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747B1 -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747B1
KR102331747B1 KR1020210061245A KR20210061245A KR102331747B1 KR 102331747 B1 KR102331747 B1 KR 102331747B1 KR 1020210061245 A KR1020210061245 A KR 1020210061245A KR 20210061245 A KR20210061245 A KR 20210061245A KR 102331747 B1 KR102331747 B1 KR 10233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set value
module
vehicl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6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30Parking meters
    • G06K2209/23

Abstract

본 발명은 노상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차량감지수단, 번호인식수단, 무인정산수단 등의 부속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노상주차장의 전후방의 도로에 설치되는 진입카메라 및 진출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노상주차장의 차량 진입/진출, 차량번호 인식, 주차요금정산 및 주차요금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상주차장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여 인력소모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불필요한 시간소모를 최소화시켜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컨트롤러가 진입차량과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개시차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진출차량과 주차현황리스트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종료차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연산처리로 노상주차장의 차량진입/진출과 진입/진출차량의 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Parking management system at on-street parking lot}
본 발명은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진입카메라 및 진출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입출구간이 정해지지 않은 노상주차장의 차량의 진입/진출과 차량번호 인식, 주차요금정산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ㅆ 노상주차장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여 인력소모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진출입 감지의 정확성을 개선시켜 주차서비스의 신뢰도 및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종래에 인력에 의한 관리로 인한 민원 제기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상주차장은 일정한 진입/진출로를 가지며 독립적인 장소를 제공하는 건물 주차장이나 지하추자장과는 달리, 도로의 갓길에 설치되어 특정 진입/진출로 없이 외부에 오픈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주정차 이용은 편리하나, 주차요금정산 및 결제 등의 주차관리가 매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노상주차장에는 관리인이 필수적으로 배치되어 각 주차면의 진입 또는 진출하는 차량을 통제함과 동시에 주차요금정산 및 결제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인력을 이용한 방식은 주차차량의 진출 통제가 관리자의 육안을 통한 확인 또는 운전자의 정산요청이 있어야지만 가능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육안 및 요청을 받은 이후에 해당 장소로 이동하여 후속절차를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주차요금 정산을 위한 대기시간이 증가하여 사용 편의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여 작업효율성이 떨어지며, 관리자가 진출차량을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통제 및 주차요금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용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노상주차장의 주차관리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상주차장 관리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78780호(발명의 명칭 :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개시된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도로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노상 주차장의 각 주차면의 노면 외부에 설치되어 각 주차면의 좌반부 및 우반부를 각각 감지하는 좌측 주차 감지 센서(130l) 및 우측 주차 감지 센서(130r)로 이루어지는 주차 감지부(110)들과, 좌측 주차 감지 센서(130l) 및 우측 주차 감지 센서(130r)의 감지 신호에 의거하여 차량의 정상 주차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수단(110)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관리 수단(110)은 임의의 한 주차면에 대한 좌측 주차 감지 센서(130l) 및 우측 주차 감지 센서(130r) 모두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차량이 정상 주차한 것으로 판단하고, 임의 주차면에 대한 좌측 주차 감지 센서(130l) 및 좌측에 인접한 주차면에 대한 우측 주차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불량 주차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주차 관리인이 주차 시간 계산이나 요금 수수 및 영수증 발행과 같은 각종 수작업에 의한 요금 정산 업무에서 벋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의 주차 관리인이 보다 광범위한 노상 주차장을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차 관리인에 의한 주차 요금 횡령이나 주차 요금 시비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각 주차면마다 좌측 주차 감지 센서(130l) 및 우측 주차 감지 센서(130r)를 구비한 관리 수단(110)들을 설치해야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주기적으로 장비점검 및 교체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설치 및 운영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주차 시, 운전자가 관리 수단(110)으로 이동하여 카드 인식부에 자신의 카드를 접촉시켜야만 주차가 처리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워 불필요한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출차 시, 운전자가 직접 관리 수단(110)의 출차 버튼을 누른 후, 카드 결제를 통해 주차요금을 정산해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간소모가 발생하여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각 주차면에 관리 수단(110)이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차면 진입/진출 시, 관리수단(110)이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또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노상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차량감지수단, 번호인식수단, 무인정산수단 등의 부속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노상주차장의 전후방의 도로에 설치되는 진입카메라 및 진출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노상주차장의 차량 진입/진출, 차량번호 인식, 주차요금정산 및 주차요금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상주차장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여 인력소모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불필요한 