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738A -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738A
KR20110112738A KR1020100032047A KR20100032047A KR20110112738A KR 20110112738 A KR20110112738 A KR 20110112738A KR 1020100032047 A KR1020100032047 A KR 1020100032047A KR 20100032047 A KR20100032047 A KR 20100032047A KR 20110112738 A KR20110112738 A KR 20110112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charging
electric vehicle
tes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규
한승호
양승권
송택호
이한별
박인수
임유석
김철우
김숙철
김영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3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738A/ko
Publication of KR2011011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계통에서 교류(AC)전력을 공급받아 직류(DC)전력으로 변환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급속충전기의 기능, 사양, 디자인, 기구 개발, H/W 및 S/W 개발, 결제시스템 개발, RFID 시험 및 최적화, 작동순서, 시험절차 및 장비, 제작 시험 단계별 개선사항, 시험 및 평가, 주요 모듈설명을 구체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Charger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력계통에서 교류(AC)전력을 공급받아 직류(DC)전력으로 변환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급속충전기의 기능, 사양, 디자인, 기구 개발, H/W 및 S/W 개발, 결제시스템 개발, RFID 시험 및 최적화, 작동순서, 시험절차 및 장비, 제작 시험 단계별 개선사항, 시험 및 평가, 주요 모듈설명을 구체화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충전시 급속의 경우 교류 380V, 85A 이상, 직류 450V, 110A내외가 흐르기 때문에 안전사고 위험이 존재하며, 또한 충전기는 전기자동차 배터리관리시스템(BMS)와 정상적인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에 충전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배터리 시스템 모니터링, 배터리 상태 디스플레이, 충전 전력량 측정, 배터리 및 충전시스템 안전 제어, 사용자 및 차량 인식, 과금 및 결제, 차량 및 서버와 통신, 데이터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현된다.
또한, 입력 사양은 3상 380V, 56kW이며, 출력 전압 범위와 충전 출력은 DC100~450V, 50kW이고, 전압과 전류의 측정 정밀도는 ±1%이며, 역률과 충전 효율은 각각 0.98과 85%를 목표 사양으로 가지며,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 보호기능으로 과전압, 과전류, 과온, 배터리 이상 상태에서 충전을 자동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는, Analyzer Probe를 매칭할 RF Module에 연결하여 Impedance Analyzer 화면에 출력되는 13.56MHz 대역에서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확인하며 원하는 매칭소자를 삽입하는 RFID 시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는, RF MODULE 구동 시 소모되는 최대전류, 높이 별 Field Voltage, A, B Type Modulation, Rx단 전압, 각종 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테스트 진행 시 하나의 항목에서라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부족하게 되면 IMPEDANCE MATCHING에서 다른 임피던스, 위상 Point로 이동시켜서 다시 테스트 진행하는 RFID 시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충전 대기 시(System - Idle), 급속 충전기의 상단에 위치한 LED가 Blue Color로 점등되고, 충전기 동작 시(System Activation) LED가 reen Color로 점등되며, RFID 카드를 충전기에 위치시키면 충전기 케이블 함이 자동적으로 열리고, 전기자동차에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킨 후 충전을 시작하면 LED가 Red Color로 점등되고, 충전기 고장 시 LED가 Yellow Color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계통에서 교류(AC)전력을 공급받아 직류(DC)전력으로 변환하여 전기자동차에 충전전력을 공급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충전전력을 공급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의 외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급속충전기의 시스템 블록도와 H/W 조립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 는 급속충전기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은 급속충전기의 Touch Screen의 대표적인 G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기의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기의 결제 시스템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시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내지 도 11f 는 급속충전기의 작동 순서에 따른 LED Indicator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는 CAN통신 Driver IC에 문제가 발생되어 통신 양단에 제너다이오드 추가한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내지 도 13c 는 급속충전기의 정전류 특성 시험을 30, 50, 100A 조건에서 실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a 내지 도 14d 는 