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883B1 -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Google Patents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7883B1 KR102337883B1 KR1020210038482A KR20210038482A KR102337883B1 KR 102337883 B1 KR102337883 B1 KR 102337883B1 KR 1020210038482 A KR1020210038482 A KR 1020210038482A KR 20210038482 A KR20210038482 A KR 20210038482A KR 102337883 B1 KR102337883 B1 KR 102337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yard
- center
- space part
- unit househ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85 제곱미터 이하로 3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에는 일측으로부터 제1 공간부, 제2 공간부 및 제3 공간부가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되고, 폭방향으로 제공되는 복도부를 중심으로 배면부에는 상기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공간부 및 제5 공간부가 형성되는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는 1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며, 내력 구조체에 지지되어 4 방향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마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동일한 평면이 반복 적층되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도 4 방향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마당부가 형성된 제2 공간부를 가변형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85 제곱미터 이하로 3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에는 일측으로부터 제1 공간부, 제2 공간부 및 제3 공간부가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되고, 폭방향으로 제공되는 복도부를 중심으로 배면부에는 상기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공간부 및 제5 공간부가 형성되는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는 1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며, 내력 구조체에 지지되어 4 방향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마당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동일한 평면이 반복 적층되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도 4 방향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마당부가 형성된 제2 공간부를 가변형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에 관한 것으로, 85 제곱미터 이하로 3 베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에 제1,2,3 공간부가 폭방향을 따라 구획되고, 복도부를 중심으로 배면부에는 제1,2 공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5 공간부가 형성되는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에는 4 방향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마당부가 형성되어 단독주택과 같은 공간적 다양성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의 구조, 기능 및 환경을 개선시킨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한국 전통가옥의 공간구조는 다목적 공간인 마당, 마당을 통한 공간적 연계, 마당을 통한 공간적 분리, 상기 마당으로 인한 주거환경개선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마당은 비어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가사활동은 물론 관혼상제의 행사 등의 기능을 가진 다목적 주공간이라 할 수 있고, 마당을 중심으로 거실, 주방, 침실, 창고, 서재 등의 공간과의 연계를 도모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가변성이 존재하였으며, 안채와 사랑채의 완충공간으로서 안채의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는 공간의 분리가 가능하였으며, 거실과 주방의 분리로 거실의 쾌적한 환경을 보호하고, 각 공간은 마당을 통해 양방향 창호를 가지는 구조가 되어 채광과 통풍 등 주거환경에 적합한 공간구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마당중심의 공간구조의 장점들은 현대주거에서도 중요한 요소인 공간계획에 있어 주요 계획상의 지표라고 할 수 있으나, 종래의 공동주택은 국민주택규모의 단위세대에서 공간 효율성에 따른 경제성을 저해하는 공간구조로 인식되어 수십년 동안 거실중심의 공간구조가 고착되어 왔다.
종래의 공동주택에서 거실중심의 공간구조에 있어 마당은 단지 외기에 면한 공간으로 인식되어 거실, 주방, 침실 등 단일 공간에 부가된 발코니나 수납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거실중심의 공간구조는 불문율처럼 거실과 주방의 일치된 공간구조에서 시작하여 침실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2 베이, 3 베이, 4 베이로 진화해왔다. 그러나, 해당 구조의 가변성은 병렬된 소형침실 2개의 결합이거나, 소형침실 1개를 거실로 확장하거나, 거실의 일부에 극소형 침실을 제공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나, 최근 COVID-19에 의해 가속된 주거문화는 홈오피스, 홈피트니스, 홈캠핑, 홈러닝, 홈펀, 홈스튜디오 등 주택내부에 다양한 기능 등을 요구하고 있어 거주자의 라이프사이클의 특성에 맞는 가변형 공간구조는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가변성이 있는 발코니 공간을 실내측으로 적극적으로 유도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15019호(2000.12.15.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합니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횡방향 발코니에 대해서도 전용면적이 공제된다는 건축법규를 전제로, 건축 내부에 발코니를 배치하는 방법을 통해 제한된 공간 내에서 공간의 기능적 효율을 도모하고, 개방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나, 테라스를 각각 거실, 현관, 자녀침실 등과 연계함으로써 시각적 개방감을 확보하였으나, 현관의 경우는 상주의 공간이 아니며, 침실의 경우에는 오히려 프라이버시를 위해 차단하는 것이 일반적인 평면계획이라고 볼때, 결국 거실 1면에 부가된 발코니로서 공간의 활용도와 확장성에 제약을 가지는 거실중심의 공간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행 법령상 건축물에 있어 횡방향으로의 발코니는 전용면적이 공제되지 않으며, 공제를 전제한 발코니의 폭인 2m는 주요공간으로서 마당이라고 하기엔 지나치게 협소하다고 할 수 있다.
