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10B1 -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10B1
KR102335910B1 KR1020150028756A KR20150028756A KR102335910B1 KR 102335910 B1 KR102335910 B1 KR 102335910B1 KR 1020150028756 A KR1020150028756 A KR 1020150028756A KR 20150028756 A KR20150028756 A KR 20150028756A KR 102335910 B1 KR102335910 B1 KR 10233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power
head mounted
mounted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999A (ko
Inventor
최영준
이승민
김현철
조익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10B1/ko
Priority to US15/056,296 priority patent/US10651668B2/en
Priority to PCT/KR2016/001991 priority patent/WO2016140475A1/en
Priority to CN201680012785.1A priority patent/CN107408825B/zh
Priority to EP16157951.1A priority patent/EP3065027B1/en
Publication of KR2016010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다양한 실시예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전자 장치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과 같은 메시지 전송, 영상통화, 전자수첩, 촬영, 이메일 송수신, 방송재생, 인터넷, 음악재생, 일정관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메신저, 사전, 게임 등의 기능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한편, 전자 장치의 일종으로 신체에 직접 착용하여 사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스마트 안경(Smart Glass), 스마트 시계(Smart Watch) 또는 밴드(Wristband), 콘텍트 렌즈형 장치, 반지형 장치, 신발형 장치, 의복형 장치, 장갑형 장치 등 신체의 일부 또는 의복에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다.
종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연결 기기는 연결된 전자 장치에 의한 전원 공급만 가능하고, 외부 포트가 없어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 없었다. 상기 전자 장치의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은 경우, 상기 연결 기기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해 사용할 수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 충전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와, 외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 중에, 외부 전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전원 입력에 따른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원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출력을 중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충전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 있어, 전자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착용 여부에 따라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외부 충전기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전자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전기,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전원 배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입출력 장치,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 (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 (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시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개념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Head-mounted Type; HMT) 장치는 사용자의 양안에 접안 또는 착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씨 스루(See-through) 기능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는 씨 클로즈드(See-closed)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씨 스루 기능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실제 외부 영상들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면서 실시간으로 부가적인 정보 또는 이미지를 하나의 영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씨 클로즈드 기능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들만 영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헤드 마운트형 장치가 전원 수신 및 공급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헤드 마운트형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전원 수신 및 공급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설명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외부 충전기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 110, 메인 프레임 110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 110을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착부 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은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모듈 111,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 112, 표시 위치 조정부 113, 근접 센서 114, 및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 1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 111은 물리적 키, 물리적 버튼, 터치 키, 조이스틱, 휠(wheel)키 또는 터치 패드 등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 111이 터치 패드인 경우, 터치 패드는 메인 프레임 110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전자 장치 또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 의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객체(예: 음향 또는 영상을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 112은 전자 장치와 통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 112은 전자 장치의 인터페이스부(예: USB 포트)에 접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모듈 111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 112은 사용자 입력 모듈 11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예: 터치 입력)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근접 센서 114는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 1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물체(예: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근접 센서 1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아무런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 제어부에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근접 센서 114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114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착용 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에 근접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 110의 안쪽 윗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착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센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 110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제스처 센서 및 생체 센서, 터치 센서, 조도 센서, 그립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부 115가 외부 충전기 200에 연결된 경우,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전원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고, 전자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 115가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된 경우,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받아,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은 전자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 110은 전자 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나 구조, 또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공간의 크기를 변형시킬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재료를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의 전자 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의 후면(안쪽면)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안면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안면 접촉부 일부에 사용자의 두 눈에 대면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가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탈착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면 접촉부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코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코 홈(Nose 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110은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전자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메인 프레임 110은, 강도 또는 미관을 위하여, 유리, 세라믹, 금속(예: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예: 강철,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 120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장착부 120은 탄성 소재로 형성된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착부 120은 안경 다리(Eyeglass Temples), 헬멧(Helmets) 또는 스트랩(Stra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전자 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메인 프레임 110과 결합되는 전자 장치 300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 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130은 메인 프레임 110에 후크와 같은 형태로 물리적인 결합을 할 수 있고, 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 130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자 장치 300이 메인 