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514B1 -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514B1
KR102339514B1 KR1020140170754A KR20140170754A KR102339514B1 KR 102339514 B1 KR102339514 B1 KR 102339514B1 KR 1020140170754 A KR1020140170754 A KR 1020140170754A KR 20140170754 A KR20140170754 A KR 20140170754A KR 102339514 B1 KR102339514 B1 KR 10233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pact
image
image storag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412A (ko
Inventor
하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5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 여부 및 차량 전원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주차여부판단부,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충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출력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Apparatus for video record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주차 중인지를 판단하여 차량이 주차 중이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면 충격 임계값 초과한 때 전후의 시간 범위에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이 급속도로 급증하면서 차량과 차량 또는 차량과 보행자 간의 사고가 증가 추세에 있다. 대부분의 차량은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 주변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장비를 갖추는 것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그런데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항시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차량을 장시간 주차하는 경우 항시 전원을 장비에 연결하여 동작시키는 것은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영상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의 수명을 조기 종료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최근에는 차량 영상을 출력하되 차량에 사고라고 할 수 있는 충격이 존재할 때 운전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의 영상을 저장하는 기술이 연구 중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주차 중인지를 판단하여 차량이 주차 중이면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면 충격 임계값 초과한 때 전후의 시간 범위에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 여부 및 차량 전원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고려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주차여부판단부,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충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출력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감지부는 x축, y축 및 z축 3 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충격을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해서 획득한 데이터를 각각 평균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산출하고, 설정된 상기 시간 동안 획득한 상기 3 축의 데이터를 각각 평균하여 산출된 상기 차량의 현재 주차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임계값을 산출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함 및 상기 차량 전원의 동작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될 때 상기 영상저장부는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
삭제
삭제
상기 영상저장부는 상기 충격 임계값이 초과된 시점 전후의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
기타 실시례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 여부 및 차량 전원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고려함으로써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주차된 차량에 가해지는 경미한 충격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출력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플래시메모리가 항상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여 메모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막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례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에 따른 충격감지부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례들에 의하여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는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 충격감지부(200), 영상출력부(300) 및 영상저장부(400)를 포함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Smartkey) 존재 여부 및 차량 전원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아니면 주차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ACC(ACCessory) 전원의 동작 여부를 고려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ACC 전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이용한다. ACC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ADC는 '0'값을 출력하고,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하여 '0'값을 수신하여 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스마트키가 발신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스마트키가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전파를 방사하여 스마트키가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스마트키가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함 및 차량 전원의 동작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될 때 영상저장부(400)는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차량 주변에 스마트키가 존재하거나 차량 전원이 동작하는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황이면 영상저장부(400)는 영상출력부(300)가 출력하는 차량 주변 영상을 항시 저장한다. 차량주차여부판단부(100)는 차량 전원이 오프 상태이고 동시에 스마트키가 차량 주변에 존재하지 않으면 차량이 주차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충격감지부(200)는 주차 중에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차량이 주차 중인 상태에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보통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먼저 산출하고, 그에 더욱 더해지는 충격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주차된 차량에 가해진 충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는 3축(x축, y축 및 z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는 3축 가속도 센서가 감지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는 x축, y축 및 z축 3 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충격을 감지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한 x축, y축 및 z축 3 축의 데이터를 각각 평균하여 산출된 차량의 현재 주차 상태를 고려하여 충격 임계값을 산출한다.
충격감지부(200)의 평균값에 더해지는 설정된 값은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의 평균값에 더해지는 설정된 값은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가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보다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는 주차 중에 더 작은 값을 설정된 값으로 하여 경미한 충격을 인식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모니터링한다. 충격감지부(200)가 충격을 감지하는 과정은 도 2에서 추후 설명한다.
영상출력부(300)는 차량의 주변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출력부(300)는 차량의 전방, 측방 및 후방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300)는 차량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의 주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300)는 출력한 영상을 버퍼 메모리에 설정된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출력부(300)의 버퍼 메모리는 램(RAM)일 수 있다.
영상저장부(400)는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출력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 영상저장부(4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외부 및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저장부(40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일 수 있다.
영상저장부(400)는 충격 임계값을 초과한 시점 전후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 영상저장부(400)는 충격 임계값 초과 시점 전후의 15초 동안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은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바꿀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에 따른 충격감지부(200)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충격감지부(200)의 3축 가속도 센서가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충격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
충격감지부(200)는 설정된 시간(N) 동안 각각의 축 방향에 따른 충격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한다(S110).
충격감지부(200)는 x축, y축 및 z축에서 각각 산출된 평균값에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에 사고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정도의 설정된 값을 더하여 충격 임계값을 설정한다(S120). 여기서 충격감지부(200)는 산출된 평균값에 차량에 영향을 주는 바람 등의 요인을 배제하기 위한 설정된 값을 더한다. 충격감지부(200)의 평균값에 더해지는 설정된 값은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의 평균값에 더해지는 설정된 값은 차량이 주차 중인 경우가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보다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충격감지부(200)는 주차 중에 더 작은 값을 설정된 값으로 하여 경미한 충격을 인식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x축, y축 및 z축 방향에서 감지된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계속하여 모니터링한다(S130).
충격감지부(200)는 감지된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140). 충격감지부(200)는 x축, y축 및 z축 3 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충격을 감지한다. 충격감지부(200)는 설정된 시간 동안 획득한 x축, y축 및 z축 3 축의 데이터를 각각 평균하여 산출된 차량의 현재 주차 상태를 고려하여 충격 임계값을 산출한다.
충격감지부(200)는 감지된 충격이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면 차량에 충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50).
충격감지부(200)는 영상저장부(400)에 영상 저장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저장부(400)는 충격 임계값이 초과된 시점 전후의 설정된 시간 동안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한다(S160). 일실시례에 따른 영상저장부(400)는 충격 임계값 초과 시점 전후의 15초 동안의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은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바꿀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차량주차여부판단부
200 : 충격감지부
300 : 영상출력부
400 : 영상저장부

