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833B1 -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833B1
KR102486833B1 KR1020170106946A KR20170106946A KR102486833B1 KR 102486833 B1 KR102486833 B1 KR 102486833B1 KR 1020170106946 A KR1020170106946 A KR 1020170106946A KR 20170106946 A KR20170106946 A KR 20170106946A KR 102486833 B1 KR102486833 B1 KR 10248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or
power
pin
exter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768A (ko
Inventor
이태경
송우택
송현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33B1/ko
Priority to US15/987,222 priority patent/US10788874B2/en
Priority to EP18190033.3A priority patent/EP3447606B1/en
Priority to CN201810968812.3A priority patent/CN109426327B/zh
Publication of KR2019002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스위칭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POWER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nel computer), 또는 노트북 등은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액세서리 장치(예: head mounted display(HMD) 장치, 또는 도킹 스테이션 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액세서리 장치는 보조 액세서리 장치,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HMD 장치는 모바일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등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HMD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HMD 장치는 보조 액세서리,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HMD 장치는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사용될 수 있다.
HMD 장치에 전력 공급 장치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HMD 장치가 오프(off) 상태이면 상기 HMD 장치 또는 상기 HMD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HMD 장치가 온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상기 HMD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고 부팅이 되어야 하나,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HMD 장치에 상기 전력 공급 장치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HMD 장치가 부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HMD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예컨대, HMD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온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온 상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스위칭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도록 설정된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예컨대, HMD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예컨대, HMD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전력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간에 전원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장착된 HMD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각 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라는 표현은 적어도 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HMD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 또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에 전원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환경(100)에서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 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축 직교 좌표계의 'X'는 전자 장치(200)(예를 들면, 도 1의 전자 장치(101) 또는 전자 장치(102))의 폭 방향, 'Y'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길이 방향, 'Z'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1)은 도전성 부재 및/또는 비도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2)(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2)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압력 반응형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1)에 배치되며,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리시버(20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1) 내부에 배치되며,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20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01-1) 내부에 배치되며, 이어셋의 이어잭을 삽입할 수 있는 이어잭 커넥터(20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201-2)에 노출되거나, 윈도우를 통하여 기능은 수행하나 노출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20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201-5)은, 예컨대,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예: 광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지문 인식 센서 또는 홍채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카메라 장치(20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인디케이터(201-7)(예: LED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20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로폰 장치(201-4)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스피커 장치(20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마이크로폰 장치(201-4)의 타측으로 배치되어 외부 장치와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커넥터(201-9)(예를 들면, 도 1의 연결 단자(17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201-9)는 소켓 형태의 커넥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1-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커넥터(201-9)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201-19)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201-19) 내에 커넥터(201-9)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201-9)에 헤더 형태의 외부 커넥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커넥터는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201-9)와 외부 커넥터가 결합됨에 따라 전자 장치(200)와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는 전자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외부의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오디오 장치, 컴퓨터, 충전기, 메모리, 선풍기, 또는 안테나(예를 들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안테나 또는 FM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자 장치(200)들은 서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HMD(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장치와 체결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폰과 HMD(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장치가 체결되어 동작하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Head-Mounted Display) HMD 장치(wearable device)(이하, HMD 장치)는 사용자의 양안에 접안 또는 착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HMD 장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씨 스루(See-through) 기능 또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을 제공하는 씨 클로즈드(See-closed)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씨 스루 기능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실제 외부 영상들을 사용자의 안구에 전달하면서 실시간으로 부가적인 정보 또는 이미지를 하나의 영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씨 클로즈드 기능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컨텐츠들만 영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HMD 장치의 전력 수신 및 공급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HMD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 장치는 HMD 장치와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HMD 장치(3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20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메인 프레임(main frame)(310), 메인 프레임(310)에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310)을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착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모듈(311), 전자 장치(200)와 연결되는 제1 인터페이스부(312), 표시 위치 조정부(313), 근접 센서(314), 및 외부 전력 공급 장치 또는 다른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되는 제2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모듈(311)은 물리적 키, 물리적 버튼, 터치 키, 조이스틱, 휠(wheel) 키 또는 터치 패드 등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311)이 터치 패드인 경우, 터치 패드는 메인 프레임(3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드는 전자 장치(200) 또는 HMD 장치(3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제어 객체(예: 음향 또는 영상을 제어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312)는 HMD 장치(300)가 전자 장치(200)와 통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312)는 전자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예: USB 포트)에 접속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모듈(311)에서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312)는 사용자 입력 모듈(311)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예: 터치 입력)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상기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4)는 물체가 근접한 것을 비 접촉으로 감지하여 그 물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3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물체(예: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HMD 장치(300)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4)는 정해진 감지거리 이내에 아무런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메인 제어부에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근접 센서(314)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HMD 장치(3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4)는 HMD 장치(300)의 착용 여부를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HMD 장치(300)의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에 근접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310)의 안쪽 윗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로 기재하고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 HMD 장치(300)의 착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다른 센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310)에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제스처 센서 및 생체 센서, 터치 센서, 조도 센서, 그립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은 전자 장치(200)와 같은 외부 장치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310)은 전자 장치(20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나 구조, 또는 공동(cavity)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탄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은 상기 공간에 수납되는 다양한 크기의 장치에 따라 상기 공간의 크기나 부피가 변형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의 후면(안쪽면)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안면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안면 접촉부 일부에 사용자의 두 눈에 대면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다. 