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195B1 -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195B1
KR102340195B1 KR1020210056539A KR20210056539A KR102340195B1 KR 102340195 B1 KR102340195 B1 KR 102340195B1 KR 1020210056539 A KR1020210056539 A KR 1020210056539A KR 20210056539 A KR20210056539 A KR 20210056539A KR 102340195 B1 KR102340195 B1 KR 102340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late
rail
sole
grouting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찬
류흥원
Original Assignee
세윤종합건설주식회사
부산항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윤종합건설주식회사, 부산항만공사 filed Critical 세윤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10)의 하부웨브를 파지하는 좌우측 클립(21, 22)과;
상기 좌우측 클립(21, 22) 하부에 설치되는 솔 플레이트(30)와;
상기 솔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그라우팅(40)과;
상기 좌우측 클립, 솔플레이트, 그라우팅은 앙카볼트(5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앙카볼트 상부는 너트로 체결되며 하부는 수평으로 구부러져 움직이지 않게 체결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침하 및 변형 발생시 기존그라우트를 제거하지않고도 신속히 보수가 가능하며,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시공비가 절약되고, 공기단축으로 인해 부두의 기능을 조속히 회복하며, 부분보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경비가 저렴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Rail installation system for rail type gantry crane (RMGC) using complex SOLE PLATE}
본발명은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하 및 변형 발생시 기존 그라우팅부를 제거하지 않고 신속히 보수가 가능하며,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시공비가 절약되고, 공기단축으로 인해 부두의 기능을 조속히 회복하며, 부분보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경비가 저렴해지는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방식의 sole plate를 사용하여 설치하면 sole plate 변형이 발생한다. 곧 상부하중으로 인해 sole plate표면에 약1.5mm가량 침하변형이 발생하며, 인상철판보강시도 내부공극이 발생한다.
그리고 패드이탈 및 부분마모가 발생하는 것으로, 곧 패드의 이탈 및 부분마모가 발생하여, 패드교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잔류 침하 진행으로 인한 레일의 처짐이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 신축이음부에서 발생하다. 그리고 인근 테라밋용접부에서 파단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기초의 측방이동에 따른 레일의 변형 및 마모현상이 발생한다. RAIL SPAN변형이 최대 ±2cm정도 발생된다.
그리고 종래특허기술의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1296호에는 구동바퀴를 구비한 크레인의 수평이동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마련되는 크레인용 레일 시스템에 있어서 :
상기 크레인의 구동바퀴와 접촉하는 주행레일 ;
상기 주행 레일의 저면에 마련되는 하부 플레이트 ;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마련되는 그라우팅부 ;
상기 주행레일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마련되는 레일 클립 ;
상기 레일 클립,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그라우팅부를 관통하여 하부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되며, 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직선 형태의 앵커 볼트 ;
상기 앵커 볼트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레일 클립을 고정하는 고정용 너트 ;
상기 앵커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수평조절용 너트 ;
상기 앵커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1조정너트 ;
상기 앵커 볼트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조정너트 ;
상기 제1조정너트와 상기 제2조정너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조정너트와 상기 제2조정너트에 의하여 지지되며, 중앙부에 상기 앵커 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위치되는 저항판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조정너트는 상기 저항판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조정너트의 외주면 상부에 지지용 홈부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용 홈부에 상기 저항판의 삽입공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크레인용 레일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01753호에는 노반(30)위에 자갈도상(32) 및 침목(34)이 설치되고 그 위에 통상의 크레인 레일(36)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침목(34)대신 PC연속블록 유닛구조(10)를 연속기초형태로 설치하되 그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길이방향의 전ㆍ후면에는 요철부(11)와 요입홈(12)가 형성되어있으며 상면부(13)에는 크레인 레일(36)을 따라 소울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있고 배면부(15)에는 그라우팅 유도로(16)가 길이방향에 걸쳐 형성되어있으며 다수의 그라우팅 주입홀(17)은 크레인 레일(36)을 사이에 두고 