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406B1 -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406B1
KR102333406B1 KR1020200071332A KR20200071332A KR102333406B1 KR 102333406 B1 KR102333406 B1 KR 102333406B1 KR 1020200071332 A KR1020200071332 A KR 1020200071332A KR 20200071332 A KR20200071332 A KR 20200071332A KR 102333406 B1 KR102333406 B1 KR 10233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isplay unit
message
user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894A (ko
Inventor
황상식
Original Assignee
(주)솔루션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루션뱅크 filed Critical (주)솔루션뱅크
Publication of KR20210117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exhibiting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pictures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2Message structure or message content, e.g. message protoc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탑재한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로커의 사용여부, 회원에 대한 개별 메시지, 분실 메시지 및 소지품 보관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탑재한 표시부와, 본체 내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로킹 장치를 구비하고 로커룸에 다수 설치되는 로커;
상기 로커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관리하고 상기 로커의 사용 여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며, 회원이 표시부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회원의 개별 메시지를 해당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로커의 사용자가 개인의 인적정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회원 개인의 특정 정보나 다른 회원에게 전할 메시지(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er Access Based Lock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탑재한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로커의 사용여부, 회원에 대한 개별 메시지, 분실 메시지 및 소지품 보관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국민 스포츠가 활성화되면서, 지역사회에서 스포츠 센터, 실내 수영장, 헬스클럽, 피트니스 센터 등이 급속히 생겨나고 있으며, 일반 형태의 목욕탕을 비롯한 사우나, 찜질방 등 다양한 형태의 건강 증진을 위한 시설들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욕탕, 헬스장, 수영장, 사우나 등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로커(Locker)가 운용된다.
이러한 로커들은 다수의 불특정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소 등에 주로 설치되어 운용되고, 로커에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물품이 보관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로커에는 물품이 도난 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난 등의 불미스러운 일을 방지하기 위한 로커 관리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예를 들어 자물쇠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 자물쇠를 개폐시킬 수 있는 열쇠를 로커 사용자가 보관하는 것이다.
더욱 개선된 한 형태로서, 열쇠가 필요 없는 번호 자물쇠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로커가 있고, 또 다른 형태로서 패스워드를 이용한 로커 관리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대중시설들을 운영하는 운영자들에게 있어, 개개의 로커 사용관계를 포함한 로커의 관리에 있어서 도난 사고 예방 및 도난 사고의 발생 후 녹화 기록을 통해 절도자를 찾기 위한 방안으로 CCTV를 설치하기를 희망하지만, 개인의 인권이나 사생활 보호차원에서 공중위생관리법시행규칙의 개정으로 CCTV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로커의 이용을 마친 이용자가 지갑이나 다른 소지품을 사용한 로커에 두고 퇴실할 수 있어 분실 가능성이 크며 해당 로커의 다음 이용자는 분실 사고의 의심의 대상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770542호(2007년10월2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공시설의 로커룸 사용자들에게 빈 로커를 정확하게 안내하여 로커의 이용률과 관리자 없이 로커룸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커 내에 소지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해서 관리서버에 통지하여 관리자가 따로 관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로커나 카운터의 이용시 분실 메시지를 출력하여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카운터나 키오스크 등을 통해 회원 등록과 결제 및 정보 입력을 수행하며, 로커나 키오스크 이용시 해당 사용자의 맞춤형 개별 메시지를 로커의 표시부나 키오스크 등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면서 회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은,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탑재한 표시부와, 본체 내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로킹 장치를 구비하고 로커룸에 다수 설치되는 로커;
상기 로커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관리하고 상기 로커의 사용 여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며, 회원이 표시부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회원의 개별 메시지를 해당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로커의 사용자가 개인의 인적정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회원 개인의 특정 정보나 다른 회원에게 전할 메시지(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되고 현재 로킹 장치가 잠김 상태에서 로커 내에 물체(내용물)가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내용물이 유실물인지 판단하여 유실물인 경우 해당 로커 사용자와 유실물을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회원이 로커나 키오스크를 이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로커의 표시부나 키오스크를 통해 분실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유실물이 아닌 소지품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로커의 표시부에 일정시간 사용중인 것으로 