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771B1 -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771B1
KR102338771B1 KR1020200008717A KR20200008717A KR102338771B1 KR 102338771 B1 KR102338771 B1 KR 102338771B1 KR 1020200008717 A KR1020200008717 A KR 1020200008717A KR 20200008717 A KR20200008717 A KR 20200008717A KR 102338771 B1 KR102338771 B1 KR 10233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damper
vibration isolation
isolation table
vibration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901A (ko
Inventor
이홍기
백재호
허광재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알엠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엠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알엠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200008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7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제진대와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일체형 제진대(습식구조)를 분리형 스틸(st eel) 제진대(건식구조)를 적용하고, 유압 댐퍼를 구비하는 포스트(post)를 이용하여 높이의 정밀조절과 레벨링(levelling)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공이 간편한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H-빔 프레임(H-beam frame) 구조물을 모듈화하여 제진대 크기를 규격화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H-빔 프레임(H-beam frame) 구조물을 유압 댐퍼 포스트 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의 건식공사로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차후 공장 레이아웃 변경에 의한 장비이동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제진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내부 유압장치의 유압을 조절하고 유압 지시계로부터 지지하중을 판단하여, 동강성을 정량적으로 조절하고 또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작업장에 기 설치된 격자보 구조물에 대하여, 해당 구조물의 보강이 거의 필요없이 해당 구조물 위에 포스트 및 제진 플레이트의 설치가 가능한 방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Built-up-type anti-vibration system with adjustable height by hydraulic damper}
본 발명은 분리형 제진대와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일체형 제진대(습식구조)를 분리형 스틸(steel) 제진대(건식구조)를 적용하고, 유압 댐퍼를 구비하는 포스트(post)를 이용하여 높이의 정밀조절과 레벨링(levelling)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공이 간편한 방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저감을 위한 제진대 사용의 경우, 기존에는 두꺼운 콘크리트 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시공을 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진대 설치를 위해 습식공사가 진행된다. 즉, 기존 제진대는, 하부의 격자보 구조물 위에 두꺼운 콘크리트 패드를 직접 설치하되, 에폭시, 앵커볼트 및 무수축 모르타르 충진 등을 이용하여 습식으로 단단히 부착시키는 공사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로 인하여, 제진대의 제작 및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일단 설치된 후에는 작업장 내에서 그러한 제진대 설치를 해체하고 다른 위치로의 이동 등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큰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동에 민감한 정밀생산 및 정밀측정 / 검사장비 (이하‘정밀장비’라 함)를 갖추고 있는 공장구조물을 설립하는 경우에는 공장구조물의 설계 초기단계에서부터 공정에 사용되는 각종 정밀장비의 정상운용을 위해서는 공장 구조물의 진동허용 규제치와 동강성 허용규제치를 동시에 결정해야만 한다. 이러한 규제치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공장 내 청정실 (Clean Room: C / R) 구조물의 설계방법에는 첫번째로 정밀장비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진동에 대한 진동절연을 위한 방진시스템을 도입하는 것과 두번째로 정밀장비에서 발생하는 동하중에 대한 공장구조물에 대한 동적강성을 만족시켜 주기 위해 구조물 동특성을 증가시켜 주는 방법이 주로 활용된다. 특히, 높은 동강성이 요구되는 정밀장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방진 시스템 설치시, 국부적으로 공장 구조물의 동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KR 10-2010-0071583 A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H-빔 프레임(H-beam frame) 구조물을 모듈화하여 제진대 크기를 규격화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H-빔 프레임(H-beam frame) 구조물을 유압 댐퍼 포스트 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의 건식공사로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차후 공장 레이아웃 변경에 의한 장비이동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제진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 유압장치의 유압을 조절하고 유압 지시계로부터 지지하중을 판단하여, 동강성을 정량적으로 조절하고 또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작업장에 기 설치된 격자보 구조물에 대하여, 해당 구조물의 보강이 거의 필요없이 해당 구조물 위에 포스트 및 제진 플레이트의 설치가 가능한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은, 작업장 바닥의 진동을 일차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 격자보 또는 슬라브(이하, 통칭하여 '기초구조물'이라 