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44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448A
KR20210111448A KR1020200026385A KR20200026385A KR20210111448A KR 20210111448 A KR20210111448 A KR 20210111448A KR 1020200026385 A KR1020200026385 A KR 1020200026385A KR 20200026385 A KR20200026385 A KR 20200026385A KR 20210111448 A KR20210111448 A KR 2021011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duct
unit
drum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찬
기성현
김진수
송기욱
황근배
전원주
유현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1448A/ko
Publication of KR2021011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06Mounting of mot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일측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고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덕트; 상기 드럼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임펠러 모터; 상기 임펠러 모터를 커버하는 차음 커버; 및 상기 차음 커버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모터를 감싸는 형태의 단순한 방음장치를 통해 우수한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모두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드럼에서 상기 덕트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이동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제1 열교환기와 제2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건조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드럼에 위치하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품의 개수가 적어 중량이 가벼워 하부에 지지구조의 강성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다.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를 금속재질을 이용하는 경우, 압축기부의 공냉이 불가능하고, 건조기 내부의 다습한 환경에서 부식의 우려가 있다. 또한,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상부에 실장하는 경우도 있어, 상대적인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베이스는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류처리장치에 실장되는 압축기, 열교환기, 팬 등의 주요 부품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위치하고, 고속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모터는 회전하면서 구동하기 때문에 큰 소음이 발생하고 의류처리장치의 전후면으로 방사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공보 제 2012-0049610는 가전기기 내부에 위치하며 공명효과를 통해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저감부를 개시하고 있으나, 제거 가능한 음역 대역이 좁아 넓은 대역의 소음을 흡수할 수 없고, 충분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흡음판의 흡음공이 많이 필요하여 많은 공간을 요구하게 된다.
한국 공개공보 제 2012-00496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의 하부 베이스 구조를 개선하여 소음을 차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고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덕트; 상기 드럼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임펠러 모터; 상기 임펠러 모터를 커버하는 차음 커버; 및 상기 차음 커버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임펠러 모터의 배면에 위치하는 원형의 배면부 및 상기 모터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배면부의 둘레에서 전면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구조체는 상기 차음 커버의 배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구조체는 상기 차음 커버의 측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메타구조체는 복수개의 공명기가 어레이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공명기는 내부에 캐비티를 포함하는 공명기 하우징 및 상기 공명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방음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공명기는 서로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복수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조체가 어레이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위 구조체는 상기 캐비티의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방음홀의 직경이 상이한 2이상의 공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명기는 제1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명기와 제2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제2 공명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명주파수와 상기 제2 공명주파수의 사이에서 최대의 흡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명기 하우징의 일면은 다른 면 보다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명기 하우징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음 커버의 평면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공명기 하우징은 이웃하는 하우징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명기 하우징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음 커버의 곡면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공명기 하우징은 이웃하는 공명기 하우징과 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공명기 하우징과 접하고, 나머지 면은 이웃하는 공명기 하우징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음커버는 상기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는 모터를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모터를 감싸는 형태의 단순한 방음장치를 통해 우수한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타겟하는 주파수의 방음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방음홀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주파수에 맞춰 튜닝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교환부 및 세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임펠러 모터에 결합된 차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차음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메타구조체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단위 구조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차음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차음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3),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한 뒤 상기 드럼(2)으로 재공급하는 열교환부(4)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드럼(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로 구비될 경우,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럼(2)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부(17), 및 상기 드럼(2)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1고정바디(171), 상기 제1고정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173),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제1개방면)에 삽입되는 제1지지바디(1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바디(171)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 및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구비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디(175)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서 상기 드럼 바디(21)를 향해 돌출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바디(175)의 지름은 상기 드럼 투입구(173)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 지름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 투입구(173)는 상기 제1지지바디(175)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지지부(17)는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173)를 연결하는 연결바디(17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는 상기 드럼 투입구(173)에서 상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177)에는 상기 덕트(3)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17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배출구(178)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공기가 상기 덕트(3)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상기 연결바디(177)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19)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191), 상기 제2고정바디(191)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제2개방면)에 삽입되는 제2지지바디(1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제2고정바디(19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상기 캐비닛(1)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198)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 및 상기 공기 유입구(198)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를 통해 회전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구동부가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모터(23),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25), 상기 풀리(25)의 원주면과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27)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17)에는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179)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19)에는 상기 드럼 바디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19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3)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에 연결된 배기덕트(31), 상기 공기 유입구(198)에 연결된 공급덕트(33), 상기 배기덕트와 공급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열교환부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할 수 있다.
