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094B1 -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094B1
KR102640094B1 KR1020230019397A KR20230019397A KR102640094B1 KR 102640094 B1 KR102640094 B1 KR 102640094B1 KR 1020230019397 A KR1020230019397 A KR 1020230019397A KR 20230019397 A KR20230019397 A KR 20230019397A KR 102640094 B1 KR102640094 B1 KR 102640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formation
charging device
electric auxiliary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브
Priority to KR102023001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전동 보조 기기의 전원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상기 충전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자 단말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A SYSTEM FOR CHARGING AN ELECTRIC AUXILIARY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 휠체어나, 수동 휠체어에 체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보장구와 같이 거동 불편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전동 보조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전동 휠체어 및 의료용 스쿠터 등 전동 이동 보조기기는 장애인 및 노인들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문화시설을 즐기는 등 원하는 목적지에 편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다방면의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전동 보조 기기는 전력 사용을 필연적으로 수반하므로, 배터리에 대한 적절한 충전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각 사용자의 거처에서 충전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사용량에 따라 외부에서 충전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거처 이외의 장소에서 숙박하는 경우 또는 깜빡하고 충전하지 못하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사유로 외부에서의 충전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급속 충전기가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제공되고는 있었으나, 배터리 손상이나 고장 우려로 실사용 사례가 현저히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동 보조 기기는 단순 지도 상에서의 설치 위치를 제공할 뿐이어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시설이 모퉁이 및 보이지 않는 장소에 급속 충전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급속 충전기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실시간 충전 가능 상황에 대한 파악이 불가능하였다.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찾아가도 고장, 수리, 전기 공사 등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즉, 사전 및 실시간 충전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서비스와 안내가 제공되지 않는 것은 사용자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었다. 이로 인해 전동 보조 기기를 위한 급속 충전기의 실사용 사례는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5-001923 호 ("원전 플랜트 업무프로세스 모델링 및 절차서 관리 방법",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 보조 기기의 사용자들에게 충전 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관리로 하여금 충전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 역시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동 보조 기기의 전원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상기 충전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자 단말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점등 방식으로 표시하는 LED 유닛; 및 상기 전동 보조 기기 또는 상기 전동 보조 기기에 체결되는 이동 장치를 위한 공기 주입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측정 유닛; 및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장치는 설치 장소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한 거리 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 상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공기 주입 유닛에 대한 사용 설명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실시간 사용 가능 여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소에 대한 주소, 운영 기관, 운영 시간, 운영 상태 및 충전 포트 각각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상세 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소 상세 정보는, 제 1 충전 장치에 구비된 위치 유닛을 기반으로 측정된 제 1 충전 장치의 위치를 미리 입력된 복수의 충전소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제 1 충전소 정보와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상세 정보가 상기 제 1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는, 상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충전 장치 식별 정보, 온도 상태, 동작 상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량 상태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기간별 충전 시간 및 충전 건수 이력, 기간별 고장 발생 이력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통계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에 대한 원격 리셋;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의 통신 유닛에 대한 원격 리셋; 및 상기 충전 장치의 제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에 대한 원격 업데이트; 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따르면, 전동 보조 기기의 사용자들에게 충전 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관리로 하여금 충전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 역시 편리하게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보조 기기의 사용자들이 이동시 방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충전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충전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 은 충전 장치 위치 정보 표시의 예시이다.
도 7 은 충전소 상세 정보 표시의 예시이다.
도 8 은 충전 장치 사용 설명 정보 표시의 예시이다.
