축 유닛(60)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순환통로(41) 상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냉각수통로(80)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급수통로(23)를 따라 안내된 물일 수도 있고,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이동한 응축수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터브(13) 내부에서 사용된 세탁수를 재활용하여 상기 냉각수로 이용할 수도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에 공급되는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통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 통로는 제 2구간(47a)에 공급되는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기통로를 통해 응축 유닛 수용부(49) 공급되는 냉기는 공기유로(40) 상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예를 들어, 응축 유닛 수용부(49)에 공급되는 상기 냉기는 배기통로(47) 상의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외표면으로 냉기를 공급해주도록 구비된 냉각팬(59)을 포함한다. 냉각팬(59)은 제 2구간(47a)의 외표면으로 냉기를 공급해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a, 도 10 및 도 11 참고)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흡기통로(45)는 순환통로(41)에 연결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흡기통로(45)는 터브(1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흡기통로(45)는 외부의 공기가 순환통로(41)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히터(53)는 흡기통로(45) 내의 공기가 순환통로(41)로 유입되는 지점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또한, 팬(51)은 흡기통로(45) 내의 공기가 순환통로(41)로 유입되는 지점의 하류측에 구비된다. 하나의 히터(53)로 순환되는 공기와 흡입되는 공기 모두를 가열시킬 수 있다. 하나의 팬(51)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다.
흡기통로(45)의 흡기구가 케이싱(10)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케이싱(10)과 터브(13)의 사이 공간에 있는 공기가 터브(13) 내부로 유입되고, 흡기통로(45)의 흡입구가 케이싱(10)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케이싱(10) 외부의 공기가 터브(13) 내부로 유입된다. 본 설명에서 '외부의 공기'의 의미는, 케이싱(10) 외부의 공기 및 케이싱(10)과 터브(13) 사이의 공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순환통로(41)는 터브(1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통로(41)의 시단부와 종단부에는 터브(13)와 연결되는 연통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순환통로(41)의 시단부는 터브(13)의 하측부에 배치된다. 순환통로(41)의 시단부는 터브(13)의 후측면에 배치된다. 순환통로(41)의 시단부에 형성된 연통부는 터브(13)의 후측면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터브(13)의 후측면 하측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순환통로(41)의 일단은 상기 홀과 연결된다.
순환통로(41)의 종단부는 터브(13) 또는 가스켓(12)의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통로(41)의 종단부에 형성된 연통부는 가스켓(12)의 상측에 형성된다. 즉, 가스켓(12)을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순환통로(41)는 상기 홀과 연결된다.
순환통로(41)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41a)을 포함한다. 제 1구간(41a)은 상하로 연장된다. 제 1구간(41a)은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구간(41a)은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구간(41a)은 터브(13)의 후측에 배치된다. 제 1구간(41a)은 터브(13)의 후측면 중 모터(M)의 회전 축을 회피한 영역에 배치된다. 제 1구간(41a)는 제 2구간(47a)과 겹쳐지게 배치된 구간이다.
제 1구간(41a)의 시단부는 하측부에 배치되고, 제 1구간(41a)의 종단부는 상측부에 배치된다. 제 1구간(41a)의 하측을 통해 공기가 제 1구간(41a) 내로 유입되게 구비된다. 제 1구간(41a) 내의 공기는 제 1구간(41a)의 상측에서 유출되게 구비된다.
순환통로(41)는 제 1구간(41a)에 연결된 추가 구간(4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간(41b)은 제 1구간(41a)의 시단부 및/또는 종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구간(41b)은 제 1구간(41a)의 종단부에 연결되어, 제 1구간(41a)을 거친 순환 공기가 추가 구간(41b) 내로 유입된다. 추가 구간(41b)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 구간(41b)의 시단부는 제 1구간(41a)의 종단부와 연결되고, 추가 구간(41b) 종단부는 순환통로(41)의 종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 구간(41b)은 제 2구간(47a)과 겹쳐지지 않게 배치된 구간이다. 팬(51) 및 히터(53)는 추가 구간(41b)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통로(47)는 순환통로(41)에 연결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배기통로(47)는 터브(13)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통로(47)는 순환통로(41)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팬(51)의 작동에 의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시에 공기를 배기시킬 수 있다.
