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256B1 -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256B1
KR102335256B1 KR1020190145707A KR20190145707A KR102335256B1 KR 102335256 B1 KR102335256 B1 KR 102335256B1 KR 1020190145707 A KR1020190145707 A KR 1020190145707A KR 20190145707 A KR20190145707 A KR 20190145707A KR 102335256 B1 KR102335256 B1 KR 102335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information
power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365A (ko
Inventor
최용길
Original Assignee
(주)멥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멥카 filed Critical (주)멥카
Priority to KR102019014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2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의 충전 상황을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충전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전력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충전기 운영자가 별도의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기 운영자가 원격에서 충전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중계장치를 통해 충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및/또는 충전기에 충전기 원격 제어 명령을 전달하여,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Electric vehicle charger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의 충전 상황을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충전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전력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충전기 운영자가 별도의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기 운영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배출 규제 정책에 따라 자동차 업계에 석유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는 연료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 감소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전기에 의해 자동차를 거동시키고, 배기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전기 자동차(이하, "전기차"라 약칭함)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차의 운행을 위한 전기 모터는 주행 중 전기 에너지를 과도하게 소모하므로, 배터리 충전 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는 일반 자동차에 비해 짧게 되어,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자주 해야 한다.
또한, 전기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일반 자동차에 연료를 급유하는 시간에 비해 상당히 오래 소요되므로, 전기차의 충전은 주행하지 않는 주차된 시간에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래에는 건물이나 공공 시설물에 전기차 충전 설비(EVSE; Electi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가 설치되어, 상용 전원이나 그리드 전원으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대하여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전력계통에서 교류(AC)전력을 공급받아 직류(DC)전력으로 변환하여 전기차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차 급속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급속충전기의 기능, 사양, 디자인, 기구 개발, H/W 및 S/W 개발, 결제시스템 개발, RFID 시험 및 최적화, 작동순서, 시험절차 및 장비, 제작 시험 단계별 개선사항, 시험 및 평가, 주요 모듈설명을 구체화하여, 충전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설비의 중복투자를 배제하고, 활용도를 높이고, 버스나 트럭용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경제성이 탁월한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컨버터가 PFC 기능을 수행하게 하며, 충전시 전력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PFC 컨버터의 파워 용량을 감소시켜 설계 가능하며, 전력 변환 효율이 높고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또는 전기 자전거용 배터리의 충전에도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급속 충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4> 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전력량을 산출하는 계량기를 임의로 조작하여 충전 요금을 부당하게 낮추는 행위를 감시하고, 계량기 조작에 대해 경고 메시지 송출 또는 충전 차단 등과 같은 적절한 대응을 수행한다.
또한, <특허문헌 5> 는 기존 LPR 장치에 전기 자동차 충전 기능을 접목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충전설비 확충, 이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 보급 확대 및 주차 시설의 스마트화로 유휴지의 주차 시설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비한 LPR 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과 그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전기차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는 있으나, 충전소에서 설치된 충전기의 현황을 감시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운영 시스템 및 운영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충전기 운영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종래기술은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을 받기 위한 전력 통계도 불가능하여, 충전기 운영자가 대행사에 별도로 의뢰하거나 한전의 전력계에 의존하여 전력 통계를 처리하기 때문에 실시간 정확한 전력 통계 관리가 어려운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12738(2011.10.13. 공개)(전기 자동차 급속충전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37675(2011.12.23. 공개)(전기구동 차량의 급속충전 및 충전용량 조절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02814(2012.11.13. 등록)(전기 자동차용 급속 충전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6483(2016.04.29. 공개)(전기 자동차의 충전 감시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9450(2017.04.24. 공고)(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 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의 충전 상황을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충전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전력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충전기 운영자가 별도의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기 운영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은, 충전 차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정보로 출력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상기 충전부에서 출력되는 충전 정보를 원격의 충전 운영 서버로 인터페이스하는 중계장치;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된 충전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한 충전 정보를 기초로 전력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 운영 서버; 상기 충전 운영 서버와 접속하여 전력 통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운영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공급장치에 전송하여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력 통계 정보는 충전기별 전력 통계 정보, 차량별 전력 통계 정보, 노선별 전력 통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충전부는 충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기 중 각각의 충전기는 충전 차량과 통신을 통해 충전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충전량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충전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를 충전 정보로 생성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관리자 