급속충전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의 리플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a 는 급속충전기의 역률과 충전효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을 420V, 110A 조건에서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b 는 ITHD와 VTHD를 조사하기 위한 시험을 420V, 110A 조건에서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 은 급속충전기 주요 모듈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의 기능, 사양, 디자인, 기구 개발, H/W 및 S/W 개발, 결제시스템 개발, RFID 시험 및 최적화, 작동순서, 시험절차 및 장비, 제작 시험 단계별 개선사항, 시험 및 평가, 주요 모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1 급속충전기의 기능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 배터리 시스템 모니터링
- 배터리 상태 디스플레이
- 충전 전력량 측정
- 배터리 및 충전시스템 안전 제어
- 사용자 및 차량 인식
- 과금 및 결제
- 차량 및 서버와 통신
- 데이터 저장
1. 2 사양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기에 대한 주요 사양은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즉,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기의 입력 사양은 3상 380V, 56kW이며, 출력 전압 범위와 충전 출력은 DC100~450V, 50kW이다. 또한, 전압과 전류의 측정 정밀도는 ±1%이며, 역률과 충전 효율은 각각 0.98과 85%를 목표 사양으로 갖는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급속충전기는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 보호기능으로 과전압, 과전류, 과온, 배터리 이상 상태 등의 상태에서 충전을 자동적으로 중지시키는 기능이 구현된다.
1.3 충전기 디자인 사양
급속충전기의 디자인은 도 1에 도시된 외관도를 참조한다.
1.4 기구 개발
급속충전기의 외관도 중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한다.
1.5 H/W 개발
1.5.1 시스템 블록도
급속충전기의 시스템 블록도와 H/W 조립도면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1.5.2 H/W 제작
급속충전기의 조립과정은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한다.
① 도 5a는 PCB Panel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② 도 5b는 Inverter 부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③ 도 5c는 DC-DC Converter 부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④ 도 5d는 기타 H/W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⑤ 도 5e는 외부 Case 조립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6 S/W 개발
1.6.1 통신 시스템
; 전기자동차 ↔ 급속충전기: CAN 2.0A
; 급속충전기 ↔ 서버: LAN
; MCU ↔ Touch Screen: RS485
; 급속충전기 ↔ PC: RS232
1.6.2 MMI 개발: Touch Screen GUI 개발
급속충전기의 Touch Screen의 대표적인 GUI는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급속충전기의 Touch Screen GUI는 충전 중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배터리의 전류와 전압, 충전 모드, 충전 상태, 충전량 및 요금을 나타낸다.
1.7 결제 시스템 개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기의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기의 결제 시스템에 대한 동작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기의 결제 시스템의 주요 사양은 아래 [표 2]와 같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인식 및 결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용자 인식 기능으로는 RFID Reader를 선택하였으며 결제를 위해서는 신용카드와 포인트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결제 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1.8 RFID 시험 및 최적화 과정
1.8.1 RF-MODULE IMPEDANCE MATCHING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MATCHING 장비들을 살펴보면, ①은 IMPEDANCE ANALYZER(4194A- AGILENT)이고, ②는 ANALYZER PROBE이며, ③은 RF MODULE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시험 장치는 Analyzer Probe를 매칭할 RF Module에 연결하여 Impedance Analyzer 화면에 출력되는 13.56MHz 대역에서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확인하며 원하는 매칭소자를 삽입한다.
3.8.2 매칭 후 모듈 테스트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시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RF MODULE 장비들을 살펴보면, ①은 RF MODULE이고, ①-①은 RF MODULE 테스트용 HOST 연결 케이블이고, ②는 테스트용 HOST(Note Book), ③은 Waveform Generator(33250A-Agilent), ④는 Multimeter(34401A-HP), ⑤는 Power Supply(K3005-Vupower), ⑥은 Oscilloscope(64XI-LeCroy), ⑦은 Field Voltage 측정 PICC, 그리고 ⑧은 A, B Type Modulation 측정 PICC이다. 그 외에, 인식 거리 측정용 Card, Tag 등이 추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ID 시험 장치는 1)항에서 Impedance Matching 된 RF MODULE을 도 10과 같이 구현된 각 장비를 사용하여 아래의 항목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한다.