프레임 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 장치 30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메인 110과 전자 장치 300의 디스플레이는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 110의 제1 인터페이스부 112에 전자 장치 300을 결합한 후, 커버 130을 끼워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조립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눈으로 전자 장치 30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제1 인터페이스부 112, 제2 인터페이스부 115, 과전압 보호부 140, 제1 전압 제어부 150, 스위치부 160, 메인 제어부 170 및 제2 전압 제어부 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것은 전원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제1 인터페이스부 112는 전자 장치 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 112는 전자 장치 300의 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될 수 있으며, 도 1의 사용자 입력 모듈 111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 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 200에 연결된 경우,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은 제1 인터페이스부 112를 통해 전자 장치 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와 연결된 경우,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받아, 메인 제어부 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의 장치 정보(예: 장치 식별자(ID), 동작 전원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정보는 제1 인터페이스부 112를 통해 전자 장치 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장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의 동작 전원만큼의 전원을 더 공급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과전압 보호부(Over Voltage Protection Unit) 140은 전압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이 파괴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부 140은 제2 인터페이스부 115를 통해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면,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Voltage)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과전압 보호부 14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정해진 크기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제1 전압 제어부 150은 과전압 보호부 140을 통해 수신되는 전압(Voltage)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압 제어부 15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한 크기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전압 제어부 150은 과전압 보호부 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올리거나, 줄여 일정한 전압(예: 5V)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조절된 전압은 스위치부 160을 통해 전자 장치 300 또는 제2 전압 제어부 18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압 제어부 150은 "Buck-Boost Converter" 일 수 있다.
스위치부 160은 메인 제어부 17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충전기 200와 연결 여부에 따라 온(ON)/오프(OFF)될 수 있다. 스위치부 160은 오프되어 있다가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면, 온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 17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과전압 보호부 140을 모니터링하여, 제2 인터페이스부 115를 통해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과전압 보호부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된 경우, 메인 제어부 170은 스위치부 160을 온시켜,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자 장치 300과 제2 전압 제어부 18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충전기 200과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메인 제어부 170은 스위치부 160을 오프시켜,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다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공급된 전원은 제1 전압 제어부 150으로 전달되지 않고, 제2 전압 제어부 1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전압 제어부 180은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전압 제어부 180은 제1 전압 제어부 150과 마찬가지로,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일정한 크기로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조절된 전압은 메인 제어부 170으로 공급된다. 일례로, 제2 전압 제어부 180은 "Low Drop Out"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전압 보호부 140, 제1 전압 제어부 150, 스위부 160 및 제2 전압 제어부 180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과전압 보호부 140, 제1 전압 제어부 150 및 스위부 160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고, 제2 전압 제어부 180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2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전자 장치 300에 연결되어,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 112에 연결되면, 제2 전압 제어부 180을 통해 메인 제어부 170으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동작 504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외부 충전기 200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과전압 보호부 140을 모니터링하여, 제2 인터페이스부 115에 외부 충전기 200의 연결포트가 삽입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제2 인터페이스부 115에 외부 충전기 200의 연결포트가 삽입되면, 과전압 보호부 140에 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과전압 보호부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메인 제어부 170은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전자 장치 300으로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동작 506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계속해서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하여 동작하게 된다.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스위치부 160은 계속해서 오프된 상태이다.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된 경우, 동작 508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착용 여부는 근접 센서 114에 의해 감지된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1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어떤 물체가 감지되면, 감지 신호를 메인 제어부 17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근접 센서 114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이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 1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어떠한 물체도 감지되지 않으면, 어떠한 신호도 메인 제어부 170에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된 후, 근접 센서 114로부터 아무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메인 제어부 17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이 미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이 착용된 경우, 동작 510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전자 장치 300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미착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 입력 정보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에 외부 충전기 200이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착용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미착용 상태 정보는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동작 510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와 착용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외부 전원 입력 정보와 착용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300이 자체적으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고, 또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이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동작 512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전자 장치 300으로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 170은 스위치부 160을 온시켜,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전자 장치 300과 제2 전압 제어부 180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전자 장치 30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전원을 전송받는 도중 발열이 발생하면 자체적으로 전원 전송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발열이 발생하면, 메인 제어부 170은 전자 장치 3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 17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발열이 발생하면,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전자 장치 300으로는 전송되지 않고, 제2 전압 제어부 180으로만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이 미착용된 경우, 동작 514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전자 장치 300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와 미착용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상기 외부 전원 입력 정보와 미착용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 300은 표시패널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하고,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동작 516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바이패스(bypass)하여 전자 장치 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상기 전달된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02에서,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HMT)에 연결하고,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인터페이스부에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제1 인터페이스부 112가 삽입되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인식하여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 300의 전원 상태는 "공급 모드"이다. 전자 장치 300은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을 제1 인터페이스부 112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배터리와 충전 IC 사이의 스위치를 온시켜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을 제1 인터페이스부 112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604에서,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부터 상태 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 300은 계속해서 동작 60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미착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동작 606에서,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를 공급 모드에서 "중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원 상태가 중지 모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은 배터리와 충전 IC 사이의 스위치가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가 오프되면, 배터리에 저장된 전압은 출력되지 않는다.
