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38B1 -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 Google Patents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38B1
KR102335938B1 KR1020167014484A KR20167014484A KR102335938B1 KR 102335938 B1 KR102335938 B1 KR 102335938B1 KR 1020167014484 A KR1020167014484 A KR 1020167014484A KR 20167014484 A KR20167014484 A KR 20167014484A KR 102335938 B1 KR102335938 B1 KR 10233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vinyl acetal
acetal resin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154A (ko
Inventor
다쯔야 이와모또
유지 우찌무라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 Tap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다른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중, 낮은 쪽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동일한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며, 중간막의 인장파단 에너지 J/mm2를 Y로 했을 때에, X가 20℃ 이상, 50℃ 이하이고, Y가 (0.043X+0.83)J/mm2 이상이다.

Description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합판유리에 이용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에 관한 것이다.
합판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합판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합판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의 사이에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합판유리의 고주파역에서의 차음성을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높일 수 있는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이 중간막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에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2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의 제2 표면에 적층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3 층을 구비한다. 이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 및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각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낮고, 상기 제1 층 두께의,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과의 합계 두께에 대한 비가 0.14 이하이다.
또,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넓은 온도범위에 걸쳐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는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내관통성을 높이기 위하여,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를 작게 하거나, 탄소수가 작은 알데하이드를 이용한 공(共)아세탈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WO2012/043816A1 WO2006/038332A1
최근, 합판유리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합판유리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합판유리의 두께를 얇게 하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낮아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중간막과 비교하여,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 중간막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다른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중, 낮은 쪽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동일한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며, 중간막의 인장파단 에너지 J/mm2를 Y로 했을 때에, X가 20℃ 이상, 50℃ 이하이고, Y가 (0.043X+0.83)J/mm2 이상인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1층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2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68.2몰%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인 경우에,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인 경우에,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의 제2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3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가소제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1 층측과는 반대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4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의 국면에서는,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제2 합판유리 부재와, 상술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상기 제2 합판유리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합판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다른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중, 낮은 쪽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동일한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며, 중간막의 인장파단 에너지 J/mm2를 Y로 했을 때에, X가 20℃ 이상, 50℃ 이하이고, Y가 (0.043X+0.83)J/mm2 이상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결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결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결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결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 그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다른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제1 표면과 제2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중, 낮은 쪽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동일한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제1 표면과 제2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며, 중간막의 인장파단 에너지 J/mm2를 Y로 한다. X의 단위는 ℃이다. Y의 단위는 J/mm2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X가 20℃ 이상, 50℃ 이하이고, Y가 (0.043X+0.83)J/mm2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이하의 식 (i) 및 식 (ii)를 만족한다.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이해도 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는 동일해도 된다. 또한,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유리 전이 온도 X℃는,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이다.
20℃≤X≤50℃ ···식 (i)
Y≥(0.043X+0.83)J/mm2 ···식 (ii)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술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중간막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두께를 얇게 해도, 충분히 높은 내관통성을 유지할 수 있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상술한 구성이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ii)를 만족하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지는 것은, 본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며, 또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인장파단 에너지 YJ/mm2가 (0.043X+1.43)J/mm2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은, 하기 식 (ii')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Y≥(0.043X+1.43)J/mm2 ···식 (ii')
또한, 상기 식 (ii')를 만족하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지는 것은, 본 발명자들이 행한 실험에 의하여 확인되고 있으며, 또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 X℃는, 바람직하게는 2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9℃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1℃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1℃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X가 상기의 범위 내이면,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인장파단 에너지 YJ/mm2는, 바람직하게는 1.69J/mm2 이상, 바람직하게는 4J/mm2 이하이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의 쌍방이 2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의 쌍방이 바람직하게는 23℃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및 상기 인장파단 에너지 YJ/mm2를 상기의 값을 만족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서는, 1)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하는 방법, 2) 중간막(특히 제1 층)에 이용하는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을 높게 하는 방법, 3) 중간막(특히 제1 층)에 이용하는 가소제의 함유량을 적게 하는 방법 및 4) 중간막(특히 제1 층)에 이용하는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의 숙성 온도를 높게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3) 중 어느 한 방법만을 이용하여, 상기 인장파단 에너지 YJ/mm2가 상기의 값을 만족하도록 조정하면, 중간막이 지나치게 경화됨으로써, 취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1)~3) 중 적어도 1개의 방법과, 상기 4)의 방법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파단 에너지 YJ/mm2는,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23℃에서 측정된다. 