단말은 모바일기기 또는 퍼스널컴퓨터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 운영 서버와 접속하여 관리자를 등록, 수정 및 변경하며, 상기 충전 운영 서버와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상태 확인 및 관리할 충전기를 선택하고, 충전기의 상태 설정을 통해 원격에서 충전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충전 운영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이 접속되면, 관리자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관리자에 대해서만 충전기 신규 등록, 수정 및 변경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충전 운영 서버는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충전 정보를 획득하는 충전 정보 획득부; 상기 충전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충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충전 정보 분류부; 상기 충전 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항목을 기초로 전력 통계를 처리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통계부; 상기 충전 정보 분류부에서 분류한 충전기별로 충전 상황 정보를 분석하는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 상기 전력 통계부에서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를 변조 불가능한 전력 파일로 생성하는 전력 파일 생성부; 상기 전력 통계부 또는 전력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 또는 전력 파일을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전력정보로 저장하는 전력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력 통계 정보 요청시 상기 전력 파일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 파일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력정보 전송부;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접속시 관리자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전력 통계 정보 요청시 전력 파일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설정되는 충전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충전기의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장치를 통해 충전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전력공급장치로 전송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방법"은,
(a) 충전 운영 서버에서 각각의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충전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운영 서버에서 충전기별 충전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충전 운영 서버에서 관리자 단말이 접속되는지를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이 접속되면 관리자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충전 운영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전력통계 요청인지를 확인하여 전력 통계 요청이면 분류 항목별로 전력 통계를 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한 후 전력 통계 파일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를 편집 불가능한 파일로 변환하여 전력 통계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방법"은,
(e)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충전기 제어 정보이면, 중계장치로 충전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중계해주는 단계; (f)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충전기 정보 또는 관리자 정보 변경요청이면, 요청되는 정보에 대응하게 충전기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관리자의 정보를 변경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의 충전 상황을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충전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전력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충전기 운영자가 별도의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기 운영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충전 운영 서버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충전부(100), 중계장치(200), 전력공급장치(300), 충전운영서버(400) 및 관리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충전부(100)는 충전 차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정보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충전부(100)는 실제 현장인 충전소에 설치된 충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전기는 충전소에 구비되어 충전 차량(1)을 충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충전 차량(1)과 통신을 통해 충전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고, 아울러 충전 차량 충전시 실시간으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며, 아울러 획득한 충전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 및 충전기 정보를 포함하여 충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충전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차량과 통신을 통해 충전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충전 정보 생성 및 전송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충전 정보의 전송 등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충전 차량을 충전하거나 충전을 중지하는 충전 전압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는 하나의 충전소에 한대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소는 단일 또는 여러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부는 여러 장소의 충전소에 구비된 모든 충전기를 통합적으로 부르는 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는 차량번호와 노선정보 및 버스회사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차량 정보, 충전 금액 정보와 충전요구 전력량 정보와 충전 예상 시간 정보 및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정보, 충전기의 설치 위치 정보와 충전기 고유정보(ID)를 포함하는 충전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공급장치(300)는 상기 충전부(10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력공급장치(300)는 내부에 입력 교류 전원을 소정의 교류 전원으로 인버팅하여 완속 충전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AC-AC 인버터, 입력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인버팅하여 급속 충전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AC-DC 인버터, 상기 AC-DC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 전원으로 공급해주는 DC-DC 컨버터, 상기 AC-AC 인버터나 AC-DC 인버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모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장치(200)는 상기 충전부(100)에서 출력되는 충전 정보를 원격의 충전 운영 서버(400)로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중계장치(200)는 원격에서 관리자가 충전기 제어명령을 발생하면 이를 수신하여 전력공급장치(300) 및/또는 충전부(100)에 전송하는 역할도 한다.
충전 운영 서버(400)는 상기 중계장치(200)로부터 인터페이스된 충전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한 충전 정보를 기초로 전력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5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력 통계 정보는 충전기별 전력 통계 정보, 차량별 전력 통계 정보, 노선별 전력 통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운영 서버(400)는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장치(200)를 통해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공급장치(300) 및/또는 충전부(100)에 전송하여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는 상기 관리자 단말(500)이 접속되면, 관리자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관리자에 대해서만 충전기 신규 등록, 수정 및 변경을 처리한다.
