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65B1 -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665B1
KR102334665B1 KR1020200183284A KR20200183284A KR102334665B1 KR 102334665 B1 KR102334665 B1 KR 102334665B1 KR 1020200183284 A KR1020200183284 A KR 1020200183284A KR 20200183284 A KR20200183284 A KR 20200183284A KR 102334665 B1 KR102334665 B1 KR 10233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ody
protrusion
deck plate
uni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연진
Original Assignee
구연진
주식회사 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연진, 주식회사 에스피 filed Critical 구연진
Priority to KR102020018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loor Finish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 결합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관통공(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51)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51)에는 수직본체부(52)를 높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직본체부(52)에는 돌출걸림부(55)를 상하로 다 수개 배열되게 형성하되,
상기 돌출걸림부(55)는 2개 이상의 단위 돌출구(56)가 한 조를 이루어 수직본체부(5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단위 돌출구(56)는 산부(Mt)를 형성하고 같은 조를 이루는 이웃하는 단위 돌출부(56)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56a) 간에는 골부(Va)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 간에는 산부(Mt)와 골부(Va)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돌출걸림부(55)를 구성하는 각 단위 돌출구(56)는 상단부가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단 걸림면(56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단 걸림면(56b)의 외곽 테두리는 단위 돌출구(56)의 높이(h)에 준하여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과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외주경사면(56c)이 형성되도록 하며,
최하부에 위치하는 돌출걸림부(55)의 단위 돌출구(56)들은 외주경사면(56c)이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고 골부(Va)도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여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데크플레이트(10)에 단열재(60)의 결합작업이 용이하면서도 강하게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FASTERNER FOR COMBINING INSULATION TO THE DECK PLATE}
본 발명은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구성하는 천장의 시공법은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법이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트러스거더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일체형 데크패널(DP)을 도시한
것으로서 널 형태의 데크플레이트(100)의 상부에 트러스거더(400)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은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와 보 사이에 가설되며 그 위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을 사용하여 천장시공을 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DP)에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단열재 결합형 데크패널은 단열재의 결합방식에 따라 선부착 방식과 후부착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후부착 방식은 데크패널을 배열한 후 데크패널의 하부에 부착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단열재를 재단하여 작업자가 천장을 향하여 일일이 빈틈없이 붙여야 하므로 집중을 요하면서도 번거롭다.
한편 본원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706086“단열재가 결합된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선행문헌)을 등록받았다.
도 2는 상기 선행문헌의 공보에 기재된 도면(공보의 도 8에 해당)으로서 도면을 참고하면, 단열재 일체형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은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트러스거더가 용접 등으로 결합이 되며 데크플레이트(10)의 하부에 단열재(60)가 접착제(본드) 등으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 결합시 본드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단열재의 온도를 70° 정도로 데워주어야 하고, 밀착 시킨 후 최소 60초 정도를 눌러주어야 하며, 본드의 건조를 위해서 오븐에서 일정 시간 구워주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특히 본드 도포시 유해한 성분과 냄새가 발생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그리고 본드 결합방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착력의 약화로 단열재가 하부로 쳐지거나 완전히 이탈되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051005“플라스틱 앙카”
따라서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시 본드의 도포를 배제하고 작업자가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를 물리적으로 결합시 파손을 최소화되게 함으로 단열효과의 저해를 최소화하고, 단열재의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 결합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데크플레이트(10)의 관통공(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51)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51)에는 수직본체부(52)를 높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직본체부(52)에는 돌출걸림부(55)를 상하로 다 수개 배열되게 형성하되,
상기 돌출걸림부(55)는 2개 이상의 단위 돌출구(56)가 한 조를 이루어 수직본체부(5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단위 돌출구(56)는 산부(Mt)를 형성하고 같은 조를 이루는 이웃하는 단위 돌출부(56)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56a) 간에는 골부(Va)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 간에는 산부(Mt)와 골부(Va)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돌출걸림부(55)를 구성하는 각 단위 돌출구(56)는 상단부가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단 걸림면(56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단 걸림면(56b)의 외곽 테두리는 단위 돌출구(56)의 높이(h)에 준하여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과 연결되도록 형성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외주경사면(56c)이 형성되도록 하며,
최하부에 위치하는 돌출걸림부(55)의 단위 돌출구(56)들은 외주경사면(56c)이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고 골부(Va)도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여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본 발명의 체결구는 기존의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 결합시 일반적으로 사용된 본드의 도포를 배제하여 본드의 유해한 성분과 냄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결구는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여 단열재에 강제 압입을 통한 물리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체결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며, 기존의 본드 결합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착력의 약화로 단열재가 하부로 쳐지거나 완전히 이탈되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본드 사용시 건조과정이라는 별도의 추가공정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러스거더형 일체형 데크패널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접착제에 의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결합과정 및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주요부 정면 구성도,
도 5(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2)(이하 간단히 ‘데크패널’이라고도 함)은 데크플레이트(10)를 구비하여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는 트러스거더(4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데크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단열재(6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데크플레이트(10)는 다단 벤딩포밍으로 바닥부(11)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2)가 좌우로 배열되며 상기 보강부(12)에 의해 구획되는 다 수개의 바닥부(11)는 전체적으로 평탄을 이루게 되어, 바닥부(11)의 하부에는 단열재(60)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고 보강부(12)의 상부에는 트러스거더(40)가 올려져 용접으로 고정된다.