렌즈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반투명 렌즈가 상기 안면 접촉부에 대하여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안면 접촉부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안면 접촉부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코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 코 홈(Nose 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310)은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고 전자 장치(200)를 지지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310)은, 강도 또는 미관을 위하여, 유리, 세라믹, 금속(예: 알루미늄) 또는 금속 합금(예: 강철, 스테인레스강, 티타늄 또는 마그네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부(32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다. 장착부(320)는 탄성 소재의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장착부(320)는 안경 다리(Eyeglass Temples), 헬멧(Helmets) 또는 스트랩(Stra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HMD 장치(300)와 전자 장치(200)(예컨대, 스마트폰)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HMD 장치(300)는 메인 프레임(310)과 결합되는 전자 장치(200)를 고정하기 위한 커버(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330)는 메인 프레임(310)에 후크와 같은 형태로 물리적인 결합을 할 수 있고, 자석이나 전자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33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자 장치(200)가 메인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 장치(20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10)과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는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프레임(310)의 제1 인터페이스부(312)에 전자 장치(200)의 커넥터(201-9)를 결합한 후, 커버(330)를 끼워 HMD 장치(300)와 전자 장치(20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HMD 장치(300)의 메인 프레임(310) 일측(예컨대, 하부)에는 외부 장치(예컨대, 전력 공급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3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폰)가 HMD 장치에 장착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50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HMD 장치(500)는 예를 들어 도 1의 전자 장치(101, 102, 104)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HMD 장치(500)는 전자 장치(520)와의 통신 기능이 없는 거치대의 기능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HMD 장치(500)는 본체 및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는 HMD 장치(500)의 몸체부(510)에 전자 장치(520)가 장착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52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자 장치(520)의 후면 가장자리를 덮어 HMD 장치(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HMD 장치(500)는 사용자가 HMD 장치(500)를 머리에 착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MD 장치(500)의 몸체부(510)에는 착용자의 양쪽 눈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렌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착용자는 상기 전자 장치(520)가 HMD 장치(500)의 몸체부(5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들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520)의 디스플레이(도시하지 않았음)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상기 HMD 장치(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520)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기구적 구조일 수 있다.
HMD 장치(500)는 전자 장치(520)가 장착될 때,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전자 장치(52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520)는 HMD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520)는 수신한 입력에 응답하여 음량을 조절하거나 화면(예컨대, 가상 현실 모드의 영상 재생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520)가 HMD 장치(500)에 장착될 때, 상기 전자 장치(520)의 커넥터(521)가 상기 HMD 장치(500)의 커넥터(511)(예컨대, 제1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장치 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HMD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예컨대, 장치 하부)에 구비된 제2 커넥터(512)는 외부 전력 공급 장치 또는 다른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넥터(512)가 외부 전력 공급 장치(540)에 연결된 경우, HMD 장치(500)는 외부 전력 공급 장치(5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전력은 HMD 장치(500)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거나, 전자 장치(520)에 전달되어 전자 장치(520)의 동작 전력으로 사용되거나, 전자 장치(520)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제2 커넥터(512)가 외부 입력 장치와 연결된 경우, HMD 장치(500)는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외부 입력 신호를 수신받아, HMD 장치(500)의 메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520)가 장착된 HMD 장치(500)를 사용자가 착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520)가 장착된 HMD 장치(500)를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착용자는 HMD 장치(500)에 구비된 렌즈들을 통해 장착된 전자 장치(520)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MD 장치(500)의 몸체부(510) 측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530)를 통해 HMD 장치(500)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전자 장치(520)의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 모드에서의 정보 표시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 등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HMD 장치(500)(예컨대, HMD 장치)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화면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700)는 도 2, 도 4 또는 도 5의 전자 장치(200, 520)일 수 있다. 전자 장치(7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할 경우, 도 7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동작 화면(710)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700)가 HMD 장치에 장착될 경우, 상기 도 7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현실 모드(예컨대, HM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700)가 가상 현실 모드로 동작할 경우,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화면(720a)과 우안에 대응하는 화면(720b)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모드의 화면에서는 하나의 영상이 2개의 영상들(720a, 720b)로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전자 장치 또는 HMD 장치 또는 HMD 장치의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장치들을 예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전술한 장치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떠한 유형의 장치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절차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전자 장치(810)(예컨대, HMD 장치), 외부 전자 장치(820)(예컨대, 스마트폰), 전력 공급 장치(830)(예컨대, TA(travel adaptor))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810)의 일예로서 HMD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일예로서 스마트폰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 장치(810)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가 상기 HMD 장치 또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810)는 제1 커넥터(811)와 제2 커넥터(8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810)는 상기 제1 커넥터(811)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커넥터(821)와 연결되어, 전력을 송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810)는 상기 제2 커넥터(812)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830)의 커넥터(831)와 연결되어, 전력을 송수신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커넥터(811), 제2 커넥터(812),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커넥터(821), 상기 전력 공급 장치(830)의 커넥터(831)는 특정 형태, 특정 유형, 특정 방식의 커넥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각 커넥터들(811, 812, 821, 831)은 복수의 핀들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핀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어떠한 커넥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커넥터들(811, 812, 821, 831)은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USB 타입 A 커넥터(예컨대, 1.1, 2.0, 3.0 등), USB 타입 B 커넥터, USB 타입 C 커넥터, 마이크로 USB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810)와 외부 전자 장치(820)가 상기 커넥터들(811, 821)에 의해 연결되면, 외부 전자 장치(820)에서 전자 장치(81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자 장치(81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810)와 전력 공급 장치(830)가 상기 커넥터들(812, 831)에 의해 연결되면, 전력 공급 장치(830)에서 전자 장치(81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전자 장치(81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810)가 상기 제1 커넥터(811) 및 제2 커넥터(812)를 통해 각각 외부 전자 장치(820) 및 전력 공급 장치(830)와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810)는 상기 제2 커넥터(812)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8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제1 커넥터(811)를 통해 상기 공급받은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82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앙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810)와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 장치(8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부트로더(bootloader)가 동작하여 충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810)가 상기 제1 커넥터(811) 및 제2 커넥터(812)를 통해 각각 외부 전자 장치(820) 및 전력 공급 장치(830)와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810)는 상기 제2 커넥터(812)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8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넥터(811)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가 오프인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810)와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자 장치(8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로 전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전원을 제어(예컨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1 커넥터(811)가 USB 타입 C 커넥터일 경우 PD(power