열교환부(4)는 상기 덕트(3)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49),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41), 및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43)를 포함한다.
상기 팬(49)은 상기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 상기 임펠러(491)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491)는 상기 배기덕트(31), 연결덕트(35), 및 공급덕트(33) 중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임펠러(491)가 상기 공급덕트(33)에 구비된 경우(발열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너비 방향(Y축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의 너비 방향 또는 상기 연결덕트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41)와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상기 배기덕트(31)에서 상기 공급덕트(33)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덕트(3)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45)에 의해 상기 냉매관(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48)에는 상기 발열부(4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47)가 구비된다.
상기 흡열부(41)는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냉각시키고, 냉매는 증발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발열부(43)는 상기 압축기(45)를 통과한 냉매가 가진 열을 공기에 전달함으로써, 공기는 가열하고, 냉매는 응축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할 때 상기 흡열부(41)의 표면을 따라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모이게 될 것이다.
상기 흡열부(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제거된 물을 수집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집수부가 구비된다. 도 3은 상기 집수부(37)가 상기 연결덕트(35)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의 상기 집수부(371, 372)는 상기 연결덕트(3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내부와 연통하는 집수바디(3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1, 43)가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응축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에는 열교환기 지지부(3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372)는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41, 43)가 접촉하는 지지판(373), 상기 지지판(373)과 상기 집수바디(371)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375), 및 상기 지지판(37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판 관통홀(37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관통홀(376)은 상기 지지판(37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흡열부(41)가 지지되는 공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흡열부가 지지되는 공간 및 상기 발열부가 지지되는 공간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발열부(43)의 하부에도 지지판 관통홀(376)이 구비되면, 상기 지지판(373)을 따라 상기 발열부(43)로 이동한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로 배출 가능할 것이다(발열부가 물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열전달 효율의 저하를 방지).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배출되는 이물질(린트 등)이 상기 흡열부(41) 및 발열부(43)에 적층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여과부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구비된 제1여과부(5) 및 상기 배기덕트(31)에 구비된 제2여과부(8)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배기덕트(31)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여과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은 상기 제2여과부(8)에 구비된 여과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부(8)는 상기 공기 배출구(178)를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제4필터, 8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연결덕트(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인출되는 필터장착홀(113, 도 1참고) 및 상기 필터장착홀을 개폐하는 장착홀 도어(114)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3)에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삽입되는 덕트 관통홀(34, 도 3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여과부(5)를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한 뒤 제1여과부(5)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제1여과부의 세척이 가능하다.
도 1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여과부(5)는 상기 필터장착홀(113) 및 덕트 관통홀(34)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여과부(8)와 상기 흡열부(41) 사이에 위치하는 여과부 바디(51, 53, 57, 58), 및 상기 여과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41) 및 집수바디(371)로 이동하는 유체(공기 및 물)를 여과하는 필터(531, 551, 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여과부(5)는 상기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 또는 제2측면(58)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제1여과부(5)가 여과부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상부면 관통홀 및 제2측면(5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측면 관통홀을 통해 상기 배기덕트(3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여과부(5)를 세척하는 세척부(6), 및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바디(37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6)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1여과부(5)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필터(531), 제2필터(551), 제3필터(571), 및 흡열부(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세척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6)는 상기 덕트(3)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부(5)로 물을 공급하는 분사부(65),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이동시키는 펌프(6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61)는 제1연결관(611)을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에 연결되고,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분사부(65)에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펌프(61)만으로 상기 분사부(65) 및 상기 배수부(7)로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유로전환부(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전환부(63)는 상기 제2연결관(613)을 통해 상기 펌프(61)에 연결되고, 상기 분사부(65)는 분사부 공급관(631)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부(7)는 배수부 공급관(633)을 통해 상기 