시간소모를 최소화시켜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컨트롤러가 진입차량과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개시차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진출차량과 주차현황리스트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종료차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연산처리로 노상주차장의 차량진입/진출과 진입/진출차량의 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도로(R)의 갓길에 설치되는 노상주차장(S)의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상주차장(S) 보다 전방의 도로(R)에 설치되어 해당 전방구간(R1)을 촬영하는 진입카메라; 상기 노상주차장(S) 보다 후방의 도로(R)에 설치되어 해당 후방구간(R2)을 촬영하는 진출카메라; 상기 진입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진입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구간(R1)을 통과하는 진입차량의 번호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진출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진출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후방구간(R2)을 통과하는 진출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진입차량 및 진출차량의 번호들을 비교하여 상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차량과 상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을 판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진입차량의 차량번호인 진입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진입차량 번호인식부; 진출차량의 차량번호인 진출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진출차량 번호인식부;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는 상기 진입차량 번호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진입차량번호들의 리스트인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생성/갱신한 후, 갱신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버퍼에 저장하는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 상기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에 의해 진입차량번호 리스트에 신규 등록된 진입차량번호들 각각의 경과시간(△T)을 측정하는 타이머모듈; 상기 진출차량 번호인식부로부터 진출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버퍼에 저장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탐색하여, 상기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진입차량번호를 제거시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갱신하며, 진입차량번호가 제거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 상기 버퍼에 저장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에서 남아있는 진입차량번호들 중 상기 타이머모듈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T)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며, 경과시간(△T)이 설정값(TH) 이상일 때, 해당 진입차량번호의 차량을 주차개시차량으로 결정하는 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메모리;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에 의해 주차개시차량이 검출될 때 실행되며, 주차개시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개시시간을 매칭시킨 주차개시정보를 생성하는 주차개시정보 생성부; 상기 주차개시정보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주차개시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리스트를 생성/갱신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 주차종료차량 판별부; 주차종료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종료차량 판별부는 상기 진출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진출차량번호 정보를 입력받는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현황리스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상기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번호의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 상기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에서, 1)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차량을 일반차량이라고 판단하되, 2)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진출차량번호의 차량을 주차종료차량으로 결정하는 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종료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차종료차량 판별부에 의해 주차종료차량으로 결정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현황리스트를 탐색하여,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상기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리스트를 추출하며, 추출된 리스트를 활용하여,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주차개시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 상기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주차종료차량의 주차개시시간과 주차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주차사용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주차종료차량의 주차사용시간과 단위시간당 주차비용을 활용하여,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주차요금정산모듈;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 주차개시시간, 주차종료시간, 주차사용시간 및 주차요금 정보를 매칭시켜 주차종료정보를 생성하는 주차종료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주차종료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주차종료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리스트를 생성/갱신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차종료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주차종료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주차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주차종료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주차종료정보에 포함된 주차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주차개시차량 판별부에 의해 주차개시차량이 판별될 때 실행되는 차량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와,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는 설정값(TH) 최적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는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전방구간(R1)을 진입한 차량이 노상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차량인지 또는 노상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인지로 분류한 후, 진입한 차량이 일반차량일 때, 해당 일반차량이 상기 전방구간(R1)을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후방구간(R2)을 