도 9 는 관리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 은 충전 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 은 고장 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나, 수동 휠체어에 체결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 보장구와 같이 거동 불편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전동 보조 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동 보조 기기의 충전을 위한 기존의 급속 충전기는 배터리 손상이나 고장 우려가 존재하였으며 단순 지도 상에서의 설치 위치를 제공할 뿐이어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시설이 모퉁이 및 보이지 않는 장소에 급속 충전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급속 충전기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실시간 충전 가능 상황에 대한 파악이 불가능하였다. 급속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찾아가도 고장, 수리, 전기 공사 등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즉, 사전 및 실시간 충전기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서비스와 안내가 제공되지 않는 것은 사용자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었다. 이로 인해 전동 보조 기기를 위한 급속 충전기의 실사용 사례는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 보조 기기의 사용자들에게 충전 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고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관리로 하여금 충전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 관리 역시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은 예를 들어 장애인 및 노인과 같은 거동 불편자들을 위한 전동 휠체어 및 의료용 스쿠터와 같은 전동 이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실내외 공간에서 전동 이동 보조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작된 공용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배터리 손상이나 폭발 사고 등을 방지하고 급속 충전 시 배터리의 수명 저하를 방지하도록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SOC 추정 알고리즘) 을 적용하여 최적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중앙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 및 관리자 (기관) 에 대한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다. 충전 상태 및 현황에 대해 직관적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LCD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들도 사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충전 상태 음성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사양 에어컴프레서를 탑재하여 전동 보조 기구 또는 연결된 이동 수단의 바퀴에 대한 공기압 보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1000) 은 예를 들어 저장 장치 (100-1, 100-n) 및 이와 네트워크 (200) 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버 (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300)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관리자 단말 (400) 과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사용자들을 위한 사용자 단말 (500) 과도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100-1, 100-n)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 장치 (100-1) 내지 제 n 충전 장치 (100-n) 의 n 개의 충전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들 각각은 전동 보조 기기의 전원 포트와 연결되어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 (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300) 는 네트워크 (20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 (100) 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200) 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임의의 네트워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 (300) 는 충전 장치 (100) 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충전 장치 (100) 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500) 로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자 단말 (400) 로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300) 와 관리자 단말 (400) 또는 서버 (300) 와 사용자 단말 (500) 과의 정보 송수신 역시 무선 또는 유선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다양한 지역에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100) 들을 서버 (300) 를 통해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속하는 각각의 충전 장치들의 현황이나 상태에 대한 정보들을 서버가 용이하게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충전 장치의 운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 역시 서버 (300) 가 충전 장치 (100) 로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제어 기능 역시 구비하여 서버 (300) 를 통해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400) 을 이용하여 서버 (300) 에 접속함으로써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된 충전 장치들이 적절히 운용되고 있는지 파악하거나 또는 특정 충전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을 사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사용자 단말 (500) 을 이용하여 서버 (300) 에 접속함으로써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중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나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소에 대한 상세 정보들을 손쉽게 획득하여 보다 편리하고 확실하게 사용할 수 있는 충전 장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충전 장치에 접근하여 자신의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적인 개념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충전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구비될 수 있는 충전 장치 (100) 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 장치 (100) 는 배터리 (105), 충전 포트 (110), 릴 스위치 (115), 디스플레이부 (120), 음성 출력부 (130), LED 유닛 (140), 공기 주입 유닛 (145), 위치 측정 유닛 (147), 통신 유닛 (150) 및 이동 유닛 (19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장치 (100) 는 사용 전원을 공급받아 변압을 수행함으로써 전동 보조 기기에 적절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선택적으로는 별도의 배터리 (105) 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 장치 (100) 가 이동하여 상용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장소에 일시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용 전원으로부터 충전된 배터리 (105) 를 기반으로 충전 장치 (100) 에 접속되는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 1 충전 포트 (110-1) 및 제 2 충전 포트 (110-2) 와 같이 복수의 충전 포트가 충전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충전 장치를 기반으로 복수의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해 동시에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충전 포트 (110-1) 은 전력 케이블에 연결되어 잡아당겨 연장함으로써 전동 보조 기기의 전력 단자에 손쉽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 1 릴 스위치 (115-1) 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충전 장치 내부로 케이블이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효과를 상승시키고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충전 포트 (110-2) 역시 마찬가지로 제 2 릴 스위치 (115-2) 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충전 장치 내부로 연결된 케이블이 감겨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20) 는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는 도 2 의 충전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120) 는 제 1 충전 포트에 대한 표시 영역 (121) 과 제 2 충전 포트에 대한 표시 영역 (125) 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는 각 충전 포트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충전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를 % 단위로 정확하게 표시하여 사용자가 보다 구체적인 충전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한 눈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 (130) 는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 장치 (100) 는 디스플레이부 (120) 뿐만 아니라 음성 출력부 (130) 를 더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 (120) 를 통한 시각적 표시와 병행하여 청각적으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음성 출력부 (130) 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현재 충전 상태에 대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1번 포트에서 정상적으로 충전이 진행중입니다. 충전량은 75 % 입니다." 와 같이 충전 정상 진행 여부에 대한 정보와 충전량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 정보 확보가 어려운 사용자 또는 다른 업무 수행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이 어려운 상황의 사용자에게도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충전 장치는 LED 유닛 (14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ED 유닛 (140) 은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점등 방식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유닛 (140) 은 정상 충전 상태에서 녹색 점등, 충전 이상 상태 발생시 적색 점등, 연결 해제 상태에서 미점등과 같이 상이한 점등 색상을 통해 충전 진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이 진행중인 경우에 점멸 간격을 달리하는 것에 의해 충전량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 (120) 를 통한 충전 상태 정보의 확인이 어려운 사용자도 LED 유닛 (140) 을 통해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은 디스플레이부 (120), 음성 출력부 (130) 및 LED 유닛 (140) 을 전부 구비하여 서로 상이한 다양한 형태로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것에 의해 어떠한 상황이나 어떠한 사용자라도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 장치 (100) 는 공기 주입 유닛 (145) 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주입 유닛 (145) 은 전동 보조 기기 또는 전동 보조 기기에 체결되는 이동 장치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빠른 속도로 타이어의 공기를 충진할 수 있도록 고사양의 에어 컴프레서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 장치 (100) 는 그 설치 장소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된 장소에서만 사용되도록 하지 않고, 설치 장소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으로 충전 수요에 대응하여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장치 (100) 는 충전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측정 유닛 (147) 및 서버 (300) 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150) 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의 이동 편의를 위해 바퀴와 같은 이동 유닛 (190) 이 장착될 수도 있다.