delivery)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VDM(vender defined message)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910)(예: HMD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920)(예: 스마트 폰) 또는 전력 공급 장치(930)(예: TA)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외부 전자 장치(92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악세서리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로 참조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예를 들어, 상술한 HMD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910)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자 장치(910)는,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920)와 구분되어 표시되어 있지만, 외부 전자 장치(920)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거나, 전자 장치(910)의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92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920)는 스마트 폰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920)는 태블릿 PC, 또는 PDA 등의 모바일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930)는 전자 장치(9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 악세서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930)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충전 장치는, 예를 들면, 노트북, 여행용 충전기(TA), 또는 보조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영상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포트(DP; disply port) 인터페이스,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USB Audio Video 장치 인터페이스 등)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컨텐츠 데이터(예: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소스(source) 장치일 수 있고, 전자 장치(910)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 또는 재생하는 싱크(sink)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그 역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USB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는 USB 호스트(host)로 동작할 수 있고, 전자 장치(910)는 USB 클라이언트(client)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그 역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는 장치 내외로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커넥터는 장치 내외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USB Type C 커넥터일 수 있다.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USB Type C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 및 전력을 상호 간에 전달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USB Type C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때, 상호 간에 alternate 모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신 인터페이스(예: VESA의 DisplayPort 인터페이스)의 영상 신호가 USB 커넥터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가 사용하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커넥터의 종류를 어느 한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자 장치(910)는 외부 전자 장치(9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9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920)는 커넥터의 전력 단자(예: USB 커넥터의 V_BUS)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외부 전자 장치(92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고, 외부 전자 장치(920)에 전력 공급을 중단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이 감지되었을 때,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상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의 데이터 통신 단자(예: USB 커넥터의 D+, D- 또는 Rx, Tx 또는 CC 단자 등)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단자는,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의 양의 데이터 통신 단자(D+) 및 음의 데이터 통신 단자(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태 정보는 커넥터의 가변 저항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예: micro USB 커넥터의 ID 단자와 유사한 방식의)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9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910)는 USB 인터페이스의 전력 단자(예, V_BUS)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터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센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 등과 통신을 위한 USB 장치 클래스에 대응하는 데이터 타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는 키 값, 마우스 좌표 값, 터치 좌표 값, 가상 현실 센서 값,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치 제어 신호 값 중 하나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보드 장치 클래스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키가 눌린 것처럼 상기 설정된 키에 대응하는 키 값(예컨대 0x2fd 또는 0x2fe)을 상태 정보로 생성하고,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상기 생성된 키 값을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910)와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는 경우와 전자 장치(910)와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되는 경우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910)와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Ox2fd”일 수 있다. 전자 장치(910)와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는 “Ox2fe”일 수 있다.
전자 장치(910) 및 외부 전자 장치(920)는 커넥터의 ID 단자를 통해 서로에 대한 정보를 통신하고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커넥터의 ID 단자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디지털 ID' 방식을 지원하는 ID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SB Type C 커넥터는 CC 단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커넥터에 포함된 디지털 ID 단자를 통해 송수신 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저항 ID'방식을 지원하는 ID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micro USB 커넥터의 ID 단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커넥터에 포함된 '저항 ID'단자를 통해 저항 값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타입일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는 전자 장치(910)를 구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전력의 다른 일부는, 상술한 전력 단자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전력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920)를 구동할 수 있고,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922)를 충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었다는 상태 정보를 추가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장치) 없이 데이터 통신(예: 소프트웨어 정보)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910), 외부 전자 장치(920), 및 전력 공급 장치(930)는,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91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광 인터페이스, D-SUB, 또는 라이트닝(lightning) 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HDMI, 광 인터페이스, D-SUB, 또는 라이트닝(lightning)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920), 또는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프로세서(915)(예컨대, MCU(micro controller unit)), 전력 관리 회로(power management IC)(914), 식별 회로(916)(예컨대, CCPD IC), 제1 커넥터(912), 제2 커넥터(911), 스위칭 회로(913) 및/또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5)는 전자 장치(910)의 동작 및/또는 전자 장치(910)의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15)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닛(MPU, microprocessor unit) 등 일 수 있다. 상기 프로 세서(915)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915)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탈착 등 전자 장치(910)의 상태 변화를 외부 전자 장치(920)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930)와 전자 장치(910)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프로세서(915)는 제2 커넥터(911)에 연결된 인터럽트 신호선을 통해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915)는 외부 전자 장치(920)와 통신하여 전자 장치(910)의 상태 변화를 알릴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930)와 전자 장치(910)가 연결된 경우, 프로세서(915)는 제2 커넥터(912)에 연결된 인터럽트 신호선을 통해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915)는 외부 전자 장치(920)와 통신하여 전자 장치의 상태 변화를 알릴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14)는 전자 장치(9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14)는 기 설정된 전압(예: 3.0 V)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회로(914)는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14)는 외부 전자 장치(920) 또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기설정된 전압(예: 3.0V)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 없이 외부 전자 장치(920)만 연결된 경우, 전력 관리 회로(914)는 제1 커넥터(911)의 전력 단자(V_BUS)(911a)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입력 받아 상기 기설정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910)에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는 경우 전력 관리 회로(914)는, 제2 커넥터(9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기 설정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식별 회로(916)는 제1 커넥터(911)의 데이터 통신 단자(911b)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915)로 전송하고, 프로세서(915)에서 생성된 메시지 또는 정보를 상기 제1 커넥터(911)의 데이터 통신 단자(911b)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 회로(916)는 IC(482)는 MUIC(micro-usb interface controller), CCIC(cable and connector intergrated chip), 또는 PDIC(power delivery intergrated chi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식별 회로(916)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와의 연결 또는 해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커넥터(911) 또는 상기 제2 커넥터(912)가 USB C 타입을 지원하는 커넥터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910)는 CC 라인을 통하여(예컨대,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 또는 해제되었는지를 판단하거나,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 또는 해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913)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소자(elemen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제어 신호 또는 특정 조건에 따라 전류의 전송 경로를 변경시키거나, 전류의 전송 경로를 단락 또는 연결시키기 위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적어도 하나의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전자 장치(91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도 1의 메모리(130)에 대응될 수 있다.