인장 시험기로서는, 오리엔테크사제 "텐실론 만능 시험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분명히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부분절결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중간막(1)은, 2층 이상의 구조(적층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은, 합판유리를 얻기 위하여 이용된다. 중간막(1)은,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은, 제1 층(2)과, 제1 층(2)의 제1 표면(2a)측에 배치된 제2 층(3)과, 제1 층(2)의 제1 표면(2a)과는 반대의 제2 표면(2b)측에 배치된 제3 층(4)을 구비한다. 제2 층(3)은 제1 층(2)의 제1 표면(2a)에 적층되어 있다. 제3 층(4)은, 제1 층(2)의 제2 표면(2b)에 적층되어 있다. 제1 층(2)은 중간층이다. 제2 층(3) 및 제3 층(4)은, 예를 들면, 보호층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 층(2)은, 제2 층(3)과 제3 층(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은, 제2 층(3)과 제1 층(2)과 제3 층(4)이 이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제2 층(3)의 제1 층(2)측과는 반대측의 표면(3a)은, 합판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층(4)의 제1 층(2)측과는 반대측의 표면(4a)은, 합판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층(2)과 제2 층(3)과의 사이 및 제1 층(2)과 제3 층(4)과의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층(2)과 제2 층(3) 및 제1 층(2)과 제3 층(4)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제1 층(2)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층(3)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 층(4)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중간막(1)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한다. 즉, 중간막(1)은, 제1 층(2), 제2 층(3) 및 제3 층(4) 중 적어도 1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부분절결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중간막(31)은, 1층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31)은 제1 층이다. 중간막(31)은 합판유리를 얻기 위하여 이용된다. 중간막(31)은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 중간막(31)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부분절결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중간막(1A)은, 2층 이상의 구조(적층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A)은 합판유리를 얻기 위하여 이용된다. 중간막(1A)은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A)은, 제1 층(2)과, 제1 층(2)의 제1 표면(2a)측에 배치된 제2 층(3)과, 제2 층(3)의 제1 층(2)측과는 반대의 표면(3a)측에 배치된 제4 층(5)을 구비한다. 제2 층(3)은 제1 층(2)의 제1 표면(2a)에 적층되어 있다. 제4 층(5)은 제2 층(3)의 표면(3a)에 적층되어 있다. 제2 층(3)은 중간층이다. 제1 층(2) 및 제4 층(5)은, 예를 들면, 보호층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2 층(3)은, 제1 층(2)과 제4 층(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A)은, 제4 층(5)과 제2 층(3)과 제1 층(2)이 이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제4 층(5)의 제2 층(3)측과는 반대측의 표면(5a)은, 합판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2)의 제2 층(3)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제2 표면)(2b)은, 합판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4 층(5)과 제2 층(3)과의 사이 및 제2 층(3)과 제1 층(2)과의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4 층(5)과 제2 층(3) 및 제2 층(3)과 제1 층(2)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제4 층(5)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중간막(1A)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한다. 즉, 중간막(1A)은, 제4 층(5), 제2 층(3) 및 제1 층(2) 중 적어도 1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층만인 단층의 중간막이어도 되고, 상기 제1 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중간막(이 중간막은 상기 제3 층을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중간막은 상기 제4 층을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고 있지 않음)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4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1)에서는, 제1 층(2)의 양면에 제2 층(3)과 제3 층(4)이 1층씩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단,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중간막의 취급성 및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또한, 중간막의 양측 표면에서, 합판유리 부재 등에 대한 접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간막의 상기 제2 층의 외측 표면의 합판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중간막(1A)에서는, 제2 층(3)의 양면에 제4 층(5)과 제1 층(2)이 1층씩 적층되어 있다. 제4 층(5)은, 제1 층(2)과 동일한 층 또는 유사한 층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층이 중간막의 최외층인 경우, 중간막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층을 중간막의 최외층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2 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내관통성 및 차음성이 높은 중간막이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4 층의 상세 및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상기 제1 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함)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층은,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는 각각,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바이닐알코올을 알데하이드에 의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 바이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99.9몰%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4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1500 이상, 3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바이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이용하는 알데하이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하이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10인 알데하이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10인 알데하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폼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n-뷰틸알데하이드, 아이소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2-에틸뷰틸알데하이드, n-헥실알데하이드, n-옥틸알데하이드, n-노닐알데하이드, n-데실알데하이드 및 벤즈알데하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온알데하이드, n-뷰틸알데하이드, 아이소뷰틸알데하이드, n-헥실알데하이드 또는 n-발레르알데하이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하이드, n-뷰틸알데하이드 또는 아이소뷰틸알데하이드가 보다 바람직하며, n-뷰틸알데하이드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하이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2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2.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9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더 높아지고, 또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이 31.5몰% 이상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또,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게 하여, 중간막의 취급이 보다 더 용이해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3.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4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더 높아진다. 