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040B1 -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040B1
KR102334040B1 KR1020200178440A KR20200178440A KR102334040B1 KR 102334040 B1 KR102334040 B1 KR 102334040B1 KR 1020200178440 A KR1020200178440 A KR 1020200178440A KR 20200178440 A KR20200178440 A KR 20200178440A KR 102334040 B1 KR102334040 B1 KR 10233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unit
showe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규
Original Assignee
김춘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규 filed Critical 김춘규
Priority to KR102020017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은, 서로 분기된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수도 토출기, 고정 샤워 토출기 및 유동 샤워 토출기 중 적어도 하나인 토출기로 토출됨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써,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 및 냉수 또는 전원 및 온수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1, 2 검출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압 감소 또는 증가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3, 4 검출부; 상기 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상기 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및 상기 토출기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4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수 및 지수와 수온 및 수량에 대한 조절이 모션에 의해 검출되는 센서 제어방식에 의해 비례 제어방식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방식에 의해 편리하고 용이하게 물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Faucet show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식 샤워 수전 냉, 온수 및 수압 컨트롤이 가능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전은 급수 배관의 말단에 위치하여 물을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설치 위치나 용도 또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욕실, 샤워실 등과 같이 보일러로부터의 온수를 사용하는 실내에는 냉수관과 온수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욕실 등에 설치되는 수전은 사용자가 원하는 온수 및 냉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온수와 냉수를 혼합하여 수온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밸브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토수 또는 지수를 제어하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19-0021911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수동에 의한 레버 조작에 의해 토수 또는 지수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조절 과정에서 거품 등이 레버에 묻어 별도의 세척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021911호(2019.03.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토수(吐水) 및 지수(止水)와 수온 및 수량에 대한 조절이 센서 제어방식에 의해 비례 제어방식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조절되어 지는 센서 검출식 수온 표시를 내장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은, 서로 분기된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수도 토출기, 고정 샤워 토출기 및 유동 샤워 토출기 중 적어도 하나인 토출기로 토출됨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써,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 및 냉수 또는 전원 및 온수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1, 2 검출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압 감소 또는 증가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3, 4 검출부; 상기 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상기 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및 상기 토출기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4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전원이 ON 되고, 상기 제2 검출부 및 제1 검출부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전원이 OFF될 수 있다.
상기 제1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물 온도가 감소하고, 상기 제2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물 온도가 증가하고, 상기 제3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수압이 감소하며, 상기 제4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수압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토출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온도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냉수온도와 온수온도를 개별 표시하는 제1, 2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3, 4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수도 토출기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수 있도록 구비된 수도 토출 밸브부;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유동 샤워 토출기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수 있도록 구비된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 및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고정 샤워 토출기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도 토출 밸브부,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 및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의 작동시 해당 밸브부를 통한 토출 상태를 표시하는 수도 토출 표시램프,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 및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가 케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검출부 및 제3 검출부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상기 수도 토출기, 유동 샤워 토출기 및 고정 샤워 토출기 순서대로 물이 개별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은 서로 분기된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수도 토출기, 고정 샤워 토출기 및 유동 샤워 토출기 중 적어도 하나인 토출기로 토출됨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써,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 및 냉수 또는 전원 및 온수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1, 2 검출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압 감소 또는 증가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3, 4 검출부; 상기 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상기 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및 상기 토출기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4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토출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온도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냉수온도와 온수온도를 개별 표시하는 제1, 2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2 표시부는 토출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물의 온도를 표시하며, 상기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는 토출 전원이 OFF 상태에서 각각 50% 열림 동작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수 및 지수와 수온 및 수량에 대한 조절이 모션에 의해 검출되는 센서 제어방식에 의해 비례 제어방식 전자밸브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비접촉식 방식에 의해 편리하고 용이하게 물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에서 제1, 2 검출부를 통한 전원 ON/OFF 및 물온도 증감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에서 제3, 4 검출부를 통한 수압 증감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의한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에서 제4, 3 검출부를 통해 수도 토출부, 유동 샤워 토출부 및 고정 샤워 토출부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은 케이스(C), 제1 검출부(100), 제2 검출부(101), 제1 표시부(102), 제2 표시부(103), 제3 검출부(104), 제4 검출부(105), 제3 표시부(106),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를 포함한다.