진출한 시점까지의 통과시간(△t1)을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설정값(TH) 최적화부는 상기 주기(T’) 동안 수집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수집하는 분류정보 수집모듈; 상기 분류정보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주기(T’) 동안 일반차량의 평균 통과시간(△T1)을 산출하는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 상기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일반차량의 평균 통과시간(△T1)을 현재 설정값(TH)과 비교하며, 만약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이상(△T1 ≥ TH)이면,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되,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미만(△T1 < TH)이면,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제1 비교 및 판단모듈; 상기 제1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이상(△T1 ≥ TH)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평균 통과시간(△T1)이 기 설정된 상수 ‘α’를 합산한 값을 설정값(TH)으로 대체시켜 설정값(TH)을 연장하는 설정값(TH) 연장모듈; 상기 제1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미만(△T1 < TH)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평균 통과시간(△T1)에서 설정값(TH)을 차감한 차이시간(△T1 - TH)을 산출하는 차이시간 산출모듈; 상기 차이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차이시간(△T1 - TH)을, 설정값(TH)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차이시간의 최대값으로 정의되는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며, 만약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이상이면,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되, 만약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미만이면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제2 비교 및 판단모듈; 상기 제2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이상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현재 설정값(TH)에서 상기 상수 ‘α’를 차감한 값을 설정값(TH)을 축소하는 설정값(TH) 축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값(TH) 연장모듈에 의해 연장된 설정값(TH) 또는 상기 설정값(TH) 축소모듈에 의해 축소된 설정값(TH)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는 상기 설정값(TH) 최적화부에 의해 최적화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TH)을 활용하여 주차개시차량을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노상주차장의 각 주차면에 차량감지수단, 번호인식수단, 무인정산수단 등의 부속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노상주차장의 전후방의 도로에 설치되는 진입카메라 및 진출카메라만을 이용하여, 노상주차장의 차량 진입/진출, 차량번호 인식, 주차요금정산 및 주차요금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상주차장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여 인력소모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불필요한 시간소모를 최소화시켜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가 진입차량과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개시차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진출차량과 주차현황리스트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종료차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연산처리로 노상주차장의 차량진입/진출과 진입/진출차량의 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78780호(발명의 명칭 :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 개시된 노상 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주차종료차량 판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5의 주차종료정보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설정값(TH) 최적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2를 설명하기 위한 관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1)은 진입카메라(7) 및 진출카메라(9)들을 이용하여 입출구간이 정해지지 않은 노상주차장(S)의 차량의 진입/진출과, 차량번호 인식, 주차요금정산이 자동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인식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주차요금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상주차장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여 인력소모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진출입 감지의 정확성을 개선시켜 주차서비스의 신뢰도 및 편의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으며, 종래에 인력에 의한 관리로 인한 민원 제기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1)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R)의 갓길에 설치되는 노상주차장(S)에 적용되어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1)은 차량 주행방향(A)으로 노상주차장(S) 보다 전방에 형성된 도로(R)인 전방구간(R1)을 촬영하여 진입영상을 획득하는 진입카메라(7)와, 노상주차장(S) 보다 후방에 형성된 도로(R)인 후방구간(R)을 촬영하여 진출영상을 획득하는 진출카메라(9)와, 진입카메라(7) 및 진출카메라(9)에 의해 획득된 진입영상 및 진출영상을 분석하여 진입차량 및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한 후, 차량번호의 매칭을 통해 노상주차장(S)에 주차면에 주차를 시작/종료하는 주차개시차량 및 주차종료차량을 판별하며 주차개시차량 검출 시, 주차개시시간 및 차량번호로 이루어지는 주차개시정보를 생성하되, 주차종료차량 검출 시, 주차종료시간 및 차량번호로 이루어지는 주차종료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3-1), ..., (3-N)들과, 컨트롤러(3-1), ..., (3-N)들로부터 전송받은 주차개시정보 및 주차종료정보를 활용하여 각 노상주차장(S)의 주차상태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주차종료 시, 해당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운전자에게 주차요금정산을 요청 및 수행하는 주차관리서버(5)와, 주차관리서버(5) 및 컨트롤러(3-1), ..., (3-N)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망(10)은 주차관리서버(5) 및 컨트롤러(3-1), ..., (3-N)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4G/5G/L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입카메라(7)는 차량 주행방향(A)으로 노상주차장(S) 보다 전방에 형성된 도로(R)인 전방구간(R1)을 촬영한다. 이때 진입카메라(7)는 전방구간(R1)의 모든 차선을 촬영하거나 또는 차량번호 인식이 가능한 차선수량 보다 해당 도로(R)의 차선수량이 많을 경우, 복수개로 설치되어 분할하여 전방구간(R1)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진입카메라(7)는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인 진입영상을 컨트롤러(3)로 전송한다.
즉 진입카메라(7)는 노상주차장(S) 보다 전방의 도로(R)를 촬영하기 때문에 진입영상의 차량들은 노상주차장(S)을 이용하고자 하는 주차개시차량이거나 또는 단순히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일반차량일 수 있다.