또,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제1 층이 중간막의 최외층이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6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높아진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이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고, 또한 차음성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층이 최외층이고, 또한 적어도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층이 최외층이고, 또한 상기 제2 층의 제1 표면에 상기 제1 층이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1 층(제1 표면)측과는 반대의 표면(제2 표면)에 상기 제4 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고, 또한 차음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3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과의 차의 절댓값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높아지고,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6 "폴리바이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각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8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기계적 강도가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합판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고, 또한 차음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5몰%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고, 6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몰%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5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뷰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1.7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68.2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8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7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가 68.2몰%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뷰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7.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1.7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고, 또한 차음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5몰%를 넘는 것이 바람직하고, 6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몰%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25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뷰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JIS K6728에 의한 측정을 이용해도 된다.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인 경우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뷰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에 관해서는, 아세틸화도가 5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세틸화도가 5몰% 미만이고, 또한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 4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아세틸화도가 3몰% 이하이고, 또한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 40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아세틸화도가 3몰% 이하이고, 또한 수산기의 함유율이 25몰% 이상, 35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아세틸화도가 5몰% 이상인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1), 아세탈화도가 68몰% 이상인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2), 또는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탄소수 6 이상의 알데하이드에 의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1)의 아세틸화도는 5몰% 이상이기 때문에,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1)의 아세틸화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2)의 아세탈화도는 68몰% 이상이기 때문에,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2)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보다 많이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2)의 아세탈화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2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4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6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6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8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3)은, 상기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탄소수 6 이상의 알데하이드에 의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3)을 포함하는 층을 구비하는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를 용이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 탄소수 6 이상의 알데하이드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뷰틸알데하이드, n-헥실알데하이드, n-옥틸알데하이드, n-노닐알데하이드 및 n-데실알데하이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가소제)
상기 제1 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함)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하여,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합판유리 부재 또는 다른 층에 대한 접착력이 적절하게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 (1)과 상기 가소제 (2)와 상기 가소제 (3)과 상기 가소제 (4)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 에스터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터 등의 유기 에스터 가소제 및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터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 에스터로서는, 글라이콜과 1염기성 유기산과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글라이콜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라이콜로서는,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 및 트라이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뷰티르산, 아이소뷰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뷰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터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8의 직쇄 또는 분기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터 가소제로서는,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n-옥타노에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다이-n-헵타노에이트, 다이뷰틸세바케이트, 다이옥틸아젤레이트, 다이뷰틸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1,4-뷰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 다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 다이헥실, 아디프산 다이옥틸, 아디프산 헥실사이클로헥실, 아디프산 헵틸과 아디프산 노닐과의 혼합물, 아디프산 다이아이소노닐, 아디프산 다이아이소데실, 아디프산 헵틸노닐, 세바스산 다이뷰틸, 유(油)변성 세바스산 알키드 및 인산 에스터와 아디프산 에스터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터 가소제를 이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 에스터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 에스터를 이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라이뷰톡시에틸포스페이트, 아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라이아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나타나는 다이에스터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아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며, p는 3~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3GH) 또는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프로파노에이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뷰틸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라이에틸렌글라이콜다이-2-에틸헥사노에이트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4)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4)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함유량 (4)가 각각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또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함유량 (4)가 각각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더 높아지고, 또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특히, 상기 함유량 (1) 및 상기 함유량 (4)가 각각 35중량부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및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37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8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2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1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각각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또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각각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더 높아진다. 합판유리의 차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4)는 상기 함유량 (2)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2)와의 차의 절댓값,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3)과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4)와 상기 함유량 (2)와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2)와의 차의 절댓값,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3)과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4)와 상기 함유량 (2)와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2중량부 이하이다.
