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742B1 - 금형가공용 mct - Google Patents

금형가공용 m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742B1
KR102338742B1 KR1020210077852A KR20210077852A KR102338742B1 KR 102338742 B1 KR102338742 B1 KR 102338742B1 KR 1020210077852 A KR1020210077852 A KR 1020210077852A KR 20210077852 A KR20210077852 A KR 20210077852A KR 102338742 B1 KR102338742 B1 KR 102338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lock
slide plate
plate
process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근식
권민재
김희경
손영경
김상은
김충년
장재현
전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하이텍
Priority to KR1020210077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04Arrangements for improving direct observation of the working space, e.g. using mirrors or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09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 B23Q17/095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 B23Q17/098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cutting pressure or for determining cutting-tool condition, e.g. cutting ability, load on tool during machining by measur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vacuum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04Work clamping means using fluid means or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2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working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블록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금형가공용 MC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는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을 조명하는 LED조명등(16)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LED조명등(16)을 on시키면, LED조명등(16)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부위에 조사되어, 사용자가 금속블록(1)의 가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금형가공용 MCT{MCT for processing molding}
본 발명은 금속블록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금형가공용 MC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금형가공용 MCT를 이용하여 모재가 되는 금속블록을 가공하여 제작한다.
상기 금형가공용 MCT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베드(A)와, 상기 베드(A)의 일측에 구비되며 툴(12)을 회전시키고 정밀하게 위치조절하여 상기 베드(A)에 고정된 금속블록(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B)과,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공유닛(B)은 상기 베드(A)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에는 툴(12)이 구비된 가공헤드(11)와, 상기 가공헤드(11)에 연결되어 가공헤드(1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1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C)에는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15)이 구비되며, 상기 금속블록(1)의 사이즈와, 제작할 금형의 도면이 입력된다.
따라서,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상기 베드(A)에 올려놓아 고정한 후, 상기 가공유닛(B)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함으로써, 금형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MCT를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때, 작업자는 작업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하는데, 주변이 어두워 작업자가 작업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금속블록(1)을 가공하여 금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베드(A)의 정확한 위치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고 고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금속블록(1)을 베드(A)에 올려놓을 때 사용되는 호이스트(2)는 공장의 천정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와이어(3)를 금속블록(1)에 걸어 금속블록(1)을 이동시키게 됨으로, 금속블록(1)을 이동시킬 때, 금속블록(1)이 임의의 방향으로 유동되며, 이와 같이 유동되는 금속블록(1)을 베드(A)에 내려놓기 위해서는 유동되는 금속블록(1)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잡아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금속블록(1)은 무게가 많이 나가서, 와이어(3)에 매달린 채로 유동되는 금속블록(1)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잡아 고정할 때,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96933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블록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금형가공용 MCT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베드(A)와, 상기 베드(A)의 일측에 구비되며 툴(12)을 회전시키고 정밀하게 위치조절하여 상기 베드(A)에 고정된 금속블록(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B)과,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유닛(B)은 상기 베드(A)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에는 툴(12)이 구비된 가공헤드(11)와, 상기 가공헤드(11)에 연결되어 가공헤드(1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13)을 포함하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들어올려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금형가공용 MCT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을 조명하는 LED조명등(16)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가공용 MCT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드(A)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원형의 오목홈(2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베드본체(20)와,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베드본체(20)의 상부로 이송된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금속블록(1)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유동감쇄수단(D)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감쇄수단(D)은 상기 오목홈(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31)과, 상기 승강판(3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에 연결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하부댐퍼(33)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슬라이드판(34)과,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연결되어 상부슬라이드판(34)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상부댐퍼(35)와,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에어챔버(36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흡입공(36b)이 형성된 흡착판(36)과,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어 에어챔버(36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펌프(37)와, 상기 흡착판(36)에 연결되어 흡착판(36)을 상승시키는 탄성부재(38)와, 상기 흡착판(36)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챔버(36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39)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에 구비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이 슬라이드되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38)는 탄성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블록(1)의 무게에 비해 약하게 구성되어, 상기 흡착판(36)의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으면, 금속블록(1)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38)가 압축되면서 상기 흡착판(36)이 하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기압센서(39)와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진공펌프(37)와 승강구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가공용 MCT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공헤드(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툴(12)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마이크(60)에 수집된 소음을 분석하여, 금속블록(1)이 가공되는 소음이 수집되지 않으면, 상기 툴(12)이 마모되거나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가공용 MCT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는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을 조명하는 LED조명등(16)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LED조명등(16)을 on시키면, LED조명등(16)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부위에 조사되어, 사용자가 금속블록(1)의 가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금형가공용 MCT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를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도 5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의 회로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가공용 MCT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베드(A)와, 상기 베드(A)의 일측에 구비되며 툴(12)을 회전시키고 정밀하게 위치조절하여 상기 베드(A)에 고정된 금속블록(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B)과,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가공유닛(B)은 상기 베드(A)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에는 툴(12)이 구비된 가공헤드(11)와, 상기 가공헤드(11)에 연결되어 가공헤드(1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블록(1)은 호이스트(2)에 의해 상기 베드(A)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을 조명하는 LED조명등(16)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유닛(B)의 측면 하단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브라켓(14)이 구비된다.