이러한 충전 운영 서버(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장치(200)를 통해 충전 정보를 획득하는 충전 정보 획득부(401), 상기 충전 정보 획득부(401)에서 획득한 충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충전 정보 분류부(402), 상기 충전 정보 분류부(402)에서 분류된 항목을 기초로 전력 통계를 처리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통계부(403), 상기 충전 정보 분류부(402)에서 분류한 충전기별로 충전 상황 정보를 분석하는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404), 상기 전력 통계부(403)에서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를 위변조 불가능한 전력 파일로 생성하는 전력 파일 생성부(406), 상기 전력 통계부(403) 또는 전력 파일 생성부(406)에서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 또는 전력 파일을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409)에 전력정보로 저장하는 전력정보 저장부(408),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전력 통계 정보 요청시 상기 전력 파일 생성부(406)에서 생성된 전력 파일을 관리자 단말(500)로 전송하는 전력정보 전송부(407), 상기 관리자 단말(500)의 접속시 관리자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전력 통계 정보 요청시 전력 파일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설정되는 충전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충전기의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500)로부터 전송된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장치(200)를 통해 충전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전력공급장치(300)로 전송하는 충전 제어부(405)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500)은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와 접속하여 전력 통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충전부(100)의 충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500)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또는 퍼스널컴퓨터(PC)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와 접속하여 관리자를 등록, 수정 및 변경하며,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와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상태 확인 및 관리할 충전기를 선택하고, 충전기의 상태 설정을 통해 원격에서 충전기의 상태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LTE/CDMA), 근거리 무선 통신망, 데이터망을 총 망라한 것으로서, 상기 언급한 망 중 어느 하나의 망만을 이용하거나 다수의 망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전부(100)를 이루는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소에 충전 차량(1)(전기차로서, 전기 버스나 전기 승용차 등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 버스를 실시 예로 설명함)이 정해진 충전 위치에 진입하고, 충전기에 설치된 충전 건을 충전 차량(1)의 충전 커넥터에 연결하면, 충전 차량(1)의 통신 모듈과 충전기의 통신부가 통신을 하여, 충전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고, 아울러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의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충전기는 획득한 충전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 및 충전기의 정보를 포함하여, 충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와 중계장치(200) 간에는 사전에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현재 위치의 충전소를 이루는 다른 충전기에 충전 차량이 접속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 정보가 중계장치(200)에 전송되며, 마찬가지로 다른 충전소의 충전기도 동일하게 충전 차량이 접속되면 충전 정보를 생성하여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중계장치(200)는 전국의 모든 충전소를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실제 시스템 구현시 중계장치도 영역별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장치(200)는 복수의 충전소의 개별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충전 정보를 취합하여, 일정 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원격에 위치한 충전 운영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운영 서버(400)는 특정 충전소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모든 충전소의 충전기를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충전소와 무관하게 별도로 마련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운영 서버(400)의 충전 정보 획득부(401)는 상기 중계장치(200)를 통해 임의 충전기의 충전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정보 분류부(402)에 전달한다.
충전 정보 분류부(402)는 획득한 충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409)에 저장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은 충전기별, 차량별, 노선별을 의미한다. 충전 정보에는 충전기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충전기별로 정보를 분류할 수 있고, 충전 차량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차량별과 노선별로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차량에 따른 노선 정보는 사전에 전기차 운영을 요청하는 버스회사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404)는 상기 충전 정보 분류부(402)에서 분류한 충전기별로 충전 상황 정보를 분석한다. 예컨대, 충전기 고유정보를 기초로 충전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충전기의 상태 정보 즉, 전체 충전시간, 월간 충전 시간, 주간 충전 시간, 1일 충전 시간 등의 상황 정보를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충전기별 상황 분석 정보는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409)에 누적 저장된다. 누적된 충전기별 상황 분석 정보는 추후 충전기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충전기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의 운영 시간이 과도해지면 충전기를 추가 설치하는 운용 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충전기의 월간 또는 연간 운영 시간이 짧으면 설치한 충전기를 폐쇄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운용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기의 정보를 관리하는 도중에,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접속을 하면, 충전 제어부(405)에서 관리자의 검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하게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만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충전 운영 서버(400)에 접속한다.