표시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지품 보관 사실을 관리자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커에 로커의 사용 여부와 회원의 개별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에 로커의 사용 여부를 점등하는 색깔로 구분하는 다수의 LE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방법은, (a) 로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통해 개인의 인적정보와, 로커나 키오스크 이용시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통해 회비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c) 관리 서버에서 로커에 대한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중이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d) 회원이 사용가능 메시지가 출력된 로커에 접근해서 표시부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e) 상기 관리 서버에서 해당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환영 메시지와, 회원에 대한 개별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f) 상기 관리 서버에서 로킹 장치의 잠김을 해제하여 로커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g) 상기 (f)단계 이후에 회원이 로커를 사용하여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관리 서버에서 도어의 로킹 장치가 잠김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h) 상기 로킹 장치가 잠김 상태에서 감지 센서에서 로커 내의 물체(내용물)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관리 서버에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내용물이 유실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i) 상기 관리 서버에서 유실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로커의 회원(사용자)과 유실물을 확인하여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j) 해당 로커의 사용자가 로커나 키오스크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분실 메시지를 로커의 표시부나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k) 상기 (i)단계에서 그 내용물이 유실물이 아닌 것(소지품)으로 판단한 경우, 관리 서버에서 해당 로커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중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l) 상기 사용중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지품 보관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소지품 회원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다른 로커의 표시부나 키오스크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공공시설의 로커룸 사용자들에게 빈 로커를 정확하게 안내하여 로커의 이용률과 관리자 없이 로커룸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커 내에 소지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해서 관리서버에 통지하여 관리자가 따로 관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로커나 카운터의 이용시 분실 메시지를 출력하여 분실이나 도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카운터나 키오스크 등을 통해 회원 등록과 결제 및 정보 입력을 수행하며, 로커나 키오스크 이용시 해당 사용자의 맞춤형 개별 메시지를 로커의 표시부나 키오스크 등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주면서 회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로커 단말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커 내의 물체(내용물) 감지시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로커 단말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은 키오스크(150), 관리 서버(100), 관리자 단말(300) 및 다수의 로커 (200a,200b,…,200n)(이하 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 서버(100)에 키오스크(150), 관리자 단말(300) 및 로커(200)의 각 구성부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로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센서(210), 로킹 장치(220), 표시부(230) 및 스피커(24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키오스크(150)는 목욕탕, 헬스장, 수영장, 사우나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메모리, 터치스크린과 사운드카드, 그래픽카드, 통신모듈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공공시설 사용자는 상기 키오스크(150)나 카운터를 통해 개인의 인적정보(성명, 전화번호 등)와, 로커(200)나 키오스크(150) 사용시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공공시설에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는 키오스크(150)를 통해 회비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고, 회원 개인의 특정 정보(예를 들어 예비납부일 D-day 카운터, 개인적인 계획일자 및 내용)나 다른 회원에게 전할 메시지(메모)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키오스크(150)는 회원의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회원의 정보 입력 수단을 제공하며 회원 개개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중인 로커의 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키오스크(150)에 등록한 자기 이름(성명)이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키오스크(150)에서 해당 회원이 현재 사용중인 로커의 번호를 출력하여 회원이 이를 확인해서 자신의 로커를 찾을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00)는 예를 들어 공공시설의 카운터에 구비되는 것으로, 입력수단, 출력수단, 메모리, 통신모듈 등을 구비하고, 공공시설 회원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예를 들어 회원 등록과 탈퇴 등)을 관리한다.
또한, 로커(200)의 이용과 관련하여 회원의 유실물 유무를 판단하고, 유실물로 판단한 경우 관리자 단말(300)에 유실물 관련 메시지를 전달하여 유실물을 수거할 수 있게 하며, 해당 회원의 것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넘버링 등의 표시정보를 제공하고,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하여 회원이 로커(200) 또는 키오스크(150)의 이용시에 분실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로커(200)는 로커룸의 각 로커 전면에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탑재한 표시부(230)와,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240)를 구비한다.
