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772B1 - 도금장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도금장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772B1
KR102332772B1 KR1020210064223A KR20210064223A KR102332772B1 KR 102332772 B1 KR102332772 B1 KR 102332772B1 KR 1020210064223 A KR1020210064223 A KR 1020210064223A KR 20210064223 A KR20210064223 A KR 20210064223A KR 102332772 B1 KR102332772 B1 KR 10233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lamping part
fixed clamping
contact
pla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씨이
Priority to KR1020210064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772B1/ko
Priority to CN202123169267.8U priority patent/CN216550793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에서 도금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기판 등의 피도금물을 파지하여 피도금물에 도금을 위한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 피도금물의 후면과 접하게 되는 후방접촉부를 갖는 고정클램핑부;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하단에 피도금물의 전면과 접하게 되는 전방접촉부를 갖는 가동클램핑부; 상기 고정클램핑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클램프브래킷; 전단이 상기 가동클램핑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고정클램핑부를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브래킷에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을 상기 클램프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클램프회전축;을 포함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금장치용 클램프{Clamp for pla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도금장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에서 도금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기판 등의 피도금물을 파지하여 피도금물에 도금을 위한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금장치용 클램프가 개시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7848호(2018.11.06. 등록) "석션 도금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고 함)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적어도 탕세부, 수세부 및 산성탈지부로 이루어진 전처리공정과, 도금공정과, 적어도 수세부 및 건조부로 이루어진 후처리공정을 구비하는 석션 도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금공정을 실행하는 도금부는, 워크를 도금하기 위한 도금액이 수용된 도금조와, 상기 워크의 상단을 유지하고 워크에 통전하기 위한 복수의 클립과, 당해 복수의 클립을 상기 도금조를 따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도금조에 도금액을 순환시키는 순환부에 의해 적어도 구성되고, 상기 워크는 상기 클립의 이동방향에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클립이 워크 상단을 유지하고, 상기 클립의 워크를 유지하는 선단부의 워크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소정의 범위에서 절연처리 되고, 상기 클립의 절연처리된 소정의 범위를 워크와 함께, 상기 도금조의 도금액 중에 침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워크와 클립 간에 발생하는 접촉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어 효율적인 도금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 1에 개시된 구조의 클램프(클립)는 워크를 파지하게 되는 부분인 전극부가 클램프의 회동지점에 대하여 직하방에 배치됨에 따라, 클램프의 개방시 상기 전극부가 수평방향으로의 변위는 큰 반면 상방으로의 변위는 미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를 이용한 워크의 고정시 클램프가 개방된 상태에서 워크가 클램프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송되며 클램프의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반대로 클램프가 워크 측으로 하강하면서 워크를 고정해야 함으로써, 클램프를 하강시키거나 워크를 상승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거나, 선행기술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가 도립(倒立)된 상태로 회수되도록 컨베이어를 구성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도금장치용 클램프가 개시된 다른 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9803호(2012.06.29. 공개)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고 함)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기판이 권취되어 있는 풀림롤과; 상기 풀림롤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기판을 권취하는 권취롤과; 상기 풀림롤에서 인출된 상기 기판이 상기 권취롤로 이동하면서 도금되는 도금조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도금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기판을 상기 풀림롤에서 권취롤로 이동시키는 폐곡선형상의 컨베이어와; 상기 기판의 상부를 잡고 있고, 상기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와 함께 이동하는 다수개의 클램프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일단에 접하여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내측타단에 접하여 상기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체로 이루어진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부가 상기 컨베이어에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기판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중심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접촉부와 접하는 제2접촉부가 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시 상기 가압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제1접촉부에 대해 벌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부재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클램프는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벌어지고, 