유로전환부(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63)에는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의 개폐 및 상기 배수부 공급관(6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유로전환부(63)에 구비된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분사부(65)로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배수부(7)로 공급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분사부(65)는 상기 연결덕트(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 공급관(631)이 연결되는 덕트 관통홀(651), 상기 덕트 관통홀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1필터(53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653), 상기 제1가이드(653)를 통해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6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이드(655)는 물이 상기 제1필터(531)를 거쳐 상기 흡열부(41)의 전방면에 공급되게 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필터(531)는 상기 제1여과부(5)가 상기 연결덕트(35)에 고정된 때 상기 제1가이드(653)와 상기 제2가이드(655)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655)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653)에는 가이드 관통홀(6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은 상기 제1가이드(653)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홀로, 상기 덕트 관통홀(651)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 관통홀(654)을 통해 상기 흡열부(41)의 전방영역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흡열부의 전방영역은 상기 흡열부(4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531)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영역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72), 상기 저장바디(72)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수부 공급관(63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저장바디(72)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72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되는 드로워 형태의 탱크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의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저장바디(72)가 삽입되는 배수부 장착홀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저장바디(72)의 전방면에는 패널(71)이 고정되는데, 상기 패널(71)은 상기 배수부 장착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방패널(11)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71)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홈(7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71)은 상기 저장바디(72)를 캐비닛에서 인출하거나 캐비닛으로 삽입하는 핸들의 기능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유입구(72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노즐(722a)에서 배출되는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22a)은 상기 저장바디(72)가 캐비닛(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캐비닛의 상부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부 공급관(633)은 상기 노즐(722a)과 상기 유로전환부(63)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배수부(7)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한 뒤 상기 저장바디(72)를 상기 유입구(722)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뒤집거나 기울임으로써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2) 내부의 물이 상기 유입구(722)를 통해 쉽게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바디(72)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72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집수바디(371)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집수부 수위감지부(91)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가 구비되면,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집수바디(37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72)로 이동시키는 시점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집수바디(371)의 물이 상기 연결덕트(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집수부 수위감지부(91)는 상기 집수바디(37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장치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전극으로 구비된(수위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전극들로 구비된) 센서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함으로써 열교환부(4)의 작동 중단 시점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건조도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는 의류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전극센서(95), 및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극센서는 상기 제1고정바디(17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의 의류에 접촉 가능한 제1전극(951) 및 제2전극(9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의류에 함유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므로(의류의 전기적 저항은 증가), 상기 두 전극(951, 953)이 의류를 통해 연결되었을 때 측정되는 전기적 저항을 관찰함으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 가능하다. 한편, 의류의 건조도가 높아질수록 덕트(3)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은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습도를 관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덕트(3)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9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96)는 상기 연결덕트(35)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필터(531)와 상기 제2필터(55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1)의 임펠러 모터(493)에 결합된 차음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팬(49)은 덕트(3)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491)와 임펠러(491)를 회전시키기 위해 덕트(3) 외부에 위치하는 임펠러 모터(493)를 포함한다. 임펠러 모터(493)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므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모터음은 의류처리장치(1)에서 방사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 모터(493)를 감싸는 차음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차음장치는 임펠러 모터(493)를 커버하는 차음커버(495)와 차음커버(495)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메타구조체(496)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모터(493)가 납작한 원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차음커버(495)는 임펠러 모터(493)의 형상에 상응한 배면부(4951)와 배면부(4951) 둘레에서 전면방향으로 돌출된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부(4951)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룰 수 있고, 측면부(4952)는 원형의 배면부(4951) 둘레를 따라 곡면을 형성하며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를 곡면이 아닌 직선으로 구성하기 위해 배면부(4951)를 다각형으로 구성하고 다각형의 각 변에서 연장된 판형 부재로 측벽부를 구성할 수 있다. 