한다); 상기 기초 구조물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 댐퍼 포스트; 및,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 위에 설치되고, 제진이 요구되는 설비가 그 위에 배치되는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는, 상기 기초구조물과 접하도록 체결되는 하부 받침대; 상기 하부 받침대 위에 형성된 몸체(body); 상기 몸체 위에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스톤;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공간으로 오일을 주입하거나, 상기 공간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 유압 주입부; 및, 상기 실린더 위에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스틸 플레이트와 밀착하여 결합되는 상부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대와 상기 기초구조물은, 체결구인 하부 지지대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기초구조물 구조를 변경할 필요없이, 기초구조물 위의 필요한 위치에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는, 상부 지지대 하단에 밀착되고 상기 실린더 외벽의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nut)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는, 1차 너트 및 2차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1차 너트와 상기 2차 너트는, 내부가 쐐기 형태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는,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받침대와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일정 크기로 모듈화되어 있어 필요한 영역만큼 설치하거나, 증설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초구조물과 상기 스틸 플레이트 사이에 H-빔 프레임(H-beam frame)(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틸 플레이트와 H-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일정 크기의 스틸 플레이트와 H-빔 프레임이 체결된 개별 구조물 모듈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형성됨으로써, 필요한 영역만큼 설치하거나, 증설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H-빔 프레임과 유압 댐퍼 포스트 사이에, 진동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방진마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H-빔 프레임(H-beam frame) 구조물을 모듈화하여 제진대 크기를 규격화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와 H-빔 프레임(H-beam frame) 구조물을 유압 댐퍼 포스트 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의 건식공사로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차후 공장 레이아웃 변경에 의한 장비이동시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제진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유압장치의 유압을 조절하고 유압 지시계로부터 지지하중을 판단하여, 동강성을 정량적으로 조절하고 또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작업장에 기 설치된 격자보 구조물에 대하여, 해당 구조물의 보강이 거의 필요없이 해당 구조물 위에 포스트 및 제진 플레이트의 설치가 가능한 방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시스템이 포함하는 유압 댐퍼 포스트(post)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진 시스템이 작업장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진 시스템이 작업장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진 시스템이 작업장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이 포함하는 유압 댐퍼 포스트(post)(11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위에는, 플레이트(plate)(120, 도 2 및 도 3 참조)가 설치되고, 그 위에 제진을 필요로 하는 각종 설비(200, 도 2 참조)가 놓여진다. 제진대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120)의 재질은 일 실시예로서 스틸(steel)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압 댐퍼 포스트(110) 내부의 유압을 조절하고 압력 게이지로부터 지지하중을 판단함으로써 동강성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120)의 레벨 조절도 가능하다. 즉, 유압 댐퍼 포스트(110) 내부의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플레이트(120)의 높이 조절과 평탄도에 대한 정밀조절이 가능할 뿐 아니라, 내부에 장착된 유압 조절기로 구조물의 동강성을 요구되는 수준으로 조절 및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유압 조절은 유압 주입부(115)를 통한 오일의 주입 또는 배출을 통하여 가능하게 된다.
상부 받침대(111) 위에는 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플레이트(120)와 상부 받침대(111)는 상부 지지대(111.1)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의 베이스 격자보 또는 슬라브(이하, 통칭하여 '기초구조물'이라 한다)(130, 도 2 및 도 3 참조)와 하부 받침대(118)는 하부 지지대(118.1)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 지지대(111.1) 및 하부 지지대(118.1)는 고정을 위한 일종의 체결구라 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120) 또는 기초구조물(130)과 매우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기초구조물(130)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I' 자 형태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린더(112.1) 내에는 피스톤(112.2), 피스톤 링(112.3) 및 스프링(112.4)가 구비된다. 피스톤(112.2)와 실린더(112.1) 사이의 공간에는 댐핑을 위한 오일이 주입되며 그와 같은 오일이 주입되는 유압 주입부(115)가 도시되어 있다.