또한, 도어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본체 내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210)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한 로킹 장치(220)가 구비된다.
상기 로커(200)에 구비된 구성(감지 센서, 로킹 장치, 표시부, 스피커)은 관리 서버(100)에 연결된다.
상기 감지 센서(210)는 로커(200) 내부의 물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관리 서버(100)에 출력하고, 상기 로킹 장치(220)는 관리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잠김 상태를 유지하거나 잠김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상기 로커(200)의 사용 여부에 따라 관리 서버(20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30)를 통해 '사용가능'이나 '사용중'이란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표시부(230)로 다수의 LED를 구비하여 '사용중'에는 적색 LED를, '사용가능'에는 청색 LED를 점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중 메시지가 표시부(230)에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패널 기능의 표시부(230)를 처음 터치하는 경우 표시부(230)에 지금 현재 사용중인 회원(사용자)의 이름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름이 출력되지 않은 회원(로커를 잘못 찾은 회원)은 비밀번호 입력 과정없이 자신이 사용중인 다른 로커를 찾을 수 있고, 이름이 출력된 회원은 자신이 사용중인 로커를 확신하고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240)를 통해 '사용가능'이나 '사용중'이란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는 로커(20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사용가능한 것으로 확인한 로커(200)에 접근하여 터치패널 기능이 있는 표시부(23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관리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230)에 환영 메시지를 텍스트로 디스플레이하고, 스피커(240)를 통해 환영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의 제어에 의해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개별 메시지(예를 들어 결제일자 안내, 헬스장 강사의 지시사항, 다른 회원이 키오스크를 통해 남긴 메시지,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 등)를 표시부(230)나 스피커(240)를 통해 출력한다.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되고 현재 도어는 닫힌 상태임에도 로커 내에 물체(내용물)가 감지 센서(210)에 의해 감지되어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관리 서버(100)는 그 내용물이 유실물인지 판단하여 유실물인 경우 해당 로커 사용자와 유실물에 대해 관리자 단말(300)에 전달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확인하게 하고, 해당 회원의 유실물을 관리자가 수거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회원이 로커(200)나 키오스크(150)를 이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나 키오스크(150)를 통해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 서버(100)는 감지 센서(210)에서 감지한 물체(내용물)가 유실물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 - 회원의 소지품으로 판단한 경우 -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에 일정시간 사용중인 것으로 표시하여 다른 회원이 로커(200)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회원이 소지품을 찾아가지 않아 물체의 감지 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면 관리자 단말(300)에 이 사실을 전달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소지품 보관 메시지를 생성하여 로커(200)의 표시부(230)나 키오스크(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공공시설의 관리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관리 서버(2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메시지(예를 들어 분실 메시지)를 전달받아 관리자가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공공시설(예를 들어 헬스장)을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키오스크(150)나 카운터를 통해 개인의 인적정보와, 로커(200)나 키오스크(150) 등의 이용시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공공시설에 회원으로 등록한다(S302).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키오스크(150)를 통해 회비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S304).
상기 인적정보와 비밀번호, 결제정보는 관리 서버(10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관리 서버(100)는 로커룸의 각 로커(200)에 대한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S360), 사용중이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와 스피커(240)를 통해 사용가능 메시지를 텍스트(디스플레이)나 점등(청색 LED)과 소리를 통해 출력한다(S308).
회원이 사용가능 메시지가 출력된 로커(200)를 확인하여 해당 로커(200)에 접근해서 표시부(230)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 비밀번호가 관리 서버(100)에 전송된다(S310).
상기 관리 서버(100)는 비밀번호로 정당한 회원임을 판단하고 정당한 회원인 경우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와 스피커(240)를 통해 환영 메시지를 출력한다(S312).