그 사이로 상기 기판이 배치되거나 인출된 후, 상기 클램프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호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클램프가 연속적으로 인출되는 기판을 자동으로 잡고 이동시켜 도금한 후 기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공정을 이룰 수 있게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 2에 개시된 클램프는 기판을 파지하는 부분이 클램프의 회전축에 대하여 직하방에 배치된 구조이나, 제2접촉부가 큰 각도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제2접촉부의 하단이 높은 위치로 상승되게 하며, 이렇게 상승된 높이만큼의 공간을 통해 클램프가 기판의 측방에서 이동하여 기판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클램프의 회전각도를 크게 하여 제2접촉부의 하단이 높은 위치로 상승되게 하기 위해서는 클램프를 개방을 위해 가압부에 큰 압력이 오랫동안 가해져야 함으로써 클램프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아울러, 선행기술 2에 의하면 클램프의 개방시 절곡부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가압롤러가 점차 상승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가압롤러의 하측 모서리부분이 가이드부재와 마찰됨으로써 가압롤러 및 가이드부재가 손상되고, 마찰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917848호(2018.11.06. 등록)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9803호(2012.06.2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램프가 개방시 상방으로의 변위량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클램프가 피도금물의 측방에서 이동하여 피도금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되 클램프가 더욱 원활하고 정숙하게 개폐 동작할 수 있도록 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하단에 피도금물의 후면과 접하게 되는 후방접촉부를 갖는 고정클램핑부;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하단에 피도금물의 전면과 접하게 되는 전방접촉부를 갖는 가동클램핑부; 상기 고정클램핑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클램프브래킷; 전단이 상기 가동클램핑부의 상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고정클램핑부를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브래킷에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후단을 상기 클램프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클램프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동클램핑부의 전방접촉부는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클램프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후방접촉부의 전방 상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상방 돌출되게 설치된 레버부; 및 상기 가동클램핑부의 상측에 상기 고정클램핑부를 관통하여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레버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진퇴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클램핑부가 상기 고정클램핑부에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상기 가압부의 전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면 중앙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이 구비된 볼트랜스퍼; 및 상기 볼트랜스퍼와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가압부에 끼워진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의 후퇴 동작에 의해 압축변형 되었다가 가압부를 전진 동작시키게 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클램핑부에는 상기 가압부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테플론 재질의 부싱이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과 상기 부싱의 사이에는 부싱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하는 유동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상기 고정클램핑부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롤러브래킷; 상기 롤러브래킷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된 롤러회전축; 및 상기 롤러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상기 고정클램핑부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도금장치의 클램프 이송레일에 매달리어 이송레일에 공급된 전류를 상기 고정클램핑부에 전달하는 통전행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전행거부는, 상기 고정클램핑부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결합부와의 사이에 이송레일의 상단이 진입하게 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는 걸림부, 그리고 상기 공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레일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이송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상기 통전행거부와 결합되어 도금장치의 부스바에 공급된 전류를 통전행거부에 전달하는 보조통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통전부는, 후부가 상기 통전행거부에 결합되고 전부가 통전행거부의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 일측이 상기 고정부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부스바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접촉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접촉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부의 타측이 부스바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촉부의 타측을 부스바 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는, 클램프회전축이 고정클램핑부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클램프의 개방시 가동클램핑부의 회전 각도가 크지 않더라도 가동클램핑부의 전방접촉부가 상방으로 크게 변위될 수 있으며, 따라서 클램프가 피도금물의 측방에서 이동하여 피도금물을 파지할 수 있되 클램프가 더욱 원활하고 정숙하게 