임펠러 모터(493)의 전면부는 임펠러와 연결되어야 하고 덕트와 접하고 있으므로 차음커버(495)는 배면부(4951)와 측면부(4952)만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차음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차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의(b)는 도 5의 (a)의 A-A단면도이다. 차음커버(495)의 내측에 메타구조체(496)를 배치할 수 있으며, 도 5의(b)와 같이 차음커버(495)의 배면부(4951)의 내측에 메타구조체(496)를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메타구조체(496)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의 (a)는 메타구조체(496)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의 (b)는 메타구조체(496)를 이루는 공명기(496r)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타구조체(496)는 복수개의 작은 공명기(496r)가 어레이를 이루며 배치된 구조체이다. 각 공명기(496r)는 내부에 캐비티를 포함하는 공명기 하우징(4961)과 공명기 하우징(4961)의 일면(4963)에 형성된 방음홀(4962)을 포함한다. 공명기 하우징(4961)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도 6의 (a)와 같이 어레이로 배치하기 위해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명기(496r)는 헬름홀츠 공명기의 일종으로 내부에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캐비티를 포함하고 일면(4963)에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는 방음홀(4962)을 포함하며, 공명주파수에 매칭되는 소리와 공진하여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공명주파수는 캐비티의 부피(V), 방음홀(4962)의 단면적(s) 및 방음홀(4962)의 길이(l)에 의해 결정된다. 육면체의 공명기 하우징(4961)의 캐비티 부피는 캐비티의 3 변의 길이의 곱(V=a x b x c)로 구할 수 있고, 방음홀(4962)의 단면적(s)는 반지름의 제곱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s=πr2). 방음홀(4962)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기 위해 도 6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기(496r) 일면(4963)의 두께는 다른 면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방음홀(4962)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방음홀(4962) 부분의 압력변화가 나타나며 압력변화가 최소인 주파수가 공명주파수가 된다. 방음홀(4962)의 변적이 클수록 높은 주파수에서 공진하고, 부피가 클수록 방음홀(4962)의 길이가 길수록 낮은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공식에 따라 공명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공명기(496r)를 이용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공명주파수 튜닝을 위해 캐비티의 부피, 방음홀(4962)의 길이 또는 방음홀(4962)의 면적을 조절해야하며, 캐비티의 부피는 공명기 하우징(4961) 자체를 재설계 해야 하고, 방음홀(4962)의 길이는 공명기 하우징(4961)의 일면(4963) 두께를 변경해야 한다. 방음홀(4962)의 크기는 공명기 하우징(4961)의 일면(4963)에 방음홀(4962) 가공시 조절할 수 있어, 공명주파수 튜닝을 위해 방음홀(4962)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복수개의 공명기(496r)가 어레이로 배치된 구조에서 공명기 하우징(4961)을 각각 다른 디자인으로 설계하는 경우 어레이 배치가 어렵거나 두께가 상이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각 공명기(496r)는 동일한 크기의 공명기 하우징(4961)을 가질 수 있고, 방음홀(4962)의 크기만 조절하여 공명주파수 튜닝을 수행할 수 있다.
메타구조체(496)를 이루는 모든 공명기(496r)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 경우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에 대응하는 소리만 제거할 수 있다. 제거하기 위한 소음의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 또는 2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공명기(496r)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단위 구조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의 (a)와 같이 2개의 공명기(496r)가 세트를 이루는 단위 구조체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7의(b)와 같이 4개의 공명기(496r)가 세트를 이루는 단위 구조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거하고자 하는 소음의 주파수(f0)보다 조금 높은 주파수의 제1 공명주파수(f1)를 가지는 제1 공명기(496r)와 조금 낮은 주파수의 제2 공명주파수(f2)를 가지는 제2 공명기(496r)를 포함하는 단위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제1 공명주파수(f1)를 가지는 제1 공명기(496r)와 상기 제1 공명주파수(f1)와 상이한 제2 공명주파수(f2)를 가지는 제2 공명기(496r)를 포함하는 단위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2가지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대역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 도 7의(b)와 같이 4개의 서로 다른 공명기(496r)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공명기(496r)와 제2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는 유사하고 제3 공명기(496r)와 제4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가 유사한 경우 제1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와 제2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 사이 대역의 제1 소음 및 제3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와 제4 공명기(496r)의 공명주파수 사이 대역의 제2 소음을 제거할 수 있다. 단위 구조체의 각 공명기(496r)는 동일한 크기의 공명기 하우징(4961)을 포함하고, 방음홀(4962)의 크기만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구조체를 이용한 특성 및 효과와 관련해서는 논문 "H. Ryoo and W. Jeon, "Dual-frequency sound-absorbing metasurface based on visco-thermal effects with frequency dependence," Jounal of applied physics 123, 115110 (2018)"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임펠러 모터에(493)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는 임페럴(491)의 날개수x rpm/60로 결정될 수 있는 바, 모터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메타구조체(496)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차음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a)는 차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의(b)는 도 8의 (a)의 B-B단면도이다. 도 5의 (b)와 같이 평면의 배면부(4951)에는 평면의 메타구조체(496)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다만, 차음커버(495)의 배면부(4951)가 원형인 경우 측면부(4952)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면의 메타구조체(496)를 이용할 수 없다. 