가) RF MODULE 구동 시 소모되는 최대전류: Carrier ON과 카드 접촉 시 최대전류를 Power Supply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나) 높이 별 Field Voltage: 0Cm부터 4Cm까지 1Cm 구간 별로 발생되는 Field 전압을 Multimeter와 Field Voltage 측정 PICC로 측정한다.
다) A, B Type Modulation: Oscilloscope와 A, B Type Modulation 측정
PICC로 0Cm 부터 4Cm까지 1Cm 구간 별로 측정한다.
라) Rx단 전압: Oscilloscope를 이용하여 Rx 단의 전압을 측정한다.
마) 각종 카드: 각종 카드 및 Tag의 인식 거리를 테스트용 HOST(Note Book)
의 카드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바) 위의 가)부터 마)까지 테스트 진행 시 하나의 항목에서라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부족하게 되면 1)항 IMPEDANCE MATCHING에서 다른 임피던스, 위상 Point로 이동시켜서 다시 테스트 진행한다. 2)항 테스트 항목이 모두 충족될 때까지 IMPEDANCE MATCHING과 테스트는 반복하여 진행한다.
1.9 급속충전기의 작동 순서
급속충전기의 작동 순서에 따른 LED Indicator의 변화는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한다.
먼저, 충전 대기 시(System - Idle)에는 도 11a와 같이 급속 충전기의 상단에 위치한 LED가 Blue Color로 점등되며, 충전기 동작 시(System Activation)에는 도 11b와 같이 Green Color로 점등된다. 다음으로 RFID 카드를 충전기에 위치시키면 도 11c와 같이 충전기 케이블 함이 자동적으로 열리고, 전기자동차에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킨 후 도 11e와 같이 충전을 시작하면 도 11d와 같이 LED는 Red Color로 점등된다. 그리고 충전기 고장 시에는 도 11f와같이 LED가 Yellow Color로 점멸된다.
1.10 시험 절차 및 장비
1.10.1 육안 검사
① 배선 결선 상태 확인
② 볼트 조임 상태 확인
③ 기구물 치수 확인
1.10.2 H/W Test
① 절연 내압 및 절연 저항 측정
② Control Panel Test: 지그를 사용한 각 B/D 동작 확인
③ Inverter Stack Test: Inverter Stack 제어 상태 확인
④ DC-DC Stack Test: DC-DC Stack 제어 상태 확인
※ 필요 장비: 절연 내압계, 절연 저항계, DVM, Oscilloscope, 34401, 지그, 부하
1.10.3 프로그램 운용
Touch Screen과 연동하여 장비 동작 상태 확인
1.10.4 기능 검사
① 장비 Sequence: Sequence 동작 상태 확인
② Calibration
③ Program 연동 Load Test: 실 부하를 대비한 최종 Test
※ 필요 장비: DVM, 34401, 부하
1.11 제작, 시험 단계별 개선 사항
1.11.1 CAN 통신 불량
통신 쪽 접지 세라믹 콘덴서 제거 후 해결.
통신 Ground를 Frame에 접지 시킴.
도 12는 CAN통신 Driver IC에 문제가 발생되어 통신 양단에 제너다이오드 추가한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1.11.2 Touch Screen 관리자 모드 접속 시 문제.