배기통로(47)의 배기구가 케이싱(10) 내부에 있는 경우에는 터브(13) 내부의 공기가 케이싱(10)과 터브(13)의 사이 공간으로 유출되고, 배기통로(47)의 흡입구가 케이싱(10)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터브(13) 내부의 공기가 케이싱(10) 외부로 곧바로 유출된다. 배기통로(47)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는 의미는, 배기통로(47)가 공기를 케이싱(10) 외부로 유출시킨다는 것 뿐만아니라 배기통로(47)가 공기를 케이싱(10)과 터브(13)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시킨다는 것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배기통로(47)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2구간(47a)을 포함한다. 제 2구간(47a)은 상하로 연장된다. 제 2구간(47a)은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구간(47a)은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구간(47a)은 제 1구간(41a)의 후측에 배치된다. 제 2구간(47a)은 터브(13)의 후측면 중 모터(M)의 회전 축을 회피한 영역에 배치된다. 제 2구간(47a)는 제 1구간(41a)과 겹쳐지게 배치된 구간이다.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은 겹쳐지게 배치된다.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은 함께 응축 유닛 수용부(49)를 구성한다.
제 2구간(47a)의 시단부는 하측부에 배치되고, 제 2구간(47a)의 종단부는 상측부에 배치된다. 제 2구간(47a)의 하측을 통해 공기가 제 2구간(47a) 내로 유입되게 구비된다. 제 2구간(47a) 내의 공기는 제 2구간(47a)의 상측에서 유출되게 구비된다.
제 2구간(47a)은 제 1구간(41a)의 하측부에서 유입구(47h)를 형성한다. 유입구(47h)를 통해 제 1구간(41a) 내의 공기 중 일부가 제 2구간(47a) 내로 유입된다. 순환통로(41) 내의 공기는 유입구(47h)를 기점으로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으로 분리되어 유입된다. 유입구(47h)는 격벽(48)의 하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47h)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내부에 위치한다.
배기통로(47)는 제 2구간(47a)에 연결된 연장 구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구간은 제 2구간(47a)의 종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구간(47a)을 거친 공기가 상기 연장 구간 내로 유입된다. 상기 연장 구간은 케이싱(10)의 외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고, 터브(13)와 케이싱(10)의 사이 공간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 구간의 시단부는 제 2구간(47a)의 종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연장 구간은 제 1구간(41a)과 겹쳐지지 않게 배치된 구간이다.
공기유로(40)는, 상기 제 1구간(41a) 및 상기 제 2구간(47a)을 형성하는 응축 유닛 수용부(49)를 포함한다. 응축 유닛 수용부(49)는, 상하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1구간(41a) 및 제 2구간(47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전방부에 제 1구간(41a)이 배치되고,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후방부에 제 2구간(47a)이 배치된다.
응축 유닛 수용부(49)는 상하로 연장된다. 응축 유닛 수용부(49)는 터브(13)에 결합될 수 있다. 응축 유닛 수용부(49)는 터브(13)의 후측에 배치된다. 응축 유닛 수용부(49)은 터브(13)의 후측면 중 모터(M)의 회전 축을 회피한 영역에 배치된다.
응축 유닛 수용부(49)는 응축 유닛(60)을 수용한다. 응축 유닛(6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수통로(80)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에 결합될 수 있다. 응축 유닛 수용부(49)는 격벽(48)을 수용한다.
공기유로(40)는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을 나누어주는 격벽(48)을 포함한다. 격벽(48)은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의 사이에 배치된다. 격벽(48)은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48)은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의 배열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48)은 유입구(47h)을 제외하고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의 사이를 막아준다.