가변성이 있는 발코니 공간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6638호(2019. 10. 15. 공개,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합니다)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면적에 산입되지 않는 테라스를 제공하기 위한 평면을 제안하고 있으나, 배치계획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층 마다 다른 4개의 테라스 설치 위치에 의하여 단위주거의 볼륨이 커지게 되어 채광창 방향의 이격거리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단지 전체의 세대수 감소에 따른 사업성의 저하가 우려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사례와 같이 테라스를 주요공간인 거실과 주방에 연계하여 배치할 경우, 테라스층의 세대와 오픈된 층의 세대는 상호간에 시선에 의한 노출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마당과 연계하려는 2개의 주공간 중 1개의 공간은 반드시 마당과 접한 1면을 차단하거나 고측창 설치를 통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여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으므로 여전히 거실, 주방, 침실 중 1개의 공간에 부가된 발코니로서 거실중심의 공간구조로서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단순히 테라스의 위치를 변경해가며, 가변 세대를 배치하고자 하였을 뿐, 단일세대에서 주공간인 테라스가 인접 공간과의 상호 유기적 공간구조를 가지고자 하는 마당중심의 가변형 공간구조를 위한 아이디어는 전혀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공동주택에도 단위세대 내에 비어있는 공간으로서 마당을 배치하고 이와 연계하여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규모나 라이프 특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가변형 공간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개별 재실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공간의 입체적,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고,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부여될 수 있으며, 마당을 통해 거실과 주방을 분리 구획하여 외부손님 방문시 프라이버시를 보호함과 동시에 거실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모든 공간의 맞통풍 구조를 통해 외기를 실내로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S)는, 85 제곱미터 이하로 3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100)에는 일측으로부터 제1 공간부(110), 제2 공간부(120) 및 제3 공간부(130)가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되고, 폭방향으로 제공되는 복도부(200)를 중심으로 배면부(300)에는 상기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공간부(310) 및 제5 공간부(320)가 형성되는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S)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120)는 1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부(120)에는 내력 구조체에 지지되어 4 방향으로 개방면(OS)을 가지는 마당부(121)와, 상기 마당부(121)와 하나의 개방면(OS)을 공유하여 4 방향으로 개방면(OS)을 가지는 전이 공간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전이 공간부(12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공간부(130)와 상기 전이 공간부(122)도 하나의 개방면(OS)을 공유하고, 상기 전면부(100)의 제1 공간부(110)는 거실, 제3,4 공간부(130)(310)는 침실, 제5 공간부(320)는 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상부로 2 개층의 높이만큼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마당, 테라스, 오피스룸 및 공용 드레스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100)에는 제1 공간부(110)의 일측으로 제6 공간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한편, 공간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2 공간부(120)의 마당부(121)의 배치로 인해 추가로 확보되는 발코니 면적, 제6 공간부(140)의 전면에 위치한 발코니의 삭제를 통해 확보되는 면적, 전용면적으로 산입되는 발코니 대피공간의 마당부에서의 활용을 통해 확보되는 2제곱미터의 면적, 일반적인 4 베이 구조의 비효율적인 복도면적 개선을 통해 확보되는 면적 등을 활용하여 기존 4 베이 구조를 구성하는 해당 실면적의 감소 없이 규모 있는 마당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S)에 의하면, 동일한 평면이 반복 적층되는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 있어서, 4 방향으로 개방면을 가지는 마당부가 형성된 제2 공간부를 가변형 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부의 마당부는 평면의 중심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2 공간부에 형성된 마당부는 인접한 제1 공간부, 제3 공간부 또는 제5 공간부와의 관계에서 그 용도가 확장되도록 또는 보완되도록 가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규모나 라이프 특성이 수용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당부는 정원이나 라운지의 형태를 지니며, 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홈화실, 홈음악실, 홈휘트니스, 홈캠핑 및 간이수영장 등의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전이 공간부는 인접한 마당부와 개방면을 공유함으로써 개별 재실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공간의 입체적,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공용영역과 전용영역의 중간적 성격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이 공간부는 마당의 연장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각종 운동이나 놀이를 즐기기 위한 테라스, 오피스룸 또는 공용 드레스룸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유튜브나 각종 영상물을 촬영하는 작업 공간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공간부의 마당부는 4 방향의 개방면을 제공함으로 시각적으로 개방감이 부여될 수 있으며, 거실과 주방을 분리 구획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필요시 외기를 실내로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공간부를 거실로 활용함에 있어서 일측에 제6 공간부가 형성되면, 아트월을 제공할 수 있는 벽면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거실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5 공간부를 주방으로 활용함에 있어서 제2 공간부는 제5공간부를 보조하는 라운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법규화된 