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9632B1 -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9632B1
KR100649632B1 KR1020050095347A KR20050095347A KR100649632B1 KR 100649632 B1 KR100649632 B1 KR 100649632B1 KR 1020050095347 A KR1020050095347 A KR 1020050095347A KR 20050095347 A KR20050095347 A KR 20050095347A KR 100649632 B1 KR100649632 B1 KR 100649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ember
retaining wall
wooden finishing
wood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학봉
Original Assignee
(주)메카모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카모아 filed Critical (주)메카모아
Priority to KR102005009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1W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몸체와 목재마감부재가 걸림턱에 의해 걸려 지지된 채 결합되는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wooden decorative type block for retaining w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옹벽 블록 110,210 : 몸체
121 : 핀수용부 123 : 핀헤드수용부
130 : 지지부재 131,135;231,235 : 걸림턱
131a : 전면오목경사면 135a: 배면볼록경사면
150,250 : 목재마감부재 156 : 돌출부
170 : 결합부재(접착제)
231a,231b : 사이드볼록경사면 235a,235b : 사이드오목경사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몸체에 목재마감부재가 걸림턱에 의해 걸려 지지된 채 결합되는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옹벽 블록으로서, 예컨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공개 제2002-222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옹벽 블록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성형되어, 옹벽을 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의 옹벽은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고, 친근감이 적기 때문에, 목재처럼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 인공 목재형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인공 목재형 블록도 그 재질이 콘크리트인 관계로 비환경적이고, 천연자원인 목재보다 친근감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은 그 크기에 따라 중량이 다르지만, 통상 작업자가 들기에는 너무 무거워 기계가 작업위치까지 옮기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연 친화적이고 중량이 가벼운 옹벽 블록으로는 전체를 목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목재 블록을 사용하는 경우, 그 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블록간의 압력에 따른 목재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무엇보다 토압력에 견디기 위해 그 부피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친근감과 환경 친 화적이면서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목재마감부재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걸림턱과, 상기 목재마감부재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걸림턱에 걸리는 배면걸림턱과, 상기 몸체와 상기 목재마감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목재마감부재에 의해 친근감과 환경 친화적이면서 중량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접착제인 경우, 몸체와 목재마감부재간의 결합이 간단히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걸림턱에는 자유단에서 고정단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전면오목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걸림턱에는 상기 전면오목경사면과 대응되는 배면볼록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경사면을 따라 서로 끼워맞춰지면서 밀착되는 효과가 있고, 전면으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걸림턱에는 중심에서 좌우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이드볼록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걸림턱에는 상기 사이드볼록경사면과 대응되는 사이드오목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밀착위치를 보다 쉽게 안내할 뿐 아니라 사이드로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목재마감부재의 좌우 양단은 상기 몸체의 좌우 양단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 전면에서 볼 때 콘크리트 몸체가 보이지 않아 외관 측면에서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100)은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110)와, 이 몸체(110)의 전면(111)에 배치되는 목재마감부재(150)와, 몸체(110)와 목재마감부재(150)를 지지 및 결합하는 지지부재(130) 및 결합부재(170)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110)는 전방을 향하는 전면(111)과 배면(113), 상부면(115), 하부면(117) 및 측면(119)을 가진다. 또한, 몸체(110)에는 적층방향을 따라 상부면(115)으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복수의 핀수용부(121)가 형성되고, 이 핀수용부(121)에는 결합핀(미도시)의 핀부가 삽입된다. 각 핀수용부(121)는 좌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몸체(110)의 하부면(117)에는 인접한 다른 블록의 적층면의 핀수용부(121)에 대응하여 하부면(117)으로부터 함몰된 핀헤드수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헤드수용부(123)는 핀수용부(121)의 축선에 대해 전방으로 편위되어 있다. 또한, 핀헤드수용부(123)는 핀수용부(121)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10)에는 관통된 개방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방부(125)는 몸체(110)의 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며, 적층된 상태에서 모르타르 또는 골재 및/또는 토사 가 충진될 수 있다(보다 상세한 설명은 한국특허공개 제2002-2225호의 공보 참조).
목재마감부재(150)는 몸체(110)의 전면(111)에 배치되는 마감재이다. 이 목재마감부재(150)는 몸체(110)를 가린다는 측면에서 전면(111)과 동일하게 약게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재마감부재(150)의 좌우 양단에는 몸체(110)의 좌우 양단보다 더 돌출한 돌출부(156)가 연장되는 것이, 뒤쪽의 몸체(110) 전체를 보다 확실히 가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부재(170)는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 앵커, 걸쇠 등으로 구현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170)로 접착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접착제(170)에 의해 결합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해, 지지부재(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30)는 몸체(110)의 전면(111)에 형성된 전면걸림턱(131)과, 목재마감부재(150)의 배면(154)에 형성된 배면걸림턱(13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걸림턱(131)에 배면걸림턱(135)이 걸리면, 중력에 의해 접착제(1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이때, 전면걸림턱(131)에는 전면오목경사면(131a)이, 배면걸림턱(135)에는 배면볼록경사면(135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오목경사면(131a)은 자유단(상단)에서 고정단(하단)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고, 배면볼록경사면(135a)은 자유단(하단)에서 고정단(상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31a,135a)의 구성에 의하면, 목재마감부재(150)가 경사면(131a) 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서로 끼워맞추어지는 기능 뿐만 아니라, 중력과 경사면(131a)의 상호작용에 의해 목재마감부재(150)를 몸체(110)에 보다 밀착시켜 접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경사면(131a,135a)은 목재마감부재(150)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옹벽 블록(200)은 제1실시예의 옹벽 블록(100)과 그 구조 및 기능은 유사하지만, 사이드경사면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몸체(210)의 전면걸림턱(231)에는 좌우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θ1)지게 배치되는 반면에, 목재마감부재(250)에는 상기 경사(θ1)에 맞물리는 경사(θ2)가 형성되어 있다. 즉, 경사(θ1)는 볼록한 산형의 사이드볼록경사면(231a,231b)에 의해 형성되고, 경사(θ2)는 오목한 산형의 사이드오목경사면(235a,235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경사(θ1)(θ2)로 인해, 목재마감부재(150)의 배면걸림턱(235)이 몸체(110)의 전면걸림턱(231)에 정확히 놓이지 않더라도, 슬라이딩을 통해 제위치에서 맞추어질 수 있다. 또한, 목재마감부재(250)가 사이드(좌측 또는 우측)로 이탈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에 의하 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의 전면에 목재마감부재가 걸림턱에 의해 지지된 채 결합됨으로써, ①자연적인 친근감과 환경 친화적이면서, 목재마감부재의 부피만큼 콘크리트 몸체가 생략되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②특히 목재마감부재가 중력의 저항을 덜 받아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둘째, 접착제로 몸체와 목재마감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①별도의 결합을 위한 가공 등이 불필요하여 결합공정이 간단하고, ②특히 접착제인 경우 목재마감부재가 중력에 의해 접착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전면걸림턱에는 자유단에서 고정단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전면오목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걸림턱에는 상기 전면오목경사면과 대응되는 배면볼록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①목재마감부재가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서로 맞추어져 시공이 편리하고, ②특히 중력과 경사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목재마감부재를 접착제에 계속적으로 밀착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③목재마감부재가 몸체에 대해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전면걸림턱에는 중심에서 좌우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이드볼록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걸림턱에는 상기 사이드볼록경사면과 대응되는 사이드오목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①설령 목재마감부재의 걸림턱이 몸체의 걸림턱에 제대로 놓이지 않더라도 사이드경사면을 따라 제위치로 맞추어지기 때문에 끼워맞춤정렬이 자동으로 행해져 시공이 대단히 편리하고 ②목재마감부재가 몸체에 대해 사이드(좌측 또는 우측)로 이탈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목재마감부재의 좌우 양단은 상기 몸체의 좌우 양단보다 더 돌출됨으로써, 콘크리트 몸체 전체가 가보이지 않게 전체를 가릴 수 있다.