저장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관리 방법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그램은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을 감지하는 루틴,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 여부에 따라 스위칭 회로(913)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루틴, 또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을 알리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1)는 외부 전자 장치(920)와 기능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1)는 전원 공급 또는 수신을 위한 전력 공급 단자(911a), 외부 전자 장치(92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단자(911b)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단자(911a), 데이터 통신 단자(911b) 등의 배치는 도 9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910)의 특성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전력 공급 단자(911a)는 제1 핀으로 참조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단자(911b)는 제2 핀으로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은 하나의 핀 또는 복수 개의 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는 USB 커넥터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력 공급 단자(911a)는 USB 커넥터의 VBUS 단자, 데이터 통신 단자(911b)는 D+,D- 또는 Tx, Rx 단자에 대응될 수 있다.
전력 공급 단자(911a)는 외부 전자 장치(92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데이터 통신 단자(911b)는, 예를 들면, D+, D-, 및/또는 Tx+/-, Rx+/- 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에 따라 다양한 단자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910)는 데이터 통신 단자(911b)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커넥터(912)는 전력 공급 장치(9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912)는 전원 공급 또는 수신을 위한 전력 공급 단자(912a), 전력 공급 장치(93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단자(912b)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단자(912a), 데이터 통신 단자(912b) 등의 배치는 도 9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장치(910)의 특성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커넥터(912)는, 전력 공급 장치(930)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912)는 제1 커넥터(911)와 마찬가지로 USB 인터페이스 규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넥터(912)는 상술한 제1 커넥터(911)와 유사한 구성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단자(912a)는 제3 핀으로 참조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단자(912b)는 제4 핀으로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핀 또는 상기 제4 핀은 하나의 핀 또는 복수 개의 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 감지 회로(미도시)는 상기 제2 커넥터(912)를 통해 상기 제1 핀과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력 공급 장치(930))의 탈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감지 회로는 전력 공급 장치(930)가 상기 제2 커넥터(912)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910)에 연결 또는 해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감지 회로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의 연결 또는 해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915)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910)는 터치 패드, 버튼 키, 터치 키 등과 같은 입력 모듈,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또는 적외선 센서 모듈, 조도 센서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91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는 프로세서(924)(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전력 관리 회로(923), 배터리(922), 커넥터(921), 식별 회로(926) 및/또는 메모리(92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21)는 전자 장치(910)와 기능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21)는 전원 공급 또는 수신을 위한 전력 공급 단자(921a), 전자 장치(91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단자(921b)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력 공급 단자(921a)는 제5 핀, 데이터 통신 단자(921b)는 제6 핀으로 참조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USB 커넥터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력 공급 단자(921a)는 USB 커넥터의 VBUS 단자, 데이터 통신 단자(921b)는 D+, D- 또는 Tx, Rx 단자에 대응될 수 있다.
전력 공급 단자(921a)는 전자 장치(910)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단자(921b)는, 예를 들면, D+, D-, 및/또는 Tx+/-, Rx+/- 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에 따라 다양한 단자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는 데이터 통신 단자(921b)를 통해 전자 장치(9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922)는 외부 전자 장치(9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922)는, 예를 들면,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배터리(922)는,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9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이거나, 외부 전자 장치(920)에 내장된 내장형 배터리이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탈착 가능한 탈착형 배터리일 수 있다.
메모리(925)는, 외부 전자 장치(92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25)는 도 1의 메모리(130)에 대응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23)는 외부 전자 장치(920)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23)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미도시), 전압 조정부(미도시), 전원 입/출력부, Charger IC(integrated circuit)(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IC, 회로,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전력 제어 및 전압 조정 역할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23)는 전자 장치(910)와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면, 커넥터(921)의 전력 공급 단자(921a)를 통하여,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회로(923)는 전자 장치(910)와 전력 공급 장치(930)간의 연결이 해제되면, 커넥터(921)의 전력 공급 단자(921a)를 통하여, 전자 장치(9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관리 회로(9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920)의 상태에 대응하여 배터리(922)의 전력을 전자 장치(910)로 공급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922)에 충전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는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외부 전자 장치(92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는 다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는 전자 장치(910)로부터 전자 장치(910)와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었는지, 연결이 해제되었는지에 대한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는 이 알림에 근거하여, 상술한 전력 관리 회로(9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식별 회로(926)는 커넥터(921)의 ID 단자(921b)에 연결되고, 커넥터(921)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무엇인지 판단하고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로 상기 외부 장치(예컨대, 전자 장치(910))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식별 회로(9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에서 독립된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의 일 부분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USB Type C 커넥터의 경우 ID 단자(921b)는 CC 단자에 대응될 수 있고, 식별 회로(926)는 CCIC(configuration channel integrated circuit)에 대응될 수 있다. USB 커넥터에서 CC 단자는 2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CIC(도면에서는 926에 대응)는 커넥터(921)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방향성을 판단하여, 하나는 케이블(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대 장치와 통신하여 커넥터(921)에 연결된 장치가 무엇인지 판단하고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식별 회로(926)는 생략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920)는 식별 회로(926)를 포함하지 않고 구현될 수도 있다. 외부 전자 장치(920)는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의 제어에 따라 충전 모드 또는 OTG(on the go) 모드, 또는 전력 경로(power path) 모드 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충전 모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922)를 충전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력 공급 단자(921a)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력 관리 회로(923)를 통해 배터리(922)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드 동작 시,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력 관리 회로(923)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의 일부를 배터리(922)에 공급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920)의 프로세서(924), 식별 회로(926) 등에 공급할 수 있다.
