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636A -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636A
KR20140125636A KR1020130043700A KR20130043700A KR20140125636A KR 20140125636 A KR20140125636 A KR 20140125636A KR 1020130043700 A KR1020130043700 A KR 1020130043700A KR 20130043700 A KR20130043700 A KR 20130043700A KR 20140125636 A KR20140125636 A KR 20140125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dition
predetermined
charging
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진수
최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636A/ko
Priority to EP14153289.5A priority patent/EP2793348A1/en
Priority to US14/176,295 priority patent/US20140312829A1/en
Priority to CN201410056807.7A priority patent/CN104113099A/zh
Publication of KR2014012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부, 외부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 완료된 것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은 휴대가 간편하여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 크기의 컴퓨터를 말한다. 최근의 노트북은 프로세서와 그래픽 성능의 향상으로 많은 소비전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의 노트북은 고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최근의 노트북에는 고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된다는 점에서, 고용량의 배터리를 완충하기까지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시간을 단출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부, 외부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 완료된 것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어댑터와의 연결이 차단되었다가 재차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 기설정된 제1 조건만 만족된 이후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었다고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3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7%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9% 이상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100%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20배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에 발광을 하여 충전 중임을 알리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 경우에도 발광부가 발광하지 않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로 표시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하거나, 상기 어댑터의 분리로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까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충전 제어 방법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어댑터와의 연결이 차단되었다가 재차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배터리가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만이 만족된 이후에 배터리가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제3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7%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9% 이상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100%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20배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발광하여 표시하는 발광부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로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하거나, 상기 어댑터의 분리로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까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전원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충전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어댑터가 분리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어댑터가 분리되었다가 재연결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배터리가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어댑터가 분리되어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전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전원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노트북, 태블릿, PMP, MP3,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동작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동작 모드는 전자 장치(100) 내의 모든 구성이 동작하는 노멀 모드 및 노멀 모드보다 낮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하나의 절전 모드만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절전 모드를 동작 모드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충전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복수의 충전 모드는 배터리의 충전 중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한 적이 없는 제1 충전 모드, 배터리의 충전 중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제2 충전 모드, 배터리의 충전 중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한 제3 충전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배터리의 충전 용량 및 충전 전류의 크기에 따른 조건으로 기설정된 제1 조건은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9% 이상이고,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이하인 경우이고, 기설정된 제2 조건은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100% 이상이고,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20배 이하인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기설정된 조건을 충전 용량 및 충전 전류를 모두 고려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충전 용량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충전 전류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조건의 수치는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않는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제1 조건의 충전 용량을 90% ~99%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설정된 제1 조건의 충전 전류를 1/5배~1/19배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외부 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마우스 및 모니터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발광부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충전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UI 화면상에 현재 배터리가 충전 상태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어댑터의 연결 유무, 전지부의 장착 유무, 전지부의 충전 상태 등에 대한 전원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발광 소자(LED)로 구성되는 발광부 또는 UI 화면상에 현재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충전완료된 상태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의 충전 상태 및 충전 용량의 표시는 전자 장치(100)의 충전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전자 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후술할 전원부(200)에서 제공되는 어댑터의 연결 여부, 전지부의 장착 유무, 전지부의 충전 상태 등에 대한 전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원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거나,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작업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기설정된 잔량(예를 들어, 5%)보다 작으면,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절전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게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결정된 동작 모드가 노말 모드이면,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200)를 제어하고, 결정된 동작 모드가 절전 모드이면, 기선택된 일부 구성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20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전원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부(200)는 입력부(210), 전원 충전부(220), 전지부(230), 출력부(240) 및 전원 제어부(250)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외부의 어댑터(10)로부터 DC 전원을 입력받는다.