다음 관리 서버(100)는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와 스피커(240)를 통해 회원에 대한 개별 메시지(예를 들어 결제일자 안내, 강사의 지시사항, 다른 회원이 키오스크를 통해 남긴 메시지)를 출력하고(S314), 회원이 이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관리 서버(100)는 로킹 장치(220)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개방함으로써 회원이 로커(2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S306단계에서 로커(200)가 사용중인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와 스피커(240)를 통해 사용중 메시지를 텍스트(디스플레이)나 점등(적색 LED)과 소리를 통해 출력한다(S31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커 내의 물체(내용물) 감지시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회원이 로커(200)를 사용하여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관리 서버(100)는 도어의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인지 확인한다(S402).
상기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에서 감지 센서(210)는 로커(200) 내의 물체(내용물)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S404).
상기 관리 서버(100)는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되고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에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내용물이 유실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406).
상기 관리 서버(100)는 유실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로커의 회원(사용자)과 유실물을 확인하여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한다(S408).
해당 로커의 사용자가 키오스크(150)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 분실 메시지를 키오스크(150)를 통해 출력한다(S410).
상기 관리 서버(100)는 S408단계에서 해당 로커의 회원(사용자)과 유실물을 확인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300)에 전달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해당 회원의 유실물을 관리자가 수거하여 보관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100)는 S410단계에서 로커(200)를 사용하기 위하여 표시부(230)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분실 메시지를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402단계에서 관리 서버(100)는 도어의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S412) 로킹 장치 열림 알림 메시지를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와 스피커(240)를 통해 출력한다(S414).
이를 통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로커(200)에 물체(내용물)를 넣고 도어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 헬스장과 같은 공공시설을 이용하려고 하는 사용자에게 로커 장치 열림 사실을 알려 도어를 잠그게 함으로써 분실이나 도난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S406단계에서 그 내용물이 유실물이 아닌 것(소지품)으로 판단한 경우, 관리 서버(100)는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사용중 메시지를 출력하여 다른 회원이 해당 로커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S416).
상기 사용중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S418) 후에, 소지품 회원이 해당 로커를 이용하지 않아 소지품을 찾아가지 않는 경우 소지품 보관 메시지를 생성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다른 로커(200)의 표시부(230)나 키오스크(150)를 통해 출력한다(S420).
또한, 상기 S418단계에서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300)에 소지품 보관 메시지를 전달하여 관리자가 조치를 취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관리 서버 150: 키오스크
200: 로커 210: 감지 센서
220: 로킹 장치 230: 표시부
240: 스피커 300: 관리자 단말

Claims (8)

  1.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패널 기능을 탑재한 표시부(230)와, 본체 내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210)와, 도어의 개폐를 위한 로킹 장치(220)를 구비하고 로커룸에 다수 설치되는 로커(200);
    상기 로커(200)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관리하고 상기 로커의 사용 여부를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하며, 회원이 표시부(230)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회원의 개별 메시지를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 서버(100); 및
    상기 관리 서버(100)와 연결되어 로커의 사용자가 개인의 인적정보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회원 개인의 특정 정보나 다른 회원에게 전할 메시지(메모)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150); 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 서버(100)는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되고 현재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에서 로커(200) 내에 물체(내용물)가 감지 센서(210)에 의해 감지되어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내용물이 유실물인지 판단하여 유실물인 경우 해당 로커 사용자와 유실물을 확인하여 관리자 단말(300)에 전달하고,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회원이 로커(200)나 키오스크(150)를 이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로커의 표시부나 키오스크를 통해 분실 메시지를 출력하며, 상기 유실물이 아닌 소지품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에 일정시간 사용중인 것으로 표시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지품 보관 사실을 관리자 단말(300)에 전달하며,