상기 LED조명등(16)은 사삭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14)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LED조명등(16)을 on시키면, LED조명등(16)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부위에 조사되어, 사용자가 금속블록(1)의 가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원형의 오목홈(2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베드본체(20)와,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베드본체(20)의 상부로 이송된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금속블록(1)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유동감쇄수단(D)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동감쇄수단(D)은 상기 오목홈(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31)과, 상기 승강판(3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에 연결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하부댐퍼(33)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슬라이드판(34)과,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연결되어 상부슬라이드판(34)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상부댐퍼(35)와,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에어챔버(36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흡입공(36b)이 형성된 흡착판(36)과,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어 에어챔버(36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펌프(37)와, 상기 흡착판(36)에 연결되어 흡착판(36)을 상승시키는 탄성부재(38)와, 상기 흡착판(36)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챔버(36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39)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에 구비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이 슬라이드되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31)은 강도가 높은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상면 전후측에는 하부가이드레일(31a)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은 강도가 높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가이드레일(31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 양측에는 상부가이드레일(32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댐퍼(33)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기구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판(31)의 상면에 고정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에 연결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하부댐퍼(33)가 신축되면서 하부슬라이드판(32)의 유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은 상기 상부가이드레일(32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둘레부에는 가이드공(34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댐퍼(35)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기구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의 상면에 고정되며 전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연결되어, 상부슬라이드판(34)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 상부댐퍼(35)가 신축되면서 상부슬라이드판(34)의 유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하부댐퍼(33)와 상부댐퍼(35)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다양한 종류의 유동을 감쇄시키는데 사용됨으로, 하부댐퍼(33)와 상부댐퍼(35)에 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흡착판(36)은 하측면에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승강바(36c)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바(36c)가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의 가이드공(34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공펌프(37)는 배기관(37a)을 통해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에어챔버(36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에어챔버(36a)를 진공압으로 만듦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착판(36)의 상면이 금속블록(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금속블록(1)이 흡착판(36)의 상면에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상하 양단이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과 흡착판(36)에 밀착되도록 상기 승강바(36c)의 둘레면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8)는 탄성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블록(1)의 무게에 비해 약하게 구성되어, 상기 흡착판(36)의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으면, 금속블록(1)에 의해 흡착판(36)이 하강되어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압센서(39)는 상기 흡착판(36)에 형성된 에어챔버(36a)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챔버(36a) 내부의 기압이 진공압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C)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은 상기 승강판(31)의 상면과 하부슬라이드판(32)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고 빛이 하부슬라이드판(32)의 하측면과 상부슬라이드판(34)의 하측면에서 반사되는 및을 수신하여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이 측방향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감지하는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한다.