상면부(13)에서 수직상으로 배면부(15)까지 관통되어있으면서 상기 그라우팅 유도로(16)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소울플레이트(14)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케이블트렌치(18)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및 화물야적 장비용 크레인 레일지지용 PC연속블록 유닛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침하 및 변형 발생시 보수가 느리며, 패드의 이탈이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시공비가 많이 들고 유지보수경비가 비싼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침하 및 변형 발생시 신속히 보수가 가능하며,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시공비가 절약되고, 공기단축으로 인해 부두의 기능을 조속히 회복하며, 부분보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경비가 저렴해지는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10)의 하부웨브를 파지하는 좌우측 클립(21, 22)과;
상기 좌우측 클립(21, 22) 하부에 설치되는 솔 플레이트(30)와;
상기 솔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그라우팅(40)과;
상기 좌우측 클립, 솔플레이트, 그라우팅은 앙카볼트(5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앙카볼트 상부는 너트로 체결되며 하부는 수평으로 구부러져 움직이지 않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침하 및 변형 발생시 신속히 보수가 가능하며,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시공비가 절약되고, 공기단축으로 인해 부두의 기능을 조속히 회복하며, 부분보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경비가 저렴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상부하중으로 인해 sole plate표면에 침하변형발생상태도
도 3은 종래 패드의 이탈 및 부분마모 발생상태도
도 4는 종래 잔류침하에 따른 레일침하 상태도(주로 콘크리트 신축이음부에서 주로 발생)
도 5는 본발명의 복합SOLE PLATE 단면도
도 6은 종래 SOLE PLATE 평면도
도 7은 종래 SOLE PLATE 정면도
도 8은 종래 SOLE PLATE 측면도
도 9는 본발명 복합 SOLE 기본형 PLATE 평면도
도 10은 본발명 복합 SOLE 기본형 SOLE PLATE 정면도
도 11은 본발명 복합 SOLE 기본형 SOLE PLATE 측면도
도 12는 본발명 복합 SOLE 인상형 PLATE 평면도
도 13은 본발명 복합 SOLE 인상형 SOLE PLATE 정면도
도 14는 본발명 복합 SOLE 인상형 SOLE PLATE 측면도
도 15은 본발명 복합 SOLE 레일보수 시공순서도
도 15a,15b, 15c, 15d는 도 15의 상세순서도
도 16은 본발명 복합 SOLE 레일설치 시공도(신규)
도 17은 본발명 복합 SOLE 레일보수 시공도(보수)
본발명은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일(10)의 하부웨브를 파지하는 좌우측 클립(21, 22)과;
상기 좌우측 클립(21, 22) 하부에 설치되는 솔 플레이트(30)와;
상기 솔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그라우팅(40)과;
상기 좌우측 클립, 솔플레이트, 그라우팅은 앙카볼트(5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앙카볼트 상부는 너트로 체결되며 하부는 수평으로 구부러져 움직이지 않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는 일자형, 좌우일체형, 수평형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하부와 솔 플레이트(30) 사이에는 패드(6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솔 플레이트(30) 하부에 맞닿는 앙카볼트(50)몸체에는 레벨링너트(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 플레이트(30)는 기본형 솔플레이트(31)와 인상형 솔플레이트(32)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형 솔플레이트(31)가 하부에 위치하고 인상형 솔플레이트(32)가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사각형 판재 후방 좌우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되며, 저낭 좌우측에도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후방 좌우측 구멍간의 거리가 전방좌우측 구멍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타원형이며, 상기 전후방 좌우측 구멍들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중간위치에 좌우측 체결용 구멍이 둥근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 상부하중으로 인해 sole plate표면에 침하변형발생상태도, 도 3은 종래 패드의 이탈 및 부분마모 발생상태도, 도 4는 종래 잔류침하에 따른 레일침하 상태도(주로 콘크리트 신축이음부에서 주로 발생), 도 5는 본발명의 복합SOLE PLATE 단면도, 도 6은 종래 SOLE PLATE 평면도, 도 7은 종래 SOLE PLATE 정면도, 도 8은 종래 SOLE PLATE 측면도, 도 9는 본발명 복합 SOLE 기본형 PLATE 평면도, 도 10은 본발명 복합 SOLE 기본형 SOLE PLATE 정면도, 도 11은 본발명 복합 SOLE 기본형 SOLE PLATE 측면도, 도 12는 본발명 복합 SOLE 인상형 PLATE 평면도, 도 13은 본발명 복합 SOLE 인상형 SOLE PLATE 정면도, 도 14는 본발명 복합 SOLE 인상형 SOLE PLATE 측면도이다.
본발명은 레일(10)의 하부웨브를 파지하는 좌우측 클립(21, 22)과;
상기 좌우측 클립(21, 22) 하부에 설치되는 솔 플레이트(30)와;
상기 솔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그라우팅(40)과;
상기 좌우측 클립, 솔플레이트, 그라우팅은 앙카볼트(5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앙카볼트 상부는 너트로 체결되며 하부는 수평으로 구부러져 움직이지 않게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레일 하부와 솔 플레이트(30)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충격을 흡수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60)가 설치된다.