진출카메라(9)는 차량 주행방향(A)으로 노상주차장(S) 보다 후방에 형성된 도로(R)인 후방구간(R2)을 촬영한다. 이때 진출카메라(9)는 진입카메라(7)와 마찬가지로, 후방구간(R2)의 모든 차선을 촬영하거나 또는 차량번호 인식이 가능한 차선수량 보다 해당 도로(R)의 차선수량이 많을 경우, 복수개로 설치되어 분할하여 후방구간(R2)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진출카메라(9)는 촬영에 의해 획득된 영상인 진출영상을 컨트롤러(3)로 전송한다.
즉 진출카메라(7)는 노상주차장(S) 보다 후방의 도로(R)를 촬영하기 때문에 진출영상의 차량들은 노상주차장(S)의 주차를 종료한 주차종료차량이거나 또는 단순히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일반차량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와, 메모리(32) 통신 인터페이스부(33), 진입차량 번호인식부(34), 진출차량 번호인식부(35),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 주차종료차량 판별부(37),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 주차종료정보 생성부(39),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 차량 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41), 설정값(TH) 최적화부(42)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1)는 컨트롤러(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진입카메라(7)로부터 전송받은 진입영상을 메모리(32)에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진입차량 번호인식부(34)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진출카메라(9)로부터 전송받은 진출영상을 메모리(32)에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진출차량 번호인식부(35)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 및 주차종료정보 생성부(39)에 의해 주차개시정보 및 주차종료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주차개시정보 및 주차종료정보를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로 입력함과 동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제어하여 주차관리서버(5)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31)는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에 의해 생성/갱신된 주차현황리스트를 메모리(32)에 저장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주차관리서버(5)로 전송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1)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설정값(TH) 최적화부(42)를 실행시킨다.
메모리(32)에는 해당 노상주차장(S)의 위치 및 식별정보와, 가용주차면 수량 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진입카메라(7) 및 진출카메라(9)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진입영상 및 진출영상이 임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 및 주차종료정보 생성부(39)에 의해 생성된 주차개시정보 및 주차종료정보가 임시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에 의해 생성/갱신된 주차현황리스트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차량 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41)에 의해 산출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설정값(TH) 최적화부(42)에 의해 최적화된 설정값(TH)이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3)는 진입카메라(7) 및 진출카메라(9)로부터 진입영상 및 진출영상을 수신 받는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3)는 주차관리서버(5)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진입차량 번호인식부(34)는 진입카메라(7)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진입영상을 입력받으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진입영상을 분석하여 전방구간(R1)을 통과하는 진입차량들 각각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진입차량의 차량번호인 진입차량번호를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로 입력한다.
진출차량 번호인식부(35)는 진출카메라(9)의 촬영에 의해 획득된 진입영상을 입력받으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진출영상을 분석하여 후방구간(R2)을 통과하는 진출차량들 각각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진출차량의 차량번호인 진출차량번호를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 및 주차종료차량 판별부(37)로 입력한다.
도 6은 도 5의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차량번호 입력모듈(361)과,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362), 타이머 모듈(363),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364),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365), 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366)로 이루어진다.
진입차량번호 입력모듈(361)은 진입차량 번호인식부(34)로부터 진입차량번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진입차량번호는 전방구간(R1)을 통과하는 모든 차량의 차량번호를 의미한다.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362)은 진입차량번호 입력모듈(361)에 의해 입력된 진입차량번호들의 리스트인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생성/갱신한다.
또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362)은 생성/갱신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버퍼(20)에 임시 저장한다.
타이머모듈(363)은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362)에 의해 진입차량번호 리스트에 신규 등록된 진입차량번호들 각각의 경과시간(△T)을 측정한다.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364)은 진출차량 번호인식부(35)로부터 진출차량번호를 입력받는다.
도 7은 도 6의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36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20)에 저장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900)를 탐색하여,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364)에 의해 입력된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진입차량번호를 제거시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노상주차장(S)을 이용하지 않되, 해당 구간의 도로(R)를 주행하는 일반차량은 진입차량번호 및 진출차량번호로 동시에 인식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365)은 진입차량번호 및 진출차량번호가 동시에 입력될 때, 해당 차량을 일반차량이라고 판단하여 진입차량번호 리스트(900)에서 제거함으로써 노상주차장(S)을 이용하는 차량들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365)은 진입차량번호가 제거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버퍼(20)에 임시 저장한다.