데크플레이트(10)는 좌우에 각각 판개부(16A)(18B)가 대응되게 구성되는데 그 중 일측 판개부(16A)에는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타측 판개부(16B)에는 이웃하는 데크플레이트(10)의 일측 판개부(16A)의 결합돌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부가 형성된다. 데크플레이트(10)에는 바닥부(11)에 엠보싱(M)을 형성하면 강성이 부여된다.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10)에 단열재(60) 결합시 기존의 본드와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본원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50)(이하 간단히 ‘체결구’라고도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부를 갖는 체결구(6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5(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10)에 단열재(6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50)는 데크플레이트(10)에 형성된 관통공(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51)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51)에는 수직본체부(52)를 높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직본체부(52)에는 돌출걸림부(55)를 상하로 다 수개 배열되게 형성한다.
상기 돌출걸림부(55)는 2개 이상 단위 돌출구(56)가 한 조를 이루어 수직본체부(5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단위 돌출구(56)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를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단위 돌출구(56)는 수직본체부(52)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됨에 따라 단위 돌출구(56)는 산부(Mt)를 형성하게 되고 같은 조(같은 높이)를 이루는 이웃하는 단위 돌출부(56)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56a) 간에는 골부(Va)가 형성된다. 이때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간에는 산부(Mt)와 골부(Va)가 서로 교차되도록 한다.
돌출걸림부(55)를 구성하는 각 단위 돌출구(56)는 상단부가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단 걸림면(56b)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단 걸림면(56b)의 외곽 테두리 부분은 단위 돌출구(56)의 높이(h)에 준하여 하부로 연장되도록 하되,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 부분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외주경사면(56c)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외주경사면(56c)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특히 최하부에 위치하는 돌출걸림부(55)의 단위 돌출구(56)들은 외주경사면(56c)이 하부로 연장시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고 골부(Va)도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체결구(2)의 하단부가 뾰족한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돌출구(56) 각각은 좌우 측면(56a) 간의 너비가 상단 너비(D)〉하단 너비(d)가 되도록 하여 이 역시 상부로 갈수록 확장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체결구(50)의 구체적인 구성을 통하여 데크플레이트(10)에 단열재(60)를 결합함에 따라 발생되는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체결구(50)는 작업자가 손을 이용하여(필요시 기계적 장치에 의해서도 결합할 수도 있음) 데크플레이트(10)에 형성된 관통공(13)을 지나도록 머리부(51)를 강제로 압입 함에 따라 뾰족한 하단부를 선두로 하여 단열재(60)를 뚫으면서 지나 단열재 내부로 꼽히게 되면서 데크플레이트(10) 하단면에 단열재(60)가 결합이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체결구(50)의 하단부가 단열재(60)의 상단면을 지나는 최초 삽입시에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단위 돌출구(65)의 하단부가 뾰족하면서도 산부(Mt)와 골부(Va)가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못이나 볼트 등을 단열재(60)에 강제 압입시 밀도가 낮은 곳(약한 곳)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의 체결구(50)는 뾰족한 단부를 선두로 단열재(60)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골부(Va)의 공간에 단열재(60)가 채워지게 되므로 좌로나 우로나 쉽게 치우치지 못하고 직선으로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계속하여 체결구(50)를 압입함에 따라 수직본체부(52)에 상하로 배열 형성되는 돌출걸림부(55)들이 점진적으로 단열재(60) 내부로 삽입이 이루어지는데, 단위 돌출부(56)의 외주경사면(56c)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구성에 의하여 단열재(60)를 점진적으로 넓혀가면서 진입하게 되어 강제 압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단위 돌출구(56)는 좌우 측면(56a) 간의 너비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에 의하여 단열재(60)를 향하여 강제 압입시 단열재(60)를 점진적으로 골부(Va) 쪽으로 밀어내면서 진입함에 따라 강제 압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 간에 산부(Mt)와 골부(Va)가 서로 교차되는 구성과 연합하여 단위 돌출구(56)의 상단 걸림면(56b) 쪽으로 단열재(60)가 밀려 채워지는 작용이 이루어져 단열재(60)가 체결구(50)에 보다 강하게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결합된 단열재(6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작용이 된다.