또한, 솔 플레이트(30) 하부에 맞닿는 앙카볼트(50)몸체에는 레벨링너트(70)가 설치되어 좌우회전에 의해 승하강 조정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상기 솔 플레이트(30)는 기본형 솔플레이트(31)와 인상형 솔플레이트(32)로 구분된다. 기본형 솔플레이트(31)가 하부에 위치하고 인상형 솔플레이트(32)가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솔플레이트는 직사각형 판재 전방 좌우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하로 관통되며, 후방 좌우측에도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후방 좌우측 구멍간의 거리가 전방 좌우측 구멍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구멍은 타원형이며, 상기 전후방 좌우측 구멍들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중간위치에 좌우측 체결용 구멍이 둥근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처음 레일시공시 좌우측 체결용 구멍에 앵커볼트가 체결되며, 시간이 흐른뒤 솔 플레이트, 패드가 변형되면, 솔 플레이트를 보수 시공하되, 변형된 좌우측 체결용 구멍에 앵커볼트는 그대로 두고 전후방 좌우측 구멍들 사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로 새로운 앵크볼트를 체결한다. 이때 전후방 좌우측 구멍들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솔 플레이트 위치가 변형된 길이만큼 충분히 보상되어 앵커볼트 체결이 용이하게 한다.
본발명의 솔 플레이트 최수두께는 22mm이상으로 한다.
60mm이상 인상시 필요에 따라 추가볼트를 삽입한다. 솔 플레이트 변형이 발생한 경우 반드시 보강용 에폭시를 충진한다. 인상용 솔플레이트는 반드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례로서 복합 솔 플레이트 보수 시공순서도는 다음과 같다.도 15은 본발명 복합 SOLE 레일보수 시공순서도, 도 15a, 15b, 15c, 15d는 도 15의 상세순서도, 도 16은 본발명 복합 SOLE 레일설치 시공도(신규), 도 17은 본발명 복합 SOLE 레일보수 시공도(보수)이다.
작업구간내 현황측량, 솔 플레이트 공장제작한다.
이 후 침하 및 변형발생 시 클립을 해체한다. 이 후 솔 플레이트 위에 설치된 레일을 중심으로 후방좌측구멍 또는 후방우측구멍을 관통하여 그라우팅에 앙카볼트가 결합될 구멍을 천공하고, 전방좌측구멍 또는 전방우측구멍을 관통하여 그라우팅에 앙카볼트가 결합될 구멍을 천공한다.
이때, 솔 플레이트의 후방좌측구멍을 천공하면 전방우측구멍을 천공하고, 솔 플레이트의 후방우측구멍을 천공하면 전방좌측구멍을 천공하여 균형이 잡히게 한다.
이 후 솔 플레이트 설치한다.
이후 레일 및 클립을 재설치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기본형 솔 플레이트 상면에는 일자형 홈이 형성되고, 인상형 솔 플레이트 하면에는 일자형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상형 솔 플레이트위에 기본형 솔 플레이트가 결합되면 전후좌우로 어긋나지 않고 확실하게 결합되게 한다. 특히 기본형 솔플레이트와 인상용 솔플레이트 사이에 보강용 에폭시를 충진한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인상형 솔 플레이트에는 기울기감지센서가 설치되어, 기울기감지센서에서 별도로 설치되는 제어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치시보다 일정기울기 이상 기울어지면, 제어기의 제어부는 얼람수단인 스피커를 작동하거나, 제어기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어, 제어기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비상신호를 발송한다. 한편, 상기 앙카볼트에는 파단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앙카볼트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으로, 지진등이나 침하에 의해 앙카볼트가 파손되면 파단감지센서에서 측정하는 전류나 저항값이 달라지므로, 제어부는 전송받은 전기신호가 일정치 이상 달라지면, 앙카볼트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고, 얼람수단인 스피커를 작동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비상신호를 발송한다. 한편, 기울기감지센서와 파단감지센서의 값이 모두 설정치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크레인전복의 위험이 있으므로, 관리서버에 통신을 통해 위험을 알리고, 크레인의 운전을 중지시킨후 보수토록 한다. 비교데이타들은 제어기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또는 제어기와 연동되는 원격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측정데이타들과 비교하여 판단하게 한다. 또한 본발명 솔플레이트에는 수분감지센서가 부착된다. 그러므로 침수시 또는 침하에 따른 침수시, 수분감지센서는 제어부에 침수상황을 신호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일정수치 이상일 경우 침수상태로 판단하여,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비상신호를 발송한다. 이때 제어부는 침수시간을 저장한다. 그러므로 일정시간 침수가 계속될 경우, 또는 일정시간 침수가 반복될 경우 합산시간을 계산하여 패드 등의 노후화를 예상하여, 패드의 정비기간을 단축하거나, 패드의 사용수명을 앞당겨 교체시간을 앞당기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침하 및 변형 발생시 기존그라우트를 제거하지않고도 신속히 보수가 가능하며, 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고, 교체가 용이하며, 시공비가 절약되고, 공기단축으로 인해 부두의 기능을 조속히 회복하며, 부분보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경비가 저렴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레일 21, 22 : 좌우측 클립