충전 제어부(405)는 ID와 PW가 입력되면 이를 통해 등록된 관리자 리스트를 검색하여 등록된 관리자가 맞는지를 검증한다. 도 4a는 관리자 정보관리를 위한 화면 예시로서, 관리자의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여기서 관리자는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등급은 1, 2, 3등급과 같은 형태로 부여될 수 있으며, 최상위 단계인 1등급은 관리자 수정/등록도 가능하다. 등급 부여는 미리 관리자 등록시 등록 요청을 하는 것으로서, 등급 부여가 가능하다.
이어 검증 결과 관리자가 맞으면 입력을 대기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정상적인 관리자 인증 후, 관리자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관리자를 변경하는 등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충전기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하거나, 차량 번호나 노선번호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자의 변경이 요청되면 충전 제어부(405)는 정상적으로 인증된 관리자이므로, 관리자의 정보 변경을 한다. 관리자의 변경 요청은 관리자 등급이 1등급일 경우에 가능하다. 도 4b는 관리자 정보 변경(수정/등록)을 위한 화면 예시이다.
충전기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가 요청되면, 전력 통계부(403)에서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409)를 검색하여 해당 충전기의 충전 전력 정보를 통계처리 한다. 여기서 충전 전력정보 통계 처리는 연간, 월간, 주간, 1일 단위로 해당 충전기의 충전 시간 정보를 통계처리 한다. 도 4d는 충전기의 충전 현황 관리를 위한 화면 예시도로서, 충전기 검색 창에 충전기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충전 제어부(405)의 제어에 따라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404)에서 해당 충전기의 현재 충전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단말(5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원격에서 관리자 단말(500)만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원하는 충전기의 충전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도 4d와 같이 충전기 검색 화면에서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화면이동 등을 수행하고,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나 터치 등의 방법으로 화면에 보이는 충전기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해당 충전기의 충전 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차량 번호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하면, 전력 통계부(403)에서 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409)를 검색하여, 해당 차량번호의 충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계 처리한다. 도 4c는 차량 번호를 통해 전력 통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이다. 관리자가 검색 창에 원하는 차량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해당 차량 번호에 대한 충전정보가 전력 통계 정보로 화면에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전력 통계 정보는 연간/월간/주간/일간 충전에 사용한 전력량, 충전 횟수, 충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러한 전력 통계 정보를 보고 원격에서 해당 차량의 충전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선 번호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하면, 전력 통계부(403)에서 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409)를 검색하여, 해당 노선의 충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계 처리한다. 즉, 관리자가 검색 창에 원하는 노선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해당 노선 번호에 대한 충전정보가 전력 통계 정보로 화면에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전력 통계 정보는 연간/월간/주간/일간 해당 노선의 충전 차량(전기 버스)이 충전에 사용한 전력량, 충전 횟수, 충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러한 전력 통계 정보를 보고 원격에서 해당 노선의 전기 버스들이 사용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관리자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항목별로 요청한 전력 통계 정보를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즉, 관리자가 특정 전력 통계 정보의 전력 정보를 요청하면, 전력 파일 생성부(406)는 상기 전력 통계부(403)와 연동하여 해당 전력 정보를 위변조 불가능한 파일로 변환하여 전력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위변조 불가능한 파일은 관리자가 다운로드 받은 후 편집이 불가능한 파일로서, 다양한 형식의 파일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실시 예로 설명한다.
이렇게 생성된 PDF 파일 형태의 전력 파일은 전력정보 전송부(407)를 통해 관리자 단말(500)로 다운로드 된다. 관리자는 이렇게 다운로드 되는 충전기 전력 현황이나 노선버스 전력 통계 정보, 특정 차량의 전력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전력 활용의 효율을 높이거나 전기 차량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PDF 파일 형태의 전력 파일은 위변조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이를 지자체의 지원금 신청에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지자체의 지원금 신청을 위해서는 한전에서 제공하는 전력량계에만 의존하므로 버스 회사 등에서는 실시간으로 충전 현황 관리 등이 어려웠으나, 상기와 같은 전력 파일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충전 현황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지원금 신청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버스 회사 등에서는 별도의 운영 프로그램이나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전기 차량(특히, 전기 버스)의 충전 현황이나 전력 통계 등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지자체에서 전기 차량 운영에 따른 지원금을 신청할 경우, 버스 회사에서는 충전 현황 관리가 어려워 대행사(대행업체)를 이용하여 지원금을 신청하였는데, 이 경우 대행비 지급으로 별도의 추가 부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버스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전력 통계나 충전 현황 등의 관리가 가능하여, 이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지자체에 지원금을 신청하면 되므로, 대행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4f는 충전 전력 요금 및 이력 정보의 예시 화면으로서, 전체 충전기를 선택한 경우, 각각의 충전기의 사용전력 정보를 표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관리자는 원격에서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충전 운영 서버(400)의 사이트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도 4e와 같은 충전기 검색 화면을 통해 충전기를 검색한다. 충전기 검색 화면에서 특정 충전기를 선택하면 해당 충전기의 실시간 운영 상황이 표시되며, 이러한 충전기 운영 상황에서 특정 충전기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태 설정 화면을 통해 해당 충전기의 운영 상태를 설정한다. 여기서 운영 상태 설정은 운영, 운영중지, 충전 대기, 충전 중, 점검 중, 테스트 중, 파워 오프, 운영 시간 설정, 충전기 리셋, M2M 단말기 리셋, RF카드 단말기 리셋 등 다양하다.