이러한 작용은 체결구(50)의 수직본체부(52)를 따라 상하로 배열되는 돌출걸림부(55) 모두에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50A)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본체부(52)를 따라 돌출걸림부(55)를 배열시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 간의 간격이 띄워지지 않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단열재(60)이 밀도에 따라서 상하 돌출걸림부(55)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구(50)(50A)는 열도전율이 낮고 제조시 압출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10)--데크플레이트 (11)--바닥부
(12)--보강부 (13)--관통공
(16A)(16B)--판개부
(40)--트러스거더
(50)--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51)--머리부 (52)--수직본체부
(55)--돌출걸림부 (56)--단위 돌출구
(56a)--측면 (56b)--상단 걸림면
(56c)--외주경사면 (60)--단열재
(Mt)--산부 (Va)--골부

Claims (2)

  1. 데크플레이트(10)의 관통공(1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머리부(51)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51)에는 수직본체부(52)를 높이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하고, 수직본체부(52)에는 돌출걸림부(55)를 상하로 다 수개 배열되게 형성하되,
    상기 돌출걸림부(55)는 2개 이상의 단위 돌출구(56)가 한 조를 이루어 수직본체부(5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단위 돌출구(56)는 산부(Mt)를 형성하고 같은 조를 이루는 이웃하는 단위 돌출부(56)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56a) 간에는 골부(Va)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 간에는 산부(Mt)와 골부(Va)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고,
    돌출걸림부(55)를 구성하는 각 단위 돌출구(56)는 상단부가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단 걸림면(56b)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단 걸림면(56b)의 외곽 테두리 부분은 단위 돌출구(56)의 높이(h)에 준하여 하부로 연장되도록 하되 수직본체부(52)의 외곽면 부분과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확장되는 외주경사면(56c)이 형성되도록 하며, 아울러 단위 돌출구(56) 각각은 좌우 측면(56a) 간의 너비가 상단 너비(D)〉하단 너비(d)가 되도록 하여 이 역시 상부로 갈수록 확장 되어지도록 하고,
    최하부에 위치하는 돌출걸림부(55)의 단위 돌출구(56)들은 외주경사면(56c)이 하부로 연장시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고 골부(Va)도 수직본체부(52)의 중심부까지 이르도록 하여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열재(60)를 향하여 강제 압입시 단열재(60)를 점진적으로 골부(Va) 쪽으로 밀어내면서 진입하도록 하여 강제 압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하로 이웃하는 돌출걸림부(55) 간에 산부(Mt)와 골부(Va)가 서로 교차되는 구성과 연합하여 단위 돌출구(56)의 상단 걸림면(56b) 쪽으로 단열재(60)가 밀려 채워지는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단열재(60)의 걸림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합된 단열재(60)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2. 삭제
KR1020200183284A 2020-12-24 2020-12-24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KR10233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84A KR102334665B1 (ko) 2020-12-24 2020-12-24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284A KR102334665B1 (ko) 2020-12-24 2020-12-24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665B1 true KR102334665B1 (ko) 2021-12-06

Family

ID=7893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284A KR102334665B1 (ko) 2020-12-24 2020-12-24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48B1 (ko) * 2011-10-17 2012-03-21 삼성물산 주식회사 차수 패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수공법
KR102051005B1 (ko)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
KR102051008B1 (ko) *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189264B1 (ko) * 2019-10-30 2020-12-11 주식회사 공정 지주 정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48B1 (ko) * 2011-10-17 2012-03-21 삼성물산 주식회사 차수 패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수공법
KR102051005B1 (ko)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
KR102051008B1 (ko) *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189264B1 (ko) * 2019-10-30 2020-12-11 주식회사 공정 지주 정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4972A (en) Reinforced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 constructions
KR20090050963A (ko) 타워 및 타워용 플랫폼
US2988854A (en) Wooden joint coupling including nail clinching means
KR102334665B1 (ko) 데크플레이트에 단열재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
US2500940A (en) Built-up structural element
JP2016169565A (ja) 面内せん断耐力構造、及びその面内せん断耐力構造を備えた屋根構造、壁構造、床構造
JP4502452B2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
JPH09291607A (ja) 建築用構造材継手
JPH11131590A (ja) 筋かい固定金具および筋かい固定方法
KR100686618B1 (ko) 케이블 트레이
JPH053422U (ja) デツキプレートの固定構造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US20070227092A1 (en) Panel connector and panel assembly using same
JP4594807B2 (ja) 骨組構造体
JP3831244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S6215404Y2 (ko)
JP3922875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3881899B2 (ja) 引寄せ金物
JP3886410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2603172Y2 (ja) 屋根材の取付け構造
JP2003035004A (ja) 屋根トラス
JP2952347B2 (ja) 建築物における通気層の構造
JP4047759B2 (ja) 軸組材の接合装置
JP2001207535A (ja) ホールダウン金物
JPS6172150A (ja) 胴差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