개폐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정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측단면도로서 클램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측단면도로서 클램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가 클램프 이송용 체인을 따라 다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가 롤투롤 방식으로 이송되는 피도금물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정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후면, 측면 및 상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측단면도로서 클램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의 측단면도로서 클램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가 클램프 이송용 체인을 따라 다수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가 롤투롤 방식으로 이송되는 피도금물을 파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C)는 크게 고정클램핑부(100), 가동클램핑부(200), 클램프브래킷(300), 연결부(400), 클램프회전축(500), 레버부(600), 가압부(700), 볼트랜스퍼(800), 코일스프링(900), 지지수단(1000), 통전행거부(1100), 보조통전부(1200) 및 체인결합부(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램핑부(100)는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와 함께 기판 등의 피도금물(10, 도 4 및 도 6 참조)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로 기다랗게 연장된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하단에는 피도금물(10)의 상단 후면과 접하게 되는 후방접촉부(1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동클램핑부(20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보다 짧은 상하 길이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클램핑부(1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하단에는 피도금물(10)의 상단 전면과 접하게 되는 전방접촉부(210)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접촉부(110)와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와 가동클램핑부(200)의 하단에는 절연피복(150)(22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절연피복(150)(220)은 상기 후방접촉부(110)의 전면과 상기 전방접촉부(210)의 후면이 노출되도록 고정클램핑부(100)와 가동클램핑부(200)의 하단을 감싸게 된다.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접촉부(110)는 둘 이상의 것이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클램핑부(100)의 하면은 각 후방접촉부(110)의 사이 부분이 상방으로 요입됨으로써 각 후방접촉부(110)의 사이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전방접촉부(210)도 둘 이상의 것이 상호 좌우로 이격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동클램핑부(200)의 하면 또한 각 전방접촉부(210)의 사이 부분이 상방으로 요입됨으로써 각 전방접촉부(210)의 사이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각각 복수의 전방접촉부(210) 및 후방접촉부(110)에 의해 피도금물(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각 전방접촉부(210)의 사이와 각 후방접촉부(110)의 사이가 개방됨으로써 고정클램핑부(100)와 가동클램핑부(200)에 의해 피도금물(10)이 가려지게 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클램프(C)가 피도금물(10)을 가림으로써 발생하는 도금 두께의 불균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브래킷(300)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연결부(400)와 클램프회전축(5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와 클램프브래킷(30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단이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상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클램프브래킷(30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고정클램핑부(100)에는 연결부(400)가 통과하여 상하로 유동될 수 있게 하는 개구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회전축(500)은 상기 연결부(400)의 후단을 상기 클램프브래킷(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클램프회전축(500)은 클램프(C)의 개폐 동작시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회전축이 된다.
상기 레버부(60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400)에 상방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부(600)는 상기 가압부(700)와 상기 연결부(4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부(400) 및 가동클램핑부(200)가 가압부(700)의 후퇴 동작에 의해 상기 클램프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부(700)는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상측에 상기 고정클램핑부(100)를 관통하여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700)는 그 후단이 상기 레버부(6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700)는 진퇴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부(6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클램핑부(200)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700)가 원활하게 진퇴 동작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는 상기 가압부(700)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0)에는 테플론 재질의 부싱(130)이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120)과 상기 부싱(130)의 사이에는 부싱(13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하는 유동공간(140)이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700)는 테플론 재질의 부싱(130)에 삽입되고, 상기 부싱(130)은 상기 가압부(700)의 진퇴 동작시 상기 레버부(600)의 회전에 의한 가압부(70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하로 