Claims (5)

  1.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 여부 및 차량 전원의 동작 여부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고려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주차여부판단부;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설정된 충격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상기 충격 임계값을 초과할 때 상기 출력된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감지부는 x축, y축 및 z축 3 축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충격을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해서 획득한 데이터를 각각 평균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상태를 산출하고, 설정된 상기 시간 동안 획득한 상기 3 축의 데이터를 각각 평균하여 산출된 상기 차량의 현재 주차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임계값을 산출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차여부판단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스마트키 존재함 및 상기 차량 전원의 동작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판단될 때 상기 영상저장부는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저장부는 상기 충격 임계값이 초과된 시점 전후의 상기 차량의 주변 영상을 저장하는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KR1020140170754A 2014-12-02 2014-12-02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KR10233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54A KR102339514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754A KR102339514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12A KR20160066412A (ko) 2016-06-10
KR102339514B1 true KR102339514B1 (ko) 2021-12-16

Family

ID=56190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754A KR102339514B1 (ko) 2014-12-02 2014-12-02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701B1 (ko) * 2017-06-14 2022-06-15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차량 충격의 알림을 수행하는 주차 충격 감지 장치 및 주차 충격 감지장치를 이용한 차량 충격 알림 방법
KR20220151987A (ko) * 2021-05-07 2022-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영상기록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41B1 (ko) * 2006-09-05 2007-10-15 문성호 차량주차 접촉 감시장치
KR101043936B1 (ko) * 2010-02-11 2011-06-30 예성 주식회사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주차모드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157052B1 (ko) * 2011-09-20 2012-07-11 주식회사 미동전자통신 주차중 움직임감지를 통한 영상 저장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46B1 (ko) * 2009-06-22 2011-06-07 엠텍비젼 주식회사 가변 임계값을 이용한 이벤트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1807515B1 (ko) * 2011-09-06 2017-12-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랙박스와 연동하는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웰컴 라이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41B1 (ko) * 2006-09-05 2007-10-15 문성호 차량주차 접촉 감시장치
KR101043936B1 (ko) * 2010-02-11 2011-06-30 예성 주식회사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주차모드 전환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157052B1 (ko) * 2011-09-20 2012-07-11 주식회사 미동전자통신 주차중 움직임감지를 통한 영상 저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12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909B2 (en) Vector-based driver assistance for towing vehicle
CN110154949B (zh) 防止尾门与联结附件碰撞的方法和装置
US9868422B2 (en) Control apparatus of brak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253603A1 (en) Image-capture device state monitoring device, image-capture device stat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04529A (ko) 무선 스위치 트리거링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339514B1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JP2014236492A (ja) 車両用監視システム
KR20110087736A (ko) 차량 블랙박스 시스템의 물체 근접 영상 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1482029B1 (ko) 차량 주변의 감시를 통한 차량관리 시스템
KR10211175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4197B1 (ko) 차량용 블랙박스
KR101655524B1 (ko) 리어범퍼 멀티 캐리어를 구비한 차량의 후방 경고 방법
JP2018181226A (ja) セキュリティ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186163B2 (ja) 衝突検知システム
KR20130079793A (ko) 진동센서 및 충격센서 감지수단을 통한 차량용 배터리 상시전원 제어장치
KR102268106B1 (ko) 무선 수신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후방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00011180A (ko) 외부 영상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7233477A (ja) 車両用警報装置
KR20140000486A (ko) 장애물 감지 기능을 이용한 차량용 영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
CN104057874A (zh) 一种基于红外线侦测距离的倒车警示装置及其警示方法
JP5902051B2 (ja) 画像監視装置、車両、プログラム、および故障判別方法
KR101633667B1 (ko) 화물차 전용 블랙박스
JP2007253781A (ja) 車載表示システム
KR101568090B1 (ko) 침입 감지 장치, 침입 감지 방법 및 침입 감지 시스템
US20230219501A1 (en) Trailer backup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