    상기 로커(200)의 표시부(230)에 사용중 메시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패널 기능의 표시부(230)를 처음 터치하는 경우 표시부(230)에 현재 사용중인 회원(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200)에 로커의 사용 여부와 회원의 개별 메시지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2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230)에 로커의 사용 여부를 점등하는 색깔로 구분하는 다수의 LE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6. (a) 로커(200)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키오스크(150)를 통해 개인의 인적정보와, 로커(200)나 키오스크(150) 이용시 필요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가 키오스크(150)를 통해 회비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c) 관리 서버(100)에서 로커(200)에 대한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중이 아닌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사용가능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d) 회원이 사용가능 메시지가 출력된 로커(200)에 접근해서 표시부(230)의 터치패널 기능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e) 상기 관리 서버(100)에서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환영 메시지와, 회원에 대한 개별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f) 상기 관리 서버(100)에서 로킹 장치(220)의 잠김을 해제하여 로커(200)의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g) 상기 회원이 로커(200)를 사용하여 도어가 2회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 관리 서버(100)에서 도어의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h) 상기 로킹 장치(220)가 잠김 상태에서 감지 센서(210)에서 로커(200) 내의 물체(내용물)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관리 서버(100)에서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그 내용물이 유실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i) 상기 관리 서버(100)에서 유실물로 판단한 경우 해당 로커(200)의 회원(사용자)과 유실물을 확인하여 유실물을 카운터에 문의하라는 분실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j) 해당 로커(200)의 사용자가 로커(200)나 키오스크(150)를 사용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한 경우 상기 분실 메시지를 로커(200)의 표시부(230)나 키오스크(15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k) 상기 내용물이 유실물이 아닌 것(소지품)으로 판단한 경우, 관리 서버(100)에서 해당 로커(200)의 표시부(230)를 통해 사용중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l) 상기 사용중 메시지를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지품 보관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소지품 회원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다른 로커(200)의 표시부(230)나 키오스크(15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로커(200)의 표시부(230)에 사용중 메시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터치패널 기능의 표시부(230)를 처음 터치하는 경우 표시부(230)에 현재 사용중인 회원(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00071332A 2020-02-25 2020-06-12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333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2662 2020-02-25
KR1020200022662 2020-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94A KR20210117894A (ko) 2021-09-29
KR102333406B1 true KR102333406B1 (ko) 2021-12-14

Family

ID=7792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332A KR102333406B1 (ko) 2020-02-25 2020-06-12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4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328B1 (ko) * 2019-04-17 2019-10-11 주식회사 케이밴드 키오스크를 이용한 무인 독서실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3051A (ja) * 1995-03-28 1996-10-18 Daikoku Denki Co Ltd ロッカー
KR100770542B1 (ko) 2006-06-21 2007-10-25 박성국 라커룸 관리 시스템
KR102207248B1 (ko) * 2017-11-30 2021-01-25 (주)솔루션뱅크 로커의 이용상태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328B1 (ko) * 2019-04-17 2019-10-11 주식회사 케이밴드 키오스크를 이용한 무인 독서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894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802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ccelerated recognition and processing of personal privilege operative for controlling large closed group environments
US2004002155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oor lock
CN101354798A (zh) 一种酒店指纹管理系统及其工作方法
WO2008050765A1 (fr) Système d'authentification individuelle
US99781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lining guest entry into a building
KR20160050841A (ko) 출입 관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5513234B2 (ja) 入場者管理装置
Meenakshi et al. Arduino based smart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JP2011038329A (ja) 生体特徴認証機能付集合ロッカー
CN104574694A (zh) 一种atm机辅助安全装置及其防护措施的实现方法
JP2017215737A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KR101340148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2333406B1 (ko) 사용자 액세스 기반 로커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04262619A (ja) エレベータを備えたビルディングのサービス装置
JP2003256583A (ja) ホテルシステム
JP2004211538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5127971B1 (ja) 身体障害者用福祉車両識別駐車場システム
JP4669693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JP2002236986A (ja) 警備システム
JP2006107308A (ja) 出口管理に係わる方法、管理装置、システム、及び情報読取装置
JP2004265007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204876B1 (ko) 지정맥과 부가 인증수단을 이용한 공공장소 잠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70542B1 (ko) 라커룸 관리 시스템
JP4132418B2 (ja) 出入管理システム、カード管理装置および鍵管理装置
JP4346805B2 (ja) 通行規制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