OTG 모드는 마우스, 키보드, USB 메모리 등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다양한 외부 장치에 외부 전자 장치(920)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가 외부 전자 장치(920)에 연결되면, OTG 모드로 동작하며, 배터리(922)의 전력을 전력 공급 단자(921a)를 통해 전자 장치(910)에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경로(power path) 모드는 외부로부터 전력 관리 회로(923)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로 입력되는 전력을 배터리(922)에는 공급하지 않고, 전력 관리 회로(923)가 다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 요소들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920)는 전자 장치(9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 일부를 공급받아 배터리(922)에는 공급하지 않고 전력 관리 회로(923)로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930)는 제어 회로(932), 커넥터(931), 전원 커넥터(9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31)는 전자 장치(910)와 기능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931)는 전원 공급 또는 수신을 위한 전력 공급 단자(931a), 전자 장치(91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단자(931b)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력 공급 단자(931a)는 제7 핀, 데이터 통신 단자(931b)는 제8 핀으로 참조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넥터는 USB 커넥터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력 공급 단자(931a)는 USB 커넥터의 VBUS 단자, 데이터 통신 단자(931b)는 D+, D- 또는 Tx, Rx 단자에 대응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930)는 전원 커넥터(933)를 통해 상용 전원을 공급 받아 전력 공급 단자(931a)를 통해 전자 장치(91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단자(931b)는, 예를 들면, D+, D-, 및/또는 Tx+/-, Rx+/- 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에 따라 다양한 단자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930)는 데이터 통신 단자(931b)를 통해 전자 장치(9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가 외부 전자 장치(920)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되어 전력을 수신 및 송신하는 다양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에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될 때,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의 제2 커넥터(912)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의 커넥터(931)와 연결되면,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커넥터(931)의 전력 공급 단자(931a)를 통해 상기 제2 커넥터(912)의 전력 공급 단자(912a)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의 프로세서(915)에서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는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 회로(913)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913)의 온/오프 상태 제어는 상기 프로세서(915)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력 관리 회로(914)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송된 전력은 상기 제2 커넥터(912)의 전력 공급 단자(931a)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은 상기 전자 장치(910) 내에서 스위칭 회로(913) 또는 전력 관리 회로(914)로 분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오프 상태로 제어되었으므로, 상기 수신된 전력은 전력 관리 회로(914)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회로(914)에서는 수신된 전력을 프로세서(915) 및/또는 식별 회로(916)로 공급함으로써 전자 장치(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910)는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전자 장치(910)의 부팅을 담당하는 부트로더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에 의해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식별 회로(916)가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 회로(916)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910)와 상기 전원 공급 장치(930) 간에 데이터 통신 단자(912b, 931b)를 이용하여 전원 관련 통신 또는 기타 다양한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관련 통신은 CCPD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커넥터(912) 및 커넥터(931)가 USB 타입 C 커넥터일 경우 PD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VDM(vender defined message) 메시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에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될 때,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의 제1 커넥터(911)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커넥터(921)와 연결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커넥터(921)의 전력 공급 단자(921a)를 통해 상기 제1 커넥터(911)의 전력 공급 단자(911a)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는 연결된 상태일 때,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의 프로세서(915)에서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는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 회로(913)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913)의 온/오프 상태 제어는 상기 프로세서(915)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력 관리 회로(914)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로부터 전송된 전력은 상기 제1 커넥터(911)의 전력 공급 단자(911a)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은 상기 전자 장치(910) 내에서 스위칭 회로(913) 또는 전력 관리 회로(914)로 분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오프 상태로 제어되었으므로, 상기 수신된 전력은 전력 관리 회로(914)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회로(914)에서는 수신된 전력을 프로세서(915) 및/또는 식별 회로(916)로 공급함으로써 전자 장치(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910)는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전자 장치(910)의 부팅을 담당하는 부트로더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에 의해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식별 회로(916)가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 회로(916)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910)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 간에 데이터 통신 단자(911b, 921b)를 이용하여 전원 관련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관련 통신은 CCPD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넥터(911) 및 커넥터(921)가 USB 타입 C 커넥터일 경우 PD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VDM(vender defined message) 메시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910)에 외부 전자 장치(920) 및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될 때, 전자 장치(910)는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의 제1 커넥터(911)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커넥터(921)와 연결되고 제2 커넥터(912)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의 커넥터(931)와 연결되면,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상기 커넥터(931)의 전력 공급 단자(931a)를 통해 상기 제2 커넥터(912)의 전력 공급 단자(912a)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동시에 연결된 상태일 때,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의 프로세서(915)에서 상기 전자 장치(910)가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동시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스위칭 회로(913)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913)의 온/오프 상태 제어는 상기 프로세서(915)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력 관리 회로(914)를 통해 제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전송된 전력은 상기 제2 커넥터(912)의 전력 공급 단자(931a)를 통해 수신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은 상기 전자 장치(910) 내에서 스위칭 회로(913) 또는 전력 관리 회로(914)로 분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913)는 온 상태로 제어되었으므로, 상기 수신된 전력은 상기 스위칭 회로(913)를 거쳐 상기 제1 커넥터(911)의 전력 공급 단자(911a)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92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에서는 상기 커넥터(921)의 전력 공급 단자(921a)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910)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전력 관리 회로(923)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가 오프 상태일 경우, 상기 전력 관리 회로(923)에서는 수신된 전력을 프로세서(924) 및/또는 식별 회로(925)로 공급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9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가 파워 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930)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91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는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920)의 부팅을 담당하는 부트로더가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가 상기 전력 공급에 의해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거나 부트로더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식별 회로(926)가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 