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876B1 -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876B1
KR102336876B1 KR1020190149347A KR20190149347A KR102336876B1 KR 102336876 B1 KR102336876 B1 KR 102336876B1 KR 1020190149347 A KR1020190149347 A KR 1020190149347A KR 20190149347 A KR20190149347 A KR 20190149347A KR 102336876 B1 KR102336876 B1 KR 10233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tier element
water
heat dissipation
zone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2110A (ko
Inventor
김진영
정세진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19014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8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상부 공간 및 각종 기계 장치가 구비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의 상방향을 개폐하는 커버부가 형성된 본체부; 냉각면과 방열면이 형성된 펠티에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공간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WATER AGING APPARATUS USING PELTIER DEVICE}
본 발명은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펠티에 소자를 통해 물을 저온으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저온의 물을 이용해 육류를 숙성할 수 있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또는 기타 육류의 경우 풍미를 위해 숙성을 거치게 된다.
숙성은 사후 강직 기간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간과 온도를 고려하여 진행된다. 참고로, 사후 강직이란 생물이 죽은 뒤 근육이나 관절 등이 딱딱해지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호흡 정지 후 산소 공급이 중단되고, 근육 내의 글리코겐이 젖산화되며 이와 동시에 pH가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고, 근원 섬유인 엑토미오신이 젤을 형성하여 근육이 수축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사후 강직 상태의 고기는 딱딱하여 맛이 떨어지며 수분이 많이 배어 나오게 된다. 하지만, 최대 강직 이후의 근육은 단백질 분해효소 등에 의해 자기 소화가 시작되어 육질이 부드러워지게 될 뿐만 아니라 pH도 상승하여 보수성이 증가하며 효소의 작용에 의해 풍미도 좋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숙성으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육류를 실온에서 숙성시키게 되면 세균에 오염되어 부패나 변질이 일어나게 되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육류 숙성 방법으로는 저온의 냉장실에서 냉기를 이용하여 숙성하는 방법 및 육류를 저온의 물이 저장된 수조 내에 일정 기간 담궈 놓은 상태로 숙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숙성 방법은 숙성실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콤프레셔와 같은 기계 장치들이 필요하며, 콤프레셔와 같은 기계 장치는 가격이 높고 휴대성이 어렵기 때문에 외부에서 휴대용으로 육류를 숙성시키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를 물이 저장되는 상부 공간과 펠티에 소자가 설치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하고, 펠티에 소자를 통해 물의 온도를 저온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상부 공간 및 각종 기계 장치가 구비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상부 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가 형성된 본체부; 냉각면과 방열면이 형성된 펠티에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면을 통해 상기 상부 공간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공간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상부 공간의 내부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는 시야부재; 및 상기 하부 공간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냉각면을 연결하는 배관; 상기 펠티에 소자의 방열면과 연결되고, 상기 펠티에 소자의 방열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 상기 펠티에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에 의해 방출된 열을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 및 각종 기계 장치가 구비되는 하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 냉각면과 방열면이 형성된 펠티에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냉각면을 통해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구역 각각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방열면에서 방출된 열을 상기 제1 구역 또는 상기 제2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으로 제공하여 다른 하나의 구역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 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1 구역 및 제2 구역 각각을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냉각면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관; 상기 방열면과 연결되고, 상기 방열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방열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구역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열 전달부재;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열 전달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열 전달부재와 상기 방열부재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시키는 스위치부재; 상기 펠티에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에 의해 방출된 열을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펠티에 소자를 통해 물의 온도를 저온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체부의 이동이 용이해져 휴대성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티에 소자가 하나만 구비되더라도 펠티에 소자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이 저장된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의 온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가 예시된 정면도.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가 예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의 열 전달부재 및 스위치부재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210)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가 예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가 예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210)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본체부(100), 냉각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30)는 일측이 본체부(100)의 상부에 경첩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회전하여 본체부(10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0)의 내부를 바라보는 커버부(130)의 내측면에는 발광소자(131)가 구비될 수 있다. 발광소자(131)는 LED 소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131)에 의해 어두운 곳에서도 본체부(100)의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상부 공간(110) 및 하부 공간(12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부 공간(110)은 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구역으로 위에서 설명한 커버부(130)에 의해 상부가 개폐될 수 있다. 상부 공간(110)에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 속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가 투입되어 예정된 시간 동안 물 속에서 숙성될 수 있다.
