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665B1 - 방수 통음 부재 - Google Patents

방수 통음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665B1
KR102331665B1 KR1020150099612A KR20150099612A KR102331665B1 KR 102331665 B1 KR102331665 B1 KR 102331665B1 KR 1020150099612 A KR1020150099612 A KR 1020150099612A KR 20150099612 A KR20150099612 A KR 20150099612A KR 102331665 B1 KR102331665 B1 KR 102331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terproof sound
support layer
line segme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436A (ko
Inventor
유키 가루베
츠요시 가시마
유리 호리에
유이치 아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099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6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04R1/086Protective screens, e.g. all weather or wind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과하는 소리의 왜곡이 저감된 방수 통음 부재를 제공한다.
방수 통음 부재(1)는 방수 통음막(2)과 지지층(3)을 구비한다. 지지층(3)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구비한다. 지지층(3)의 손실 탄성률은 1.0×107㎩ 이하이고 지지층(3)의 손실 계수는 1.0×10-1 이상이다. 방수 통음막(2)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연신 다공질막이다. 방수 통음 부재(1)는 점착층(4, 5, 6)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Description

방수 통음 부재{WATERPROOF SOUND TRANSMITTING MEMBER}
본 발명은, 방수 통음막을 구비한 방수 통음 부재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무선 전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음향 장치가 하우징에 수용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은, 소리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다. 물이 하우징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개구에 소리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물의 통과를 저지하는 방수 통음막을 설치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방수 통음막으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다공질막이 예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45332호 공보
그러나 방수 통음막을 구비한 방수 통음 부재에서는, 통음성 시험에 있어서 종종 소리의 왜곡이 확인된다. 여기서 소리의 왜곡이란, 하우징의 개구에 방수 통음막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하우징의 개구에 방수 통음막이 설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소리의 변질이다. 소리의 왜곡은, 예를 들어 사람의 귀에는 채터링음(창호지가 떨리는 듯한 진동음)으로서 인식된다. 소리가 방수 통음막을 통과할 때, 기본 주파수(입력파(정현파)의 주파수와 같다)의 정수 배의 고차의 주파수 성분인 고차고조파가 발생된다. 소리의 왜곡은, 왜곡 성분인 고차고조파의 총합으로 표현되는 고조파 왜곡에 의하여 정량화된다. 소리의 왜곡이 증대되는 것은 전자 기기에 있어서 큰 문제이며, 특히 고품질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소리를 왜곡 없이 정확히 재현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통과하는 소리의 왜곡이 저감된 방수 통음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방수 통음막과,
상기 방수 통음막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된 지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층의 손실 탄성률은 1.0×107㎩ 이하이고 상기 지지층의 손실 계수는 1.0×10-1 이상인 방수 통음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과하는 소리의 왜곡이 저감된 방수 통음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 통음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수 통음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방수 통음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방수 통음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방수 통음 부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수 통음 부재가 적용된 전자 기기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방수 통음 부재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방수 통음 부재(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방수 통음 부재(1)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제3 점착층(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방수 통음 부재(1)는 방수 통음막(2)과 지지층(3)과 제1 점착층(4)과 제2 점착층(5)과 제3 점착층(6)을 구비하고 있다. 방수 통음막(2)은, 소리의 투과를 허용하고 물의 통과를 차단하는 막이다. 지지층(3)은 방수 통음막(2)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되어 있으면 되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수 통음막(2)의 한쪽(도 2의 상측) 면에만 접착되어 있다. 제2 점착층(5)은 방수 통음막(2)의 한쪽(도 2의 상측) 면에 형성되어, 지지층(3)을 방수 통음막(2)에 접착하고 있다. 