이러한 비접촉식 센서는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광마우스를 비롯한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50)은 상기 오목홈(21)의 내부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승강판(31)의 하측면에 결합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구동수단(50)을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유동감쇄수단(D)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구동수단(50)은 상기 유동감쇄수단(D)의 승강판(31)이 베드본체(20)의 상부로 승강되도록 유동감쇄수단(D)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C)은 다양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15)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기압센서(39)와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진공펌프(37)와 승강구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블록(1)을 베드(A)의 상면에 근접되도록 이송하면, 상기 금속블록(1)은 호이스트(2)의 와이어(3)에 매달린 상태로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유동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15)을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진공펌프(37)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승강구동수단(50)을 제어하여 유동감쇄수단(D)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감쇄수단(D)이 상승되면, 상기 흡착판(36)의 상면이 유동되는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금속블록(1)이 흡착판(36)에 흡착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동되는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흡착판(36)이 흡착되면, 상기 금속블록(1)의 유동에 추종하여 하부슬라이드판(32)이나 상부슬라이드판(34)이 측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하부댐퍼(33)와 상부댐퍼(35)에 의해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의 유동이 급격하게 감소되어, 최종적으로 금속블록(1)이 유동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유동감쇄수단(D)이 상승될 때, 상기 기압센서(39)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어챔버(36a)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하로 하강되면, 상기 흡착판(36)의 상면이 와이어(3)에 매달린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승강구동수단(50)을 정지시켜 흡착판(36)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착판(36)은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38)에 의해 지지됨으로, 흡착판(36)이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될 때, 상기 탄성부재(38)가 압축되면서 흡착판(36)이 조금 하강되도록 하여, 흡착판(36)이 금속블록(1)에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이 더 이상 슬라이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진공펌프(37)를 정지시키고, 상기 승강구동수단(50)을 제어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감쇄수단(D)이 오목홈(21)으로 삽입되도록 하강시키고, 작업자가 상기 호이스트(2)를 조작하여, 상기 금속블록(1)이 베드본체(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금속블록(1)이 베드본체(20)에 안착되면, 작업자는 금속블록(1)의 위치를 조절한 후, 별도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가공유닛(B)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0)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60)는 상기 툴(12)에 근접되도록 상기 가공헤드(11)의 하측면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마이크(60)에 수집된 소음을 분석하여, 금속블록(1)이 가공되는 소음이 수집되지 않으면, 상기 툴(12)이 마모되거나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툴(12)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때는, 툴(12)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금속블록(1)의 면을 절삭하게 되며, 이때, 특유의 소음이 발생된다.
반대로, 이러한 소음이 마이크(60)에 수집되지 않는 다는 것은, 상기 툴(12)이 마모되어 툴(12)이 금속블록(1)에 밀착되지 못하거나, 툴(12)이 손상되어, 즉, 부러져서, 툴(12)이 금속블록(1)을 가공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가공유닛(B)을 정지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금형가공용 MCT는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을 조명하는 LED조명등(16)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LED조명등(16)을 on시키면, LED조명등(16)에서 출력된 빛이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부위에 조사되어, 사용자가 금속블록(1)의 가공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A)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원형의 오목홈(2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베드본체(20)와,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베드본체(20)의 상부로 이송된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금속블록(1)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유동감쇄수단(D)으로 구성되어, 상기 금속블록(1)이 베드(A)의 상면으로 이송되면, 상기 유동감쇄수단(D)을 상승시켜 금속블록(1)의 하측면을 지지함으로써, 금속블록(1)의 유동이 빠르게 감쇄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동되는 금속블록(1)을 정지시킬 필요가 없음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작업자가 금속블록(1)을 정지시킬 때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마이크(60)에 수집된 소음을 분석하여, 금속블록(1)이 가공되는 소음이 수집되지 않으면, 상기 툴(12)이 마모되거나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으로, 툴(12)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자동으로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정지시켜, 금속블록(1)이 잘못 가공되는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베드 B. 가공유닛
C. 제어수단 16. 조명등

Claims (2)

  1.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베드(A)와,
    상기 베드(A)의 일측에 구비되며 툴(12)을 회전시키고 정밀하게 위치조절하여 상기 베드(A)에 고정된 금속블록(1)을 가공하는 가공유닛(B)과,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C)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유닛(B)은