응축 유닛(60)은 제 2구간(47a)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구간(47a)을 통과하는 습증기는 응축 유닛(60)에의해 응축될 수 있다. 응축 유닛(60)은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응축 유닛(60)은 제 1구간(41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구간(41a)을 통과하는 습증기는 응축 유닛(60)에 의해 응축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화살표 방향은 터브(13)의 공기 순환 방향이다. 팬(51) 작동시, 정압(positive pressure) 상태인 터브(13) 내부에서 순환통로(41)의 상기 시단부를 통해 부압(negative pressure)상태인 순환통로(41)로 공기 중 일부가 이동한다. 순환통로(41)로 이동한 공기는 제 1구간(41a)을 거쳐 이동한다. 순환통로(41) 상의 공기는 제 1구간(41a) 및 추가 구간(41b)을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한다. 제 1구간(41a)을 통과한 공기는 히터(53)를 거치면서 가열되고, 터브(13) 내부로 재공급된다.
C화살표 방향은 외부 공기의 흡입 방향이다. 팬(51) 작동시, 대기압 상태인 터브(13) 외부 또는 케이싱(10) 외부로부터 부압 상태인 순환통로(41)로 공기가 유입된다. 흡기통로(45)를 통과한 공기는 순환통로(41)의 추가 구간(41b) 내로 유입된다. 순환통로(41)로 유입된 상기 공기는 히터(53)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터브(13) 내부로 공급된다.
D화살표 방향은 공기의 배기 방향이다. 팬(51) 작동시, 터브(13) 내부의 공기는 순환통로(41)의 시단부를 거쳐 배기통로(47) 내로 유입된다. 공기는 제 1구간(41a) 내의 하측부에서 제 2구간(47a) 내의 하측부로 이동한다. 공기는 제 1구간(41a)에서 제 2구간(47a)으로 유입구(47h)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공기는 배기통로 중 제 2구간(47a) 및 상기 연장 구간을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한다. 제 2구간(47a)으로 유입된 공기는 응축 유닛(60)과 열교환하며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응축수를 발생시킨 상기 공기는 배기통로(47) 중 상기 연장 구간으로 유입되어 터브(13) 외부 또는 케이싱(10) 외부로 배기된다.
E화살표 방향은 응축수의 흐름 방향이다. 제 2구간(47a)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제 2구간(47a)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린다. 제 2구간(47a)의 하측부로 이동한 응축수는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된다. 또한, 제 1구간(41a) 내부에서 발생한 응축수도 제 1구간(41a)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려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에 유입된 응축수는 케이싱(10) 외부로 배수된다.
(a)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의 (a)실시예에 따른 공기, 응축수 및 냉각수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B, C, D 및 E 화살표 방향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 같다.
도 5a에서, F화살표 방향은 냉기의 흐름 방향이다. 세탁물 처리장치(1)는 냉각팬(59)을 구비할 수 있고, 냉각팬(59)은 외부의 냉기를 가압하여, 제 2구간(47a)의 외표면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 2구간(47a)의 외표면에 공급된 냉기는 제 2구간(47a)의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이 때, 제 2구간(47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한 냉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a에서, G화살표 방향은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통로(80)를 따라 응축 유닛(60) 내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응축 유닛(60) 내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제 2구간(47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또는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제 1구간(41a) 또는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된 냉각수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응축수 및 냉각수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a)실시예에서는,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가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된다.
(b)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b는, 본 발명의 (b)실시예에 따른 공기, 응축수 및 냉각수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B, C, D 및 E 화살표 방향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 같다.
(b)실시예에서 2개의 응축 유닛(60)이 각각 제 1구간(41a) 및 제 2구간(47a) 내에 배치된다.