30 : 솔 플레이트 31 : 기본형 솔 플레이트
32 : 인상형 솔 플레이트 40 : 그라우팅
50 : 앙카볼트 1, 2 : 전방 좌우측 구멍
3, 4 : 후방 좌우측 구멍 5, 6 : 좌우측 체결용 구멍
60 : 패드 70 : 레벨링 너트
100 : 레일 210, 220 : 좌우측 클립
300 : 솔 플레이트 400 : 그라우팅
500 : 앙카볼트 600 : 패드
700 : 레벨링 너트

Claims (3)

  1. 레일(10)의 하부웨브를 파지하는 좌우측 클립(21, 22)과;
    상기 좌우측 클립(21, 22) 하부에 설치되는 솔 플레이트(30)와;
    상기 솔 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되는 그라우팅(40)과;
    상기 좌우측 클립, 솔플레이트, 그라우팅은 앙카볼트(50)에 의해 상하로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레일 하부와 솔 플레이트(30) 사이에는 패드(60)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솔 플레이트(30)는 기본형 솔플레이트(31)와 인상형 솔플레이트(32)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056539A 2021-04-30 2021-04-30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KR102340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539A KR102340195B1 (ko) 2021-04-30 2021-04-30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539A KR102340195B1 (ko) 2021-04-30 2021-04-30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195B1 true KR102340195B1 (ko) 2021-12-17

Family

ID=7903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539A KR102340195B1 (ko) 2021-04-30 2021-04-30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344B1 (ko) * 2022-05-26 2023-04-27 주식회사 위드건설산업 항만 크레인의 주행레일 고정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00Y1 (ko) * 2004-05-06 2004-08-21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시스템
KR200444991Y1 (ko) * 2009-02-03 2009-06-19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 시스템
KR20150064411A (ko) * 2013-12-03 2015-06-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KR20190014007A (ko) * 2019-01-18 2019-02-11 권순경 크레인 레일 기초 고정용 높이 조절 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00Y1 (ko) * 2004-05-06 2004-08-21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시스템
KR200444991Y1 (ko) * 2009-02-03 2009-06-19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레일 시스템
KR20150064411A (ko) * 2013-12-03 2015-06-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KR20190014007A (ko) * 2019-01-18 2019-02-11 권순경 크레인 레일 기초 고정용 높이 조절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344B1 (ko) * 2022-05-26 2023-04-27 주식회사 위드건설산업 항만 크레인의 주행레일 고정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24617A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2340195B1 (ko)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CN109537440B (zh) 一种桥台引道结构
CN105133493A (zh) 一种适合中小跨度桥梁的嵌入式轨道结构及施工方法
CN108797388B (zh) 提高空心板梁桥承载力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40206B1 (ko)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 및 보수 시공방법
CN211947932U (zh) 一种适用于中小跨径桥梁的新型柔性伸缩装置
CN111501428A (zh) 一种直埋扣件及其施工方法
CN108951658A (zh) 一种基于主动控制的深基坑型钢支护系统
CN112942945A (zh) 一种装配式榫卯牛腿型梁柱节点连接装置
KR102410127B1 (ko) 항만 크레인용 레일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교체형 클립 설치방법
CN209066443U (zh) 一种基于主动控制的深基坑型钢支护系统
KR20220138563A (ko)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 및 보수 시공방법
CN212247672U (zh) 一种便于调整的组装式无砟轨道
KR20220138564A (ko) 복합 SOLE PLATE를 이용한 레일형 갠트리 크레인(RMGC: Rail Mounted Gantry Crane)용 레일 설치시스템
CN213093779U (zh) 一种市政道路管线保护装置
CN205012221U (zh) 一种适合中小跨度桥梁的嵌入式轨道结构
CN212404649U (zh) 一种易组装和调整的轨道结构
CN114197303A (zh) 一种桥梁临时伸缩缝施工方法
CN203603045U (zh) 新型加劲橡胶条桥梁伸缩缝结构
CN107338722B (zh) 装配式防落梁结构、防落梁装置及桥梁
CN219385853U (zh) 一种可快速修复的装配式路面
CN212247678U (zh) 一种具有滑动功能的桩板结构及路基系统
CN205474815U (zh) 多向变位伸缩装置以及桥梁
CN217026510U (zh) 一种螺钉锚固式有轨电车用扣件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