상부 공간(110)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투명소재로 형성된 시야부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시야부재(111)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부 공간(110)의 내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야부재(111)는 투명한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공간(120)에는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저온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각종 기계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하부 공간(120)에 구비되는 기계 장치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냉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하부 공간(120)에 구비된 냉각부(200)가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저온으로 낮추기 위해 동작하면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 공간(120)의 내부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하부 공간(120)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에는 하부 공간(120)에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통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200)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열은 통기홀(12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하부 공간(120)의 내부 온도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재(102)는 사용자로부터 파지가 용이하도록 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내측을 향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손잡이부재(102)는 홈 형태가 아닌 돌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냉각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20)에 구비되어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부(200)는 펠티에 소자(210), 방열부재(220), 전원 공급부재(230) 및 팬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펠티에 소자(210)는 다른 종류의 두 금속을 접합한 후, 전류가 통할 때 그 접합면이 냉각되는 현상(펠티에 현상을 의미함)을 이용한 전자 소자이다. 펠티에 소자(210)는 접합면(즉, 냉각면)에서 흡열하고 반대면(즉, 방열면)으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접합면(즉, 냉각면)의 온도를 낮춰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펠티에 소자(210)는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부(100)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이동이 용이해짐으로써 휴대성이 높아질 수 있다.
물이 저장된 상부 공간(110)과 펠티에 소자(210)는 펌프(211)가 구비된 배관(22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은 펌프(211)의 펌핑 동작으로 인해 배관(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펠티에 소자(210)는 냉각면이 배관(222)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펠티에 소자(210)는 배관(222)을 냉각시킴으로써 배관(222)의 내부에 흐르는 물을 냉각시키고, 이렇게 냉각된 물은 펌프(211)에 의해 다시 상부 공간(110)으로 순환하면서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저온의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방열부재(220)는 열전도율이 높은 복수의 판 형태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펠티에 소자(210)의 방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부재(220)는 펠티에 소자(210)의 방열면에서 발생된 열을 공기중으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펠티에 소자(210)에서 발생된 열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면 냉각 효율은 높아질 수 있다.
방열부재(220)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재(220)는 판 형태가 아닌 핀 형태로 형성된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재(230)는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재(230)는 펠티에 소자(210)에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펠티에 소자(210)는 전류가 인가되어야만 냉각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재(230)는 외부의 전원 공급처(미도시)와 유선 연결되고, 외부의 전원 공급처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펠티에 소자(2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공급부재(230)는 휴대용 배터리의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팬 부재(240)는 본체부(100)의 하부 공간(120)에 설치될 수 있다. 팬 부재(240)는 선풍기 날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에 따라 하부 공간(120) 내부의 공기를 순환 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공간(120)에 대응하는 본체부(100)에는 복수의 통기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팬 부재(240)는 하부 공간(120)의 내부를 순환시키면서 방열부재(220)에서 방출된 열을 통기홀(121)을 통해 본체부(100)의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300)는 본체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냉각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전원 버튼, 설정 온도 조절 버튼, 시간 조절 버튼 및 발광소자(131)의 온/오프(ON/OFF) 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모바일기기를 제어부(300)와 연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체부(100)의 전원 온/오프 제어, 설정 온도 조절, 현재 상부 공간(110)에 저장된 물의 온도 확인, 시간 조절, 및 발광소자(131)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육류 별 또는 레시피 별로 저온 숙성해야 할 설정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온도로 숙성된 육류를 통해 가능한 요리의 레시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를 예시한 단면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의 열 전달부재(521) 및 스위치부재(522)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210)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본체부(100), 냉각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2 실시예의 본체부(400)는 상부 공간(41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본체부(100)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의 하부 공간(420) 및 커버부(430)는 제1 실시예의 하부 공간(120) 및 커버부(13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실시예의 본체부(100)에도 제1 실시예의 손잡이부재(102), 시야부재(111), 발광소자(131) 및 통기홀(121)이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냉각부(50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각부(200)의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의 펠티에 소자(210), 방열부재(220), 전원 공급부재(230) 및 팬 부재(240)는 제2 실시예의 펠티에 소자(510), 방열부재(520), 전원 공급부재(530) 및 팬 부재(54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의 본체부(400)의 상부 공간(411, 412)은 제1 구역(411) 및 제2 구역(4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처럼 제1 구역(411) 및 제2 구역(412)은 각각 좌, 우로 배치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제1 구역(411) 및 제2 구역(412)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육류가 저장되어 숙성될 수 있다.
냉각부(500)는 본체부(400)의 하부 공간(420)에 설치되어 제1 구역(411)에 저장된 물의 온도 및 제2 구역(412)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각각 다른 온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냉각부(500)의 펠티에 소자(510)는 본체부(400)의 하부 공간(120)에 설치되고, 제1 펌프(511)가 구비된 제1 배관(512)을 통해 제1 구역(411)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펠티에 소자(510)는 제2 펌프(513)가 구비된 제2 배관(514)을 통해 제2 구역(412)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펠티에 소자(510)는 1 개수로 구성되고 제1 구역(411) 및 제2 구역(412)에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에 제1 구역(411) 및 제2 구역(412)에 저장된 물을 동일한 온도로만 냉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500)는 열 전달부재(521) 및 스위치부재(522)를 통해 제2 구역(412)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제1 구역(411)에 저장된 물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열 전달부재(521)는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고 일측이 스위치부재(522)에 의해 방열부재(52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열 전달부재(521)의 타측은 제2 구역(412)의 내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스위치부재(522)는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고 열 전달부재(521)와 방열부재(520)의 사이에서 제어부(제1 실시예의 제어부(300)와 동일한 구성)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 전달부재(521)와 방열부재(520)를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시킬 수 있다.