대피공간 면적을 마당부로 활용함으로써 제한된 평면하에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르게 된 (a) 전용영역과 (b) 공용영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르게 된 (a) 고정영역과 (b) 가변영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가변적 활용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는 도 6에 도시된 공간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이르게 된 (a) 전용영역과 (b) 공용영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이르게 된 (a) 고정영역과 (b) 가변영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가변적 활용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간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는 도 6에 도시된 공간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은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을 전용영역과 공용영역으로 분리하여 도해할 수 있다. (a)에 도시된 전용영역이란 각 공간별 프라이버시가 중요한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고, (b)에 도시된 공용영역이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퍼블릭한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 즉, 공간의 용도에 따라 전용영역은 침실과 침실에 기속된 화장실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용영역은 거실, 주방, 현관, 공용 화장실 및 유틸리티 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술한 전용영역과 공용영역이란 정의는 종래의 획일화된 관점에서 바라 본 분류 기준이라 볼 수 있으므로, 보다 자유로운 평면과 공간의 입체적 활용을 위하여 용도의 변경을 기대하기 어려운 고정영역과 그 용도를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가변영역으로 분류하여 공간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도시된 것이 도 3이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목적의 침실, 화장실, 주방, 현관, 유틸리티를 고정영역으로 선정할 수 있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과 잔여 침실 기타 식당 등의 공간이 가변영역으로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의 (b)에 도시된 가변영역을 바탕으로, 동일한 평면이 반복 적층되는 공동주택에서도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규모나 라이프 특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가변형 공간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개별 재실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공간의 입체적,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공간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85 제곱미터 이하로 3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100)에는 일측으로부터 제1 공간부(110), 제2 공간부(120) 및 제3 공간부(130)가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되고, 폭방향으로 제공되는 복도부(200)를 중심으로 배면부(300)에는 상기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공간부(310) 및 제5 공간부(320)가 형성되는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S)를 전제로 제안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공간부는 크게 다섯 개의 공간부으로 구획되는 공간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들 제1 내지 제5 공간부를 포함한 상태로 추가적인 공간부가 부가 형성되는 형태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즉, 3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는 4 베이, 4.5 베이, 5 베이 이상의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구조(S)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bay)는 폭방향과 수직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력 구조체의 복수의 가상 중심선 또는 그 연장선에 있어서 복수의 선들 사이의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각각의 공간부도 벽체 또는 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내력 구조체에 있어서, 내력 구조체의 가상의 중심선과 그 연장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상의 격자형 공간을 공간부로 정의할 수 있다. ,
따라서, 각각의 공간부는 단일한 용도의 공간으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며, 부수적인 또는 보조적인 용도나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을 포괄하여 하나의 공간부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도를 기준으로 공간부와의 관계를 정의함에 있어서도 개별 용도는 각각의 공간부를 초과하여 다른 공간부까지 사용하거나 공간부의 일부만 사용하는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S)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100)에 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구획되는 제1 공간부(110), 제3 공간부(130), 제4 공간부(310) 및 제5 공간부(320)는 각각 거실, 침실(안방), 침실(보조방) 및 주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S)는 제2 공간부(120)의 일측으로 인접하는 제1 공간부(110)와 복도부(200)를 사이에 두고 배면측에 인접하는 제5 공간부(320)는 공용영역에 해당하는 공간을 배치함으로써, 그 중심에 위치한 제2 공간부(120)가 가변형 공간을 제공하여, 인접한 제1 공간부(110) 및 제5 공간부(320)의 용도에 부가되어 선택적으로 활용됨으로써 공간활용에 효율성과 입체성을 부여한 점에 주요한 차별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공간부(120)는 적어도 1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력 구조체에 지지된 상태로 4 방향으로 개방면(OS)을 가지는 마당부(121)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개방면(OS)이란, 가상의 공간부가 형성하는 가상의 면이 벽체나 기둥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가려짐이 없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벽체나 기둥과 같은 내력 구조체에 의하여 완전히 개방될 수는 없으므로 가상의 면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가려지지 않는 개방 면적이 절반 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다.