관리자가 특정 운영 상태를 선택하면, 충전 제어부(405)에 의해 해당 충전기의 운영 상태 설정 명령은 충전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충전정보 획득부(401)는 중계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 모듈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관리자의 원격 제어명령을 중계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중계장치(200)는 원격 제어명령을 전력공급장치(300) 또는 해당 충전기에 전달한다. 전력공급장치(300)는 수신한 원격 제어 명령이 파워 오프이면 충전기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충전기를 오프 상태로 만든다. 아울러 충전기는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그에 알맞게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충전 운영 서버(400)에서 각각의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충전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S101 - S102), (b)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에서 충전기별 충전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는 단계(S103 - S104), (c)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에서 관리자 단말(500)이 접속되는지를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500)이 접속되면 관리자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S105 - S106), (d) 상기 충전 운영 서버(400)에서 상기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전력통계 요청인지를 확인하여 전력 통계 요청이면 분류 항목별로 전력 통계를 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한 후 전력 통계 파일을 관리자 단말(500)로 전송하는 단계(S107 - S110), (e) 상기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충전기 제어 정보이면, 중계장치(200)로 충전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중계해주는 단계(S111 - S112), (f) 상기 관리자 단말(500)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충전기 정보 또는 관리자 정보 변경요청이면, 요청되는 정보에 대응하게 충전기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관리자의 정보를 변경해주는 단계(S111 - S1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운영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1에서 충전부(100)를 이루는 충전기가 설치된 충전소에 충전 차량(1)(전기차로서, 전기 버스나 전기 승용차 등을 의미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기 버스를 실시 예로 설명함)이 정해진 충전 위치에 진입하고, 충전기에 설치된 충전 건을 충전 차량(1)의 충전 커넥터에 연결하면, 충전 차량(1)의 통신 모듈과 충전기의 통신부가 통신을 하여, 충전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고, 아울러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의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충전기는 획득한 충전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 및 충전기의 정보를 포함하여 충전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신부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와 중계장치(200) 간에는 사전에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현재 위치의 충전소를 이루는 다른 충전기에 충전 차량이 접속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 정보가 중계장치(200)에 전송되며, 마찬가지로 다른 충전소의 충전기도 동일하게 충전 차량이 접속되면 충전 정보를 생성하여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중계장치(200)는 전국의 모든 충전소를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실제 시스템 구현시 중계장치도 영역별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장치(200)는 복수의 충전소의 개별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충전 정보를 취합하여, 일정 시간 또는 실시간으로 원격에 위치한 충전 운영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운영 서버(400)는 특정 충전소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모든 충전소의 충전기를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충전소와 무관하게 별도로 마련되어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운영 서버(400)의 충전 정보 획득부(401)는 단계 S102에서 상기 중계장치(200)를 통해 임의 충전기의 충전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정보 분류부(402)에 전달한다. 충전 정보 분류부(402)는 획득한 충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DB)(409)에 저장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은 충전기별, 차량별, 노선별을 의미한다. 충전 정보에는 충전기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충전기별로 정보를 분류할 수 있고, 충전 차량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를 통해 차량별과 노선별로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차량에 따른 노선 정보는 사전에 전기차 운영을 요청하는 버스회사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해 놓은 것으로 가정한다.