제3 점착층(6)은 지지층(3)의 한쪽(도 2의 상측) 면에 형성되어, 지지층(3)을 하우징에 접착하고 있다. 제1 점착층(4)은 방수 통음막(2)의 다른 쪽(도 2의 하측) 면에 형성되어, 방수 통음막(2)을 음향 장치(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마이크로폰(33), 도 7에 도시하는 스피커(45))에 접착하고 있다. 방수 통음 부재(1)는 제3 점착층(6), 지지층(3), 제2 점착층(5), 방수 통음막(2) 및 제1 점착층(4)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통음 부재(1)는 제3 점착층(6)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통음 부재(1)는 제1 점착층(4) 상에 제2 지지층(7)과 제4 점착층(8)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2 지지층(7)은 방수 통음막(2)의 다른 쪽(도 4의 하측) 면에 접착된다. 제1 점착층(4)은 방수 통음막(2)의 다른 쪽(도 4의 하측) 면에 형성되어, 방수 통음막(2)을 제2 지지층(7)에 접착하고 있다. 제4 점착층(8)은 제2 지지층(7)의 다른 쪽(도 2의 하측) 면에 형성되어, 제2 지지층(7)을 음향 장치(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마이크로폰(33), 도 7에 도시하는 스피커(45))에 접착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통음 부재(1)는 도 4에 도시한 구성으로부터 제3 점착층(6)이 제거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는, 긴 변 및 짧은 변을 갖는 직사각형이다.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지지층(3)은,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와 일치하는 외주 단부를 갖는다. 지지층(3)은 개구부(3A)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프레임 형상을 갖고 있다. 개구부(3A)의 무게 중심 G를 통과하고 또한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와 교차하는 2점 간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선분을 제1 선분 L1이라고 정의하고, 개구부(3A)의 무게 중심 G를 통과하고 제1 선분 L1과 직교하며 또한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와 교차하는 2점 간의 선분을 제2 선분 L2라고 정의했을 때, 제2 선분 L2의 길이는 제1 선분 L1의 길이의 2배 이상이다. 제2 선분 L2의 길이는 제1 선분 L1의 3배 이상, 나아가 5배 이상이어도 된다.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는, 제1 선분 L1과 평행한 제1 변과, 제2 선분 L2와 평행한 제2 변을 갖는 직사각형이다. 제1 변의 길이는 제1 선분 L1의 길이와 동일하고 제2 변의 길이는 제2 선분 L2의 길이와 동일하다. 방수 통음막(2)은, 개구부(3A)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통음 영역(2A)을 갖고 있다. L2/L1의 값이 큰, 바꾸어 말하면 가늘고 긴 개구부(3A)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방수 통음막(2)을 통과하는 소리는, 많은 왜곡 성분을 수반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한 개선의 효과가 현저히 얻어지기 쉽다.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제1 점착층(4), 제2 점착층(5) 및 제3 점착층(6)의 외주 단부는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와 일치한다. 제1 점착층(4), 제2 점착층(5) 및 제3 점착층(6)은 각각 개구부를 가지며,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개구부를 둘러싸는 점착층(4, 5, 6)의 내주 단부는,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와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지지층(3)의 외주 단부는,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와 일치하는 외주 단부를 갖지만,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와 상이한 외주 단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방수 통음막(2)은 개구부(3A)를 덮을 수 있는 한, 지지층(3)의 외주 단부보다도 전체 둘레에 걸쳐 개구부(3A)의 무게 중심 G측, 즉 내측에 위치하는 외주 단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는 직사각형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변 및 제2 변을 가지면서도 직사각형의 코너부가 둥근 대략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개구부(3A)는 전형적으로는 직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인 직사각형이다. 개구부(3A)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타원형 등이어도 된다.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의 짧은 변의 길이 A는 1.0㎜ 이상 3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수 통음막(2)의 외주 단부의 긴 변의 길이 B는 1.0㎜ 이상 3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의 짧은 변의 길이 C는 0.5㎜ 이상 28㎜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의 긴 변의 길이 D는 0.5㎜ 이상 28㎜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D는 길이 C의 2배 이상, 나아가 3배 이상, 특히 5배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지지층(3)의 외주 단부 및 개구부(3A)를 둘러싸는 지지층(3)의 내주 단부가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예를 들어 타원형 등)인 경우에는, 그 형상에 외접하는 최소 면적의 직사각형에 기초하여 상기 길이 A 내지 D를 정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 길이 A 및 B는, 외접하는 최소 면적의 직사각형에 기초하여 정해져 있다.