일 실시예로, 테라스의 경우에는 전면측 개방면(OS)은 물리적으로 완전히 개방된 것이며, 나머지 3 방향의 개방면(OS)은 유리마감으로 처리되어 시각적으로 가려지지 않은 개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개방면(OS)이 유리마감으로 처리되는 경우라면, 물리적으로도 공간의 확장성이 확보되도록 슬라이드 방식 내지는 여닫는 방식의 유리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S)는, 상기 제2 공간부가 평면의 중심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2 공간부(120)에 형성된 마당부(121)가 인접한 제1 공간부(110), 제3 공간부(130) 또는 제5 공간부(320)와의 관계에서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규모나 라이프 특성이 수용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공동주택은 법규로서 대피공간 면적을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 마당부(121)를 대피공간으로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제한된 평면하에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상기 제3 공간부(130)가 비록 전용영역으로서 용도가 침실이지만, 재실자의 활용에 따라서 개방적인 공간으로 가변 활용될 필요가 있다면, 상기 제3 공간부(130)와 마당부(121)가 개방면(OS)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제3 공간부(130)의 용도나 기능이 마당부(121)로 확장되도록 가변 활용할 수 있으며, 재차 전용영역으로 가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블라인드나 커튼을 활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간부(120) 전체가 마당부(121)로 형성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족 구성원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3 공간부(130)를 프라이빗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일측이 개방면(OS)으로 형성됨에 따라 오히려 기본적인 용도로서 공간을 충실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공간부(120)에는 상기 마당부(121)와 하나의 개방면(OS)을 공유하여 적어도 3 방향으로 개방면(OS)을 가지는 전이 공간부(122)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일측으로 인접한 마당부(121)와 개방면(OS)을 공유함으로써 개별 재실자의 개성을 고려하여 공간의 입체적,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공용영역과 전용영역의 중간적 성격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3 공간부(130)에는 프라이빗한 전용영역의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성이 높은 전이 공간부(122)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마당의 연장 공간으로 사용되거나, 각종 운동이나 놀이를 즐기기 위한 테라스 또는 오피스룸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유튜브나 각종 영상물을 촬영하는 작업 공간으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공간부(120)의 마당부(121)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 공간부(110), 타측에는 전이 공간부(122)가 형성되고, 배면측으로는 제5 공간부(32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당부(121)에 형성된 4 방향의 개방면을 바탕으로 3 방향의 공간부에 위치한 재실자에게 시각적으로 개방감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 공간부(110), 전이 공간부(122) 및 제5 공간부(320)의 공간감이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부(110)의 재실자는 통상 커튼이나 블라인드로 차단되는 전면부를 제외하고는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시각적 개방감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제5 공간부(320)의 용도가 주방인 경우에는 제1 공간부(110)와 주방을 분리 구획하여, 거실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제1 공간부(110)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시 상기 마당부(121)나 전이 공간부(122)의 개방면(OS)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S)에 의하면,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간부(110), 제 3공간부(130) 및 제5 공간부(320)를 고정영역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2 공간부(120)를 구성하는 마당부(121)와 전이 공간부(122)를 바탕으로, 26가지로 제안될 수 있는 다양한 용도와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입체적, 효율적 활용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한편, 상기 제3 공간부(130)가 비록 전용영역으로서 용도가 침실이지만, 재실자의 활용에 따라서 개방적인 공간으로 가변 활용될 필요가 있다면, 전이 공간부(122)도 내력 구조체에 지지된 상태로 4 방향으로 개방면(O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이 공간부(122)의 타측에는 제3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전이 공간부(122)와 제3 공간부(130)도 하나의 개방면(OS)을 공유함으로써, 제3 공간부(130)의 용도나 기능이 전이 공간부(122), 더 나아가서는 마당부(121)로 확장되도록 가변 활용할 수 있으며, 재차 전용영역으로 가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블라인드나 커튼을 활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상부로 2 개층의 높이만큼 확장될 수 있다. 이때, 바닥 슬라브가 형성된 평면을 기준으로는 층고가 높게 확보되어 개방감이 부여된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바닥 슬라브가 형성된 평면의 직상부층은 보이드(void) 공간이 제공되어지며, 하부층의 프라이버시를 위하여 제2 공간부(120)의 마당부(121)는 보이드 공간과 접하는 타측 개방면(OS)이 생략되거나, 벽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 공간부(110)를 거실로 활용함에 있어서 일측에 제6 공간부(140)가 형성되면, 제1 공간부(110)와 제6 공간부(140) 사이에 벽체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아트월을 제공할 수 있는 벽면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거실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공간부(140)는 배면측으로 충분한 깊이를 지니도록 확장 설계될 수 있으므로, 침실 중에서 안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6 공간부(140)는 충분한 전용면적을 제공하면서도 배면측의 공간은 과감하게 생략하여 불필요한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 효율성이 높은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S)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기술적 내용들을 설명 기술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