유동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압부(700)가 원활하게 진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볼트랜스퍼(ball transfer, 800)는 상기 가압부(700)의 전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가압부(700)의 전면에 결합되는 바디(810)와 상기 바디(810)의 전면 중앙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8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랜스퍼(800)는 상기 볼(820)이 도금장치에 설치된 개폐가이드(40, 도 4 및 도 5 참조)와 접촉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압부(700)가 진퇴 동작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가이드(40)는 클램프(C)의 전방에 클램프(C)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며, 전부 및 후부에 상기 볼트랜스퍼(800)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클램프(C)의 이송시 상기 볼트랜스퍼(800)가 개폐가이드(40)를 타고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압부(700)가 진퇴 동작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900)은 상기 볼트랜스퍼(800)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가압부(700)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900)은 상기 가압부(700)의 후퇴 동작에 의해 압축변형 되었다가 가압부(700)가 전진 동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가압부(700)를 전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수단(1000)은 상기 가압부(700)의 후퇴 동작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롤러브래킷(1010); 상기 롤러브래킷(1010)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된 롤러회전축(1020); 및 상기 롤러회전축(10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롤러(10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롤러(1030)를 클램프(C)의 후방에 클램프(C)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지지가이드(50, 도 4 참조))와 접촉하여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지지수단(1000)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압부(700)의 후퇴 동작시 압축 변형되는 상기 코일스프링(900)에 의해 클램프(C)가 흔들리거나 상기 고정클램핑부(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통전행거부(110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1110), 상기 결합부(1110)의 전방에 설치되고 결합부(1110)와의 사이에 도금장치의 클램프 이송레일(20, 도 4 참조)의 상단이 진입하게 되는 공간부(1120)를 형성하게 되는 걸림부(1130), 그리고 상기 공간부(1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이송롤러(1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전행거부(110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 가동클램핑부(200) 등과 함께 전기전도성이 양호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통전행거부(1100)는 도금장치의 클램프 이송레일(20)에 매달리어 이송레일(20)에 공급된 전류를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보조통전부(1200)는 상기 통전행거부(1100)와 결합되어 도금장치의 부스바(30, 도 4 참조)에 공급된 전류를 통전행거부(110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후부가 상기 통전행거부(1100)에 결합되고 전부가 통전행거부(1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1210), 상부가 상기 고정부(12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이 부스바(30)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접촉부(1220), 그리고 상기 고정부(1210)와 접촉부(12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부(1220)의 하면이 부스바(30)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촉부(1220)를 부스바(30) 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토션스프링(1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220)는 상부가 볼트(1240)에 의해 상기 고정부(1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가 클램프(C)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반대쪽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부스바(30)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1230)은 상기 볼트(1240)에 끼워지되 일단이 상기 고정부(1210)에 걸리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접촉부(1220)에 걸리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통전부(1200)에 의하면, 상기 통전행거부(1100)의 이송롤러(1140)와 이송레일(20) 간에 접촉이 원활하게 유지되지 않아 이송레일(20)에서의 전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더라도, 상기 접촉부(1220)가 부스바(30)와 접하여 부스바(30)에 공급된 전류를 상기 통전행거부(1100)에 전달하게 됨으로써 고정클램핑부(100)로 공급되는 전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체인결합부(1300)는 클램프(C)를 클램프 이송용 체인(60, 도 4 및 도 6 참조)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통전행거부(110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체인결합부(1300)는 전기절연성을 갖도록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로 된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인결합부(1300)는 볼트에 의해 상기 통전행거부(1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인결합부(1300)는 후면에 암나사가 형성됨으로써 볼트를 이용하여 체인(60)의 어태치먼트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C)는, 클램프회전축(500)이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클램프(C)의 개방시 가동클램핑부(200)의 회전 각도가 크지 않더라도 가동클램핑부(200)의 전방접촉부(210)가 상방으로 크게 변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클램핑부(200)를 작은 각도로 회전시키더라도 가동클램핑부(200)의 하단이 