도 5b에서, G1화살표 방향은 제 2구간(47a)에 배치된 응축 유닛(6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통로(80)를 따라 제 2구간(47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제 2구간(47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제 2구간(47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제 2구간(47a) 내의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된 냉각수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응축수 및 냉각수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도 5b에서, G2화살표 방향은 제 1구간(41a)에 배치된 응축 유닛(6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통로(80)를 따라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제 1구간(41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제 1구간(41a) 내로 배출된 냉각수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응축수 및 냉각수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흡기통로(45) 상의 공기와 열교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 유닛(60)을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순환통로(41) 및/또는 배기통로(47) 내의 공기와 열교환을 마친 냉각수의 온도는 올라가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온도가 올라간 냉각수가 흡기통로(45) 상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다시 냉각된다. 이 때, 흡기통로(45) 내의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새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해야하는 히터(53)의 가열 부하를 줄일 수 있다.
(b)실시예에서는,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가 흡기통로(45)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흡기통로(45)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로 배출된다.
(c)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c는, 본 발명의 (c)실시예에 따른 공기, 응축수 및 냉각수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B, C, D 및 E 화살표 방향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 같다.
(c)실시예에서 2개의 응축 유닛(60)이 각각 제 1구간(41a) 및 제 2구간(47a) 내에 배치된다.
도 5c에서, G화살표 방향은 제 2구간(47a)에 배치된 응축 유닛(60) 및 제 1구간(41a)에 배치된 응축 유닛(60)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통로(80)를 따라 제 2구간(47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제 2구간(47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제 2구간(47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제 2구간(47a) 내의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공급된다.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으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제 1구간(41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제 1구간(41a) 내로 배출된 냉각수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응축수 및 냉각수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b)실시예에서는, 제 1구간(41a) 내의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가 흡기통로(45)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흡기통로(45)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내로 배출된다.
(d)실시예에 따른 공기 및 물의 흐름에 대해서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d는, 본 발명의 (d)실시예에 따른 공기, 응축수 및 냉각수의 흐름 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B, C, D 및 E 화살표 방향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4의 일 실시예와 같다.
(d)실시예에서 응축 유닛(60)은 제 1구간(41a) 및 제 2구간(47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응축 유닛(60)은 제 1구간(41a) 내의 공기 및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동시에 열교환할 수 있다.
도 5d에서, G화살표 방향은 냉각수의 흐름 방향이다. 냉각수통로(80)를 따라 응축 유닛(60) 내로 냉각수가 공급된다. 응축 유닛(60) 내로 공급된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매의 공기 및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 때, 제 1구간(41a) 내부의 공기 및 제 2구간(47a) 내부의 공기는 냉각된다.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1구간(41a) 또는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되게 구비된다. (d)실시예에서 응축 유닛(60)을 거쳐간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된다. 제 1구간(41a) 및/또는 제 2구간(47a) 내로 배출된 냉각수는 응축 유닛 수용부(49)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통로(70)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통로(70)를 통해 응축수 및 냉각수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6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구간(47a)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제 1방향으로의 폭이, 상하 방향 및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 1구간(41a)은 상기 제 1방향으로의 폭이 상기 제 2방향으로의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방향은 좌우 방향이고 상기 제 2방향은 전후 방향이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6을 참고하여, 제 1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160)은 냉각수가 통과하는 파이프(161)를 포함한다. 파이프(161)는 시단부에 배치된 유입부(161a) 및 종단부에 배치된 유출부(161b)를 포함한다. 유입부(161a)를 통해 파이프(161) 내로 유입된 냉각수는, 유출부(161b)를 통해 파이프(161) 내로부터 유출된다.
파이프(161)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파이프(161)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파이프(161) 외측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열된다. 이 때, 제 2구간(47a) 내의 공기는 냉각된다.
파이프(161)는 제 2구간(47a)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161)는 제 2구간(47a) 내의 후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파이프(161)는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휘어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161)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직선부와, 어느 하나의 직선부의 말단과 다른 하나의 직선부의 말단을 연결하며 휘어진 복수의 벤딩부를 포함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260)은 면상 열교환부(263)를 포함한다. 응축 유닛(260)은, 면상 열교환부(263)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부(261a)와 면상 열교환부(263) 내로부터 냉각수가 유출되는 유출부(261b)를 포함한다. 유입부(261a)는 면상 열교환부(263)의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부(261b)는 면상 열교환부(263)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263)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면상 열교환부(263)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면상 열교환부(263) 외측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열된다. 이 때, 제 2구간(47a) 내의 공기는 냉각된다.