    상기 베드(A)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에는 툴(12)이 구비된 가공헤드(11)와,
    상기 가공헤드(11)에 연결되어 가공헤드(11)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13)을 포함하며,
    호이스트(2)를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들어올려 상기 베드(A)의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금형가공용 MCT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닛(B)의 가공헤드(11)의 일측에는 상기 툴(12)에 의해 가공되는 금속블록(1)의 상면을 조명하는 LED조명등(16)이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드(A)는
    상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원형의 오목홈(21)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베드본체(20)와,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베드본체(20)의 상부로 이송된 금속블록(1)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금속블록(1)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유동감쇄수단(D)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감쇄수단(D)은
    상기 오목홈(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5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31)과,
    상기 승강판(31)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에 연결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하부댐퍼(33)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상부슬라이드판(34)과,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연결되어 상부슬라이드판(34)의 유동을 감쇄시키는 상부댐퍼(35)와,
    상기 상부슬라이드판(3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에어챔버(36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흡입공(36b)이 형성된 흡착판(36)과,
    상기 에어챔버(36a)에 연결되어 에어챔버(36a)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펌프(37)와,
    상기 흡착판(36)에 연결되어 흡착판(36)을 상승시키는 탄성부재(38)와,
    상기 흡착판(36)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챔버(36a) 내부의 기압을 측정하는 기압센서(39)와,
    상기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에 구비되어 하부슬라이드판(32)과 상부슬라이드판(34)이 슬라이드되는 것을 감지하는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38)는 탄성이 상기 호이스트(2)에 의해 이송되는 금속블록(1)의 무게에 비해 약하게 구성되어, 상기 흡착판(36)의 상면에 금속블록(1)을 올려놓으면, 금속블록(1)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38)가 압축되면서 상기 흡착판(36)이 하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기압센서(39)와 상하부 슬라이드감지수단(41,4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진공펌프(37)와 승강구동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가공헤드(1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툴(12)을 이용하여 금속블록(1)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C)은 상기 마이크(60)에 수집된 소음을 분석하여, 금속블록(1)이 가공되는 소음이 수집되지 않으면, 상기 툴(12)이 마모되거나 손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공유닛(B)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가공용 MCT.
  2. 삭제
KR1020210077852A 2021-06-16 2021-06-16 금형가공용 mct KR10233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52A KR102338742B1 (ko) 2021-06-16 2021-06-16 금형가공용 m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52A KR102338742B1 (ko) 2021-06-16 2021-06-16 금형가공용 m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742B1 true KR102338742B1 (ko) 2021-12-14

Family

ID=7893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852A KR102338742B1 (ko) 2021-06-16 2021-06-16 금형가공용 m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7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437U (ja) * 1982-08-10 1984-02-22 葵スズヨシ機器株式会社 工作機械用作業確認装置
JP2005028461A (ja) * 2003-07-07 2005-02-03 Toshiyuki Onuma 工作機械用照明装置
KR100969333B1 (ko) 2008-06-24 2010-07-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이어 제조용 2피스형 금형제조장치
KR101824695B1 (ko) * 2017-08-07 2018-02-01 성대경 에너지 하베스팅 방열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437U (ja) * 1982-08-10 1984-02-22 葵スズヨシ機器株式会社 工作機械用作業確認装置
JP2005028461A (ja) * 2003-07-07 2005-02-03 Toshiyuki Onuma 工作機械用照明装置
KR100969333B1 (ko) 2008-06-24 2010-07-0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타이어 제조용 2피스형 금형제조장치
KR101824695B1 (ko) * 2017-08-07 2018-02-01 성대경 에너지 하베스팅 방열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095B1 (ko) 금속판 절곡장치
KR20150020979A (ko) 레이저를 이용한 절곡기 방호장치
KR101983533B1 (ko) 금형가공용 mct
KR102338742B1 (ko) 금형가공용 mct
KR102338743B1 (ko) Mct가공장치
KR101824660B1 (ko) 금형 제조장치
KR101540055B1 (ko) 드릴링 머신
JP6543111B2 (ja) ねじ締め装置
CN206764141U (zh) 激光切割上下料装置
CN109048101B (zh) 排锯焊接机
US3354553A (en) Measur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s
CN111255387B (zh) 自锁式防坠吊卡
CN215393499U (zh) 一种排气管焊接台
JP4168169B2 (ja) ワーク供給装置
KR102355533B1 (ko) Nct가공장치
KR102404758B1 (ko) Cnc 가공용 에어챔버
CN205111455U (zh) 一种升降式对刀仪安装机构
CN206123788U (zh) 用于多功能自动化裁断机的下料机构
JP4166966B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格納装置
KR102185906B1 (ko) 구멍가공장치
CN218383338U (zh) 物体识别装置及加气混凝土生产线
KR19980074549A (ko) 모니터 회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20649444U (zh) 一种快速检测深孔的检具
CN216880488U (zh) 一种齿轮轴的齿圈厚度检测装置
CN212844956U (zh) 一种材料鉴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