이때, 욕실 등의 벽면에 냉수관(200)과 온수관(201)이 각각 설치되고, 냉수관(200)과 온수관(201)의 사이에서 냉수관(200)과 온수관(201)이 연결관(2010)에 의해 동시 연결되며, 연결관(2010)의 상부에 물을 토출시키는 토출기(2012)가 구비된다(도 2 참조).
한편, 토출기(2012)는 수도 토출기, 고정 샤워 토출기 및 유동 샤워 토출기 중 적어도 하나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해바라기 샤워기라 불리는 고정 샤워기인 것으로 예시한다.
케이스(C)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검출부(100), 제2 검출부(101), 제1 표시부(102), 제2 표시부(103), 제3 검출부(104), 제4 검출부(105), 제3 표시부(106)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면서, 냉수관(200), 온수관(201), 연결관(2010),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를 감싸도록 욕실 등의 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일측(좌측)에 제1, 2 검출부(100, 101)가 이격 상태로 구비되고, 상면 타측(우측)에 제3, 4 검출부(104, 105)가 이격 상태로 구비되고, 전면 일측(좌측)에 제1, 2 표시부(102, 103)가 구비되며, 전면 타측(우측)에 제3 표시부(106)가 구비된다.
제1 검출부(100)는 전원 및 냉수 조절을 위한 모션 검출 센서이고, 제2 검출부(101)는 전원 및 온수 조절을 위한 모션 검출 센서로,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검출부(100)는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에 작동신호를 출력되게 하고, 제2 검출부(101)는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에 작동신호를 출력되게 한다.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H)을 제1 검출부(100)에서 제2 검출부(101)로 이동시켜 모션에 의해 제1 검출부(100) 및 제2 검출부(101) 순서대로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이 ON 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손(H)을 제2 검출부(101)에서 제1 검출부(100)로 이동시켜 제2 검출부(101) 및 제1 검출부(100) 순서대로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이 OFF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H)을 제1 검출부(100)에 근접시켜 제1 검출부(100)의 신호 입력시 마다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를 통해 온수보다 냉수의 유입량이 크게 제어되게 하면서 물 온도가 점차 감소하게 되고, 사용자가 손(H)을 제2 검출부(101)에 근접시켜 제2 검출부(101)의 신호 입력시 마다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를 통해 냉수보다 온수의 유입량이 크게 제어되게 하면서 물 온도가 점차 증가되게 한다.
제1 표시부(102)는 냉수 디지털 표시장치로, 토출기(2012)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온도센서(205)의 감지값에 따라 냉수 온도를 숫자 등으로 개별 표시한다.
제2 표시부(103)는 온수 디지털 표시장치로, 토출기(2012)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온도센서(205)의 감지값에 따라 온수 온도를 숫자 등으로 개별 표시한다.
제3 검출부(104)는 수압 감소 제어를 위한 모션 검출 센서이고, 제4 검출부(105)는 수압 증가 제어를 위한 모션 검출 센서로, 사용자의 손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제3 검출부(104)와 제4 검출부(105)는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에 작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H)을 제3 검출부(104)에 근접시켜 제3 검출부(104)의 신호 입력시 마다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를 통해 수압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사용자가 손(H)을 제4 검출부(105)에 근접시켜 제4 검출부(105)의 신호 입력시 마다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를 통해 수압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제3 표시부(106)는 수압 디지털 표시장치로, 제3, 4 검출부(104, 105)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숫자 등으로 표시한다.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관(200)에 설치되어 제1 검출부(100)의 검출값에 따라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한편,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는 제1 검출부(100)에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냉수 공급량이 1이 상승하여, 제1 검출부(100)에 신호를 재차 입력하게 되면 냉수 공급량 1이 또 상승하게 되면서 총 2의 냉수 공급량이 된다.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201)에 설치되어 제2 검출부(101)의 검출값에 따라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그리고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는 제2 검출부(101)에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온수 공급량이 1이 상승하여, 제2 검출부(101)에 신호를 재차 입력하게 되면 온수 공급량 1이 또 상승하게 되면서 총 2의 온수 공급량이 된다.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기(2012) 측에 설치되어 제3, 4 검출부(104, 105)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또한,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는 제3 검출부(104)에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수압이 1이 감소하여, 제3 검출부(104)에 신호를 재차 입력하게 되면 수압 1이 또 감소하게 되면서 총 2의 수압이 감소되게 하고, 제4 검출부(105)에 신호를 입력할 때마다 수압이 1이 증가하여, 제4 검출부(105)에 신호를 재차 입력하게 되면 수압 1이 또 증가하게 되면서 총 2의 수압이 증가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의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사용자가 손(H)을 제1 검출부(100)에서 제2 검출부(101)로 이동시켜 제1, 2 검출부(100, 101)에 순차적으로 검출되게 함으로써 전원이 ON 되고, 역순으로 사용자가 손(H)을 제2 검출부(101)에서 제1 검출부(100)로 이동시켜 제2, 1 검출부(101, 100)에 순차적으로 검출되게 함으로써 전원이 OFF된다.