회로(926)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상기 전자 장치(910) 간에 데이터 통신 단자(911b, 921b)를 이용하여 전원 관련 통신 또는 기타 다양한 데이터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원 관련 통신은 CCPD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커넥터(9111) 및 커넥터(921)가 USB 타입 C 커넥터일 경우 PD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VDM(vender defined message) 메시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스위칭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은,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PD(power delivery) 통신 규격에 의한 VDM(vendor defined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도록 설정된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은,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PD(power delivery) 통신 규격에 의한 VDM(vendor defined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동작 13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자 장치(910)(예컨대, HMD))의 제2 커넥터에 전력 공급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면, 동작 1303에서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1305에서 전자 장치의 제1 커넥터(911)에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되면, 동작 130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에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커넥터(9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전압, 저항 값들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커넥터(9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의 식별 회로(910)는 상기 제1 커넥터(911)의 데이터 통신 단자(911b)(예컨대, 제2 핀)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동작 1309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들(예컨대, HMD 장치로 동작하는 기능들)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31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들을 동작하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니면, 동작 1311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위칭 회로(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의 스위칭 회로(913))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스크린, 물리키 등)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동작 131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온 상태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동작 131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예컨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어)할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131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여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스크린, 물리키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 전자로 특정 전원 제어 메시지(예컨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자 장치(910)(예컨대, HMD))의 제1 커넥터에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외부 전자 장치(920))가 연결되면, 동작 140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910)에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커넥터(9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전압, 저항 값들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커넥터(9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910)의 식별 회로(910)는 상기 제1 커넥터(911)의 데이터 통신 단자(911b)(예컨대, 제2 핀)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9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상기 동작 14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이면, 동작 140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동작 140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들(예컨대, HMD 장치로 동작하는 기능들)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431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기능들을 동작하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1403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동작 1409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력 공급 장치(93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제2 커넥터에 전력 공급 장치가 연결되면, 동작 1411에서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141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위칭 회로(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의 스위칭 회로(913))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41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온 상태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스크린, 물리키 등)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동작 140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예컨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어)할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1419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원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여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스크린, 물리키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외부 전자로 특정 전원 제어 메시지(예컨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01에서 외부 전자 장치(820)(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외부 전자 장치(920))는 오프 상태일 수 있으며, 동작 1503에서 전자 장치(810)(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자 장치(910)(예컨대, HMD))는 오프 상태일 수 있다.
동작 1505에서 전자 장치의 제2 커넥터에 전력 공급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력 공급 장치(930))가 연결되면, 동작 150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이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회로 연결 구조에 의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동작 1509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동작 1511에서 전자 장치의 제1 커넥터에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8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810)에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커넥터(8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전압, 저항 값들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810)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와 연결되는 상기 제1 커넥터(8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810)의 식별 회로(810)는 상기 제1 커넥터(911)의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82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가 아니므로, 동작 1513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스위칭 회로(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의 스위칭 회로(913))를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51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스위칭 회로가 온 상태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동작 1519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된 전력에 의해 부트로더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예컨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제어)할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 1521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원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동작 1523에서 상기 생성한 제어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동작 1525에서 상기 수신된 전원 제어 메시지에 따라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동작 1527에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는 전원이 온 상태가 되었으므로, 상기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고,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지정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은,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PD(power delivery) 통신 규격에 의한 VDM(vendor defined message)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커넥터와 외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603)(예: 도 2의 201-9)는 소켓 형태일 수 있고, 커넥터(1603)의 외면을 형성하고, 헤더 형태의 외부 커넥터(1605)(예: 도 2의 외부 커넥터(20-9))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개구부(1603-1a)가 형성된 하우징(160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603)는 개구부(1603-1a) 내부에 기판(160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판(1603-5)은 정방향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핀들이 배치된 제1 면(1603-5a) 및 역방향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핀들이 배치된 제2 면(1603-5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1603)는 외부 커넥터(1605)의 전기적 연결 또는 물리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 랫치핀(1603a, 160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랫치핀(1603a, 1603b)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 커넥터(1605)가 결속될 수 있는 결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랫치핀(1603a)은 정방향에 대응되고, 제2 랫치핀(1603b)은 역방향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랫치핀(1603a, 1603b)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통신 데이터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700)(예: 도 1의 연결단자(178), 도 2의 커넥터(201-9)는 USB 타입 C 커넥터일 수 있다. 