동작 608에서, 전자 장치 300은 전원을 수신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전원 상태가 중지 모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 300은 수신된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 300은 배터리를 제외한 전자 장치 300 내 각 구성요소로 수신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미착용 상태 정보인 경우,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를 "충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원 상태가 충전 모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 300은 전자 장치 300 내 각 구성요소로 수신된 전원을 제공하고, 수신된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전원 장치 300은 배터리와 충전 IC 사이의 스위치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300은 상기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패널로의 전원 공급을 중지할 수 있다. 표시패널로의 전원 공급이 중지되면, 표시패널은 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 300은 충전 시 발열되어,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전자 장치 300이 충전될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 300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을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자 장치 300은 도 6에 도시한 모든 동작들을 제어하는 제어부, 표시부(예: 표시패널), 입력부(예: 터치패널, 키 등), 통신부, 인터페이스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충전기,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02에서,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HMT)에 접속할 수 있다.
동작 704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전자 장치 300의 연결포트가 제1 인터페이스부 112에 접속되면, 전자 장치 300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706에서,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가 공급 모드이다.
동작 708에서, 외부 충전기 2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동작 710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외부 충전기 200의 연결포트가 제2 인터페이스부 115에 접속되면, 외부 충전기 200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712에서, 외부 충전기 2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동작 714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미착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716에서,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를 공급 모드에서 중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718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전자 장치 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전자 장치 300은 전원을 수신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전원 상태가 중지 모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 300은 수신된 전원을 전자 장치 300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미착용 상태 정보인 경우, 전자 장치 300은 전원 상태를 "충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전원 상태가 충전 모드로 변경되면, 전자 장치 300은 전자 장치 300 수신된 전원을 전자 장치 300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고, 수신된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제1 인터페이스부 112, 제2 인터페이스부 115, 과전압 보호부 140, 제1 전압 제어부 150, 스위치부 160, 메인 제어부 170, 제2 전압 제어부 180, 및 전류 제한부 1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것은 전원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 8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도 4에 포함된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4를 통해 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 112는 전자 장치 3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 112는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전자 장치 3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외부 입출력 장치 4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부 115는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부터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장치 정보(예: 장치 식별자(ID), 동작 전원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은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장갑형 장치, 음성입력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표시장치, 스피커, 스피커독 및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과전압 보호부 140은 외부 충전기 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정해진 크기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제1 전압 제어부 150은 과전압 보호부 140을 통해 수신되는 전압을 일정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부 160은 메인 제어부 170의 제어에 따라 외부 충전기 200와 연결 여부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 170은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장치 정보를 제1 인터페이스부 112를 통해 전자 장치 300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전압 제어부 180은 제1 전압 제어부 150과 마찬가지로, 외부 충전기 200 또는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압을 일정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전류 제한부(Current Limit Unit) 190은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은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인터페이스부 115에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이 연결되면,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동작 전원뿐만 아니라,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동작 전원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장치 3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전류 제한부 19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 전달하는 전원을 정해진 크기 이하로 제한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마운트형 장치의 전원 배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2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전자 장치 300에 연결되어,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04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인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 170은 제2 인터페이스부 115에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연결포트가 삽입되는지 여부는 인식할 수 있다.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동작 906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계속해서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전원을 수신하여 동작하게 된다.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이 연결된 경우, 동작 908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장치 정보를 제1 인터페이스부 112를 통해 전자 장치 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정보는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장치 식별자 및 동작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상기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에 공급할 전원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이 연결되기 전까지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동작 전원만 공급하다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이 연결되면, 전원 공급량을 늘려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동작 전원만큼을 더 공급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메인 제어부 170은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 170은 상기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 중 일부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동작 전원으로 배분하고,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동작 전원만큼을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 배분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원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2에서,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HMT)에 연결하고,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만큼을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로 공급할 수 있다.
