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570B1 -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570B1
KR102335570B1 KR1020210135539A KR20210135539A KR102335570B1 KR 102335570 B1 KR102335570 B1 KR 102335570B1 KR 1020210135539 A KR1020210135539 A KR 1020210135539A KR 20210135539 A KR20210135539 A KR 20210135539A KR 102335570 B1 KR102335570 B1 KR 102335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oil
pellet
weight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노
Priority to KR102021013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조 잔디 충진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난분해성 구성의 함량을 낮춰,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 원인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종래 인조 잔디 충진재와 비교하여, 충격 흡수율, 탄성 및 강도를 동등 또는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Artificial turf filler that minimizes the occurrence of fine plastic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난분해성 성분의 함량을 낮춰,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조 잔디용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잔디밭에서 운동하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나 천연 잔디는 유지비와 사용비가 많이 들고, 살충제와 비료 등의 문제로 인해 매우 국한적이기 때문에 최근 들어 인공 잔디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인조 잔디는 생체공학 원리를 채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탄성이나, 움직임이 천연잔디와 아주 유사하다. 또 환경, 날씨, 지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혹한이나 고온, 고산지대 등 극단적인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점이 장점이다.
인조 잔디는 1960년대 미국의 군사시설에서 처음 만들어 졌으나, 후에 도시 청소년들을 위한 용도로 바뀌게 되었다. 인공 잔디는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 관리가 편하다는 장점 덕에 빠른 속도로 천연 잔디를 대체하게 되었다.
인공 잔디는 축구 경기장, 야구 경기장, 풋볼 경기장 등 운동장에서 쓰이고 있다. 테니스, 축구, 골프 같은 스포츠의 산업화와 상업화에 따라 인조 잔디 경기장 제조업 역시 전도가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인조 잔디 제조업은 매년 20 내지 25%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인조 잔디는 경기장뿐만 아니라 공원이나 각종 휴게 시설에도 쓰이고 있다.
인조 잔디는 천연 잔디와 유사한 충격 흡수, 회전 저항등의 안전성과 공(Ball)과의 일정한 경기 상호 특성 등을 구현하기 위해 인조 잔디 파일사 사이에 규사 및 합성 고무 충진재를 일정량 충진시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조 잔디 충진재는 스틸렌계 고무(SEBS, SBS 또는 혼합물)에 가소제(석유계 오일)를 혼합한 혼합물에 비중조절용 탄산칼슘, 기타 보조제(안료, 이형제, UV 차단제 등)를 소량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식의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외 PVB, EPDM, 우레탄 등을 이용한 제품이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제조되는 인조 잔디 충진재는 무기물을 제외한 난분해성 유기물이 비발포 기준으로 최소 40% 이상을 유지하여야 적정 탄성과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난분해성 유기물이 포함된 충진재는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천연 소재(왕겨, 나무, 흙 등)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 및 PLA를 이용한 생분해 제품이 개발되었다.
다만, 상기 천연 소재 제품 및 생분해 제품은 친환경적인 측면이 있으나 인조 잔디 충진재의 필수 요소인 탄성(충격흡수성) 및 강도(마모성)에 있어 부족한 면이 있어 스틸렌계 인조 잔디 충진재에 비해 시장에서 보편화되지 못했다.
특히, 높은 가격과 뒤떨어지는 성능으로 인해 운동시설(축구장, 야구장 등)에서는 거의 채택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인조 잔디 충진재로의 성능은 동일하면서도 미세플라스틱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KR 10-1352409 B1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 잔디 충진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난분해성 구성의 함량을 낮춰,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 원인을 낮출 수 있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인조 잔디 충진재와 비교하여, 충격 흡수율과, 탄성 및 강도를 동등하거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열에 의한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율이 50% 이상인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는 스틸렌계 고무, 석유계 오일,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제1 펠렛과; PVB(Polyvinyl butyral)나, PVA(Polyvinyl acetate) 중 어느 1개의 화합물 또는 2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펠렛을 혼합 후 용융 압출 성형하여 인조 잔디 충진재로 제조되며, 상기 인조 잔디 충진재는 충격 흡수율이 50% 이상이다.