커넥터(1700)는 복수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1700)는 정방향에 대응하는 제1 면(예를 들면, A면)에 복수의 제1 핀들과 역방향에 대응하는 제2 면(예를 들면, B면)에 복수의 제2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핀들은 GND핀(1711a), TX1+(1712a), TX1-(1713a), VBUS핀(1714a), CC핀(1715a), Dp1핀(1716a), Dn1핀(1717a), SBU1핀(1718a)핀, VBUS핀(1719a), RX2-(1720a), RX2+(1721a), GND핀(172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2 핀들은 GND핀(1711b), TX1+(1712b), TX1-(1713b), VBUS핀(1714b), VCONN핀(1715b), Dp1핀(1716b), Dn1핀(1717b), SBU1핀(1718b)핀, VBUS핀(1719b), RX2-(1720b), RX2+(1721b), GND핀(17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핀들은 하나 이상의 제1 그라운드 핀 예를 들면, GND 핀들(1711a, 522a)와 하나 이상의 제1 신호 핀 예를 들면, TX1+(1712a), TX1-(1713a), VBUS핀(1714a), CC핀(1715a), Dp1핀(1716a), Dn1핀(1717a), SBU1핀(1718a), VBUS핀(1719a), RX2-(1720a), RX2+(1721a)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핀들은 하나 이상의 제2 그라운드 핀 예를 들면, GND 핀들(1711b, 522b)와 하나 이상의 제2 신호 핀 예를 들면, TX2+(1712b), TX2-(1713b), VBUS핀(1714b), VCONN핀(1715b), Dp1핀(1716b), Dn1핀(1717b), SBU2핀(1718b), VBUS핀(1719b), RX1-(1720b), RX1+(1721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TX1+ 및 TX2+(1712a, 512b)과 TX1- 및 TX2-(1713a, 513b)은 데이터의 빠른 전송이 가능한 수퍼 스피드 전송(super speed TX)을 위한 핀들일 수 있고, Vbus핀들(1714a, 514b)은 USB 케이블 충전 전원을 위한 핀들일 수 있고, CC핀(1715a)은 식별 단자의 역할을 하는 핀일 수 있고, Vconn핀(1715b)는 플러그 전력을 지원하기 위한 핀일 수 있고, Dp1핀들(1716a, 516b) 및 Dn1핀들(1717a, 517b)은 상이한 양방향의 USB 신호를 위한 핀들일 수 있고, SBU1핀 및 SBU2핀(1718a, 518b)는 여분용 핀으로서 다양한 신호(예: 오디오 신호, 디스플레이 신호 등)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핀일 수 있으며, RX2- 및 RX1-(1720a, 520b)과 , RX2+ 및 RX1+(1721a, 521b)은 데이터의 빠른 수신이 가능한 수퍼 스피드 수신(super speed RX)를 위한 핀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신호 핀 예를 들면, TX1+(1712a), TX1-(1713a), VBUS핀(1714a), CC핀(1715a), Dp1핀(1716a), Dn1핀(1717a), SBU1핀(1718a), VBUS핀(1719a), RX2-(1720a), 또는 RX2+(1721a)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신호 핀은 지정된 기능의 신호와 연관된 회로(예: 오디오 모듈(460)) 및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 회로(예: 방송 모듈(47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신호 핀 예를 들면, TX2+(1712b), TX2-(1713b), VBUS핀(1714b), VCONN핀(1715b), Dp1핀(1716b), Dn1핀(1717b), VBUS핀(1719b), RX1-(1720b) 또는 RX1+(1721b)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 핀은 지정된 기능의 신호(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460)) 또는 무선 통신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방송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통신 모듈(47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그라운드 핀 예를 들면, GND 핀들(1711a, 522a)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그라운드 핀은 무선 통신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통신 모듈(47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2 그라운드 핀 예를 들면, GND 핀들(1711b, 522b)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그라운드 핀은 무선 통신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통신 모듈(470))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신호 핀 및 제2 신호 핀과 제1 그라운드 핀 및 제2 그라운드 핀을 무선 통신 데이터 신호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핀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latch)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데이터 신호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래치 핀으로 지정하고, 래치 핀이 무선 통신 데이터 신호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HMD 장치(1900)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HMD 장치(1900)는 장착되는 전자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와 독립적으로 전술한 전자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동작을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HMD 장치(1900)는 MCU(1910)(micro control unit), 통신 모듈(1920), 센서 모듈(1930), 입력 모듈(1940), 시선 추적 모듈(1950), 바이브레이터(1952), 초점 조절 모듈(1954), 전력 관리 모듈(1960), 배터리(1962), 디스플레이(1970), 카메라 모듈(198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20)은, 예를 들면 USB 모듈(1921), WiFi 모듈(1922), BT 모듈(1923), NFC 모듈(1924), GPS 모듈(1925)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930)은,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1931), 자이로 센서(1932), 기압 센서(1933), 마그네틱 센서(1934), 가속도 센서(1935), 그립 센서(1936), 근접 센서(1937), RGB 센서(1938), 접근 센서(1939)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940)은 터치 패드(1941), 버튼(1942)을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1900)는 전자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가 탈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대신에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9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의 블록도(20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 (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를 제어(예: 할당 또는 회수)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웨어(144)는 어플리케이션(146)이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이 제공하는 기능 또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 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01), 윈도우 매니저(20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05), 리소스 매니저(2007), 파워 매니저(20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011), 패키지 매니저(2013), 커넥티비티 매니저(20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017), 로케이션 매니저(2019), 그래픽 매니저(2021), 시큐리티 매니저(2023), 통화 매니저(20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0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09)는, 예를 들면, 배터리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09)는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0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서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0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0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017)는, 예를 들면, 발생된 이벤트(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0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0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0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0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0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해당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웨어(20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 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051), 다이얼러(2053), SMS/MMS(2055), IM(instant message)(2057), 브라우저(2059), 카메라(2061), 알람(2063), 컨택트(2065), 음성 인식(2067), 이메일(2069), 달력(2071), 미디어 플레이어(2073), 앨범(2075), 와치(2077), 헬스(2079)(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20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기 위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069))에서 발생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동작 2101에서 전자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전자 장치(910)(예컨대, HMD))는 제1 커넥터(예컨대, 도 9의 제1 커넥터(911))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컨대, 도 9 내지 도 12의 외부 전자 장치(920))와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커넥터는 전원 공급 또는 수신을 위한 전력 공급 단자(예컨대, 도 9의 전력 공급 단자(911a)),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단자(예컨대, 도 9의 데이터 통신 단자(911b))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단자(911a)는 제1 핀으로 참조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단자(911b)는 제2 핀으로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핀 