면상 열교환부(263)는 제 2구간(47a)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263)는 제 2구간(47a) 내의 후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263)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면상 열교환부(263)는 상기 제 2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263)의 내부 공간도 면상 열교환부(263)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263)의 상기 제 1방향의 길이는 면상 열교환부(263)의 상기 제 2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면상 열교환부(263)의 제 2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주로 열교환이 일어난다. 면상 열교환부(263)는 제 2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장 큰 면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여, 제 3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360)은 면상 열교환부(363)를 포함한다. 응축 유닛(360)은, 면상 열교환부(363)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부(361a)와 면상 열교환부(363) 내로부터 냉각수가 유출되는 유출부(361b)를 포함한다. 유입부(361a)는 면상 열교환부(363)의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출부(361b)는 면상 열교환부(363)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363)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면상 열교환부(363)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면상 열교환부(363) 외측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열된다. 이 때, 제 1구간(41a) 내의 공기 및 제 2구간(47a) 내의 공기는 냉각된다.
면상 열교환부(363)는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의 사이에 배치된다. 면상 열교환부(363)는 제 1구간(41a) 및 제 2구간(47a)을 나누어준다. 면상 열교환부(363)의 하측부에 제 1구간(41a)과 제 2구간(47a)이 연통되는 유입구(47h)가 형성된다. 제 3실시예에서, 격벽(48)의 기능을 면상 열교환부(363)가 대신 수행한다.
면상 열교환부(363)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면상 열교환부(363)는 상기 제 2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363)의 내부 공간도 면상 열교환부(363)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면상 열교환부(363)의 상기 제 1방향의 길이는 면상 열교환부(363)의 상기 제 2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면상 열교환부(363)의 제 2방향을 향하는 양측면에서 주로 열교환이 일어난다. 면상 열교환부(363)의 제 2방향을 향하는 양측면 중 일측면은 제 1구간(41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타측면은 제 2구간(47a) 내의 공기와 열교환한다. 면상 열교환부(363)는 제 2방향에서 바라볼 때 가장 큰 면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제 4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460)은 면상 열교환부(463)를 포함한다. 면상 열교환부(463)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2실시예의 면상 열교환부(263)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 4실시예에서, 응축 유닛(460)은 공기와의 열교환 표면적을 넓혀주는 열교환 보조부(465)를 포함한다. 열교환 보조부(465)는 면상 열교환부(463)의 제 2방향 양측면 중 일측면에 결합된다.
열교환 보조부(465)는 면상 열교환부(463)의 표면에 부착되는 베이스(465a)를 포함한다. 베이스(465a)는 제 2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 보조부(465)는 베이스(465a)에서 제 2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465b)을 포함한다. 핀(465b)은 열교환 표면적을 넓혀, 공기와 냉각수 사이의 열교환을 돕는다. 복수의 핀(465b)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5 및 6 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560, 660)은 제 2구간(47a)의 내부의 상측에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566, 666)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566, 666)에서 분사된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제 2구간(47a)의 내부로 분사된 냉각수는 제 2구간(47a) 내부의 습증기와 직접 열교환하고,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제 2구간(47a) 내부의 응축수와 냉각수는 함께 제 2구간(47a) 내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통로(7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응축 유닛(560, 660)은, 제 2구간(47a)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567, 667)를 포함한다. 수류 유도부(567, 667)는 제 2구간(47a) 내에서 냉각수의 이동 경로를 길게 해주어, 냉각수가 습증기와 열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켜준다. 수류 유도부(567, 667)는 습증기의 이동 경로 또한 길게 해주어, 열교환의 활성화를 돕는다.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567, 667)는 복수의 수류 유도부(567, 66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류 유도부(567, 667)는 하향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인 2개 이상의 수류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 유도부(567, 667)는 제 2구간(47a) 내의 냉각수가 하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제 1방향의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567, 667)는 일측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 1수류 유도부(567a, 667a)와, 상기 일측의 반대측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 2수류 유도부(567b, 667b)를 포함한다. 냉각수는 제 1수류 유도부(567a, 667a)를 따라 흐른 후 제 2수류 유도부(567b, 667b)를 따라 흐르도록 구비된다. 제 1수류 유도부(567a, 667a)는 제 2수류 유도부(567b, 667b)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방향의 양측부 중 일측에 제 1수류 유도부(567a, 667a)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 2수류 유도부(567b, 667b)가 배치된다.
