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391B1 -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 Google Patents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391B1
KR102339391B1 KR1020200039216A KR20200039216A KR102339391B1 KR 102339391 B1 KR102339391 B1 KR 102339391B1 KR 1020200039216 A KR1020200039216 A KR 1020200039216A KR 20200039216 A KR20200039216 A KR 20200039216A KR 102339391 B1 KR102339391 B1 KR 102339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ttern block
pattern
protrus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853A (ko
Inventor
조성홍
Original Assignee
조성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홍 filed Critical 조성홍
Priority to KR102020003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39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는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조적을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는 문양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블록본체와 문양블록에 형성되어 조적시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록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문양블록고정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pattern block height adjustable block assembly}
본 발명은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적 시 본체블록에 대해 문양블록의 높이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문양블럭의 다양한 패턴과 색상의 구현이 가능한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은 건물의 건축, 담장 또는 지형공사인 토목공사의 옹벽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블록의 재질은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적당한 크기의 돌, 양생 과정을 거쳐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가능한 몰타르 또는 콘크리트, 흙, 황토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옛궁궐 꽃담은 화려하되 야하지 않고 은근한 한국 고유의 멋을 풍기므로 타일형 전돌, 전돌(구운벽돌), 사괴석(화강석) 등을 블록에 적용하여 다양한 패턴의 블록 즉, 전돌 전통문양블록, 평형전통문양블록, 눈썹전통문양블록, 회문 전통문양블록, 귀갑문 전통분양블록, 완자 전통문양블록, 수파문 전통문양블록, 사괴석 전통 문양블록 등이 제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블록의 표면은 다양한 문양패턴과 질감을 구현하여 시각적인 면이 강조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내, 외벽체에 적용 시 장식적인 면이 강조될 수 있도록 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고 제1995-1582호에는 장식판이 있는 블록 성형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9-120864호에는 윈도우 블록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1-0113241호에는 장식블록의 성형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291223호에는 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미세 패턴 형성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98674호에는 연동된 건축용 블록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00-0016300호에는 건축용 조립식 블록이 게시되어 있다. 건축용 조립식 블록은 장방형으로 형성된 블록의 상면과 양측면에 요홈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면의 요홈에는 중앙부에 4각 통공과 전, 후 양측에 상호 대응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블록의 저면에는 양측면 요홈과 연이어 상기 상면 요홈의 전, 후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건축용 조립식 블록은 블록을 상호 결합할 수 있으나 형성된 돌출부의 돌출 높이를 임으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조적패턴에 의해 다양한 입체적인 문양을 구현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블록들은 문양의 패턴이 조적되는 블록의 표면에 의해 구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장식용으로의 적용 시 적용분야가 극히 한정적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고 제1995-1582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9-120864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1-0113241호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2000-001630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럭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문양패턴의 구현이 가능한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본체의 하면에 다짐력을 높일 수 있으며, 문양블록의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실내장식의 인테리어 및 건축물의 내, 외벽에 조명과 같이 시공하여 시인성과, 인테리어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 건물의 외벽과 내벽의 시공 시 장식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 한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럭의 지지고정을 위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는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조적을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는 문양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블록본체와 문양블록에 형성되어 조적시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록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문양블록고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문양블록 고정유닛은 상기 블록본체에 상면으로부터 하면측으로 인입되어 문양블록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볼록본체의 문양블록지지홈에 삽입되어 문양블록이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문양블록에 상기 문양블록지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 지지홈의 대응되는 양측면과, 상기 문양블록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돌출위치고정홈과 돌출위치지지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과 문양블록지지홈의 사이에 바닥면과 블록본체 하면사이의 블록성형제인 몰탈을 가압하기 이한 가압격벽을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문양블록고정유닛은 상기 블록본체에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관통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에 문양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지지홈의 폭보다 길어 관통지지홈에 대해 이동되어 단부에 설치된 문양블록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양블록지지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는 조적 시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록의 돌출높이를 임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문양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블록조립체는 건축물의 외벽, 내벽, 담장의 시공에 따른 작업성, 즉, 문양의 구현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블록조립체와 결합되는 문양블록의 문양패턴을 다양화함으로써 입체감 있는 문양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블록조립체의 단면도,