스위치부재(522)가 열 전달부재(521)와 연결되면 방열부재(520)에서 발생한 열이 열 전달부재(52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열 전달부재(521)로 전달된 열은 제2 구역(412)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제1 구역(411)에 저장된 물의 온도보다 높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펠티에 소자(510)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는 하나의 냉각부(500)만 구비되더라도 냉각부(500)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제1 구역(411) 및 제2 구역(412)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본체부
110: 상부 공간
120: 하부 공간
130: 커버부
200: 냉각부
210: 펠티에 소자
220: 방열부재
230: 전원 공급부재
240: 팬 부재

Claims (5)

  1.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포함하는 본체부;
    냉각면과 방열면이 형성된 펠티에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냉각면을 통해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제1 및 제2 구역 각각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1 구역 및 제2 구역 각각을 상기 펠티에 소자의 상기 냉각면과 연결하는 제1 및 제2 배관;
    상기 방열면과 연결되고, 상기 방열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재;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방열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구역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향해 연장된 열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열 전달부재를 통해 상기 방열면에서 방출된 열을 상기 제1 구역 또는 상기 제2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으로 제공하여 다른 하나의 구역의 온도보다 높게 유지 시키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투명소재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내부에 대한 시야를 제공하는 시야부재를 더 포함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방열부재에 의해 방출된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재를 더 포함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열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열 전달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열 전달부재와 상기 방열부재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시키는 스위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펠티에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재를 더 포함하는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KR1020190149347A 2019-11-20 2019-11-20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KR10233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47A KR102336876B1 (ko) 2019-11-20 2019-11-20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47A KR102336876B1 (ko) 2019-11-20 2019-11-20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10A KR20210062110A (ko) 2021-05-31
KR102336876B1 true KR102336876B1 (ko) 2021-12-08

Family

ID=76150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47A KR102336876B1 (ko) 2019-11-20 2019-11-20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67B1 (ko) * 2022-03-18 2023-04-10 (주)대가원 육류 숙성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86Y1 (ko) * 2001-02-16 2001-10-25 김진경 육류의 숙성장치
KR200376408Y1 (ko) 2004-08-30 2005-03-11 김기호 초음파 진동자와 자기력을 이용한 수중 숙성 시스템
KR101150287B1 (ko) 2011-09-27 2012-05-24 정상호 냉각장치를 가진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546A (ja) * 1991-12-13 1993-06-29 Matsumoto Kokan Kk 電気ポット
KR960002914A (ko) * 1994-06-28 1996-01-26 이철우 펠티에소자를 이용한 냉각시스템에서의 방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586Y1 (ko) * 2001-02-16 2001-10-25 김진경 육류의 숙성장치
KR200376408Y1 (ko) 2004-08-30 2005-03-11 김기호 초음파 진동자와 자기력을 이용한 수중 숙성 시스템
KR101150287B1 (ko) 2011-09-27 2012-05-24 정상호 냉각장치를 가진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10A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0550B2 (ja) 熱電冷却/加熱器具
KR102336876B1 (ko)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워터 에이징 장치
KR101625664B1 (ko)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휴대형 에어 냉난방 장치
ATE509248T1 (de) Kältegerät mit kühlluftzirkulation
KR100556230B1 (ko) 자기 치료기용 코일 냉각장치
TW201446238A (zh) 眼部按摩器
KR20170063016A (ko)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KR20170007015A (ko)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TWI565444B (zh) 加熱及冷卻裝置
KR101681924B1 (ko)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KR20160056138A (ko) 냉온선풍기
JP5989467B2 (ja) 冷蔵庫
JPH11318695A (ja) 家庭用加熱機器
CN106419616B (zh) 一种具有冷藏保鲜功能的烤箱
JP2010284411A (ja) 電気炊飯ジャー
CN219557534U (zh) 一种脱毛仪
TWI672097B (zh) 溫控水族箱
CN208258299U (zh) 移动终端散热器
CN214370650U (zh) 一种手持调温装置
CN219834742U (zh) 头发护理夹
CN216822122U (zh) 多功能饭盒
JPH07308592A (ja) 恒温槽の液体温度調節装置
JP2001148961A (ja) ペルチェ素子による水冷却装置および同方法
KR100372613B1 (ko) 냉각수단을 구비한 솔레노이드밸브
KR20220050459A (ko) 수조용 온도 유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