(다른 성분)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4 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차폐제, 광 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상세)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및 차열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더 양호해 진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에서는, 그 중간막의 두께가 얇아도,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중간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합판유리를 경량화할 수 있다. 내관통성을 높게 유지하면서, 합판유리를 보다 더 경량화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하다.
중간막의 두께를 T로 한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4 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4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T 이상, 바람직하게는 0.72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7T 이하이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이 상기 제4 층과 상기 제1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4 층과 상기 제1 층과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8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4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6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4T 이하이다.
중간막의 유연성을 높여, 중간막의 취급성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4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T 이상, 바람직하게는 0.43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42T 이하이다. 또,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이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과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8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T 이상, 바람직하게는 0.86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4T 이하이다. 또,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과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예를 들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및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4 층과 상기 제1 층에, 동일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4 층과 상기 제1 층에, 동일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제4 층과 상기 제1 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합판유리)
도 3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이용한 합판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합판유리(11)는, 제1 합판유리 부재(21)와, 제2 합판유리 부재(22)와, 중간막(1)을 구비한다. 중간막(1)은, 제1 합판유리 부재(21)와 제2 합판유리 부재(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1a)에, 제1 합판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의 제2 표면(1b)에, 제2 합판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2 층(3)의 외측 표면(3a)에 제1 합판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3 층(4)의 외측 표면(4a)에 제2 합판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합판유리는,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제2 합판유리 부재와,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제2 합판유리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중간막이, 본 발명의 합판유리용 중간막이다.
상기 합판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합판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합판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합판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합판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이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합판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고, 또한 상기 합판유리는,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합판유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판유리, 열선흡수판유리, 열선반사판유리, 마판유리, 형판유리, 망입(網入)판유리 및 선입(線入)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판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또, 상기 합판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그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상기 합판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그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이다.
상기 합판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상기 제2 합판유리 부재와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어 감압 흡인하여,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상기 제2 합판유리 부재와 중간막과의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으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여, 약 120~150℃ 및 1~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합판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합판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합판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합판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중간막 및 합판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중간막 및 합판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합판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합판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폴리바이닐뷰티랄(PVB) 수지에 관해서는, 뷰티랄화도(아세탈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했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하여 측정한 경우도, JIS K6728 "폴리바이닐뷰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다.
(합성예 1)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1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7℃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54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60℃로 가열하고, 66℃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에 관해서는, 폴리바이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4.4몰%, 아세틸화도 0.8몰%, 아세탈화도(뷰티랄화도) 64.8몰%, 반값폭 274.8cm-1이었다.
(합성예 2)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1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7℃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5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240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8℃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는 각각, 다른 날에, 따로 따로 합성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의 각각에 관해서는, 폴리바이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0몰%, 아세틸화도 0.9몰%, 아세탈화도(뷰티랄화도) 69.1몰%, 반값폭 239.3cm-1이었다. 단,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이용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표 2에 나타내는 값이었다.