도 3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블록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블록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블록조립체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블록조립체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브블록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보인 평면도,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 조립체가 조적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는 건축물의 내벽, 외벽, 담장 또는 옹벽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일 실시예들을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10)는 블록본체(20)와, 상기 블록본체(20)의 전면 또는 전, 후면에 설치되어 문양블록고정유닛(100)에 의한 조적 시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양블록(5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블록조립체의 블록본체(20)는 양측면에 조적 시 사모래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인입부(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블록본체(2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적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본체(20)의 전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의 문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색상으로 착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본체(20)는 경량화를 위하여 성형 시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50)은 블록본체(20)의 전면에는 문양블록고정유닛(100)에 의해 블록본체(20)으로부터 조적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음각 또는 양각문양 또는 재질고유의 질감, 색상을 가지는 패널을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후술하는 문양블록지지부와 일체로 하나의 블록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문양블록은 문양블록지지부에 설치되는 입체적인 조형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문양블록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설치되는 용도 또는 장소 즉, 건축물의 외벽, 내벽, 인테리어, 담장, 조형물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록본체(20)에 대해 문양블록(50)의 돌출높이를 서로 다르게 지지하는 문양블록고정유닛(100)은 상기 블록본체(2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문양블록지지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후방 측에는 상기 블록본체(20)을 관통하는 조명조사관통공(103)이 형성된다. 문양블록지지홈(101)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은 블록본체(20)의 전면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서로 다르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50)의 배면에는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에 삽입되며 전, 후진 가능하게 지지되는 문양블록지지부(105)이 형성된다.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05)의 단면은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문양블록지지부(105)의 길이는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블록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의 깊이와 같거나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부위는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05)의 하면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본체(20)의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지 않고, 블록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홈브리지(101a)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문양블록지지홈(1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20)의 전면에 길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록조립체(10)의 조적 시 문양블록지지부(105)는 문양블록지지홈(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문양블록지지부(105)의하부에 위치되는 블록본체(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양측의 내면과 이와 대응되는 문양블록지지부(105)의 양측에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블록돌출한정부(11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문양블록한정부(110)는 문양블록지지홈(101)으로부터 문양블록지지부(10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위치고정홈(111)들과 돌출위치지지돌기(112)들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출위치고정홈(111)들과 돌출위치지지돌기(112)들은 문양블록지지홈(101)의 측면과, 문양블록지지부(105)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11)과 문양블록지지부(112)는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05)와 블록본체(20)에 형성된 문양블록지지홈(101)은 각각 하나의 문양블록에 대해 두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블록돌출한정부(120)은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전면측의 가장자리에 상호 대응되는 방향을 지지돌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05)의 양측면의 후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부(121)와 걸림으로써 문양블록지지부(105)가 문양블록지지홈(10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부(122)를 구비한다.
상기 문양블록돌출한정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문양블록지지부(105)에 의해 문양블록(101)이 블록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한정할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면과 문양블록지지부(105)의 하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양블록(50)을 블록본체(20)의 상하면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문양블록상하이동부(13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문양블록상하이동부(130)는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면이 내측방향으로 제 1경사면(131)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문양블록지지부(105)의 하면에 상기 제 1경사면(131)과 대응되는 제 2경사면(1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블록지지홈(101)의 후단부측에 블록본체(20)를 관통하는 관통공(103)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면의 후단부측에는 블록본체(20)의 성형 시 블록성형제인 몰탈을 가압하기하여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면을 이루는 지지홈브리지(101a)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격벽(1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압격벽(140)의 높이는 블록본체(20)의 상단부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볼록본체의 서형 시 상부성형금형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
한편, 도 13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조립체은 블록본체(151)에 문양블록고정유닛(160)에 의해 블록본체(20)의 전후면에 각각 소정의 높이로 문양블록(50)들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문양블록고정유닛(160)은 블록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관통지지홈(16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지지홈(16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블록본체(2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문양블록지지부(16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61)의 양측에는 각각 문양블록(50)이 설치된다.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62)의 양측에 형성된 문양블록(50)은 서로 다른 문양과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본체(151)에 형성된 관통지지홈(161)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62)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록본체(20)들을 조적하는 과정에서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에는 조명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조명수단은 엘이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수단에 의한 조명을 위해서는 블록조립체들을 이용하여 조적 시 상기 문양블록지지홈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문양블록지지홈으로부터 백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는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 내벽, 담장의 시공을 위하여 조적하게 된다.
블록조립체(20)의 조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문양블록고정유닛(100)을 이용하여 블록본체(20)의 전면에 형성된 문양블록지지홈(101)에 문양블록지지부(105)의 삽입함과 아울러 이의 전면에 형성된 문양블록(50)의 블록본체(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조정한다.
이때에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대응되는 양측면과 상기 문양블록지지부(105)의 양측면에는 각각 돌출위치고정홈(112)와 돌출위치지지돌기(1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결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문양지지블록부(105)의 단부에 설치된 문양블록(50)의 돌출높이를 즉, 블록본체(20)의 전면에 대한 문양블록(50)의 돌출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문양블록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문양블록지지부(101)에 의해 채워지지 않은 문양블록지지홈(101)에 조적을 위하 블록본체의 상면에 사모래(200)를 채운다.