100:전면부 110:제1 공간부
120:제2 공간부 121:마당부
122:전이 공간부 130:제3 공간부
140:제6 공간부 200:복도부
300:배면부 310:제4 공간부
320:제5 공간부 OS:개방면
100:전면부 110:제1 공간부
120:제2 공간부 121:마당부
122:전이 공간부 130:제3 공간부
140:제6 공간부 200:복도부
300:배면부 310:제4 공간부
320:제5 공간부 OS:개방면
Claims (7)
- 85 제곱미터 이하로 3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100)에는 일측으로부터 제1 공간부(110), 제2 공간부(120) 및 제3 공간부(130)가 폭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획되고, 폭방향으로 제공되는 복도부(200)를 중심으로 배면부(300)에는 상기 제1 공간부(110) 및 제2 공간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4 공간부(310) 및 제5 공간부(320)가 형성되는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 공간구조(S)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부(120)는 1 베이(bay)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공간부(120)에는 내력 구조체에 지지되어 4 방향으로 개방면(OS)을 가지는 마당부(121)와, 상기 마당부(121)와 하나의 개방면(OS)을 공유하여 4 방향으로 개방면(OS)을 가지는 전이 공간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전이 공간부(122)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3 공간부(130)와 상기 전이 공간부(122)도 하나의 개방면(OS)을 공유하고,
상기 전면부(100)의 제1 공간부(110)는 거실, 제3,4 공간부(130)(310)는 침실, 제5 공간부(320)는 주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상부로 2 개층의 높이만큼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공간부(122)는 마당, 테라스, 오피스룸 및 공용 드레스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00)에는 제1 공간부(110)의 일측으로 제6 공간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482A KR102337883B1 (ko) | 2021-03-25 | 2021-03-25 |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8482A KR102337883B1 (ko) | 2021-03-25 | 2021-03-25 |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7883B1 true KR102337883B1 (ko) | 2021-12-10 |
Family
ID=7886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8482A KR102337883B1 (ko) | 2021-03-25 | 2021-03-25 |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788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019Y1 (ko) * | 2000-09-08 | 2001-02-15 | 박흥석 | 테라스설치형 공동주택 |
KR20170006781A (ko) * | 2015-07-09 | 2017-01-18 | 박제성 | 발코니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킨 발코니하우스 |
-
2021
- 2021-03-25 KR KR1020210038482A patent/KR1023378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5019Y1 (ko) * | 2000-09-08 | 2001-02-15 | 박흥석 | 테라스설치형 공동주택 |
KR20170006781A (ko) * | 2015-07-09 | 2017-01-18 | 박제성 | 발코니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킨 발코니하우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092603A (ko) | 실내 주거공간이 외부로 돌출배치된 공동주택형 건축물의 구조 | |
JP2017198024A (ja) | 住宅 | |
KR102337883B1 (ko) |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판상형 공동주택의 단위세대 평면에서 공용부의 중심에 마당을 배치하는 공간구조 | |
KR101314742B1 (ko) |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 |
Akbar | Support for court-yard houses: Riyad, Saudi Arabia | |
JP3151454U (ja) | 南側(東側・西側)に面するアプローチテラスと住戸玄関を備えた集合住宅 | |
CN103758363B (zh) | 叠拼拓展式组合别墅 | |
Campion | People, process and the poverty-pew: a functional analysis of mundane buildings in the Nottinghamshire framework-knitting industry | |
KR100778809B1 (ko) | 복도형 아파트 | |
JP6778000B2 (ja) | 建物 | |
JP2000234388A (ja) | 住宅と建物ユニット | |
CN2825836Y (zh) | 超小户型联体别墅 | |
JP2018150802A (ja) | 住宅 | |
Felger | From Object to Place: A New, Highly Public Home for a Venerable Company. | |
CN210316677U (zh) | 一种微型别墅单元及联排别墅 | |
Felger | Amorepacific Headquarters, Seoul | |
JP7161671B2 (ja) | 住宅 | |
JP2002266509A (ja) | 集合住宅 | |
Narayanamurthy | A Contemporary Approach in the Preservation of Chettinad Architecture | |
Johansson | RESILIENT MODULES Adaptable housing and modular timber construction | |
Thurmond | Adapting Lifestyle: The Dwelling | |
JP2023008535A (ja) | 建物 | |
Kapoor | RETHINKING HILL ARCHITECTURE | |
KR101672836B1 (ko) | 독립형 라운지시설이 구비된 공동주택 | |
Kumlien | HALF EMPTY HOU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