1차 너트(113)과 2차 너트(114)는 상부 지지대(111) 하단에 밀착되고 실린더(112.1) 외벽의 볼트와 결합된다. 1차 너트(113)과 2차 너트(114)는 그 내부의 실린더(112.1) 외벽의 볼트와 완전히 일체화시킴으로써 어떤 진동, 충격에도 견디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1차 너트(113)과 2차 너트(114)는 쐐기원리를 응용해 만든것으로서, 바깥 면이 경사진 너트 하나를 먼저 끼운 뒤 또 다른 너트로 이 경사면을 누르도록 하여, 첫번째 너트가 쐐기 역할을 하며 외부 충격에도 느슨해지지 않도록 볼트와 너트를 단단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는, 도 1(b)의 형상에서 상부 받침대(111), 1차 너트(113) 및 2차 너트(114) 부분이 피스톤(112.2)과 함께 유압에 의해 약간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압력 게이지(117)에는 유압이 측정되어 나타나며, 이에 의해 지지하중을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압력 게이지(117)에 나타난 값으로부터 유압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며, 이로써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높이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제진대로서의 플레이트(120)의 높이 조절 및 전체적인 평탄도 조절이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이 작업장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위에 설치되는 제진대로서의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 및, 유압 댐퍼 포스트(110)가 설치되는 하부의 기초구조물(13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20) 위에는 제진을 필요로 하는 각종 설비(200)가 놓여지게 된다.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 지지대(140) 및 그 위에 배치된 액세스 플로어(150)는, 플레이트(120) 위로 설비(200)를 전달하기 위한 보조 기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장의 작업장에 기 설치된 기초구조물(130) 위에 설치된 유압 댐퍼 포스트(110) 및 플레이트(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장 바닥의 진동을 일차적으로 억제하게 위하여 작업장 바닥에 격자 형태로 기 설치되어 있는 기초구조물(130) 위에 유압 댐퍼 포스트(110)를 설치하는데, 기존 기초구조물(130)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전혀 없이, 필요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유압 댐퍼 포스트(1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설치 후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구 역할을 하는 상부 지지대(111.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플레이트(120)를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기초구조물(130) 위에의 설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구 역할을 하는 하부 지지대(118.1)를 이용하여 특별한 가설공사 없이도 빠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 경우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를 모듈화하여 제진대 크기를 규격화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를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의 건식공사를 채택하여, 이에 따라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매우 용이하여, 작업장 내에 기 설치된 기초구조물(130) 구조 위에 다양한 위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진대 시스템의 구성 및 재구성이 가능하며, 이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하며,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장비(200)의 하중과 진동성능에 의해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설치 간격과 플레이트(120)의 크기와 두께도 변경이 가능하며, 유압 댐퍼 포스트(110)의 설치 수량도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100) 위에 배치되는 설비(200)로서는, 고하중 장비, 반도체, LCD 생산라인 설비 등, 다양한 설비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이 작업장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의 사시도, 도 4(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초구조물(130)과 플레이트(120) 사이에 H-빔 프레임(H-beam frame)(160)이 더 구비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플레이트(120) 위에 더욱 무거운 설비(200)가 배치될 경우, 이러한 프레임(160)에 의한 구조 보강으로써 진동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160) 역시 하부의 유압 댐퍼 포스트(110)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고, 상부의 플레이트(120)와도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다.