따라서 조적된 블록조립체의 블록본체(20)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문양블록이 설치될 수 있어 입체적인 건물의 내,외벽 또는 담장의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블록본체(20)의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면와 이와 대응되는 문양블록지지부(105)의 하면에는 문양블록상하이동부(130)설치되어 있으므로 문양블록(50)의 수평방향으로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문양블록상하이동부(130)는 문양블록지지홈(101)의 바닥면과, 문양블록지지부(105)의 하면에 각각 제 1,2경사면(131)(1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문양블록지지홈(101)에 대해 문양블록지지부의 위치 이동 시 제 1경사면(131)를 따라 제 2경사면(132)이 이동되면서 문양블지지부(105)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의 단부에 설치된 문양브록지지부(105) 또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본체(20)에 전면으로부터 후면측으로 형성된 관통지지홈(155)에 전후면에 각각 문양블록이 설치되며 문록본체(20)의 폭보다 긴 문양블록지지부(161)를 전후진 시켜 조적되는 블록본체(20)의 전후면에 문양블록(50)(50)의 돌출높이를 서로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조립체는 조적하는 과정에서 상기 문양블록지지부가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은 문양블록지지홈(101)에 조명을 설치함으로서 블록조립체에 배면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는 건물의 내벽, 외벽, 담장 또는 조형물 등을 시공함에 있어서, 문양블록의 돌출높이를 조적 시 임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패턴과 이미지지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조적을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에 설치되는 문양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블록본체와 문양블록에 형성되어 조적시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록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문양블록고정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문양블록고정유닛은 상기 블록본체에 상면으로부터 하면측으로 인입되어 문양블록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본체의 문양블록지지홈에 삽입되어 문양블록이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문양블록에 문양블록지지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블록 지지홈의 대응되는 양측면과, 상기 문양블록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돌출위치고정홈과 돌출위치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블록지지홈의 전면측의 가장자리에 상호 대응되는 방향을 지지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블록지지부의 양측면의 후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부와 걸림으로써 문양블록지지부가 문양블록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에는 문양블록조정유닛의 문양블록지지홈과 연통되며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과 문양블록지지홈의 사이에 바닥면과 블록본체 하면사이의 블록성형제인 몰탈을 가압하기 이한 가압격벽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을 하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7.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조적을 위한 인입부가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에 설치되는 문양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블록본체와 문양블록에 형성되어 조적시 상기 블록본체에 대해 문양블록의 돌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문양블록고정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문양블록고정유닛은 상기 블록본체에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관통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에 문양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지지홈의 폭보다 길어 관통지지홈에 대해 이동되어 단부에 설치된 문양블록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문양블록지지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KR1020200039216A 2020-03-31 2020-03-31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KR102339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216A KR102339391B1 (ko) 2020-03-31 2020-03-31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216A KR102339391B1 (ko) 2020-03-31 2020-03-31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53A KR20210121853A (ko) 2021-10-08
KR102339391B1 true KR102339391B1 (ko) 2021-12-13

Family

ID=7860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216A KR102339391B1 (ko) 2020-03-31 2020-03-31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93593A (zh) * 2021-11-29 2022-03-18 王尧 一种空心砌块及其成型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32B1 (ko) 2005-10-11 2006-11-27 (주)메카모아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82A (ko) 1993-06-14 1995-01-03 심재호 굴절광을 이용한 광고판
KR100514423B1 (ko) 1997-03-31 2005-12-09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지털텔레비젼수신기용프로그램선택시스템
KR100362356B1 (ko) 2000-06-17 2002-11-23 오부영 장식블록의 성형방법
KR20090120864A (ko) 2008-05-21 2009-11-25 남 영 김 윈도우블록
KR200461229Y1 (ko) * 2009-10-13 2012-06-28 통영시 식생 옹벽블록
KR20090012102U (ko) * 2009-11-01 2009-11-26 김성래 옹벽용 블럭
KR20150127016A (ko) * 2015-11-02 2015-11-16 김대중 외면 장식재 장착형 옹벽 블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32B1 (ko) 2005-10-11 2006-11-27 (주)메카모아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853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6358B2 (ja) 壁材
CA2977372C (en) Block having a trapezoidal shape
US9388571B2 (en) Stone fabrication system with hidden mortar joint
JPH07279185A (ja) 構造ブロックの製造方法
SE1050001A1 (sv) Gjutformslåda och metod för tillverkning av ett block
KR102339391B1 (ko)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JPS59170348A (ja) ガラスユニツト
JP5000274B2 (ja) 外壁面材
CA2446148A1 (en) Stone for forming a pavement
KR102341776B1 (ko) 옹벽용 pc패널유닛 제작을 위한 건식콘크리트를 진동에 의해 자동화생산이 가능한 개량형 거푸집 구조
KR100363524B1 (ko) 건축용외장패널
KR20210148588A (ko) 전면 대리석 장식패널 조립 및 교체가 가능한 보강토 옹벽블럭
AU2021203697A1 (en) Lightweight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
KR200206960Y1 (ko) 담장용 블럭
KR200410097Y1 (ko) 건축용 외장재
KR200152667Y1 (ko) 문양 거푸집의 구조
KR100821338B1 (ko) 건축물 벽체의 기와 장식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120040A (ko) 벽돌식 양면 문양블록 및 이의 블록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록제조방법
WO2003008736A1 (es) Pieza ceramica, azulejo, baldosa o similares, mejorada
US20220178142A1 (en) Column cov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GB2261684A (en) Block with simulated embedded flint
KR200215072Y1 (ko) 조립식 블록
CN211692255U (zh) 一种装饰门柱
KR102630966B1 (ko) 인조블록 제조방법
JP2002021290A (ja) 建築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