상기 제1 펠렛은 석유계 오일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천연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오일은 피마자유이다.
상기 제2 펠렛은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펠렛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탄산칼슘, 전분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인조 잔디 충진재는 난분해성 구성을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펠렛은 성능 및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해 안료, UV 차단제, 활제, 이형재 및 경도 조절용 수지 중 어느 1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의 제조 방법은 1) 스틸렌계 고무, 석유계 오일, 및 탄산칼슘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공하여 제1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2) PVB(Polyvinyl butyral)나, PVA(Polyvinyl acetate) 중 어느 1개의 화합물 또는 2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펠렛 및 제2 펠렛을 혼합하여 충진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충진재 조성물을 용융 압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펠렛은 석유계 오일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천연 오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충진재를 구성하는 성분 중 난분해성 구성의 함량을 낮춰,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 원인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종래 인조 잔디 충진재와 비교하여, 충격 흡수율과, 탄성 및 강도를 동등하거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열에 의한 뭉침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조 잔디는 천연 잔디에 비해 초기 시공비가 많이 들지만 유지 관리의 편의성과, 운동하기에 적합하도록 표면이 고른 점 때문에 선호도가 높고, 근래에는 돔 구장, 빌딩, 학교, 놀이터 등에 널리 시공하고 있다.
일반적인 인조 잔디는 레미콘이나 잡석 다짐 등의 지반 상부에 인조 잔디들을 깐 후, 규사를 상기 인조 잔디들 사이 사이에 부어 인조 잔디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규사 상부에 고무칩 충진재를 깔아 인조 잔디들이 충진재에 묻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충진재로 사용되는 고무칩은 태양광 등에 의해 표면이 부식되어 분말이 비산하면서 주위로 날리고, 유아나 어린이들의 기관지로 흡입되어 건강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인 충진재 소재는 천연고무, SBR(Styrene Butadiene rubber), 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 수지 또는 혼합물로 구성되며, 사용 되는 환경 조건에 따라 표면 온도가 증대되고, 이로 인해 표면 부식이 발생하여 미세 플라스틱이 흩날리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는 스틸렌계 고무, 석유계 오일,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제1 펠렛과; PVB나 PVA 중 어느 1개의 화합물 또는 2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펠렛을 혼합 후 용융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 잔디 충진재는 충격 흡수율이 50% 이상이고 탄성 및 강도 또한 종래 고무칩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기존 인조 잔디 충진재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 뿐 아니라,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조 잔디 충진재는 미세 플라스틱 발생의 원인이 되는 난분해성 성분을 최소화하여,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인조 잔디 충진재는 상기 제1 펠렛 및 제2 펠렛을 혼합하고, 이를 용융 압출하여 인조 잔디 충진재로 제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펠렛은 스틸렌계 고무, 석유계 오일, 및 탄산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유계 오일은 파라핀 오일이며, 이는 가소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펠렛은 석유계 오일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천연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오일은 피마자유이다.
상기 천연 오일은 석유계 오일의 함량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 충진재의 제조 시 포함되는 석유계 오일의 함량 중 30%까지 대체하여 천연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석유계 오일은 가소제로서 종래 인조 잔디 충진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체 인조 잔디 충진재 중량에 대해 15 내지 23 중량%로 포함되고, 석유계 오일 또한 난분해성 성분으로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에 대한 원인 물질로 작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첨가 비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천연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 오일을 대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종래 인조 잔디 충진재의 제조 시 포함되는 석유계 오일의 함량과 비교하여 석유계 오일의 함량을 30%까지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이는 미세 플라스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PVB(Polyvinyl butyral), PVA(Polyvinyl acetate) 화합물은 PVC를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비닐 화합물로,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소재로 알려져 있으며, 물에 대해 일부 용해성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펠렛은 제1 펠렛의 스틸렌계 고무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포함되는 것이다.