전원이 OFF 된 상태에서 제1, 2 표시부(102, 103)에 표시된 온도센서(205)는 온도 검출로 기존 물 온도를 표시한다.
이때,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는 50% 열림 동작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제2 검출부(101)의 검출시마다 순차적으로 제2 표시부(103)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증가하면서 제1 표시부(102)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감소하고,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의 온수 개방량 증가와 함께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의 냉수 개방량 감소 동작으로 물 온도가 상승한다.
제1 검출부(100)의 검출시 미다 순차적으로 제1 표시부(102)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증가하면서 제2 표시부(103)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감소하고,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의 냉수 개방량 증가와 함께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의 온수 개방량 감소 동작으로 물 온도가 하강한다.
제4 검출부(105)의 검출시마다 제3 표시부(106)에 표시된 수압이 증가하고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의 개방량이 커지면서 수압이 증가하게 된다.
제3 검출부(104)의 검출시마다 제3 표시부(106)에 표시된 수압이 감소하고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의 개방량이 작아지면서 수압이 감소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은 케이스(C), 제1 검출부(100), 제2 검출부(101), 제1 표시부(102), 제2 표시부(103), 제3 검출부(104), 제4 검출부(105), 제3 표시부(106), 수도(107), 유동 샤워기(108), 고정 샤워기(109), 수도 토출 표시램프(110),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111),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112),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 수도 토출 밸브부(206),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 수도 토출부(209), 유동 샤워 토출부(210) 및 고정 샤워 토출부(211)를 포함한다.
이때, 케이스(C), 제1 검출부(100), 제2 검출부(101), 제1 표시부(102), 제2 표시부(103), 제3 검출부(104), 제4 검출부(105), 제3 표시부(106),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은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수도(107), 유동 샤워기(108), 고정 샤워기(109)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더욱이, 앞선 실시예와 다르게 제3 검출부(104)와 제4 검출부(105)가 수압 감소 및 수압 증가를 위한 검출뿐만 아니라 제3 검출부(104)와 제4 검출부(105)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수도 토출 밸브부(206),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를 통해 수도(107), 유동 샤워기(108), 고정 샤워기(109) 순서대로 물이 개별 공급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키면 모션에 의해 수도 토출 밸브부(206)가 작동 제어되고 수도 토출부(209)를 거친 후 수도(107)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재차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키면 모션에 의해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가 작동 제어되고 유동 샤워 토출부(210)를 거친 후 유동 샤워기(108)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다시 한 번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키면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가 작동 제어되고 고정 샤워 토출부(211)를 거친 후 고정 샤워기(109)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킬 때마다 수도(107), 유동 샤워기(108) 및 고정 샤워기(109) 순서로 물이 나오게끔 로테이션 된다.
수도(107)는 수도 토출부(209)의 단부에 연결되고, 유동 샤워기(108)는 유동 샤워 토출부(210)의 단부에 연결되며, 고정 샤워기(109)는 고정 샤워 토출부(211)의 단부에 연결된다.
수도 토출 표시램프(110),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111) 및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112)는 케이스(C)의 전면 중앙에 배치되어 수도 토출 밸브부(206),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의 작동시 해당 밸브부를 통한 토출 상태를 표시하는 LED 램프이다.
즉, 수도 토출 밸브부(206)의 작동시 수도 토출 표시램프(110)만 점등[도 7(a) 참조]되고,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의 작동시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111)만 점등[도 7(b) 참조]되며,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의 작동시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112)만 점등[도 7(c) 참조]되는 것이다.
수도 토출 밸브부(206)는 연결관(2010)에서 수도(107)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수 있도록 구비된 솔밸브이다.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는 연결관(2010)에서 유동 샤워기(108)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수 있도록 구비된 솔밸브이다.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는 연결관(2010)에서 고정 샤워기(109)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솔밸브이다.