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366)은 버퍼(20)에 저장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에서 남아있는 진입차량번호들 중 타이머모듈(363)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T)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며, 경과시간(△T)이 설정값(TH) 이상일 때, 해당 진입차량번호의 차량을 주차개시차량으로 결정한다.
이때 설정값(TH)은 진입차량이 노상주차장(S)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전방구간(R1)으로부터 후방구간(R2)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경과시간의 최소값으로 정의된다.
즉 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366)은 진입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진입차량번호들을 제거(필터링) 한 후, 이들 중 설정값(TH) 이상의 경과시간(△T)을 갖는 진입차량번호가 검출될 때, 해당 진입차량번호의 차량이 노상주차장(S)의 주차면들 중 어느 하나에 주차를 하였다고 판단한다.
또한 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366)에 의해 결정된 주차개시차량의 차량번호는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 및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로 입력된다.
도 8은 도 5의 주차종료차량 판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차종료차량 판별부(3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371)과,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372), 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373)로 이루어진다.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371)은 진출차량번호 인식부(35)로부터 진출차량번호 정보를 입력받는다.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372)은 메모리(32)에 저장된 주차현황리스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371)을 통해 입력된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번호의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한다.
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373)은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372)에서, 1)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차량을 일반차량이라고 판단하되, 2)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진출차량번호의 차량을 주차종료차량으로 결정한다.
즉 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373)은 진출차량번호들 중,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를 갖는 진출차량번호가 검출될 때, 해당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의 차량이 노상주차장(R)의 이용을 종료한 주차종료차량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373)에 의해 결정된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는 주차종료정보 생성부(39) 및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로 입력된다.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는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에 의해 주차개시차량이 검출될 때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며, 주차개시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개시시간을 매칭시킨 주차개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된 주차개시정보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주차관리서버(5)로 전송됨과 동시에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로 입력된다.
도 9는 도 5의 주차종료정보 생성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차종료정보 생성부(3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391)과,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392), 주차요금정산모듈(393), 주차종료정보 생성모듈(394)로 이루어진다.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391)은 주차종료차량 판별부(37)에 의해 주차종료차량으로 결정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는다.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392)은 메모리(32)에 저장된 주차현황리스트를 탐색하여,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391)을 통해 입력된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리스트를 추출한다.
또한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392)은 추출된 리스트를 활용하여,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주차개시시간 정보를 추출한다.
주차요금정산모듈(393)은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392)에 의해 추출된 주차종료차량의 주차개시시간과, 주차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주차사용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주차요금정산모듈(393)은 산출된 주차종료차량의 주차사용시간과 단위시간당 주차비용을 활용하여,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한다.
주차종료정보 생성모듈(394)은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 주차개시시간, 주차종료시간, 주차사용시간 및 주차요금 정보를 매칭시켜 주차종료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에 의해 생성된 주차종료정보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주차관리서버(5)로 전송됨과 동시에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로 입력된다.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는 주차개시정보 생성부(38)로부터 입력된 주차개시정보와, 주차종료정보 생성부(39)로부터 입력된 주차종료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리스트를 생성/갱신한다. 이때 주차현황리스트에는 주차개시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개시시간 정보가 등록된다.
이때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40)에 의해 생성/갱신된 주차현황리스트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32)에 저장됨과 동시에 통신 인터페이스부(33)를 통해 주차관리서버(5)로 전송된다.
차량 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41)는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에 의해 주차개시차량이 판별될 때 실행된다.
또한 차량 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41)는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방구간(R1)을 진입한 차량이 노상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차량인지 또는 노상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인지로 분류한 후, 진입한 차량이 일반차량일 때, 해당 일반차량이 전방구간(R1)을 진입한 시점부터 후방구간(R2)을 진출한 시점까지의 통과시간(△t1)을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차량 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41)에 의해 산출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메모리(32)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량 정체 및 흐름에 따라 동일 구간이라고 하더라도, 통과속도가 각기 다르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정값(TH)을 고정된 값으로 활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진입구간(R1)부터 진출구간(R2) 사이의 도로에 차량 정체가 발생하여, 진입구간(R1)부터 진출구간(R2) 사이의 차량 평균 통과시간이 1분이고, 설정값(TH)이 45초로 설정되었다고 할 때, 진입구간(R1)을 진입한 모든 차량들이 모두 주차개시차량이라고 판별되기 때문에 서비스 정확성 및 신뢰도가 떨어지고, 이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진입구간(R1)부터 진출구간(R2) 사이의 차량 평균 통과시간이 15초이고, 설정값(TH)이 45초로 설정되었다고 할 때, 주차개시차량을 판별하는데 45초가 불필요하게 소모되기 때문에 30초의 불필요한 시간 소모로 인해 정확한 주차시간 및 비용 산출이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설정값(TH)의 축소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설정값(TH) 최적화부(42)를 통해 현재 교통 상태에 따라 설정값(TH)을 최적화 하도록 하였다.