전원 충전부(220)는 외부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전지부(23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
전지부(230)는 이차 전지인 배터리를 포함하고,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받은 DC 전원을 이차 전지에 충전할 수 여기서 이차 전지는 니켈 전지, 카드늄 전지, 니켈-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폴리머 전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전지부(23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 또는 전지부(23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공급하거나,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 및 전지부(230)의 전원을 함께 전자 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250)는 어댑터로부터 DC 전원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 및 전지부의 상태 정보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50)는 입력부(210)로 입력되는 DC 전원의 전압 값을 감지하고, 감지된 DC 전원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어댑터로부터 DC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전지부의 충전 상태에 따라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통하여 전지부(230)가 충전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50)는 전지부(230)(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입력부(210)를 통하여 입력받은 DC 전원을 이용하여 전지부(230)가 충전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거나, 기설정된 제1 조건 또는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어댑터와 연결이 차단되었다가 재차 연결된 상태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거나,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배터리가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된 상태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면, 입력부(210)를 통하여 DC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전지부(230)에 충전이 수행되지 않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제어부(25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전지부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지부의 충전 상태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부(250)는 전지부가 충전 상태인 경우, 충전 상태임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전지부(230)가 충전 중인 경우에도 완충된 것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원 제어부(250)의 표시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러한 전원 제어부(250)는 시스템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 제어부(250)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제어부(150)가 전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충전 시간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2차 전지를 충전하는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전압정전류 충전 방식에 따른 시간 변환에 대한 배터리의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및 충전 용량이 도시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지가 많이 방전된 상태에서, 즉, 초기 충전 시에는 정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이 진행된다. 전지가 어느 정도 충전된 상태 이후(a 시점)에서는 충전 전압이 정전압이 된다. 이와 같이 정전압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배터리에 대한 과충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a 시점 이후에 충전 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충전 전류가 줄어듦에 따라 충전 용량이 변화는 점점 줄어들게 된다. 구체적으로, 0~30분까지 충전 용량이 50% 증가되나, 30분~1시간에서는 충전 용량이 33%, 1시간에서 1시간 30분까지는 22%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전 용량을 0%에서 95%까지 충전시키는데 1시간 반이 소요되는데 비해, 완충시키기 위해서는 즉, 나머지 5%를 충전시키는데 1시간 반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는 완충 되지 않은 경우(즉,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도 배터리 충전 완료 상태로 표시하고, 완충 될 때까지 충전을 지속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충전 완료 상태를 미리 표시함에 따라서, 사용자가 체감하는 배터리의 충전 속도는 최대한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완충 되었다는 표시에 따라 어댑터를 분리하더라도 충전 용량의 차이는 설정된 조건(대략 1%)에 불가하다는 점에서, 배터리 사용시간의 감소는 크지 않다. 따라서, 사용시간이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배터리 충전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기초하여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충전 모드일 때,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ully chrged bit)는 0 값을 가지며, 충전 용량은 99% 미만, 충전 전류는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초과이다. 이에 따라,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하고,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을 수행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그대로 전달한다.
제2 충전 모드일 때, 즉, 배터리의 충전에 의하여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99% 이상이 되고,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이하가 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백그라운드 충전 모드(제2 충전 모드)로 판단하고, 백그라운드 충전 모드임을 플래그로 설정한다. 백그라운드 충전 플래그가 설정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계속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하고,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중단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즉, 충전 완료 상태임을 알리도록 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1)을 더한 값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값은 100% - 제2 충전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필요한 충전 용량이다.
제3 충전 모드일 때, 즉, 배터리의 충전에 의하여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100% 이상이 되고,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율의 1/20배 이하가 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배터리가 완충된 것으로 판단하고, 더 이상 충전이 진행되지 않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중단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다만, 제2 충전 모드시에 이미 발광이 중단된 상태인바, 발광의 중단이 지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Fully chrged bit)는 1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어댑터가 분리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댑터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바, 제1 충전 모드, 제2 충전 모드 및 제3 충전 모드인 모든 경우, 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충전중임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그대로 전달한다. 다만, 제2 충전 모드인 경우에는,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터리의 충전용량에 기설정된 값을 더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어댑터가 분리되었다가 재연결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충전 모드 상태에서 어댑터가 분리되어 재연결되면, 배터리의 충전 용량은 99% 미만인바,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하고,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을 수행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그대로 전달한다.
제2 충전 모드 상태에서 어댑터가 분리되어 재연결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즉, 충전 용량이 96% 이상)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지 않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충전을 수행하지 않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1)을 더한 값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고,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충전 모드 상태에서 어댑터가 분리되어 재연결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예를 들어, 충전 용량이 97% 이상)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지 않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충전을 수행하지 않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 값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 하면,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고,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배터리가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된 경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충전 모드 상태에서 배터리가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어 재장착되면, 배터리의 충전 용량은 99% 미만인바,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하고,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을 수행하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용량을 그대로 전달한다.
제2 충전 모드 상태에서 배터리가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어 재장착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고,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6의 어댑터가 분리되었다가 재연결된 경우와 다른데, 그 이유는 배터리가 분리되어 재장착되는 경우, 동일한 배터리가 연결되었는지 다른 배터리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즉, 배터리에는 완충을 알리는 플래그 정보만이 기록되는바, 제2 충전 모드 상태에서 배터리가 분리되면, 배터리는 완충되지 않음을 알리는 플래그 값만을 가질 것인바, 제1 충전 모드와 동일하게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제3 충전 모드 상태에서 배터리가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어 재장착되면, 전원 제어부(2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예를 들어, 충전 용량이 97% 이상)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지 않도록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충전을 수행하지 않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250)는 운영체제에 현재의 배터리의 충전 용량 값 그대로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전원 제어부(250)는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충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이 표시되도록 발광부를 제어하고, 충전이 수행되도록 전원 충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어댑터가 분리되어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전원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충전 모드인 경우, 운영체제에 배터리의 충전 용량에 기설정된 값을 더하여 전달하는바, 어댑터가 분리되어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운영체제에 전달되는 값이 배터리의 충전 용량 값 그대로가 되도록 초기화 동작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충전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충전 시간이 20분 정도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1030).