피도금물(10)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클램프(C)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C)는 피도금물(10)의 측방에서 이동하여 피도금물(10)을 파지할 수 있되 클램프(C)가 더욱 원활하고 정숙하게 개폐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C)는 피도금물(10)을 파지할 때에 피도금물(10)이 클램프(C)의 내측으로 상승 및 하강 동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송 중인 피도금물(10)을 승강 동작시키기 곤란한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의 도금장치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금장치용 클램프(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금물(10)이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이송되는 도금장치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피도금물 20 : 이송레일
30 : 부스바 40 : 개폐가이드
50 : 지지가이드 60 : 체인
100 : 고정클램핑부 110 : 후방접촉부
120 : 관통공 130 : 부싱
140 : 유동공간 150 : 절연피복
160 : 개구부 200 : 가동클램핑부
210 : 전방접촉부 220 : 절연피복
300 : 클램프브래킷 400 : 연결부
500 : 클램프회전축 600 : 레버부
700 : 가압부 800 : 볼트랜스퍼
810 : 바디 820 : 볼
900 : 코일스프링 1000 : 지지수단
1010 : 롤러브래킷 1020 : 롤러회전축
1030 : 지지롤러 1100 : 통전행거부
1110 : 결합부 1120 : 공간부
1130 : 걸림부 1140 : 이송롤러
1200 : 보조통전부 1210 : 고정부
1220 : 접촉부 1230 : 토션스프링
1240 : 볼트 1300 : 체인결합부

Claims (8)

  1. 하단에 피도금물(10)의 후면과 접하게 되는 후방접촉부(110)를 갖는 고정클램핑부(100);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하단에 피도금물(10)의 전면과 접하게 되는 전방접촉부(210)를 갖는 가동클램핑부(200);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클램프브래킷(300);
    전단이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상단에 연결되고, 후단이 상기 고정클램핑부(100)를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브래킷(300)에 연결된 연결부(400);
    상기 연결부(400)의 후단을 상기 클램프브래킷(3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클램프회전축(500);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400)에 상방 돌출되게 설치된 레버부(600); 및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상측에 상기 고정클램핑부(100)를 관통하여 진퇴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레버부(6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진퇴 동작에 의해 상기 레버부(60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클램핑부(200)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서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하는 가압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동클램핑부(200)의 전방접촉부(21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클램프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후방접촉부(110)의 전방 상측으로 벌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700)의 전단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면 중앙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이 구비된 볼트랜스퍼(800); 및
    상기 볼트랜스퍼(800)와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가압부(700)에 끼워진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700)의 후퇴 동작에 의해 압축변형 되었다가 가압부(700)를 전진 동작시키게 되는 코일스프링(9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는 상기 가압부(700)가 통과하게 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0)에는 테플론 재질의 부싱(130)이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120)과 상기 부싱(130)의 사이에는 부싱(130)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하는 유동공간(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롤러브래킷(1010);
    상기 롤러브래킷(1010)에 상하로 연장되게 설치된 롤러회전축(1020); 및
    상기 롤러회전축(10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롤러(10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도금장치의 클램프 이송레일(20)에 매달리어 이송레일(20)에 공급된 전류를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에 전달하는 통전행거부(1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전행거부(1100)는, 상기 고정클램핑부(100)와 결합되는 결합부(1110), 상기 결합부(1110)의 전방에 설치되고 결합부(1110)와의 사이에 이송레일(20)의 상단이 진입하게 되는 공간부(1120)를 형성하게 되는 걸림부(1130), 그리고 상기 공간부(1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레일(20)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이송롤러(1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행거부(1100)와 결합되어 도금장치의 부스바(30)에 공급된 전류를 통전행거부(1100)에 전달하는 보조통전부(1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통전부(1200)는, 후부가 상기 통전행거부(1100)에 결합되고 전부가 통전행거부(1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1210), 일측이 상기 고정부(12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부스바(30)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접촉부(1220), 그리고 상기 고정부(1210)와 접촉부(12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접촉부(1220)의 타측이 부스바(30)와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촉부(1220)의 타측을 부스바(30) 측으로 가압하게 되는 토션스프링(1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도금물(10)이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이송되는 도금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장치용 클램프.