(합성예 3)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C(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3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1.2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3g을 첨가하여, 57℃로 가열하고, 60℃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C를 얻었다.
(합성예 4)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D(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1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5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3g을 첨가하여, 57℃로 가열하고, 63℃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D를 얻었다.
(합성예 5)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E(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5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3g을 첨가하여, 60℃로 가열하고, 66℃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E를 얻었다.
(합성예 6)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F(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3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3g을 첨가하여, 57℃로 가열하고, 63℃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F를 얻었다.
(합성예 7)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G(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54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60℃로 가열하고, 66℃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G를 얻었다.
(합성예 8)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H(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0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57℃로 가열하고, 63℃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H를 얻었다.
(합성예 9)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I(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1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57℃로 가열하고, 63℃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I를 얻었다.
(합성예 10)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J(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55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60℃로 가열하고, 66℃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J를 얻었다.
(합성예 11)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K(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58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60℃로 가열하고, 66℃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K를 얻었다.
(합성예 12)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L(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57℃로 가열하고, 63℃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L을 얻었다.
(합성예 13)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M(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3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54℃로 가열하고, 60℃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M을 얻었다.
(합성예 14)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N(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1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40℃로 가열하고, 45℃에서 3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N을 얻었다.
(합성예 15)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O(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700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35.5중량% 염산 21g을 첨가하여, 온도를 14℃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0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35.5중량% 염산 172g을 첨가하여, 40℃로 가열하고, 46℃에서 3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O를 얻었다.
(합성예 16)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P(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314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3.7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P를 얻었다.
(합성예 17)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Q(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88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6.7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Q를 얻었다.
(합성예 18)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R(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79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81.5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R을 얻었다.
(합성예 19)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S(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44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9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65℃로 가열하고, 6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S를 얻었다.
(합성예 20)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T(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99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1.3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T를 얻었다.
(합성예 21)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U(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79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8℃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81.5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U를 얻었다.
(합성예 22)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V(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79ml와, 평균 중합도 23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81.5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V를 얻었다.
(합성예 23)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W(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418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8.5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24.9g을 첨가하여, 온도를 8℃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4.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05.8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8℃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W를 얻었다.
(합성예 24)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X(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744ml와,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3.8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g을 첨가하여, 온도를 8℃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99.8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0.3g을 첨가하여, 65℃로 가열하고, 6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X를 얻었다.
(합성예 25)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Y(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2418ml와, 평균 중합도 2300, 비누화도 98.5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24.9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4.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05.8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8℃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Y를 얻었다.
(합성예 26)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Z(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744ml와, 평균 중합도 2300, 비누화도 93.8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99.8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0.3g을 첨가하여, 65℃로 가열하고, 6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Z를 얻었다.
(합성예 27)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A(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94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3.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A를 얻었다.
(합성예 28)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B(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67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87.1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B를 얻었다.
(합성예 29)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C(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85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8.4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C를 얻었다.
(합성예 30)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D(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523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75.0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5.5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45.9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5.3g을 첨가하여, 60℃로 가열하고, 62.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D를 얻었다.
(합성예 31)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E(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4440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5.8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50.2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5.8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97.8g을 첨가하여, 65℃로 가열하고, 6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E를 얻었다.
(합성예 32)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F(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4435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2.7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50.2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68.8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97.8g을 첨가하여, 65℃로 가열하고, 6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F를 얻었다.
(합성예 33)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G(PVB 수지)의 합성:
교반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3292ml와, 평균 중합도 3000, 비누화도 88.2몰%의 폴리바이닐알코올 300g을 넣고,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하여, 용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이 용액에 촉매로서 60중량% 질산 47.3g을 첨가하여, 온도를 10℃로 조정한 후, 교반하면서 n-뷰틸알데하이드 174.7g을 첨가한 바, 백색 입자상의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가 석출되었다. 석출되고 나서 20분 후에, 60중량% 질산 144g을 첨가하여, 55℃로 가열하고, 57.5℃에서 2시간 숙성시켰다. 이어서, 용액을 냉각하고, 중화한 후, 폴리바이닐뷰티랄 수지를 수세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G를 얻었다.