충전 장치 (100) 에는 고유 식별 번호가 지정될 수 있고, 위치 측정 유닛 (147) 을 통해 충전 장치 (100) 의 위치를 결정하여 고유 식별 번호와 함께 측정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서버 (300) 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 (300) 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된 각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와 그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어떤 충전 장치가 어떤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유닛 (150) 은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 (100) 하우징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예를 들어 RS232C 와 같은 연결 방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충전 장치 (100) 의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내부에 실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유닛 (150) 은 LTE 와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이 충전 장치 (100) 와 서버 (3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충전 장치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구성은 예를 들어 휠체어와 같은 전동 보조 기기에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이 용이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포트 (110) 및 릴 스위치 (115) 는 바닥으로부터 700 mm 이상 1400 mm 이하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동 보조 기기에 착석한 상태에서 충전 포트 (110) 를 잡아 당겨 전동 보조 기기의 전원 단자에 충전 포트를 연결할 수 있고,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릴 스위치를 당겨 충전 포트의 케이블을 충전 장치 내부로 감아 넣을 수 있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은 서버 (300) 를 포함하고, 서버 (300) 는 네트워크 (20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 (100) 와 정보를 송수신 또는 충전 장치 (100) 의 제어를 수행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 (500) 로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자 단말 (400) 로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 는 도 1 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500) 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형 핸드헬드 스마트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서버 (300) 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500) 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사용자 단말 (500) 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시켜 서버 (300) 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동 보조 기기의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나 충전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한 거리 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공기 주입 유닛에 대한 사용 설명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실시간 사용 가능 여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소에 대한 주소, 운영 기관, 운영 시간, 운영 상태 및 충전 포트 각각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 (500) 의 어플리케이션에는 광고 정보 (511) 의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고 정보 (511) 의 표시 영역을 통해 전동 휠체어나 수동 휠체어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 보조 기기와 연관된 업체나, 관공서 등 기업 및 기관의 광고 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운영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충전소 정보 (512) 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한 거리 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500) 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 (500) 로부터 미리 결정한, 또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충전 장치들을 파악하여 리스트로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목록에 포함된 충전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세 위치를 파악하거나, 해당 충전 장치로 이동하기 위한 길 안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충전기 리스트 (513) 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되는 전체 충전 장치의 목록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에 대한 필터를 선택하여 원하는 유형의 충전 장치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위치한 충전 장치 목록만을 표시하거나 실외에 위치한 충전 장치 목록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충전이 진행중이지 않은 충전 장치만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즉시 충전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은 충전 장치 위치 정보 표시의 예시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 주변 충전소 정보 (512) 나 충전기 리스트 (513) 의 선택에 따른 충전 장치 목록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충전 장치에 대해서는 설치 위치에 대한 설명 정보와 현재 사용자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해당 충전 장치가 이미 다른 전동 보조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거나 고장 상태여서 충전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적색 표시를 수행하고, 현재 충전 가능한 상태인 경우에는 녹색 표시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해당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가능 여부를 쉽게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충전기 사용 설명서 (514)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공기 주입 유닛에 대한 사용 설명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 은 충전 장치 사용 설명 정보 표시의 예시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충전기 또는 컴프레셔 (공기 주입 유닛) 에 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고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상세 설명이나 컴프레셔를 사용하기 위한 상세 설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처음 사용자도 손쉽게 충전이나 공기 주입을 수행할 수 있다.