도 10은 도 5의 설정값(TH) 최적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설정값(TH) 최적화부(42)는 제어부(31)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된다.
또한 설정값(TH) 최적화부(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모듈(421)과,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422), 제1 비교 및 판단모듈(423), 설정값(TH) 연장모듈(424), 차이시간 산출모듈(425), 제2 비교 및 판단모듈(426), 설정값(TH) 축소모듈(427)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수집모듈(421)은 주기(T’) 동안 수집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수집한다.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422)은 데이터 수집모듈(421)에 의해 수집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활용하여, 주기(T’) 동안 일반차량의 평균 통과시간(△T1)을 산출한다.
제1 비교 및 판단모듈(423)은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422)에 의해 산출된 일반차량의 평균 통과시간(△T1)을 현재 설정값(TH)과 비교하며, 만약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이상(△T1 ≥ TH)이면,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되,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미만(△T1 < TH)이면,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설정값(TH) 연장모듈(424)은 제1 비교 및 판단모듈(423)에서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이상(△T1 ≥ TH)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평균 통과시간(△T1)이 기 설정된 상수 ‘α’를 합산한 값을 설정값(TH)으로 대체시켜 설정값(TH)을 연장한다.
차이시간 산출모듈(425)은 제1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미만(△T1 < TH)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평균 통과시간(△T1)에서 설정값(TH)을 차감한 차이시간(△T1 - TH)을 산출한다.
제2 비교 및 판단모듈(426)은 차이시간 산출모듈(425)에 의해 산출된 차이시간(△T1 - TH)을, 설정값(TH)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차이시간의 최대값으로 정의되는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며, 만약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이상이면,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되, 만약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미만이면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설정값(TH) 축소모듈(427)은 제2 비교 및 판단모듈(426)에서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이상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현재 설정값(TH)에서 상기 상수 ‘α’를 차감한 값을 설정값(TH)으로 대체시킴으로써 설정값(TH)을 축소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설정값(TH) 연장모듈(424)에 의해 연장된 설정값(TH) 또는 설정값(TH) 축소모듈(427)에 의해 축소된 설정값(TH)을 메모리(32)에 저장하고, 주차개시차량 판별부(36)는 설정값(TH) 최적화부(42)에 의해 최적화되어 메모리(32)에 저장된 설정값(TH)을 활용하여 주차개시차량을 판별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주차관리서버(5)를 살펴보면, 주차관리서버(5)는 컨트롤러(3-1-), ..., (3-N)들로부터 전송받은 주차개시정보, 주차종료정보 및 주차현황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한다.
또한 주차관리서버(5)는 컨트롤러(3-1), ..., (3-N)들로부터 진입영상 및 진출영상을 전송받으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함과 동시에 모니터링 한다.