아울러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404)는 단계 S103에서 상기 충전 정보 분류부(402)에서 분류한 충전기별로 충전 상황 정보를 분석하고, 단계 S104에서 전력정보 저장부(408)는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예컨대, 충전기 고유정보를 기초로 충전기를 구분하고, 구분한 충전기의 상태 정보 즉, 전체 충전시간, 월간 충전 시간, 주간 충전 시간, 1일 충전 시간 등의 상황 정보를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충전기별 상황 분석 정보는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409)에 누적 저장된다. 누적된 충전기별 상황 분석 정보는 추후 충전기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충전기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의 운영 시간이 과도해지면 충전기를 추가 설치하는 운용 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충전기의 월간 또는 연간 운영 시간이 짧으면 설치한 충전기를 폐쇄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운용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충전기의 정보를 관리하는 도중에, 단계 S105와 같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접속을 하면, 충전 제어부(405)에서 단계 S106과 같이 관리자의 검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하게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만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충전 운영 서버(400)에 접속한다. 충전 제어부(405)는 ID와 PW가 입력되면 이를 통해 등록된 관리자 리스트를 검색하여 등록된 관리자가 맞는지를 검증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등급은 1, 2, 3등급과 같은 형태로 부여될 수 있으며, 최상위 단계인 1등급은 관리자 수정/등록도 가능하다. 등급 부여는 미리 관리자 등록시 등록 요??을 하는 것으로서, 등급 부여가 가능하다.
이어 검증 결과 관리자가 맞으면 입력을 대기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정상적인 관리자 인증 후, 관리자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관리자를 변경하는 등의 수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충전기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하거나, 차량 번호나 노선번호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113과 같이 관리자의 변경이 요청되면 충전 제어부(405)는 정상적으로 인증된 관리자이므로, 단계 S114로 이동하여 관리자의 정보 변경을 한다. 관리자의 변경 요청은 관리자 등급이 1등급일 경우에 가능하다.
한편, 단계 S107과 같이 충전기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가 요청되면, 전력 통계부(403)에서 단계 S108과 같이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409)를 검색하여 해당 충전기의 충전 전력 정보를 통계처리 한다. 여기서 충전 전력정보 통계 처리는 연간, 월간, 주간, 1일 단위로 해당 충전기의 충전 시간 정보를 통계처리 한다. 충전기 검색 창에 충전기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면, 충전 제어부(405)의 제어에 따라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404)에서 해당 충전기의 현재 충전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단말(5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원격에서 관리자 단말(500)만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원하는 충전기의 충전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충전기 검색 화면에서 스크롤 키를 이용하여 화면이동 등을 수행하고,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나 터치 등의 방법으로 화면에 보이는 충전기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해당 충전기의 충전 현황을 실시간으로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차량 번호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하면, 전력 통계부(403)에서 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409)를 검색하여, 해당 차량번호의 충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계 처리한다. 관리자가 검색 창에 원하는 차량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해당 차량 번호에 대한 충전정보가 전력 통계 정보로 화면에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전력 통계 정보는 연간/월간/주간/일간 충전에 사용한 전력량, 충전 횟수, 충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러한 전력 통계 정보를 보고 원격에서 해당 차량의 충전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선 번호를 선택하고 전력 통계 정보를 요청하면, 전력 통계부(403)에서 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409)를 검색하여, 해당 노선의 충전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계 처리한다. 즉, 관리자가 검색 창에 원하는 노선 번호를 입력하고, 조회를 클릭하면, 해당 노선 번호에 대한 충전정보가 전력 통계 정보로 화면에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되는 전력 통계 정보는 연간/월간/주간/일간 해당 노선의 충전 차량(전기 버스)이 충전에 사용한 전력량, 충전 횟수, 충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러한 전력 통계 정보를 보고 원격에서 해당 노선의 전기 버스들이 사용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관리자는 상기와 같이 각각의 항목별로 요청한 전력 통계 정보를 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즉, 관리자가 특정 전력 통계 정보의 전력 정보를 요청하면, 단계 S109에서 전력 파일 생성부(406)는 상기 전력 통계부(403)와 연동하여 해당 전력 정보를 위변조 불가능한 파일로 변환하여 전력 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위변조 불가능한 파일은 관리자가 다운로드 받은 후 편집이 불가능한 파일로서, 다양한 형식의 파일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PDF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실시 예로 설명한다.