즉, 이 경우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와 H-빔 프레임(H-beam frame)(160)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모듈화하여 제진대 크기를 규격화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와 H-빔 프레임(H-beam frame)(160) 구조물을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위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의 건식공사를 채택하게 된다. 즉, 제진대 시스템(100)에서 스틸 플레이트(120)와 H-빔 프레임(160)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일정 크기의 스틸 플레이트와 H-빔 프레임이 체결된 개별 구조물 모듈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경우와 같이, 설치 및 재설치가 매우 용이하여, 공사기간과 공사비를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나아가, 진동측면에서도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와 H-빔 프레임(H-beam frame)(160)을 일체화하여 제진대 시스템(100)을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패드와 유사한 진동저감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유압 댐퍼 포스트(110) 간에는 그 상부 및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이 작업장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진대 시스템(100)에서 플레이트(120)를 배치하기 전의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 위에 플레이트(120)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5(c)는 그 측면도이다.
도 5(a)의 프레임(160)은 도 4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이며, 프레임(160)과 유압 댐퍼 포스트(110) 사이에 진동을 더욱 완화시켜주기 위한 방진마운트(180)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의 차별점이 있다. 이러한 방진마운트(180)에는, 러버(rubber)마운트 또는 에어(air)마운트 등이 있다.
유압 댐퍼 포스트(110) 간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방진마운트 받침대(181)가 구비되어, 이 위에 방진마운트(180)가 설치된다. 이 경우에도 도 4의 경우와 같이,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와 H-빔 프레임(H-beam frame)(160)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모듈화하여 제진대 크기를 규격화하고, 이와 같이 모듈화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120)와 H-빔 프레임(H-beam frame)(160) 구조물을 유압 댐퍼 포스트(110) 위의 방진마운트(180)와, 볼트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의 건식공사를 채택하게 됨은 동일하다.
방진마운트 받침대(181) 및 방진마운트(180) 역시 그 상, 하부의 프레임(160), 유압 댐퍼 포스트(110)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서 설치 및 재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100: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110: 유압 댐퍼 포스트(post)
111: 상부 받침대
111.1: 상부 지지대
112.1: 실린더
112.2: 피스톤
112.3: 피스톤 링
112.4: 스프링
113: 1차 너트
114: 2차 너트
115: 유압 주입부
116: 몸체(body)
117: 압력 게이지
118: 하부 받침대
118.1: 하부 지지대
120: 플레이트
130: 베이스 격자보 또는 슬라브(기초구조물)
140: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 지지대
150: 액세스 플로어
160: H-빔 프레임(H-beam frame)
170: 보강재
180: 방진마운트
181: 방진마운트 받침대
200: 설비

Claims (11)

  1.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으로서,
    작업장 바닥의 진동을 일차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베이스 격자보 또는 슬라브(이하, 통칭하여 '기초구조물'이라 한다);
    상기 기초 구조물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 댐퍼 포스트; 및,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 위에 설치되고, 제진이 요구되는 설비가 그 위에 배치되는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
    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는,
    상기 기초구조물과 접하도록 체결되는 하부 받침대;
    상기 하부 받침대 위에 형성된 몸체(body);
    상기 몸체 위에 형성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공간으로 오일을 주입하거나, 상기 공간으로부터 오일을 배출시키는 유압 주입부; 및,
    상기 실린더 위에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스틸 플레이트와 밀착하여 결합되는 상부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받침대와 상기 기초구조물은,
    체결구인 하부 지지대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에 의하여, 상기 기초구조물 구조를 변경할 필요없이, 기초구조물 위의 필요한 위치에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인,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는,
    상부 지지대 하단에 밀착되고 상기 실린더 외벽의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nut)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는,
    1차 너트 및 2차 너트
    를 구비하고,
    상기 1차 너트와 상기 2차 너트는,
    내부가 쐐기 형태로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 댐퍼 포스트는,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 게이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대와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일정 크기로 모듈화되어 있어 필요한 영역만큼 설치하거나, 증설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물과 상기 스틸 플레이트 사이에 H-빔 프레임(H-beam frame)(160)이 더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틸 플레이트와 H-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조는,
    일정 크기의 스틸 플레이트와 H-빔 프레임이 체결된 개별 구조물 모듈이 하나 이상 연결 설치되어 형성됨으로써, 필요한 영역만큼 설치하거나, 증설이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H-빔 프레임과 유압 댐퍼 포스트 사이에,
    진동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방진마운트가 더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제진대 시스템.