충전기 동작 중 Fault 발생 시, 관리자 모드 접속 후 다시 동작 화면으로 이동하면 화면 키가 동작되지 않았던 버그 수정
1.12 시험 및 평가
1.12.1 정전류 충전 시험
도 13a 내지 도 13c는 급속충전기의 정전류 특성 시험을 30, 50, 100A 조건에서 실시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는 30A 정전류 파형(15A/div, 10ms/div)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b는 50A 정전류 파형(25A/div, 10ms/div)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3c는 100A 정전류 파형(50A/div, 10ms/div)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시험 결과 출력 전류는 10ms 수준의 Rising Time 을 나타내었으며 전류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3.12.2 출력 전압/전류 리플 시험
도 14a 내지 도 14d는 급속충전기의 출력 전압과 전류의 리플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a는 30A (좌), 50A (우) 전압 리플 파형(1V/div, 20ms/div)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b는 80A (좌), 110A (우) 전압 리플 파형(1V/div, 20ms/div)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c는 30A (좌), 50A (우) 전류 리플 파형(500mA/div, 10ms/div)을 나타낸 것이고, 도 14d는 80A (좌) (500mA/div), 110A (우) 전류 리플 파형(2A/div, 10ms/div)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 결과 출력 전압의 리플은 RMS 500mV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출력 전류의 리플은 RMS 170~220mA를 나타내었다.
3.12.3 역률 및 효율 시험
도 15a는 급속충전기의 역률과 충전효율을 조사하기 위한 시험을 420V, 110A 조건에서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결과 충전기의 역률은 0.99를 나타내었으며 충전효율은90.64%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5b는 ITHD와 VTHD를 조사하기 위한 시험을 420V, 110A 조건에서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결과 VTHD는 1.21%, ITHD는 2.69%를 나타내었다.
3.13 급속충전기의 주요 모듈 설명
도 16은 급속충전기 주요 모듈 구성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내지 ⑥의 각 모듈 및 그에 대응하는 기능은 아래와 같다.
① LED : 4가지 색깔로 장비의 상태 표시.
② TOUCH SCREEN : 장비의 동작 제어와 상태를 확인.
③ MAGNETIC CARD READER :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장치.
④ EMG: 비상시 장비를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 장치.
⑤ PRINTER : 결제시 영수증을 출력하는 장치.
⑥ RF ID : 신분 확인 및 결제 장치

Claims (5)

  1.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배터리 시스템 모니터링, 배터리 상태 디스플레이, 충전 전력량 측정, 배터리 및 충전시스템 안전 제어, 사용자 및 차량 인식, 과금 및 결제, 차량 및 서버와 통신, 데이터 저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구현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 사양은 3상 380V, 56kW이며, 출력 전압 범위와 충전 출력은 DC100~450V, 50kW이고, 전압과 전류의 측정 정밀도는 ±1%이며, 역률과 충전 효율은 각각 0.98과 85%를 목표 사양으로 가지며,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 보호기능으로 과전압, 과전류, 과온, 배터리 이상 상태에서 충전을 자동적으로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Analyzer Probe를 매칭할 RF Module에 연결하여 Impedance Analyzer 화면에 출력되는 13.56MHz 대역에서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확인하며 원하는 매칭소자를 삽입하는 RFID 시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RF MODULE 구동 시 소모되는 최대전류, 높이 별 Field Voltage, A, B Type Modulation, Rx단 전압, 각종 카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테스트 진행 시 하나의 항목에서라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부족하게 되면 IMPEDANCE MATCHING에서 다른 임피던스, 위상 Point로 이동시켜서 다시 테스트 진행하는 RFID 시험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충전 대기 시(System - Idle), 급속 충전기의 상단에 위치한 LED가 Blue Color로 점등되고, 충전기 동작 시(System Activation) LED가 reen Color로 점등되며, RFID 카드를 충전기에 위치시키면 충전기 케이블 함이 자동적으로 열리고, 전기자동차에 충전기 케이블을 연결시킨 후 충전을 시작하면 LED가 Red Color로 점등되고, 충전기 고장 시 LED가 Yellow Color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KR1020100032047A 2010-04-07 2010-04-07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KR20110112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047A KR20110112738A (ko) 2010-04-07 2010-04-07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047A KR20110112738A (ko) 2010-04-07 2010-04-07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738A true KR20110112738A (ko) 2011-10-13