이렇게 생성된 PDF 파일 형태의 전력 파일은 단계 S110에서 전력정보 전송부(407)를 통해 관리자 단말(500)로 다운로드 된다. 관리자는 이렇게 다운로드 되는 충전기 전력 현황이나 노선버스 전력 통계 정보, 특정 차량의 전력 통계 정보를 활용하여 전력 활용의 효율을 높이거나 전기 차량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PDF 파일 형태의 전력 파일은 위변조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이를 지자체의 지원금 신청에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지자체의 지원금 신청을 위해서는 한전에서 제공하는 전력량계에만 의존하므로 버스 회사 등에서는 실시간으로 충전 현황 관리 등이 어려웠으나, 상기와 같은 전력 파일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충전 현황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지원금 신청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버스 회사 등에서는 별도의 운영 프로그램이나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전기 차량(특히, 전기 버스)의 충전 현황이나 전력 통계 등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에 지자체에서 전기 차량 운영에 따른 지원금을 신청할 경우, 버스 회사에서는 충전 현황 관리가 어려워 대행사(대행업체)를 이용하여 지원금을 신청하였는데, 이 경우 대행비 지금으로 별도의 추가 부담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버스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전력 통계나 충전 현황 등의 관리가 가능하여, 이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지자체에 지원금을 신청하면 되므로, 대행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관리자는 원격에서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단계 S111에서 충전 운영 서버(400)의 사이트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하고 인증이 이루어지면, 충전기 검색 화면을 통해 충전기를 검색한다. 충전기 검색 화면에서 특정 충전기를 선택하면 해당 충전기의 실시간 운영 상황이 표시되며, 이러한 충전기 운영 상황에서 특정 충전기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태 설정 화면을 통해 해당 충전기의 운영 상태를 설정한다. 여기서 운영 상태 설정은 운영, 운영중지, 충전 대기, 충전 중, 점검 중, 테스트 중, 파워 오프, 운영 시간 설정, 충전기 리셋, M2M 단말기 리셋, RF카드 단말기 리셋 등 다양하다.
관리자가 특정 운영 상태를 선택하면, 단계 S112에서 충전 제어부(405)에 의해 해당 충전기의 운영 상태 설정 명령은 충전정보 획득부(401)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전송된다. 여기서 충전정보 획득부(401)는 중계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이러한 통신 모듈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관리자의 원격 제어명령을 중계장치(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중계장치(200)는 원격 제어명령을 전력공급장치(300) 또는 해당 충전기에 전달한다. 전력공급장치(300)는 수신한 원격 제어 명령이 파워 오프이면 충전기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충전기를 오프 상태로 만든다. 아울러 충전기는 원격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그에 알맞게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충전기의 원격 제어를 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충전기의 충전 상황을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충전기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전력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충전기 운영자가 별도의 관리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기 운영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장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전기 차량
100: 충전부
200: 중계장치
300: 전력공급장치
400: 충전운영서버
401: 충전정보 획득부
402: 충전정보 분류부
403: 전력 통계부
404: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
405: 충전 제어부
406: 전력파일 생성부
407: 전력정보 전송부
408: 전력정보 저장부
409; 충전정보 데이터베이스
500: 관리자 단말

Claims (7)

  1. 충전 차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정보로 출력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
    상기 충전부에서 출력되는 충전 정보를 원격의 충전 운영 서버로 인터페이스하는 중계장치;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된 충전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고, 분류한 충전 정보를 기초로 전력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충전 운영 서버; 및
    상기 충전 운영 서버와 접속하여 전력 통계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충전부의 충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운영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공급장치 또는 상기 충전부에 전송하여 원격에서 충전기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 운영 서버는 상기 분류한 충전 정보를 충전기별 전력 통계 정보, 차량별 전력 통계 정보, 노선별 전력 통계 정보로 분류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통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운영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이 접속되면, 관리자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정상적인 인증이 이루어진 관리자의 등급을 확인하여, 최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충전기 신규 등록, 수정 및 변경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충전부는 충전소에 설치된 복수의 충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충전기 중 각각의 충전기는 충전 차량과 통신을 통해 충전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실시간으로 충전량 정보를 획득하여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충전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 및 충전기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충전 정보를 생성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주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모바일기기 또는 퍼스널컴퓨터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충전 운영 서버와 접속하여 관리자를 등록, 수정 및 변경하며, 상기 충전 운영 서버와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상태 확인 및 관리할 충전기를 선택하고, 충전기의 상태 설정을 통해 원격에서 충전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충전 운영 서버는 충전기별로 충전 상황 정보를 분석하는 충전기별 상황 분석부; 상기 전력 통계부에서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를 위변조 불가능한 전력 파일로 생성하는 전력 파일 생성부;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접속시 관리자 검증 과정을 수행하고, 전력 통계 정보 요청시 전력 파일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설정되는 충전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충전기의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충전기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장치를 통해 충전기의 원격 제어 명령을 전력공급장치로 전송하는 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를 운영하는 방법으로서,