Claims (5)

  1.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목재마감부재와,
    상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걸림턱과,
    상기 목재마감부재의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걸림턱에 걸리는 배면걸림턱과,
    상기 몸체와 상기 목재마감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옹벽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걸림턱에는 자유단에서 고정단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전면오목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걸림턱에는 상기 전면오목경사면과 대응되는 배면볼록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걸림턱에는 중심에서 좌우측을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사이드볼록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걸림턱에는 상기 사이드볼록경사면과 대응되는 사이드오목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마감부재의 좌우 양단은 상기 몸체의 좌우 양단보다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블록.
KR1020050095347A 2005-10-11 2005-10-11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KR10064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347A KR100649632B1 (ko) 2005-10-11 2005-10-11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5347A KR100649632B1 (ko) 2005-10-11 2005-10-11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632B1 true KR100649632B1 (ko) 2006-11-27

Family

ID=3771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347A KR100649632B1 (ko) 2005-10-11 2005-10-11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6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85B1 (ko) 2006-12-19 2007-08-27 오병춘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KR101866102B1 (ko) 2016-12-28 2018-06-08 공학봉 방부목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용 마감블록
KR20210121853A (ko) * 2020-03-31 2021-10-08 조성홍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585B1 (ko) 2006-12-19 2007-08-27 오병춘 축조블록의 설치구조
KR101866102B1 (ko) 2016-12-28 2018-06-08 공학봉 방부목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용 마감블록
KR20210121853A (ko) * 2020-03-31 2021-10-08 조성홍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KR102339391B1 (ko) 2020-03-31 2021-12-13 조성홍 문양블록의 돌출높이 조절이 가능한 블록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535B1 (ko) 목재 외장형 옹벽 블록
KR100649632B1 (ko)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USD444293S1 (en) Shoe sole
KR100930886B1 (ko)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RU2008123058A (ru) Переносная панель пола
CA2435836A1 (en) Concrete module for retaining wall and improved retaining wall
CA2398188A1 (en) Modular wall block with mechanical anchor pin
KR100343227B1 (ko) 조적식 구조의 연결구
KR200451548Y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문틀
CN113463792B (zh) 一种防渗透混凝土墙板
USD464578S1 (en) Laser level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CN213653801U (zh) 装配式钢筋混凝土预制构件的快速连接件
KR100768344B1 (ko) 환경블록
KR100778075B1 (ko) 목재 마감형 옹벽 블록 생산 방법
JPS5873658A (ja) タイル壁構成用材
CN101922259B (zh) 栅栏
KR101713894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
FR2737901A1 (fr) Element d&#39;assemblage pour la construction d&#39;ouvrage en batiment
CN211949410U (zh) 一种复合地板安装用封边条结构
CN211369390U (zh) 一种耐磨损竹皮的木塑地板
CN109056930A (zh) 一种水槽台下快装固定装置及其安装方法
CN214885091U (zh) 一种大理石板挂件及干挂大理石结构
CN218418750U (zh) 一种模块组合式箱包的箱体铰接结构
CN211873672U (zh) 一种干挂石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