  8. 삭제
KR1020210064223A 2021-05-18 2021-05-18 도금장치용 클램프 KR10233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23A KR102332772B1 (ko) 2021-05-18 2021-05-18 도금장치용 클램프
CN202123169267.8U CN216550793U (zh) 2021-05-18 2021-12-16 电镀装置用夹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23A KR102332772B1 (ko) 2021-05-18 2021-05-18 도금장치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772B1 true KR102332772B1 (ko) 2021-12-01

Family

ID=7890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23A KR102332772B1 (ko) 2021-05-18 2021-05-18 도금장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32772B1 (ko)
CN (1) CN21655079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364A1 (en) * 2022-01-03 2023-07-05 Atotech Deutschland GmbH & Co. KG Device for gripping a workpie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and conveying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device
KR102619013B1 (ko) * 2023-08-11 2023-12-27 차태웅 도금장치용 원터치 클램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691A (ja) * 1993-04-26 1994-11-01 Chuo Seisakusho Ltd めっき用ハンガーのクランパ開閉装置
JPH10168600A (ja) * 1996-12-09 1998-06-23 Marunaka Kogyo Kk 電気めっき処理装置のワーク支持具
KR20120069803A (ko) 2010-12-21 2012-06-29 (주)포인텍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
KR20140028858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 장치
KR101917848B1 (ko) 2015-07-29 2018-11-12 에어리어 디자인 컴퍼니 리미티드 석션 도금장치
KR20200043664A (ko) * 2018-10-18 2020-04-28 (주)네오피엠씨 기판 전개형 수직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691A (ja) * 1993-04-26 1994-11-01 Chuo Seisakusho Ltd めっき用ハンガーのクランパ開閉装置
JPH10168600A (ja) * 1996-12-09 1998-06-23 Marunaka Kogyo Kk 電気めっき処理装置のワーク支持具
KR20120069803A (ko) 2010-12-21 2012-06-29 (주)포인텍 수직 연속형 도금장치
KR20140028858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전기주식회사 도금 장치
KR101917848B1 (ko) 2015-07-29 2018-11-12 에어리어 디자인 컴퍼니 리미티드 석션 도금장치
KR20200043664A (ko) * 2018-10-18 2020-04-28 (주)네오피엠씨 기판 전개형 수직 도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364A1 (en) * 2022-01-03 2023-07-05 Atotech Deutschland GmbH & Co. KG Device for gripping a workpie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and conveying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device
WO2023126333A1 (en) 2022-01-03 2023-07-06 Atotech Deutschland GmbH & Co. KG Device for gripping a workpie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and conveying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surface treatment comprising at least one such device
KR102619013B1 (ko) * 2023-08-11 2023-12-27 차태웅 도금장치용 원터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550793U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2772B1 (ko) 도금장치용 클램프
WO2018000779A1 (zh) 一种电镀夹导电式卷对卷垂直连续电镀设备
TWI598472B (zh) 鍍敷裝置
TWI750378B (zh) 搬運支架及使用該搬運支架的表面處理裝置
US20180347064A1 (en) Substrate holder reception apparatus
CN109804108B (zh) 工件保持夹具和表面处理装置
JP2002531699A (ja) インライン式めっき用設備
CN112210814A (zh) 夹子水平循环连续移动式镀敷装置
KR100972205B1 (ko) 도금용 랙 어셈블리
JP5419386B2 (ja) めっき処理用ワーク保持治具及びワーク搬送装置
KR102164883B1 (ko) 기판 전개형 수직 도금장치
JPH0125838B2 (ko)
US2387160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KR102406773B1 (ko) 수직 연속형 도금설비
KR102380767B1 (ko) 도금용 행거의 클램핑 이송장치
JP6469168B2 (ja) 水平搬送メッキ処理装置における板状被処理物のクランプ治具
CN213295553U (zh) 一种转移装置、配合结构及电镀系统
US6521103B2 (en) Plating clamp assembly
KR20050088620A (ko) 도금장치의 초박판형 기판 행거 랙구조
JP7445190B2 (ja) めっき装置およびめっき方法
JP4836628B2 (ja) 長尺シートのめっき方法及び装置
KR102489156B1 (ko) 도금용 지그
JP6687592B2 (ja) 表面処理装置及びワーク保持治具
KR102641960B1 (ko) 이차전지용 동박 연속도금라인의 어큐뮬레이터 조립체
JP3743372B2 (ja) 平板状ワークのクラ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