스틸렌계 고무는 난분해성 성분으로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 원인이 되는 반면, 상기 제2 펠렛에 포함되는 PVB(Polyvinyl butyral), PVA(Polyvinyl acetate) 화합물은 물에 대해 용해성을 가지고 있어서 플라스틱에 비해 빠르게 분해될 수 있어서 난분해성 성분을 대체하는 친환경 소재로,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펠렛은 가소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소제는 수용성 알콜기의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여 석유 화학계 난분해성 가소제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 펠렛은 제1 펠렛의 스틸렌계 고무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인조 잔디 충진재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PVB와 PVA를 이용하여, 스틸렌계 고무의 함량을 낮추고 가소제도 쉽게 분해되는 수용성 오일을 사용하여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펠렛은 탄산칼슘과, 전분,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분은 인조 잔디 충진재의 경도와 탄성을 유지한다.
상기 제2 펠렛에 포함되는 가소제, PVA, PVB 및 전분은 제1 펠렛과 혼합에 의해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인조 잔디 충진재로 제조 후에도 탄성 및 강도를 스틸렌계 고무를 주된 성분으로 제조한 인조 잔디 충진재와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내어, 인조 잔디 충진재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인조 잔디 충진재는 난분해성 성분의 함량이 대폭 축소되어, 인조 잔디 충진재로 사용 시,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인조 잔디 충진재는 스틸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파라핀 오일 120 내지 150 중량부, 피마자유 50 내지 6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0 중량부, 및 첨가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 시 난분해성 성분의 함량을 낮춰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인조 잔디 충진재로의 충격 흡수성, 탄성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의 발생이 없는 인조 잔디 충진재의 개발이 최우선이라 할 것이나 현재의 KS규격이나 FIFA 규정에 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격흡수성이 50% 이상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기술로는 스틸렌계 고무를 사용하여야 가장 적은 난분해성 성분으로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이 되며 현재까지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인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을 아예 막을 수는 없으나 가격 경쟁력을 갖춘 신소재가 나오기 전까지는 미세플라스틱의 발생량을 최소화하는 차선책이라 할 수 있다.
제조예
인조 잔디 충진재의 제조
스틸렌계 고무, 파라핀 오일, 탄산칼슘, 피마자유 및 안료를 혼합하여 제1 펠렛을 제조하였다.
PVB, PVA, 에틸렌 글리콜 및 전분을 혼합하여 제2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제1 펠렛 및 제2 펠렛은 혼합하고, 용융 압출하여 인조 잔디 충진재로 제조하였다.
상기 인조 잔디 충진재에 대한 구성 성분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스틸렌계 고무 100 100 100 100 100
파라핀 오일 110 120 135 150 160
탄산칼슘 450 500 550 600 650
피마자유 45 50 55 60 65
PVB 35 40 45 50 55
PVA 5 10 15 20 25
에틸렌글리콜 1 5 7 10 15
전분 55 60 65 70 75
안료 10 10 10 10 10
(단위 중량부)실험예 1
난분해성 성분의 확인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4의 충진재에 대해 난분해성 성분, 생화학적 분해성분 및 무기물에 대한 함량을 하기와 같이 확인하였다.