KR1020200008717A 2020-01-22 2020-01-22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KR10233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17A KR102338771B1 (ko) 2020-01-22 2020-01-22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717A KR102338771B1 (ko) 2020-01-22 2020-01-22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01A KR20210094901A (ko) 2021-07-30
KR102338771B1 true KR102338771B1 (ko) 2021-12-14

Family

ID=7714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717A KR102338771B1 (ko) 2020-01-22 2020-01-22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7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483B1 (ko) * 2023-03-08 2023-07-21 랜드소프트 주식회사 차량 이동형 문서 스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9813B2 (ja) * 1990-04-24 1999-03-10 日立精工株式会社 機械の支持装置
US20020062625A1 (en) * 2000-12-11 2002-05-30 Jack Foden Access floor panel and system
JP2002213518A (ja) * 2001-01-18 2002-07-31 Kayaba Ind Co Ltd ナックルブラケットの定着装置
KR100791079B1 (ko) * 2007-01-22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대 및 이의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487A (ko) * 2005-05-10 2006-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비의 제진설비
KR20100071583A (ko) 2008-12-19 2010-06-29 (주)엔에스브이 방진용 오일댐퍼 마운트
KR101041591B1 (ko) * 2009-03-04 2011-06-15 주식회사 알엠에스기산 제진대 수평유지장치
KR200493342Y1 (ko) * 2016-10-18 2021-03-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압조절부를 포함하는 레그포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9813B2 (ja) * 1990-04-24 1999-03-10 日立精工株式会社 機械の支持装置
US20020062625A1 (en) * 2000-12-11 2002-05-30 Jack Foden Access floor panel and system
JP2002213518A (ja) * 2001-01-18 2002-07-31 Kayaba Ind Co Ltd ナックルブラケットの定着装置
KR100791079B1 (ko) * 2007-01-22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대 및 이의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901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9325A (zh) 装配式混凝土剪力墙结构可调节式三角架支撑体系及方法
CN101484643A (zh) 塔架建筑
CN204780983U (zh) 筏板基础高精度整体预埋大直径螺栓群结构
KR102338771B1 (ko) 유압 댐퍼에 의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제진대 시스템
JP2011021332A (ja) 免震構造の構築方法
CN103953063B (zh) 车用发动机试验台架基础
JP2017150248A (ja) 太陽光パネルの基礎構造
EP4054794A1 (en) Modular machine support frame
KR101800790B1 (ko) 무진동 무폐기물 무소음 무변형 친환경 교량받침 교체공법
CN205531317U (zh) 装配式混凝土剪力墙结构可调节式三角架支撑体系
US4572308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weighbridge and weighing cell assembly, in particular for use in performing the method
JP2011012464A (ja) 免震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装置の仮受け構造
CN112032041B (zh) 水泵安装装置及其施工方法
CN111043454A (zh) 一种用于机械设备减隔振的基础平台及其设计方法
CN115060480A (zh) 一种通用阻尼装置测试平台及控制系统
CN213086589U (zh) 一种双幅预制立柱定位安装装置
JP2019056282A (ja) 脚状部支持構造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220267345U (zh) 一种减震式房屋
CN217352582U (zh) 一种塔机基础辅助支撑装置
KR102274030B1 (ko) 맨홀뚜껑의 경사 및 높이 조절 장치를 이용한 맨홀 시공 방법
CN211737858U (zh) 隔振模块安装结构
KR102604411B1 (ko) 초정밀 설비를 위한 분할기초 제진대 시스템
CN215928217U (zh) 隔振模块悬吊安装结构
CN218032348U (zh) 一种带有动刚性强化调节器的刚性结构补强系统
CN220117007U (zh) 一种钢箱梁落梁支座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