이때, 수도 토출 밸브부(206),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는 모듈 형태로 구비되면서 연결관(2010)에서 굴절된 관을 통해 각각이 연결된다.
수도 토출부(209)는 수도 토출 밸브부(206)와 수도(107)를 연결하여 통하게 하고, 유동 샤워 토출부(210)는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와 유동 샤워 토출기(108)를 연결하여 통하게 하며, 고정 샤워 토출부(211)는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와 고정 샤워기(109)를 연결하여 통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의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사용자가 손(H)을 제1 검출부(100)에서 제2 검출부(101)로 이동시켜 제1, 2 검출부(100, 101)에 순차적으로 검출되게 함으로써 전원이 ON 되고, 역순으로 사용자가 손(H)을 제2 검출부(101)에서 제1 검출부(100)로 이동시켜 제2, 1 검출부(101, 100)에 순차적으로 검출되게 함으로써 전원이 OFF된다.
전원이 OFF 된 상태에서 제1, 2 표시부(102, 103)에 표시된 온도센서(205)는 온도 검출로 기존 물온도를 표시한다.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는 50% 열림 동작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제2 검출부(101)의 검출시마다 순차적으로 제2 표시부(103)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증가하면서 제1 표시부(102)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감소하고,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의 온수 개방량 증가와 함께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의 냉수 개방량 감소 동작으로 물 온도가 상승한다.
제1 검출부(100)의 검출시 미다 순차적으로 제1 표시부(102)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증가하면서 제2 표시부(103)에 표시된 표시온도가 감소하고,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202)의 냉수 개방량 증가와 함께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203)의 온수 개방량 감소 동작으로 물 온도가 하강한다.
제4 검출부(105)의 검출시마다 제3 표시부(106)에 표시된 수압이 증가하고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의 개방량이 커지면서 수압이 증가하게 된다.
제3 검출부(104)의 검출시마다 제3 표시부(106)에 표시된 수압이 감소하고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204)의 개방량이 작아지면서 수압이 감소하게 된다.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신호 검출시 수도 토출 표시램프(110),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111) 및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112) 순으로 개별 표시되고, 수도 토출 밸브부(206),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 순으로 개별 작동된다.
즉, 사용자가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키면 수도 토출 밸브부(206)가 작동 제어되고 수도 토출 표시램프(110)가 점등되며 수도 토출부(209)를 거친 후 수도(107)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재차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키면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207)가 작동 제어되고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111)가 점등되며 유동 샤워 토출부(210)를 거친 후 유동 샤워기(108)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다시 한 번 손(H)을 제3 검출부(104)에서 제4 검출부(105)로 이동시키면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208)가 작동 제어되고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112)가 점등되며 고정 샤워 토출부(211)를 거친 후 고정 샤워기(109)로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검출부 101: 제2 검출부
102: 제1 표시부 103: 제2 표시부
104: 제3 검출부 105: 제4 검출부
106: 제3 표시부 107: 수도
108: 유동 샤워기 109: 고정 샤워기
110: 수도 토출 표시램프 111: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
112: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 200; 냉수관
201: 온수관 202: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203: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204: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
205: 온도센서 206; 수도 토출 밸브부
207: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 208: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
209: 수도 토출부 210: 유동 샤워 토출부
211: 고정 샤워 토출부

Claims (8)

  1. 서로 분기된 냉수관 및 온수관이 연결관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수도 토출기, 고정 샤워 토출기 및 유동 샤워 토출기 중 적어도 하나인 토출기로 토출됨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써,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원 및 냉수 또는 전원 및 온수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1, 2 검출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어 수압 감소 또는 증가 조절을 위한 모션을 검출하는 제3, 4 검출부;
    상기 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냉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상기 온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온수 공급량을 조절하는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및
    상기 토출기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4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토출기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온도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냉수온도와 온수온도를 개별 표시하는 제1, 2 표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2 표시부는 토출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물의 온도를 표시하며,