수류 유도부(567, 667)의 상단부는 제 2구간(47a)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제 2구간(47a)의 내측면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류 유도부(567, 667)의 상단부로 이동한 냉각수는 수류 유도부(567, 667)의 상측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수류 유도부(567, 667)의 하단부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어느 하나의 수류 유도부(567, 667)의 하단부에서 다른 하나의 수류 유도부(567, 667)의 상단부로 냉각수가 떨어져 이동한다.
제 5 및 6 실시예에서, 상기 제 1수류 유도부(567a, 667a) 및 제 2수류 유도부(567b, 667b) 외에도, 제 3수류 유도부(567c, 667c), 제 4수류 유도부(567d, 667d), 제 5수류 유도부(567e, 667e), 제 6수류 유도부(567f, 667f), 제 7수류 유도부(567g, 667g), 제 8수류 유도부(567h, 667h) 및 제 9수류 유도부(567i, 667i)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내지 9 수류 유도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냉각수는 상기 제 1 내지 9수류 유도부를 순차적으로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도 10 및 11의 화살표 G 참고) 제 2구간(47a) 내의 공기는 상기 제 1 내지 9수류 유도부를 역순으로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10 및 11의 화살표 D 참고)
제 3수류 유도부(567c, 667c), 제 5수류 유도부(567e, 667e), 제 7수류 유도부(567g, 667g) 및 제 9수류 유도부(567i, 667i)의 경사 방향은 상기 제 1수류 유도부(567a, 667a)의 경사 방향과 같다. 제 4수류 유도부(567d, 667d), 제 6수류 유도부(567f, 667f) 및 제 8수류 유도부(567h, 667h)의 경사 방향은 제 2수류 유도부(567b, 667b)의 경사 방향과 같다.
한편, 제 2구간(47a)의 외표면으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냉기를 가압하는 냉각팬(59)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의 화살표 F 참고)
도 10을 참고하여, 제 5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56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노즐부(566)를 포함한다. 복수의 노즐부(566)는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냉각수통로(80)가 제 2구간(47a) 내의 상측부에 상기 제 1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복수의 노즐부(566)는 제 2구간(47a) 내의 냉각수통로(80)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10의 화살표 G 참고)
도 11을 참고하여, 제 6실시예에 따른 응축 유닛(660)은 냉각수를 넓게 확산시켜 분사시키는 확산 노즐부(666)를 포함한다. 확산 노즐부(666)는 냉각수통로(80)의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확산 노즐부(666)는 상기 제 2방향에 비해 상기 제 1방향으로 넓게 냉각수가 확산되게 분사한다.