동작 1004에서,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부터 장치 정보의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 300은 계속해서 동작 100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동작 1006에서, 전자 장치 300은 전원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이 연결되면, 동작 1002에서 공급한 전원보다 크도록 전원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동작 1008에서, 전자 장치 300은 상기 조절된 전원 공급량을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30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만큼 전원 공급량을 늘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외부 입출력 장치, 헤드 마운트형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전원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2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HMT)은 전자 장치 300과 연결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전자 장치 300의 연결포트가 제1 인터페이스부 112에 접속되면, 전자 장치 300을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동작 1104에서,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은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에 접속할 수 있다.
동작 1106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연결포트가 제2 인터페이스부 115에 접속되면,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을 인식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108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상기 장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정보는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장치 식별자 및 동작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 300은 전원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 300은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동작 전원만큼 전원 공급량을 늘릴 수 있다.
동작 1112에서, 전자 장치 300은 상기 조절된 전원 공급량을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114에서,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 배분할 수 있다.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은 상기 전자 장치 30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 중 일부는 헤드 마운트형 장치 100의 동작 전원으로 배분하고, 외부 입출력 장치 400의 동작 전원만큼을 외부 입출력 장치 400으로 배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헤드 마운트형 장치
110: 메인 프레임 111: 사용자 입력모듈
112: 제1 인터페이스부 113: 표시 위치 조정부
114: 근접 센서 115: 제2 인터페이스부
120: 장착부 130: 커버
140: 과전압보호부 150: 제1 전압 제어부
160: 스위치부 170: 메인 제어부
180: 제2 전압 제어부 190: 전류 제한부
200: 외부 충전기 300: 전자 장치
400: 외부 입출력 장치

Claims (18)

  1. 헤드 마운트형(head-mounted type)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
    외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
    센서;
    스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 및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을 감지하고,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에 따른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충전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설정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가 착용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스위치를 턴 온(turn on)하고,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더 설정된,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충전기가 연결되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미착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충전기가 연결되고, 상기 전자 장치가 미착용된 경우,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바이패스(bypass)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입출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로 배분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
  9.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연결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동작;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외부 충전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외부 충전기의 연결에 따른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충전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착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가 착용된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스위치를 턴 온하고,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전원 입력 정보, 착용 상태 정보 및 미착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가 미착용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 전원 입력 정보와 상기 미착용 상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외부 입출력 장치의 연결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의 장치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전원을 상기 외부 입출력 장치로 배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헤드 마운트형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50028756A 2015-03-01 2015-03-01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3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756A KR102335910B1 (ko) 2015-03-01 2015-03-01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056,296 US10651668B2 (en) 2015-03-01 2016-02-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PCT/KR2016/001991 WO2016140475A1 (en) 2015-03-01 2016-02-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CN201680012785.1A CN107408825B (zh) 2015-03-01 2016-02-29 用于控制电力的设备和方法
EP16157951.1A EP3065027B1 (en) 2015-03-01 2016-02-2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756A KR102335910B1 (ko) 2015-03-01 2015-03-01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999A KR20160105999A (ko) 2016-09-09
KR102335910B1 true KR102335910B1 (ko) 2021-12-06

Family