    상기 냉수 조절 비례 밸브부, 온수 조절 비례 밸브부 및 수압 조절 비례 밸브부는 토출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각각 50% 열림 동작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부 및 제2 검출부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전원이 ON 되고, 상기 제2 검출부 및 제1 검출부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전원이 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물 온도가 감소하고, 상기 제2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물 온도가 증가하고, 상기 제3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수압이 감소하며, 상기 제4 검출부의 신호 입력시 마다 수압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3, 4 검출부의 검출값에 따라 수압을 표시하는 제3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수도 토출기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수 있도록 구비된 수도 토출 밸브부;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유동 샤워 토출기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 및
    상기 연결관에서 상기 고정 샤워 토출기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 토출 밸브부, 유동 샤워 토출 밸브부 및 고정 샤워 토출 밸브부의 작동시 해당 밸브부를 통한 토출 상태를 표시하는 수도 토출 표시램프, 유동 샤워 토출 표시램프 및 고정 샤워 토출 표시램프가 케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검출부 및 제3 검출부 순서대로 신호 입력시 상기 수도 토출기, 유동 샤워 토출기 및 고정 샤워 토출기 순서대로 물이 개별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KR1020200178440A 2020-12-18 2020-12-18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KR102334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40A KR102334040B1 (ko) 2020-12-18 2020-12-18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440A KR102334040B1 (ko) 2020-12-18 2020-12-18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040B1 true KR102334040B1 (ko) 2021-12-01

Family

ID=7889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440A KR102334040B1 (ko) 2020-12-18 2020-12-18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04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5042A (ja) * 2006-05-25 2007-12-06 Inax Corp 自動水栓装置
JP2009079432A (ja) * 2007-09-27 2009-04-16 Toto Ltd 水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22012A (ja) * 2010-02-02 2015-12-10 チュン−チア チェン、 非接触式自動水栓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175723B2 (ja) * 2012-12-19 2017-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栓装置
KR20190021911A (ko) 2017-08-24 2019-03-06 이성선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
KR20200009268A (ko) * 2018-07-18 2020-01-3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쳐 센서를 이용한 수전장치
JP6715199B2 (ja) * 2017-02-20 2020-07-01 Sanei株式会社 水栓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水栓
CN111692379A (zh) * 2014-09-16 2020-09-22 夏立军 一种用于处理废料的系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5042A (ja) * 2006-05-25 2007-12-06 Inax Corp 自動水栓装置
JP2009079432A (ja) * 2007-09-27 2009-04-16 Toto Ltd 水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22012A (ja) * 2010-02-02 2015-12-10 チュン−チア チェン、 非接触式自動水栓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175723B2 (ja) * 2012-12-19 2017-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栓装置
CN111692379A (zh) * 2014-09-16 2020-09-22 夏立军 一种用于处理废料的系统
JP6715199B2 (ja) * 2017-02-20 2020-07-01 Sanei株式会社 水栓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水栓
KR20190021911A (ko) 2017-08-24 2019-03-06 이성선 샤워기능을 갖는 혼합수전장치
KR20200009268A (ko) * 2018-07-18 2020-01-3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스쳐 센서를 이용한 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875B1 (en) Water temperature and pressure control system
WO2012001683A2 (en) System for saving the initial water consumption while taking a shower
KR102334040B1 (ko) 수전 샤워기 제어 시스템
US8863774B2 (en) Water flow controller for faucet
KR200459104Y1 (ko) 자동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수도장치
KR20160074935A (ko) 유량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난방제어시스템
TW576902B (en) Pressure reducing device, cold/hot water supply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electing pressure reducing device to be used for the system
WO2023155351A1 (zh) 一种手动和感应一体式厨房水龙头及控制方法
CA3059238C (en) Automated shower water saving device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JPH10338951A (ja) 水栓装置
JP2715058B2 (ja) 降雨システム
KR100727594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유량 조절 장치
KR200235936Y1 (ko) 자동수전의온/냉수혼합조절장치및이를이용한급수제어시스템
JP3471985B2 (ja) 給湯システム
KR200398102Y1 (ko) 물 절약형 보일러
KR20200137488A (ko) 수전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수전
JP4652963B2 (ja) 自動水栓
ITBS20090041A1 (it) Sistema termostatico a controllo elettronico per la miscelazione di acqua calda e fredda
JP3149590B2 (ja) 吐水装置
GB1565649A (en) Stop tap incorporating a flow meter
JP4417650B2 (ja) 混合水栓装置
JP2554393Y2 (ja) 過大流量防止システム
JP2000266233A (ja) 流量制御弁の漏れ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180454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