판단 결과,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S1030-N), 제1 충전 모드로서, 배터리를 충전하고(S1010), 배터리가 충전 중임을 표시한다(S1020).
반면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S1030-Y), 감지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1050).
판단 결과,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S1050-N), 제2 충전 모드로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배터리가 충전완료되었음을 표시한다(S1040).
반면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S1050-Y),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하고,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한다(S1060).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제어 방법은 사용시간이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배터리 충전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과 같은 충전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전자 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충전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200: 전원부
210: 입력부 220: 전원 충전부
230: 전지부 240: 출력부
250: 전원 제어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부;
    외부 어댑터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으면, 상기 입력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 완료된 것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어댑터와의 연결이 차단되었다가 재차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만 만족된 이후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었다고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상기 전원 충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3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9% 이상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100%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20배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에 발광을 하여 충전 중임을 알리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 경우에도 발광부가 발광하지 않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로 표시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하거나, 상기 어댑터의 분리로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까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면, 배터리가 완충된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 또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어댑터와의 연결이 차단되었다가 재차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배터리가 상기 전자 장치에서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3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만이 만족된 이후에 배터리가 분리되었다가 재장착되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3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99% 이상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5/20배 이하인 경우이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100%이고, 상기 충전 전류가 초기 충전 전류의 1/20배 이하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발광하여 표시하는 발광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로 표시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제1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기설정된 제2 조건이 만족하거나, 상기 어댑터의 분리로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까지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설정된 값을 더한 값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제어 방법.
  20.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1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기설정된 제2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30043700A 2013-04-19 2013-04-19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40125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00A KR20140125636A (ko) 2013-04-19 2013-04-19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EP14153289.5A EP2793348A1 (en) 2013-04-19 2014-01-30 A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US14/176,295 US20140312829A1 (en) 2013-04-19 2014-02-10 Electronic apparatus, a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410056807.7A CN104113099A (zh) 2013-04-19 2014-02-19 电子装置和控制充电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700A KR20140125636A (ko) 2013-04-19 2013-04-19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636A true KR20140125636A (ko) 2014-10-29

Family

ID=5002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700A KR20140125636A (ko) 2013-04-19 2013-04-19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312829A1 (ko)
EP (1) EP2793348A1 (ko)
KR (1) KR20140125636A (ko)
CN (1) CN1041130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8624B2 (en) 2017-10-31 2022-07-05 Samsung Sdi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 amount of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973A (en) * 2014-04-07 2015-10-14 Intelligent Energy Ltd Power supply apparatus
KR102335910B1 (ko) * 2015-03-01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291213B (zh) * 2017-07-28 2020-06-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模式选择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291736A1 (en) * 2019-11-14 2022-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nction activations via display device depress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4138B2 (en) * 2003-10-24 2006-01-10 International Components Corporation Housing for cigarette lighter adapter or accessory adapter plug
US8487752B2 (en) * 2011-03-23 2013-07-16 Chrysler Group Llc External status indicator for an electric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8624B2 (en) 2017-10-31 2022-07-05 Samsung Sdi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 amount of battery, and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12829A1 (en) 2014-10-23
EP2793348A1 (en) 2014-10-22
CN104113099A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069B1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그것에서 사용되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전력을 복원하기 위한 방법
EP340330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e
US9285851B2 (en) Optimizing battery use for known future load
KR102216484B1 (ko)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8198856B2 (en) Electronic apparatus, charging method therefor, and battery
AU2016200510B2 (en) Monitoring a battery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629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KR102645676B1 (ko) 배터리의 충전 사이클 또는 방전 사이클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6002784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
KR102544462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충전구간을 제어하는 방법
KR20180074971A (ko) 시간 기반 적응적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1539932A (zh) 智慧型基於情境的電池充電
KR20140125636A (ko)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80103575A (ko) 배터리 누설 상태에 기반한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27828A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방법
EP2711803A2 (en) Host apparatus and method of charging user terminal apparatus
KR20170041448A (ko) 전자 장치, 충전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30049704A1 (en)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method
JPWO2012157567A1 (ja) 携帯端末装置、充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99741A (ko)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JPWO2017022169A1 (ja) バッテリ制御装置、電子機器、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制御方法
CN103840525A (zh) 移动存储电源
KR101957245B1 (ko) 전자 장치 및 구동 제어 방법
JP6670753B2 (ja) 電源装置
US20130221904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sub terminal connected to mai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