ID=5552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756A KR102335910B1 (ko) 2015-03-01 2015-03-01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51668B2 (ko)
EP (1) EP3065027B1 (ko)
KR (1) KR102335910B1 (ko)
CN (1) CN107408825B (ko)
WO (1) WO2016140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172B1 (ko) 2015-04-08 2022-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의 연동 방법 및 장치
JP2016218978A (ja) * 2015-05-26 2016-12-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制御方法
US10663738B2 (en) 2017-12-04 2020-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MD configurable for various mobile device sizes
US11163155B1 (en) 2017-12-18 2021-11-02 Snap Inc. Eyewear use detection
WO2020091490A1 (ko) * 2018-11-01 2020-05-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56317B2 (en) * 2019-05-17 2022-02-22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component activation
CN110879792B (zh) * 2019-11-13 2024-0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接口控制方法
US11487125B2 (en) * 2020-04-15 2022-11-01 Google Llc Laser safety in wearable heads-up display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489A (ja) * 2007-07-20 2009-02-05 Nikon Corp 出力機器
US20100079356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US20140183974A1 (en) 2012-12-27 2014-07-03 Wayne L. Proefrock Universal power interface
KR102186456B1 (ko) 2012-11-20 202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전이 및 상호작용 모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9029B2 (ja) * 1999-11-29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6757068B2 (en) 2000-01-28 2004-06-29 Intersense, Inc. Self-referenced tracking
US9044136B2 (en) * 2007-02-16 2015-06-02 Cim Technology Inc. Wearable mini-size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JP5340803B2 (ja) * 2009-05-18 2013-11-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
KR101613553B1 (ko) * 2010-01-20 2016-04-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전력상태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휴대단말기
KR101668249B1 (ko) * 2010-08-24 201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17505B1 (ko) * 2010-12-02 2017-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충전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52169B1 (ko) * 2011-05-27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WO2013076792A1 (ja) * 2011-11-21 2013-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予約方法
KR20130126760A (ko) * 2012-03-05 2013-1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착용밴드에서의 직물형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5636A (ko) * 2013-04-19 2014-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86511B1 (ko) * 2013-07-25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6484B1 (ko) * 2014-02-1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329420B1 (ko) * 2014-05-23 2021-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32279B1 (ko) * 2014-08-25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위한 크래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7489A (ja) * 2007-07-20 2009-02-05 Nikon Corp 出力機器
US20100079356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KR102186456B1 (ko) 2012-11-20 2020-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전이 및 상호작용 모델
US20140183974A1 (en) 2012-12-27 2014-07-03 Wayne L. Proefrock Universal pow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8825B (zh) 2020-12-08
CN107408825A (zh) 2017-11-28
WO2016140475A1 (en) 2016-09-09
US20160254681A1 (en) 2016-09-01
KR20160105999A (ko) 2016-09-09
US10651668B2 (en) 2020-05-12
EP3065027A1 (en) 2016-09-07
EP3065027B1 (en)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910B1 (ko)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6911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US983916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radi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2557976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EP3029551B1 (en)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s of virtual reality system
KR102524322B1 (ko) 밴드 연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130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6833B1 (ko)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4014607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0478490Y1 (ko) 헤드 마운트 장치
KR101655792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2155A (ko) 스마트 워치
KR2016002416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2750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전류소모 제어방법
KR20150062742A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26429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0383B1 (ko) 전자 장치의 센서 데이터 획득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20160357250A1 (en) Wearable device having control panel
US2022041330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image
CN111179560A (zh) 一种智能眼镜、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20160027627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183175B (zh) 穿戴式通讯设备
US20230281938A1 (en) Hardware-agnostic input framework for providing input capabilities at various fidelity leve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