공지사항 (515) 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사용자들에게 운영자 측에서 전달하기 위한 공지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들을 위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사항이나, 서비스 점검을 위한 사용 중단 기간 안내와 같은 다양한 공지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간 사용가부 (516) 정보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되는 복수의 충전 장치들 각각에 대해 실시간으로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도 6 을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충전 장치가 사용중이거나 고장중이어서 충전이 불가능한지, 또는 도착하면 바로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가 녹색 또는 적색 표시와 같이 상이한 색상 표시를 위해 제공될 수도 있으나, 표시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한다.
충전소 상세 정보 (517)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실시간 사용 가능 여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소에 대한 주소, 운영 기관, 운영 시간, 운영 상태 및 충전 포트 각각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7 은 충전소 상세 정보 표시의 예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되는 충전 장치는 설치 장소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 장치는 미리 정의된 충전소들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만 이동 설치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기 성남시 장애인 종합복지관"이라는 충전소가 복수의 충전소 중 어느 하나로서 미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충전소에 대해서는 그 충전소의 주소나 어느 운영기관에 의해 운영되는지 여부, 또한 운영시간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현재 시점에서 충전소가 운영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나, 해당 충전소의 전화번호 및 담당자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충전소의 운영중 여부와 별개로, 해당 충전소에 설치된 상태인 충전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경기 성남시 장애인 종합복지관" 충전소에는 1 번 충전기 및 2 번 충전기의 두 대의 충전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충전기는 두 개의 충전 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 가능한지 여부와 충전율은 각 충전기의 각 포트 별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소 상세 정보는, 제 1 충전 장치에 구비된 위치 유닛을 기반으로 측정된 제 1 충전 장치의 위치를 미리 입력된 복수의 충전소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제 1 충전소 정보와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상세 정보가 상기 제 1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충전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에, 현 시점에서 복수의 충전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는 예를 들어 GPS 와 같은 위치 측정 유닛에 의해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수치로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충전 장치의 위치 정보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복수의 충전소의 위치 정보들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충전 장치가 어느 충전소에 위치하고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소 상세 정보는, 충전 장치의 실시간 위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 해당 충전소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충전 장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충전 장치의 현재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 함께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 을 참조하면, 서버 (300) 는 네트워크 (200)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 (100) 와 정보를 송수신 또는 충전 장치 (100) 의 제어를 수행하는 한편, 관리자 단말 (400) 로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 (300) 는 관리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관리자 단말은 인터넷 엑세스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서버에 접근할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은 예를 들어 랩탑이나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9 는 관리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정보 (410) 는 예를 들어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411), 충전 장치 통계 정보 (413), 고객 서비스 정보 (415) 및 정보 관리 기능 (417)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411) 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충전 장치 식별 정보, 온도 상태, 동작 상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량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각각의 충전 장치들에 대한 현재 상태를 관리자가 일괄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가 충전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대응하여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장치가 이동 설치되는 경우에도 해당 충전 장치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충전 장치 통계 정보 (413) 은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기간별 충전 시간 및 충전 건수 이력, 기간별 고장 발생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 장치 통계 정보 (413) 는 충전 장치의 이동 설치에도 불구하고 각 충전소 별로 집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통계 정보는 해당 충전소에 대한 전동 보조 기기의 수요 예측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전 장치의 추가 설치나 타 충전소로의 이전 설치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고객 서비스 정보 (415) 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관리자를 위해 필요한 공지사항의 등록이나 수정을 가능하게 하고, 고객사 관리자 문의사항에 대한 접수 및 답변 등록을 포함하는 고객센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관리 기능 (417) 은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대한 충전 장치의 등록 및 수정, 그리고 원격 리셋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에 대한 등록 및 수정 역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0 은 충전 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현황 정보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 개별로, 또는 전체 충전 장치들에 대해서 관리자가 설정하는 기간에 따른 충전 현황을 충전시간 또는 충전건수별로 표시하고 사용량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 기간에 대해서 복수의 충전기 및 충전소에 대해 일별로 충전 건수에 대한 통계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은 고장 현황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현황 정보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 개별로, 또는 전체 충전 장치들에 대해서 관리자가 설정하는 기간 동안에 고장 발생 횟수를 포트 별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 횟수는 충전 장치에 포함된 자가 진단 기능에 의해 점검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에 의한 고장 신고 횟수에 의해 집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붉은색 고장 횟수 표시 숫자를 선택하면, 상세한 고장 이력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 장치 통계 정보는 충전 대상 전동 보조 기기가 전동 휠체어인지, 수동 휠체어 동력 보조 장치인지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전동 보조 기기는 그 자체로서 동력 기능을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수동 휠체어에 체결되어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수동 휠체어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보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은, 충전 장치 (100) 에 연결되어 충전을 수행한 전동 보조 기기가 전동 휠체어인지 또는 동력 보조 장치인지 여부를 구분하여 기록하고, 전동 휠체어에 대한 충전 장치 통계 정보와 동력 보조 장치에 대한 충전 장치 통계 정보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관련된 각각의 충전소 부근에 대한 전동 휠체어 또는 동력 보조 장치에 대한 수요 현황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 획득이 가능하다.