Family

ID=4502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047A KR20110112738A (ko) 2010-04-07 2010-04-07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73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16B1 (ko) * 2011-10-27 2013-08-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용 계통연계 시뮬레이터
CN104102147A (zh) * 2014-07-11 2014-10-15 国家电网公司 模拟电动汽车充电机不同输出状态的控制装置及实现方法
CN104483576A (zh) * 2014-12-24 2015-04-01 芜湖市汽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功率无线充电测试柜
KR20210058365A (ko) 2019-11-14 2021-05-24 (주)멥카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8990A (ko) 2020-03-17 2021-10-05 (주)멥카 전기차 충전전력 수요관리시스템
KR20210148470A (ko) 2020-05-28 2021-12-08 하재청 수소연료전지 일체형 급속전용 전기차 충전기
KR20220158552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158551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022548A (ko) 2021-08-09 2023-02-16 (주)에이텍티앤 무선 충전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장치
KR20230163874A (ko) 2022-05-24 2023-12-01 손정기 수소발전을 통한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316B1 (ko) * 2011-10-27 2013-08-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기자동차용 계통연계 시뮬레이터
CN104102147A (zh) * 2014-07-11 2014-10-15 国家电网公司 模拟电动汽车充电机不同输出状态的控制装置及实现方法
CN104483576A (zh) * 2014-12-24 2015-04-01 芜湖市汽车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功率无线充电测试柜
KR20210058365A (ko) 2019-11-14 2021-05-24 (주)멥카 전기차 충전기 운영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8990A (ko) 2020-03-17 2021-10-05 (주)멥카 전기차 충전전력 수요관리시스템
KR20210148470A (ko) 2020-05-28 2021-12-08 하재청 수소연료전지 일체형 급속전용 전기차 충전기
KR20220158552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158551A (ko)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30170889A (ko) 2021-05-24 2023-12-19 주식회사 펌프킨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제어장치
KR20230171415A (ko) 2021-05-24 2023-12-20 주식회사 펌프킨 전기차 충전기 제어장치
KR20230022548A (ko) 2021-08-09 2023-02-16 (주)에이텍티앤 무선 충전 키오스크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장치
KR20230163874A (ko) 2022-05-24 2023-12-01 손정기 수소발전을 통한 전기자동차 무선 충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738A (ko) 전기자동차 급속충전기
US9759783B2 (en) Modular testing of a power supply
JP6905985B2 (ja) 高電圧バッテリの特性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CN104797950A (zh) 具有提高的负载和线缆识别的交流发电机和起动器测试器
CN106019002A (zh) 一种用于电池管理系统的验证测试平台及其测试方法
CN102944770B (zh) 一种igbt与驱动组合模块的智能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CN104678158B (zh) 电动汽车的高压上电显示装置
CN208488505U (zh) 一种车载充电机的测试系统
CN212060527U (zh) 一种阻感容负载箱
CN107907757A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自动测试装置
CN213689799U (zh) 一种交直流充电桩一体化检测平台
CN204740329U (zh) 高低压交流电机试验系统
CN112285477A (zh) 一种交直流充电桩一体化检测平台及充电桩现场检测方法
US9164138B2 (en) Electric vehicle service equipment tester
CN204359883U (zh) 一种变压器用多功能测试仪
CN204008911U (zh) 一种线圈设备测试装置
CN203630312U (zh) 直流电机电枢故障检测装置
CN207396708U (zh) 110kV电流互感器极性测试装置
CN213302497U (zh) 一种电流互感器二次侧回路检测装置及电路
CN201886091U (zh) 变频器测试仪
CN114994445A (zh) 一种新能源电动汽车模拟测试老化柜
CN211979155U (zh) 一种只有bms从机的电池系统检测电路
CN113740759A (zh) 一种开关电源性能测试装置
CN103558579A (zh) 电能表检定装置
CN208271027U (zh) 适用于数字电源小信号调试硬件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