(실시예 1)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X의 제작: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A)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3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X를 얻었다.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Y의 제작: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B)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4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Y를 얻었다.
중간막의 제작: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X와,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Y를, 공압출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제2 층(두께 100㎛)/제1 층(두께 300㎛)/제3 층(두께 100㎛)의 적층 구조를 갖는 중간막(두께 500㎛)을 제작했다.
합판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다층)을, 세로 100cm×가로 100cm로 잘랐다. 다음으로, 2매의 클리어 유리(세로 100cm×가로 100cm×2mm)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어, 진공 라미네이터에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에 있어서, 유리로부터 삐져 나온 중간막부분을 잘라 버리고, 합판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1)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 및 가소제의 종류 및 함유량을 하기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간막 및 합판유리를 제작했다.
(실시예 5)
제1 층 및 제4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X의 제작: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C)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43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 0.2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층 및 제4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X를 얻었다. 또한, 제1 층 및 제4 층 중의 마그네슘 농도가 60ppm이 되도록, 아세트산 마그네슘과 2-에틸뷰티르산 마그네슘과의 혼합물(아세트산 마그네슘: 2-에틸뷰티르산 마그네슘=50중량%:50중량%)을 첨가했다.
제2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Y의 제작: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P)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6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 0.3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3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Y를 얻었다.
중간막의 제작:
제1 층 및 제4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X와, 제2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Y를, 공압출기를 이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제1 층(두께 330㎛)/제2 층(두께 100㎛)/제4 층(두께 330㎛)의 적층 구조를 갖는 중간막(두께 760㎛)을 제작했다.
합판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다층)을, 세로 100cm×가로 100cm로 잘랐다. 다음으로, 2매의 클리어 유리(세로 100cm×가로 100cm×두께 2mm)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어, 진공 라미네이터에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에 있어서, 유리로부터 삐져 나온 중간막부분을 잘라 버리고, 합판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6~37 및 비교예 2~9)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 및 가소제의 종류 및 함유량을 하기의 표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중간막 및 합판유리를 제작했다.
(평가)
(1) 중간막의 양측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최외층에 상당하는 층의 각 조성, 즉 제1 층, 제2 층, 제3 층 및 제4 층의 각 조성을 갖는 혼련물을 준비했다. 얻어진 혼련물을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가 0.35mm인 수지막 A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막 A를 25℃ 및 상대습도 30%의 조건에서 2시간 방치했다. 2시간 방치한 후에, TAINSTRUMENTS사제 "ARES-G2"를 이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했다. 지그로서, 직경 8mm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이용했다. 3℃/분의 강온속도로 100℃부터 -1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및 주파수 1Hz 및 변형 1%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했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했다.
또, 얻어진 중간막을 온도 23℃ 및 습도 30%에서 1개월 이상 보관한 후에, 표면층을 박리시킴으로써 단리하고, 단리된 표면층을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한 성형물의 Tg를 TAINSTRUMENTS사제 "ARES-G2"를 이용하여 측정해도 된다. 측정은 전 단락에 기재한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행했다.