곡면에 상응하여 메타구조체(496)를 배치하기 위해 도 8의 (b)와 같이 임펠러 모터(493)를 향하는 공명기(496r)의 일면(4963)의 변은 이웃하는 공명기(496r)와 맞닿고 차음커버(495)와 접하는 타면은 이웃하는 공명기(496r)와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는 공명기 하우징(4961)의 형상을 측면부(4952)의 곡률에 상응하여 일면(4963)의 크기는 타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측면부(4952)에 맞는 메타구조체(496)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차음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a)는 차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의(b)는 도 9의 (a)의 C-C단면도이다. 차음커버(495)의 배면부(4951)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측면부(4952)는 도 9(a)와 같이 평면을 가질 수 있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배면부(4951)에 형성된 메타구조체(496)와 같이 이웃하는 공명기(496r)와 접하도록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임펠러 모터(493)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임펠러 모터(493) 이외에 드럼의 회전을 위한 모터에도 적용 가능하고 모터 이외에 소음이 발생되는 압축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모터를 감싸는 형태의 단순한 방음장치를 통해 우수한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정 타겟하는 주파수의 방음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으며, 방음홀(4962)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주파수에 맞춰 튜닝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1: 투입구 112: 도어
113: 필터장착홀 114: 장착홀 도어
117: 컨트롤패널 16: 락 체결부
17: 제1지지부 171: 제1고정바디
173: 드럼 투입구 175: 제1지지바디
177: 연결바디 178: 공기 배출구
19: 제2지지부 191: 제2고정바디
198: 공기 유입구 195: 제2지지바디
2: 드럼 21: 드럼 바디
23: 모터 25: 풀리
27: 벨트 3: 덕트
31: 배기덕트 33: 공급덕트
34: 덕트 관통홀 35: 연결덕트
37: 집수부 371: 집수바디
372: 열교환기 지지부 373: 지지판
375: 스페이서 376: 지지판 관통홀
4: 열교환부 41: 흡열부
43: 발열부 45: 압축기
47: 압력조절기 48: 냉매관
49: 팬 491: 임펠러
493: 임펠러 모터 495: 차음커버
4951: 배면부 4952: 측면부
496: 메타구조체 496u: 단위 구조체
496r: 공명기 4961: 공명기 하우징
4962: 방음홀 5: 제1여과부
513: 락(lock) 531: 제1필터
551: 제2필터 57: 제1측면
571: 제3필터 58: 제2측면
8: 제2여과부 81: 프레임
83: 제4필터 6: 세척부
61: 펌프 611: 제1연결관
613: 제2연결관 63: 유로전환부
631: 분사부 공급관 633: 배수부 공급관
65: 분사부 651: 덕트 관통홀
653: 제1가이드 654: 가이드 관통홀
655: 제2가이드 7: 배수부
71: 패널 711: 홈
72: 저장바디 721: 연통홀
722: 유입구 722a: 노즐
91: 집수부 수위감지부 95: 건조도 감지부
951: 제1전극 953: 제2전극
96: 온도감지부

Claims (12)

  1. 일측에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고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된 덕트;
    상기 드럼의 공기를 상기 덕트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임펠러 모터;
    상기 임펠러 모터를 커버하는 차음 커버; 및
    상기 차음 커버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메타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임펠러 모터의 배면에 위치하는 원형의 배면부 및
    상기 모터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상기 배면부의 둘레에서 전면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구조체는 상기 차음 커버의 배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메타구조체는 상기 차음 커버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구조체는 복수개의 공명기가 어레이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공명기는
    내부에 캐비티를 포함하는 공명기 하우징 및 상기 공명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방음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명기는
    서로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복수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단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구조체가 어레이를 이루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구조체는 상기 캐비티의 크기가 동일하고, 상기 방음홀의 직경이 상이한 2이상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는
    제1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제1 공명기와 제2 공명주파수를 가지는 제2 공명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명주파수와 상기 제2 공명주파수의 사이에서 최대의 흡음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 하우징의 일면은 다른 면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 하우징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음 커버의 평면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공명기 하우징은 이웃하는 하우징과 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 하우징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음 커버의 곡면부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공명기 하우징은 이웃하는 공명기 하우징과 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공명기 하우징과 접하고, 나머지 면은 이웃하는 공명기 하우징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음 커버는 상기 덕트의 외부에 위치하는 모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26385A 2020-03-03 2020-03-03 의류처리장치 KR20210111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85A KR20210111448A (ko) 2020-03-03 2020-03-03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385A KR20210111448A (ko) 2020-03-03 2020-03-0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48A true KR20210111448A (ko) 2021-09-13

Family

ID=7779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385A KR20210111448A (ko) 2020-03-03 2020-03-0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144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10A (ko) 2010-11-09 2012-05-17 정래식 세라믹이 적용된 탄소 용접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10A (ko) 2010-11-09 2012-05-17 정래식 세라믹이 적용된 탄소 용접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582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9265183B2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U2016384523B9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U201926703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US9316440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957482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11144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19835A (ko) 소음저감장치 및 전자장치
CN113322633B (zh) 衣物处理装置
KR20210128703A (ko) 의류 건조기
KR10234023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8091A (ko) 건조 볼 및 건조 볼이 구비된 건조기
KR101191212B1 (ko) 세탁장치
CN116219708A (zh) 衣物处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