일 측면에 따르면, 충전 장치 (100) 는 충전 장치에 연결되는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해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에 대한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 장치 (100) 는 미리 결정한 판단 시간 구간 동안의 배터리에 대한 전류 및 전압 변동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가 전동 휠체어인지 또는 동력 보조 장치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동 보조 기기 유형 결정은 소정 기간 동안의 전류 및 전압 변동 값을 입력으로, 전동 보조 기기 유형 정보를 출력으로 가지는 인공 신경망을 훈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시켜 생성된 유형 결정 모델에 상기 미리 결정한 판단 시간 구간 동안의 배터리에 대한 전류 및 전압 변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충전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충전을 개시하기 전에 전동 보조 장치 유형을 선택하는 경우 충전이 개시되도록 구성하여 충전 장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 (300) 는 관리자 단말 (400) 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에 대한 원격 리셋,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의 통신 유닛에 대한 원격 리셋 및 충전 장치의 제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에 대한 원격 업데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400) 을 통해 서버에 명령하는 것에 의해,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된 충전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리셋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고장에 대해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운영 주체가 원격으로 즉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400) 을 통해 서버에 명령하는 것에 의해,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에 포함된 충전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충전 장치에 구비되는 통신 유닛에 대해서만 원격 리셋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비교적 소프트웨어적 오류의 발생 확률이 높은 통신 유닛에 대해서만 원격 리셋을 수행하여 충전을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상태에서도 통신 유닛을 리셋하여 서버와 충전 장치 간의 정보 송수신을 재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운영을 위한 펌웨어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 (400) 을 통해 서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충전 장치로 펌웨어 소프트웨어를 전송하고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장치에 대한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장치를 도입하여 관리하는 충전소의 담당자가 비 전문 인력인 경우에도 손쉽게 전문가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1000) 의 운영자가 원격으로 충전 장치에 대한 고장 수리 및 유지 보수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충전 장치 (100) 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나, 서버 (300), 관리자 단말 (400) 또는 사용자 단말 (500)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 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 (800) 은 플래시 스토리지 (810) , 프로세서 (820), RAM (830), 입출력 장치 (840) 및 전원 장치 (85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스토리지 (810) 는 메모리 장치 (811) 및 메모리 컨트롤러 (812)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컴퓨팅 시스템 (800) 은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포트 (port) 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 (800) 은 퍼스널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820) 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 (task) 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820)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 (820) 는 어드레스 버스 (address bus), 제어 버스 (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 (data bus) 등과 같은 버스 (860) 를 통하여 RAM (830), 입출력 장치 (840) 및 플래시 스토리지 (810) 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820) 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RAM (830) 는 컴퓨팅 시스템 (800) 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램 (DRAM), 모바일 디램, 에스램 (SRAM), 피램 (PRAM), 에프램 (FRAM), 엠램 (MRAM), 알램 (RRAM) 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RAM (83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 (840) 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장치 (850) 는 컴퓨팅 시스템 (800) 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거동 불편자를 위한 전동 보조 기기에 대한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전동 보조 기기의 전원 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전동 보조 기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상기 충전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전달하고, 관리자 단말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한 거리 이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
    상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목록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 및 공기 주입 유닛에 대한 사용 설명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실시간 사용 가능 여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가 설치된 충전소에 대한 주소, 운영 기관, 운영 시간, 운영 상태 및 충전 포트 각각의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상세 정보; 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장치는, 미리 정의된 복수의 충전소들 중 어느 하나의 충전소로 설치 장소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충전소 상세 정보는,
    제 1 충전 장치에 구비된 위치 유닛을 기반으로 측정된 제 1 충전 장치의 위치를 미리 입력된 복수의 충전소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인 제 1 충전소 정보와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상세 정보가 상기 제 1 충전 장치에 대한 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충전 장치에 연결된 전동 보조 기기와 관련된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점등 방식으로 표시하는 LED 유닛; 및