1 : 세탁물 처리장치 10 : 케이싱
13 : 터브 15 : 드럼
23 : 급수통로 30 : 배수통로
33 : 배수펌프 40 : 공기유로
41 : 순환통로 45 : 흡기통로
47 : 배기통로 48 : 격벽
49 : 응축 유닛 수용부
60, 160, 260, 360, 460, 560, 660 : 응축 유닛
161 : 파이프 263, 363, 463 : 면상 열교환부
465 : 열교환 보조부 566, 666 : 노즐부
567, 667 : 수류 유도부
70 : 응축수통로 80 : 냉각수통로
B : 공기 순환 방향 C : 공기 흡입 방향
D : 공기 배기 방향 E : 응축수 흐름 방향
F : 냉기 흐름 방향 G, G1, G2 : 냉각수 흐름 방향

Claims (15)

  1.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터브에서 유출되어 상기 터브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배기통로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 유닛; 및
    상기 배기통로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응축수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통로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 1구간의 하측부에서 유입구를 형성하고,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통로는 상기 제 2구간의 하측에 연결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간 내의 공기는 상기 제 2구간의 상측에서 유출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간은 상기 터브의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구간은 상기 제 1구간의 후측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은 겹쳐지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응축 유닛을 수용하는 응축 유닛 수용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통로; 및
    상기 제 2구간의 외표면으로 냉기를 공급해주도록 구비된 냉각팬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 유닛을 거쳐간 냉각수는 상기 흡기통로 상의 공기와 열교환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는 상기 제 1구간 또는 상기 제 2구간 내로 배출되게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을 나누어주는 격벽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유닛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나누어주는 세탁물 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유닛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의 내부의 상측에서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유닛은,
    상기 제 2구간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는,
    일측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 1수류 유도부; 및
    상기 일측의 반대측으로 하향 경사를 형성하는 제 2수류 유도부를 포함하고,
    냉각수는 상기 제 1수류 유도부를 따라 흐른 후 상기 제 2수류 유도부를 따라 흐르도록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간은, 상하 방향에 수직한 제 1방향으로의 폭이, 상하 방향 및 상기 제 1방향에 수직한 제 2방향으로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도부는,
    상기 제 2구간 내의 냉각수가 하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제 1방향의 양측으로 지그재그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장치.
  15.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세탁물이 담기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터브에서 유출되어 상기 터브로 재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순환통로와,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통로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흡기통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터브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
    상기 배기통로를 따라 흐르는 습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 유닛; 및
    상기 배기통로 내부에 발생하는 응축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응축수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통로는,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1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통로는, 상기 제 1구간의 하측부에서 유입구를 형성하고, 공기가 상측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제 2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 유닛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구간 및 상기 제 2구간을 나누어주는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70062475A 2017-05-19 2017-05-19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6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475A KR102360870B1 (ko) 2017-05-19 2017-05-19 세탁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475A KR102360870B1 (ko) 2017-05-19 2017-05-19 세탁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097A true KR20180127097A (ko) 2018-11-28
KR102360870B1 KR102360870B1 (ko) 2022-02-08

Family

ID=6456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475A KR102360870B1 (ko) 2017-05-19 2017-05-19 세탁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84B1 (ko) * 2020-06-26 2021-03-26 신용준 세탁물 건조기의 열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열 회수방법
WO2021228267A1 (zh) * 2020-06-30 2021-11-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干一体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890A (ja) * 2001-11-05 2003-05-13 Hitachi Ltd 洗濯乾燥機および水冷式熱交換器
JP2008023179A (ja) * 2006-07-24 2008-02-07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20170014587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890A (ja) * 2001-11-05 2003-05-13 Hitachi Ltd 洗濯乾燥機および水冷式熱交換器
JP2008023179A (ja) * 2006-07-24 2008-02-07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20170014587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84B1 (ko) * 2020-06-26 2021-03-26 신용준 세탁물 건조기의 열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열 회수방법
WO2021228267A1 (zh) * 2020-06-30 2021-11-1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洗干一体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70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7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9708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2119538B1 (ko) 의류건조기
KR102366933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10253247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US2020027079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6729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10124505A (ko) 세탁기와 그 물필터
KR102365081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109119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061711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JP2013226185A (ja) 洗濯乾燥機
KR101291276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80127097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120073583A (ko) 응축식 건조장치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8754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6517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43927B1 (ko) 세탁기
JP2009078068A (ja) 洗濯乾燥機
KR101028080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