항목 실시예 4 비교예
난분해성
성분
(%)
생화학적 분해성분(%) 무기물
(%)
난분해성
성분(%)
생화학적 분해성분(%) 무기물
(%)
스틸렌계 고무 10 - - 23 - -
파라핀오일 13.3 - - 19 - -
탄산칼슘 - - 57 - - 57
기타보조제(안료 등) - - 1 - - 1
피마자유 - 5.7 - - - -
PVB 3.7 0.9 - - - -
PVA - 1.2 - - - -
에칠렌글리콜 - 0.7 - - - -
전분 - 6.5 - - - -
소 계 27 15 58 42 - 58
합 계 100% 100%
상기 표 2에서 비교예의 난분해성 성분은 42%이지만, 본 발명은 27% 포함된 것으로, 비교예에 비해, 15% 감소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즉, 미세 플라스틱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 할 수 있는 분해가 거의 되지 않는 고무류는 비교예에서는 23%로 포함되나, 상대적으로 실시예의 비교예에 비해 40% 정도의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비교예는 사용 연한이 지나 교체되더라도 전혀 생분해 되지 않아 거의 전량이 미세 플라스틱 유발 물질로 존재하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제품의 경우는, 분해되지 않는 고무류가 적어 고무류를 제외한 다른 성분은 분해가 되어 미세플라스틱의 감소 효과가 80%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연간 6만톤 정도의 인조 잔디 충진재가 소비되고 있는데, 종래 기성 제품을 대체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을 사용할 경우, 4.8만톤 정도의 미세플라스틱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 연한 내(인조잔디의 사용연한 평균8년)에는 약 15% 정도를 차지하는 스틸렌계 고무 및 PVB로 인해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생화학적 분해에 다수의 시간이 소요되는 미세 플라스틱 유발 물질의 함량이 낮아 강이나 바다에 흘러 들어갈 경우에도, 물에 용해성이 좋은 PVA, 에틸렌글리콜 및 전분이 먼저 용해 및 생화학적으로 분해될 수 있다.
비교예는 기존 스틸렌계 고무를 이용한 인조 잔디 충진재 제품으로, 기존의 스틸렌계 고무 제품은 전체가 분해되지 않고는 그 원형을 유지할 수밖에 없어, 폐기 시, 분해에 의한 완전한 폐기는 사실상 불가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인조 잔디 충진재는 완전한 생화학적 분해가 되진 않으나, 종래 인조 잔디 충진재와 비교하여 분해되지 않는 고무의 사용량을 현저히 낮추고 고무에 비해 생분해가 월등히 빠른 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미세 플라스틱의 발생은 최소화하며, 인조 잔디 충진재로의 성능은 종래 제품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스틸렌계 고무, 석유계 오일,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제1 펠렛과;
    PVB(Polyvinyl butyral)나, PVA(Polyvinyl acetate) 중 어느 1개의 화합물 또는 2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펠렛을 혼합 후 용융 압출 성형한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이고,
    상기 제1 펠렛은 천연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오일은 피마자유이고,
    상기 제2 펠렛은 가소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펠렛은 탄산칼슘, 전분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조 잔디 충진재는 난분해성 구성을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제1 펠렛은 안료, UV 차단제, 활제, 이형재 및 경도 조절용 수지 중 어느 1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유계 오일은 파라핀 오일이며,
    상기 가소제는 수용성 알콜기의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고,
    상기 인조 잔디 충진재는 스틸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파라핀 오일 120 내지 150 중량부, 피마자유 50 내지 6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1) 스틸렌계 고무, 석유계 오일, 및 탄산칼슘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공하여 제1 펠렛으로 제조하는 단계;
    2) PVB(Polyvinyl butyral)나, PVA(Polyvinyl acetate) 중 어느 1개의 화합물 또는 2개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펠렛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제1 펠렛 및 제2 펠렛을 혼합하여 충진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충진재 조성물을 용융 압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펠렛은 석유계 오일의 함량을 낮추기 위해 천연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천연 오일은 피마자유이고,
    상기 제2 펠렛은 가소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펠렛은 안료, UV 차단제, 활제, 이형재 및 경도 조절용 수지 중 어느 1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펠렛은 탄산칼슘, 전분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석유계 오일은 파라핀 오일이며,
    상기 가소제는 수용성 알콜기의 에틸렌 글리콜을 사용하고,
    상기 파라핀 오일은 스틸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120 내지 150 중량부,
    상기 피마자유는 스틸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60 중량부,