또는 상기 제2 핀은 하나의 핀 또는 복수 개의 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는 USB 커넥터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전력 공급 단자는 USB 커넥터의 VBUS 단자, 데이터 통신 단자는 D+,D- 또는 Tx, Rx 단자에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103에서 전자 장치는 제2 커넥터(예컨대, 도 9의 제2 커넥터(9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예컨대, 도 9의 전력 공급 장치(930))와의 연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커넥터는 전원 공급 또는 수신을 위한 전력 공급 단자(예컨대, 도 9의 전력 공급 단자(912a)), 외부 전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 단자(예컨대, 도 9의 데이터 통신 단자(912b)) 및/또는 그라운드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단자는 제3 핀으로 참조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 단자는 제4 핀으로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3 핀 또는 상기 제4 핀은 하나의 핀 또는 복수 개의 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2105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제2 커넥터(예컨대, 제2 커넥터의 전력 공급 단자(제3 핀))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동작 2107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제1 커넥터(예컨대, 제1 커넥터의 전력 공급 단자(제1 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것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환경 101 : 전자 장치
102, 104 : 전자 장치 108 : 서버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0 : 프로그램 142 : 운영 체제
144 : 미들웨어 146 : 어플리케이션
150 : 입력 장치 160 : 표시 장치
198, 199 : 네트워크 300 : HMD 장치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스위칭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은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PD(power delivery) 통신 규격에 의한 VDM(vendor defined message)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도록 설정된 스위칭 회로; 및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은,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PD(power delivery) 통신 규격에 의한 VDM(vendor defined message)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적어도 하나의 제3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핀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판단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될 경우,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핀을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핀으로 공급하는 동작;
    상기 제1 커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방식을 지원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핀은,
    CC(configuration channel) 핀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제어와 관련된 정보는,
    PD(power delivery) 통신 규격에 의한 VDM(vendor defined message)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결합 가능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간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0170106946A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248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946A KR102486833B1 (ko)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US15/987,222 US10788874B2 (en) 2017-08-23 2018-05-23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between electronic devices
EP18190033.3A EP3447606B1 (en) 2017-08-23 2018-08-21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between electronic devices
CN201810968812.3A CN109426327B (zh) 2017-08-23 2018-08-23 用于控制电子装置之间的电力的方法和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946A KR102486833B1 (ko)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768A KR20190021768A (ko) 2019-03-06
KR102486833B1 true KR102486833B1 (ko) 2023-01-11

Family

ID=6335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946A KR102486833B1 (ko) 2017-08-23 2017-08-23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88874B2 (ko)
EP (1) EP3447606B1 (ko)
KR (1) KR102486833B1 (ko)
CN (1) CN109426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3413B2 (en) * 2016-09-28 2019-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inking mobile computing devices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s
EP3367210A1 (en) * 2017-02-24 2018-08-29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system,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WM573985U (zh) * 2018-11-14 2019-02-11 模帝科電子科技股份有限公司 電動沙發之供電裝置
CN110137755B (zh) 2019-06-21 2020-07-03 闪耀现实(无锡)科技有限公司 连接器和包括连接器的第二电子设备
KR102651715B1 (ko) 2019-07-3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21858A (ko) 2019-08-19 202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관리를 위한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879792B (zh) * 2019-11-13 2024-01-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接口控制方法
US11751326B2 (en) * 2020-05-22 2023-09-05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JP2022035251A (ja) * 2020-08-20 202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受電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44581A (ja) * 2021-03-19 2022-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20230117864A (ko) * 2022-02-03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9154A1 (en) * 2011-09-06 2014-08-07 Zte Corporation Method for power-on control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4873B2 (ja) * 1997-12-17 2008-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制御システム
KR20060015946A (ko) * 2004-08-16 2006-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시스템
CN101674366B (zh) * 2009-09-19 2012-03-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usb或充电器插入识别方法及识别装置
KR101682386B1 (ko) * 2010-06-29 2016-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
KR102391100B1 (ko) * 2015-06-10 202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147636A (ko) 2015-06-15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6581B1 (ko) * 2015-10-02 2022-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적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57976B1 (ko) 2016-01-22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방법
JP6882934B2 (ja) * 2017-05-12 2021-06-02 Dynabook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9154A1 (en) * 2011-09-06 2014-08-07 Zte Corporation Method for power-on control of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606B1 (en) 2022-04-20
CN109426327A (zh) 2019-03-05
CN109426327B (zh) 2023-11-03
US20190064900A1 (en) 2019-02-28
US10788874B2 (en) 2020-09-29
KR20190021768A (ko) 2019-03-06
EP3447606A1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833B1 (ko) 전자 장치들간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EP323633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thereof
US10283920B2 (en) Interface device
KR102576929B1 (ko) 전자 장치
KR102476581B1 (ko) 적응적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60063767A1 (en) Method for providing visual reality ser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384785B1 (ko) 배터리의 전압에 기반한 충전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US11340676B2 (en) Method of identify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power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supporting same
US2019007959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inter in virtual reality and electronic device
KR20160057788A (ko) 무선 데이터 입출력 방법 및 장치
CN107408825B (zh) 用于控制电力的设备和方法
US10401950B2 (en) Method for obtaining sensor data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934038B1 (en) Eyewear tether
KR201700002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온도 판단 방법
US98832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102544778B1 (ko) 누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77504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102672130B1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71326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2018002047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