(2) 중간막의 인장파단 에너지
중간막을 폭 10mm, 길이 8cm의 시험편으로 절단하고(JIS K6732), 인장 시험기에 척간 거리 40mm로 시험편을 장착하여, 인장 속도 200mm/분 및 샘플링 간격 20㎛로 인장 시험을 행했다.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으로부터, 파단 에너지 Y를 구했다. 파단 에너지 Y는 응력-변형 곡선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면적을 구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면적은 인접하는 데이터의 응력의 평균치와 인접하는 데이터 사이의 변형치의 곱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파단 에너지 Z는 파단 에너지 Y와 시험편의 단면적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3) 합판유리의 푸멜값의 측정
얻어진 합판유리를 -18℃±0.6℃의 온도에 16시간 두고, 이 합판유리의 중앙부(세로 150mm×가로 150mm의 부분)를 머리부가 0.45kg인 해머로 쳐, 유리의 입경이 6mm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하고, 유리가 부분 박리된 후의 막의 노출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5에 의하여 푸멜값을 구했다. 또한, 푸멜값이란, 합판유리용 중간막과 유리판과의 접착력의 정도를 조사하는 값이며, 합판유리를 -18℃±0.6℃의 온도에 16시간 두고, 이 합판유리의 중앙부(세로 150mm×가로 150mm의 부분)를 머리부가 0.45kg인 해머로 쳐, 유리의 입경이 6mm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하고, 유리가 부분 박리된 후의 막의 노출도(면적%)에 의하여 규정된 값이며, 표 1로 정의된다. 즉, 푸멜값이 높을수록, 중간막과 유리와의 접착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2
(4) 내관통성
얻어진 합판유리(세로 30cm×가로 30cm)를,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어서, JIS R3212:1998에 준거하여, 4m의 높이에서, 6매의 합판유리에 대하여 각각, 질량 2260g 및 직경 82mm의 강구(鋼球)를 합판유리의 중심부분에 낙하시켰다. 6매의 합판유리 전부에 대하여,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으로 했다.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합판유리가 3매 이하인 경우는 불합격으로 했다. 4매의 경우에는, 새로 6매의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평가했다. 5매의 경우에는, 새로 1매의 합판유리를 추가 시험하여, 강구가 충돌한 후 5초 이내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은 경우를 합격으로 했다. 동일한 방법으로, 4.0m, 4.5m, 5.0m, 5.5m, 6.0m, 6.5m 및 7.0m의 높이에서, 6매의 합판유리에 대하여 각각, 질량 226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합판유리의 중심부분에 낙하시켜, 합판유리의 내관통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하기의 표 2~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3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4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5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6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7
Figure 112016052260039-pct00008
1, 1A···중간막
1a···제1 표면
1b···제2 표면
2···제1 층
2a···제1 표면
2b···제2 표면
3···제2 층
3a···외측 표면
4···제3 층
4a···외측 표면
5···제4 층
5a···외측 표면
11···합판유리
21···제1 합판유리 부재
22···제2 합판유리 부재
31···합판유리용 중간막

Claims (18)

  1.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합판유리용 중간막으로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다른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중, 낮은 쪽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고,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가 동일한 경우, 중간막의 양측 2개의 표면의 유리 전이 온도 ℃를 X로 하며, 중간막의 인장파단 에너지 J/mm2를 Y로 했을 때에, X가 20℃ 이상, 50℃ 이하이고, Y가 (0.043X+0.83)J/mm2 이상인 합판유리용 중간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31.5몰% 이상인 합판유리용 중간막.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가 2몰% 이하인 합판유리용 중간막.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가 68.2몰% 이하인 합판유리용 중간막.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의 제2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3 층을 구비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으며,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고,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의 상기 제1 층측과는 반대의 표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4 층을 구비하는 합판유리용 중간막.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 높고,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4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이,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바이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보다 적은 합판유리용 중간막.
  16.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제2 합판유리 부재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합판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합판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제1 합판유리 부재와 상기 제2 합판유리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합판유리.