    상기 에틸렌글리콜은 스틸렌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5539A 2021-10-13 2021-10-13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39A KR102335570B1 (ko) 2021-10-13 2021-10-13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539A KR102335570B1 (ko) 2021-10-13 2021-10-13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570B1 true KR102335570B1 (ko) 2021-12-07

Family

ID=7886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539A KR102335570B1 (ko) 2021-10-13 2021-10-13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43B1 (ko) 2022-03-29 2023-04-06 주식회사 스포테크 생분해성 인조잔디 충진재
KR102652203B1 (ko) * 2023-12-13 2024-04-01 주식회사 씨앤티 탄소 중립의 실현을 위하여 순수 폐자재만을 활용한 인조잔디 충전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인조잔디 충전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488A (ko) * 2010-12-20 2014-01-09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탄성중합체 조성물용 신전유로서의 식물유 유도체
KR101352409B1 (ko) 2013-02-07 2014-01-17 주식회사 정영씨엠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748716B1 (ko) * 2016-06-20 2017-06-19 이종호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용 칩의 조성물
KR101875399B1 (ko) * 2017-07-06 2018-08-02 최진희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무독성 인조잔디 충진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488A (ko) * 2010-12-20 2014-01-09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탄성중합체 조성물용 신전유로서의 식물유 유도체
KR101352409B1 (ko) 2013-02-07 2014-01-17 주식회사 정영씨엠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748716B1 (ko) * 2016-06-20 2017-06-19 이종호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용 칩의 조성물
KR101875399B1 (ko) * 2017-07-06 2018-08-02 최진희 프로세스 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무독성 인조잔디 충진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43B1 (ko) 2022-03-29 2023-04-06 주식회사 스포테크 생분해성 인조잔디 충진재
KR102652203B1 (ko) * 2023-12-13 2024-04-01 주식회사 씨앤티 탄소 중립의 실현을 위하여 순수 폐자재만을 활용한 인조잔디 충전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 그리고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인조잔디 충전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570B1 (ko) 미세 플라스틱 발생을 최소화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및 그 제조 방법
US10822752B2 (en) Thermoplastic cellulosic fiber granules useful as infill materials for artificial turf
KR101965206B1 (ko) 초미세 발포 및 형상유지기술을 이용하여 고충격 흡수성과 수분을 유지하는 인조잔디 충전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전재
KR100780229B1 (ko)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칩과 그 제조방법
CN107286629B (zh) 一种环保型人造草坪填充用热塑性弹性体颗粒及其制备方法
KR101965815B1 (ko) 맥반석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제조방법
KR101037137B1 (ko)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EP2119829B1 (en) Artificial grass granulated infill and artificial grass structure using the same
EP3601658B1 (en) Infill for artificial turf system and manufacturing process
CN102898770B (zh) 人造草坪填充用空心热塑性橡胶填充颗粒及其制备方法
CN106700380A (zh) 一种弹性粒子、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102036890B1 (ko) 인조잔디용 기능성 탄성체 칩 및 그 제조방법
CN104830032A (zh) 一种沥青温度性能增强剂、生产方法及其应用
KR102011437B1 (ko) 활성탄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919B1 (ko) 탄성회복력과 내구성이 우수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70822A (zh) 耐高温、抗车辙沥青路面改性材料及制备方法和沥青产品
KR101847592B1 (ko) Pvb 수지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충진재 제조 방법
CN101611082A (zh) 金属填充的聚氨酯组合物以及由其制造的模具
US20080051502A1 (en) Soil amendment composition for athletic fiel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347646B1 (ko) 인조잔디 충진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시공구조
KR101684179B1 (ko) 인조잔디용 친환경 탄성체 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302105B2 (ja) 人工芝生
US20130243976A1 (en)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KR102152938B1 (ko) 규조토가 함유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2371B1 (ko) 숯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