또한 주차관리서버(5)는 컨트롤러(3-1), ..., (3-N)들로부터 주차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주차종료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 및 주차요금을 활용하여,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해당 주차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후속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1)은 노상주차장(S)의 각 주차면에 차량감지수단, 번호인식수단, 무인정산수단 등의 부속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노상주차장의 전후방의 도로에 설치되는 진입카메라(7) 및 진출카메라(9)만을 이용하여, 노상주차장의 차량 진입/진출, 차량번호 인식, 주차요금정산 및 주차요금결제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상주차장의 무인 자동화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여 인력소모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영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운전자의 불필요한 시간소모를 최소화시켜 서비스 편의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1)은 컨트롤러(3)가 진입차량과 진출차량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개시차량을 검출함과 동시에 진출차량과 주차현황리스트의 차량번호들을 비교하여 주차종료차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연산처리로 노상주차장의 차량진입/진출과 진입/진출차량의 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1: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3:컨트롤러
5:주차관리서버 7:진입카메라
9:진출카메라 10:통신망
31:제어부 32:메모리
33:통신 인터페이스부 34:진입차량 번호인식부
35:진출차량 번호인식부 36:주차개시차량 판별부
37:주차종료차량 판별부 38:주차개시정보 생성부
39:주차종료정보 생성부 40:주차현황리스트 생성/갱신부
361:진입차량번호 입력모듈 362: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
363:타이머 모듈 364: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
365: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 366: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
371: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 372: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
373: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 391: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
392: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
393:주차요금정산모듈 394:주차종료정보 생성모듈

Claims (5)

  1. 도로(R)의 갓길에 설치되는 노상주차장(S)의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상주차장(S) 보다 전방의 도로(R)에 설치되어 해당 전방구간(R1)을 촬영하는 진입카메라;
    상기 노상주차장(S) 보다 후방의 도로(R)에 설치되어 해당 후방구간(R2)을 촬영하는 진출카메라;
    상기 진입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진입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전방구간(R1)을 통과하는 진입차량의 번호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진출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진출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후방구간(R2)을 통과하는 진출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며, 인식된 진입차량 및 진출차량의 번호들을 비교하여 상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차량과 상기 노상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을 판별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진입차량의 차량번호인 진입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진입차량 번호인식부;
    진출차량의 차량번호인 진출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진출차량 번호인식부;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는
    상기 진입차량 번호인식부로부터 입력된 진입차량번호들의 리스트인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생성/갱신한 후, 갱신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버퍼에 저장하는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
    상기 진입차량번호 리스트 생성/갱신모듈에 의해 진입차량번호 리스트에 신규 등록된 진입차량번호들 각각의 경과시간(△T)을 측정하는 타이머모듈;
    상기 진출차량 번호인식부로부터 진출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버퍼에 저장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탐색하여, 상기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에 의해 입력된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진입차량번호를 제거시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갱신하며, 진입차량번호가 제거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를 상기 버퍼에 임시 저장하는 데이터 매칭 및 제거모듈;
    상기 버퍼에 저장된 진입차량번호 리스트에서 남아있는 진입차량번호들 중 상기 타이머모듈에 의해 측정된 경과시간(△T)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며, 경과시간(△T)이 설정값(TH) 이상일 때, 해당 진입차량번호의 차량을 주차개시차량으로 결정하는 주차개시차량 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메모리;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에 의해 주차개시차량이 검출될 때 실행되며, 주차개시차량의 차량번호 및 주차개시시간을 매칭시킨 주차개시정보를 생성하는 주차개시정보 생성부;
    상기 주차개시정보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주차개시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리스트를 생성/갱신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
    주차종료차량 판별부;
    주차종료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종료차량 판별부는
    상기 진출차량번호 인식부로부터 진출차량번호 정보를 입력받는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현황리스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상기 진출차량번호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번호의 차량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
    상기 주차현황리스트 탐색모듈에서, 1)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차량을 일반차량이라고 판단하되, 2)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진출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진출차량번호의 차량을 주차종료차량으로 결정하는 주차종료차량 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종료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차종료차량 판별부에 의해 주차종료차량으로 결정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받는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차현황리스트를 탐색하여, 주차현황리스트에 등록된 차량번호들 중 상기 주차종료차량 차량번호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와 동일한 차량번호를 갖는 리스트를 추출하며, 추출된 리스트를 활용하여,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주차개시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
    상기 주차현황리스트 탐색 및 주차개시시간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주차종료차량의 주차개시시간과 주차종료시간을 이용하여 주차사용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주차종료차량의 주차사용시간과 단위시간당 주차비용을 활용하여,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주차요금정산모듈;
    해당 주차종료차량의 차량번호, 주차개시시간, 주차종료시간, 주차사용시간 및 주차요금 정보를 매칭시켜 주차종료정보를 생성하는 주차종료정보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차현황리스트 관리부는