    (a) 충전 운영 서버에서 각각의 충전기로부터 전송된 충전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분류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운영 서버에서 충전기별 충전 상황을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저장 및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충전 운영 서버에서 관리자 단말이 접속되는지를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이 접속되면 관리자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충전 운영 서버에서 상기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인증되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전력통계 요청인지를 확인하여 전력 통계 요청이면 분류 항목별로 전력 통계를 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력 통계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한 후 전력 통계 파일을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충전기 제어 정보이면, 중계장치로 충전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관리자가 원격에서 충전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중계해주는 단계; 및
    (f)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충전기 정보 또는 관리자 정보 변경요청이면, 요청되는 정보에 대응하게 충전기의 설정 정보를 변경하거나 관리자의 정보를 변경해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분류한 충전 정보를 충전기별 전력 통계 정보, 차량별 전력 통계 정보, 노선별 전력 통계 정보로 분류하여 전력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운영방법.
  7. 삭제
KR1020190145707A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2335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07A KR102335256B1 (ko)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07A KR102335256B1 (ko)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65A KR20210058365A (ko) 2021-05-24
KR102335256B1 true KR102335256B1 (ko) 2021-12-14

Family

ID=761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07A KR102335256B1 (ko) 2019-11-14 2019-11-14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94B1 (ko) * 2023-02-14 2024-02-26 주식회사 스위브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CN117236507A (zh) * 2023-09-25 2023-12-15 广州汇锦能效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公交绿色智慧能源管理系统、方法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738A (ko) 2010-04-07 2011-10-13 한국전력공사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KR20110137675A (ko) 2010-06-17 2011-12-23 (주)시그넷시스템 전기구동 차량의 급속충전 및 충전용량 조절이 가능한 충전 스테이션
KR101735828B1 (ko) * 2010-06-21 2017-05-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요금 정산 시스템
KR101202814B1 (ko) 2011-05-26 2012-11-19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용 급속 충전기
KR101856785B1 (ko) * 2012-02-10 2018-06-25 한국전력공사 차량 충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1399B1 (ko) 2014-10-21 2017-03-30 주식회사 지오라인 전기 자동차의 충전 감시 시스템
KR20160117746A (ko) * 2015-03-31 2016-10-11 (주)시그넷시스템 충전모듈 상태 관리 방법
KR101729450B1 (ko) 2016-08-31 2017-04-2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충전 장치와 차량 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lpr장치와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365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0109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мена энергией с электро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US10467827B2 (en)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providing vehicle event data
KR101233820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5256B1 (ko)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CN109552102A (zh) 充电设施运营和运维一体化的故障预测方法
JP634566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20330494A1 (en) Electric vehicle fleet charging system
KR101813523B1 (ko) 공동 시설의 전기자동차용 충전 전력 분배 시스템
US20140114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appliance usage data
CN104599490A (zh) 多功能集成系统及其候车系统
CN102439466A (zh) 电能供应系统中一个或多个特征的验证和引入方法
CN112564278A (zh) 继电保护故障信息整理与电子化报送系统及方法
CN106296409A (zh) 车辆事故现场勘察方法和系统
CN108550193B (zh) 多汽车通道车辆通行管理方法、移动管理终端及存储介质
CN111186334A (zh) 一种智能充电系统
KR102358282B1 (ko) 전기차 충전전력 수요관리시스템
CN110139243A (zh) 车辆监测方法、监测终端和车辆监测系统
KR20230171415A (ko)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CN103879375A (zh) 操作遗漏通知方法和操作遗漏通知系统
KR20210056734A (ko) Ocpp 프로토콜을 적용한 전기 자동차 충전 인프라 운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30170889A (ko)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KR101119533B1 (ko)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CN111311161A (zh) 应用自动跟随机器人和物联网系统的高效末端配送方法
KR20110087624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540162B1 (ko)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