    상기 전동 보조 기기 또는 상기 전동 보조 기기에 체결되는 이동 장치를 위한 공기 주입 유닛; 을 포함하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측정 유닛; 및
    상기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장치는 설치 장소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 장치에 대한 관리 정보는,
    상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충전 장치 식별 정보, 온도 상태, 동작 상태, 충전중인 배터리의 충전량 상태를 포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 장치에 대한 기간별 충전 시간 및 충전 건수 이력, 기간별 고장 발생 이력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통계 정보;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에 대한 원격 리셋;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장치의 통신 유닛에 대한 원격 리셋; 및
    상기 충전 장치의 제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펌웨어에 대한 원격 업데이트; 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KR1020230019397A 2023-02-14 2023-02-14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KR102640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397A KR102640094B1 (ko) 2023-02-14 2023-02-14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397A KR102640094B1 (ko) 2023-02-14 2023-02-14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094B1 true KR102640094B1 (ko) 2024-02-26

Family

ID=9005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397A KR102640094B1 (ko) 2023-02-14 2023-02-14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0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923A (ko) 2013-06-28 2015-01-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 플랜트 업무프로세스 모델링 및 절차서 관리 방법
KR20190083206A (ko) * 2018-01-03 2019-07-11 (주)클린일렉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20200144071A (ko)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한걸음 LoRa망을 이용한 전동보장구 간편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8365A (ko) * 2019-11-14 2021-05-24 (주)멥카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2021A (ko) * 2020-11-23 2022-06-02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고정식 충전장비와 이동식 충전장비에 기반한 전기차량 충전장비 운영 방법 및 전기차량 충전장비 운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923A (ko) 2013-06-28 2015-01-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 플랜트 업무프로세스 모델링 및 절차서 관리 방법
KR20190083206A (ko) * 2018-01-03 2019-07-11 (주)클린일렉스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충전 방법
KR20200144071A (ko) * 2019-06-17 2020-12-28 주식회사 한걸음 LoRa망을 이용한 전동보장구 간편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8365A (ko) * 2019-11-14 2021-05-24 (주)멥카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2021A (ko) * 2020-11-23 2022-06-02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고정식 충전장비와 이동식 충전장비에 기반한 전기차량 충전장비 운영 방법 및 전기차량 충전장비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998B2 (en) Method for assisting a user of an electric vehicle in reserving a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harging station
US9533594B2 (en) Vehicle-mounted apparatus, charger/discharger, and charge/discharge system
US8793520B2 (en) Power management of electronic devices based on charging location
US7444192B2 (en) Reactive replenishable device management
US2022015315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wireless and local control of the two-way flow of electrical power between electric vehicles, between evs and electrical vehicle supply equipment(s), and between the evse(s) and the electricity grid
JPH11341155A (ja) ネットワ―ク制御センタへのネットワ―ク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情報の提供方法及び装置
WO2020059833A1 (ja) 蓄電装置管理システム、保管装置、サーバー装置、蓄電装置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130103815A (ko) 동적 보충재 관리
US20220185143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9556697A (zh) 一种儿童身高体重家用监测系统
US20150188316A1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CN107123012A (zh) 一种自动选择收货地址的方法及系统
US20220388422A1 (en) Management method and management device for shared electric vehic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640094B1 (ko) 전동 보조 기기 충전 시스템
JPWO2019163682A1 (ja) 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管理方法
US20220245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atteries
KR101259642B1 (ko) 충전장치, 충전장치를 구비한 휴대용기기 및 그를 이용한충전방법
US20220187093A1 (en) Battery managing system, battery manag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0936116B1 (ko) 지피에스 상시 관측소 운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78669B1 (ko) 미세먼지 알림 장치
JP7391472B2 (ja) 蓄電装置管理システム
US1120592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in a facility
JP2012210046A (ja) 電気自動車用急速充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2832326A (zh) 一种机场供水管网智能运维系统
KR102283148B1 (ko) 태블릿을 활용한 전기차 ict 융합형 주행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