    상기 주차종료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주차종료정보를 활용하여, 주차현황리스트를 생성/갱신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관리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차종료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주차종료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주차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주차종료정보에 포함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주차종료정보에 포함된 주차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주차개시차량 판별부에 의해 주차개시차량이 판별될 때 실행되는 차량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와,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는 설정값(TH) 최적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분류 및 통과시간 산출부는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전방구간(R1)을 진입한 차량이 노상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일반차량인지 또는 노상주차장을 이용한 차량인지로 분류한 후, 진입한 차량이 일반차량일 때, 해당 일반차량이 상기 전방구간(R1)을 진입한 시점부터 상기 후방구간(R2)을 진출한 시점까지의 통과시간(△t1)을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설정값(TH) 최적화부는
    상기 주기(T’) 동안 수집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일반차량의 통과시간(△t1)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주기(T’) 동안 일반차량의 평균 통과시간(△T1)을 산출하는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
    상기 평균 통과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일반차량의 평균 통과시간(△T1)을 현재 설정값(TH)과 비교하며, 만약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이상(△T1 ≥ TH)이면,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되,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미만(△T1 < TH)이면,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제1 비교 및 판단모듈;
    상기 제1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이상(△T1 ≥ TH)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평균 통과시간(△T1)이 기 설정된 상수 ‘α’를 합산한 값을 설정값(TH)으로 대체시켜 설정값(TH)을 연장하는 설정값(TH) 연장모듈;
    상기 제1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평균 통과시간(△T1)이 현재 설정값(TH) 미만(△T1 < TH)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연장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평균 통과시간(△T1)에서 설정값(TH)을 차감한 차이시간(△T1 - TH)을 산출하는 차이시간 산출모듈;
    상기 차이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차이시간(△T1 - TH)을, 설정값(TH)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차이시간의 최대값으로 정의되는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며, 만약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이상이면,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되, 만약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미만이면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제2 비교 및 판단모듈;
    상기 제2 비교 및 판단모듈에서 차이시간(△T1 - TH)이 임계치 이상임에 따라 설정값(TH)의 축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현재 설정값(TH)에서 상기 상수 ‘α’를 차감한 값을 설정값(TH)으로 대체하여 설정값(TH)을 축소하는 설정값(TH) 축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값(TH) 연장모듈에 의해 연장된 설정값(TH) 또는 상기 설정값(TH) 축소모듈에 의해 축소된 설정값(TH)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주차개시차량 판별부는 상기 설정값(TH) 최적화부에 의해 최적화되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TH)을 활용하여 주차개시차량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KR1020210061245A 2021-05-12 2021-05-12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KR10233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245A KR102331747B1 (ko) 2021-05-12 2021-05-12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245A KR102331747B1 (ko) 2021-05-12 2021-05-12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747B1 true KR102331747B1 (ko) 2021-12-01

Family

ID=7889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245A KR102331747B1 (ko) 2021-05-12 2021-05-12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3025A (zh) * 2022-07-11 2022-09-20 江苏特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动自行车的路侧停车收费巡检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54A (ko) * 2019-03-12 2020-09-22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이미지 인식 장치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54A (ko) * 2019-03-12 2020-09-22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이미지 인식 장치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3025A (zh) * 2022-07-11 2022-09-20 江苏特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动自行车的路侧停车收费巡检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280874B1 (ko)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KR20070059944A (ko) 주차 관리 시스템
CN108765975B (zh) 路侧垂直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JP5781638B2 (ja) 入口料金収受施設、出口料金収受施設、料金収受システム、通行券発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4105B1 (ko) 다차로 기반의 차량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74105B1 (ko) 차량번호 인식률을 높인 차량 촬영시스템 및 방법
KR101618850B1 (ko) 다차로요금징수장치
KR20200141834A (ko) 영상기반 교통신호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80243B1 (ko) 차량번호와 하이패스 단말고유번호의 매칭 정확도를 향상시킨 다차로 기반 하이패스 시스템
KR102331747B1 (ko) 노상주차장 주차관리 시스템
KR100562008B1 (ko) 무인 과속 감지 카메라 시스템
KR20060116757A (ko)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69712B1 (ko) 차량번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2181032B1 (ko)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제공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07506B1 (ko) 하이패스로 진입하는 차량의 통행료의 이중 징수 방지가 가능한 안테나가 구비된 통행료 징수 시스템
JPH1145358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0382460B1 (ko) 요금 징수방법
KR20140035666A (ko) 다차로 서비스를 위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6617B1 (ko) 주차장 통합 관리시스템
JPH11306484A (ja) 無人駐車場の車種別管理システム
US20200286381A1 (en) Snow removal apparatus operating system and snow removal apparatus operating method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KR102614194B1 (ko) Ptz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검출 및 차량 번호 인식기술을 활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