  17. 삭제
  18. 삭제
KR1020167014484A 2014-01-15 2015-01-15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KR102335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5484 2014-01-15
JP2014005484 2014-01-15
PCT/JP2015/050976 WO2015108118A1 (ja) 2014-01-15 2015-01-15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154A KR20160107154A (ko) 2016-09-13
KR102335938B1 true KR102335938B1 (ko) 2021-12-07

Family

ID=5354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484A KR102335938B1 (ko) 2014-01-15 2015-01-15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60279905A1 (ko)
EP (1) EP3067336B1 (ko)
JP (4) JP6476133B2 (ko)
KR (1) KR102335938B1 (ko)
CN (1) CN105793208B (ko)
AU (1) AU2015207038B2 (ko)
CA (1) CA2928405C (ko)
MX (1) MX2016007142A (ko)
RU (1) RU2663009C2 (ko)
WO (1) WO2015108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8533A4 (en) 2015-09-11 2019-06-12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7135448A1 (ja) 2016-02-05 2017-08-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438575B2 (en) 2017-11-20 2019-10-08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Multilayer film, interlayer film comprising the multilayer film and laminated glass and sound-insulating glass laminate comprising the interlayer film
KR102050665B1 (ko) * 2018-06-05 2019-11-2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유리접합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합유리
KR102223185B1 (ko) 2019-06-28 2021-03-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JP7457853B1 (ja) 2022-12-05 2024-03-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樹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528B1 (ko) * 1992-04-23 1999-06-15 니시자와 스스므 접합유리용 중간막
JP2006248826A (ja) 2005-03-09 2006-09-2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ト及び積層体
JP2010201932A (ja) 2004-10-01 2010-09-16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積層体
JP2013107821A (ja) * 2010-09-30 2013-06-0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654A (en) * 1992-04-23 1994-08-23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JP4183318B2 (ja) * 1998-11-30 2008-11-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4339745B2 (ja) * 2003-08-22 2009-10-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4511907B2 (ja) * 2004-03-08 2010-07-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シート、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US20070036956A1 (en) * 2005-08-15 2007-02-15 Solutia, Inc. Interlayers comprising an ultraviolet curable layer
US7842395B2 (en) * 2006-11-01 2010-11-30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s having a gradient region
US20080268204A1 (en) * 2007-04-29 2008-10-30 David Paul Bourcier Multiple layer polymer interlayers having an embossed surface
EP2799235A1 (en) * 2007-10-22 2014-11-0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layer films
EP2330090B2 (en) * 2008-09-30 2019-10-2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9099891B2 (en) * 2009-04-27 2015-08-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Submodule for a multi-stage power converter having additional energy storage device
KR101940438B1 (ko) * 2009-08-24 2019-01-18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086695A (ko) * 2009-12-28 2017-07-26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JP5244243B2 (ja) * 2010-07-16 2013-07-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3214056B1 (en) * 2010-09-30 2020-09-2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12043818A1 (ja) * 2010-09-30 2012-04-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528B1 (ko) * 1992-04-23 1999-06-15 니시자와 스스므 접합유리용 중간막
JP2010201932A (ja) 2004-10-01 2010-09-16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積層体
JP2006248826A (ja) 2005-03-09 2006-09-2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シ−ト及び積層体
JP2013107821A (ja) * 2010-09-30 2013-06-0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7038A1 (en) 2016-05-12
AU2015207038B2 (en) 2018-10-04
US20160279905A1 (en) 2016-09-29
JP5899367B1 (ja) 2016-04-06
CN105793208B (zh) 2019-08-09
CA2928405A1 (en) 2015-07-23
EP3067336B1 (en) 2019-10-09
JP6476133B2 (ja) 2019-02-27
CA2928405C (en) 2019-01-29
WO2015108118A1 (ja) 2015-07-23
JP2016104696A (ja) 2016-06-09
JP2019077613A (ja) 2019-05-23
JPWO2015108118A1 (ja) 2017-03-23
MX2016007142A (es) 2016-09-08
JP5899368B1 (ja) 2016-04-06
JP2016104697A (ja) 2016-06-09
RU2016126210A3 (ko) 2018-03-21
CN105793208A (zh) 2016-07-20
EP3067336A1 (en) 2016-09-14
RU2016126210A (ru) 2018-02-16
RU2663009C2 (ru) 2018-08-01
KR20160107154A (ko) 2016-09-13
EP3067336A4 (en)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177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8734937B2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2335938B1 (ko) 합판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유리
KR20120105010A (ko)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KR102339631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522945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