상기에서는 개구부(3A)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원형, 정사각형 등인 개구부를 갖는 지지층을 구비한 방수 통음 부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방수 통음막(2)의 재료로서는 고분자 재료가 적합하다. 적합한 고분자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이미드(PI),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들 수 있다. 또한 방수 통음막(2)은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연신 다공질막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통음막(2)은 부직포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며, 나노파이버를 집결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방수 통음막(2)에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층(3)은 방수 통음막(2)에 접착됨으로써 방수 통음 부재(1)의 강성을 높인다. 즉, 지지층(3)은 방수 통음 부재(1)의 형상을 안정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층(3)은 필름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층(3)의 재료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로서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만을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수지 발포체여도 되지만, 쿠션성, 유연성, 고발포 배율 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와,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성분의 혼합물을 수지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발포체여도 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표면적이 크고 흡음성이 높다. 따라서 왜곡 성분인 고차고조파를 많이 흡수하여 소리의 왜곡을 저감시키는 데 적합하다.
지지층(3)은, JIS K7244-3(A법)에 준거하여 측정된 손실 탄성률이 1.0×107㎩ 이하이고, 마찬가지로 JIS K7244-3(A법)에 준거하여 측정된 손실 계수가 1.0×10-1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층(3)의 저장 탄성률은 1.0×108㎩ 이하이다. 저장 탄성률(E')은 점탄성체에 왜곡이 발생했을 때의 탄성 성분을 나타낸다. 손실 탄성률(E")은 점탄성체에 왜곡이 발생했을 때의 점성 성분을 나타낸다. 손실 계수(tanδ)는 점탄성체에 왜곡이 발생했을 때의 탄성 성분에 대한, 점탄성체에 왜곡이 발생했을 때의 점성 성분의 비이다. 즉, 손실 계수(tanδ)=손실 탄성률(E")/저장 탄성률(E')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지지층(3)의 손실 탄성률은 1.0×102㎩ 이상 1.0×107㎩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층(3)의 손실 계수는 0.1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층(3)의 저장 탄성률은 1.0×102㎩ 이상 1.0×108㎩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손실 탄성률이 1.0×107㎩ 이하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통음 시에 있어서의 방수 통음 부재(1)의 변형에 수반하는 소리의 왜곡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손실 계수가 1.0×10-1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는, 통음 시에 있어서의 진동 에너지의 흡수량이 많다. 따라서 고차고조파의 흡음성이 향상되어 소리의 왜곡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점착층(4), 제2 점착층(5) 및 제3 점착층(6)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점착제를 사용한 양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된다. 또는 제1 점착층(4), 제2 점착층(5) 및 제3 점착층(6)은 점착제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방수 통음 부재(1)가 적용된 전자 기기의 예로서, 도 6에 휴대 전화(30)를 도시한다.
휴대 전화(30)의 하우징(38) 내에는 마이크로폰(33)이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38)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성을 마이크로폰(33)으로 유도하는 제1 집음구(39)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33)의 패키지(35) 내에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집음부(34)가 수용되어 있다. 패키지(35)는 내부가 공동인 직육면체이며, 패키지(35)의 일면에는, 하우징(38)의 제1 집음구(39)로부터 도입된 음성을 마이크로폰(33)의 집음부(34)로 유도하는 제2 집음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집음구(39) 및 제2 집음구(36)는 방수 통음막(2)에 의하여 이격되면서, 방수 통음막(2)을 통하여 통음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33)은, 패키지(35)의 저면에 설치된 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휴대 전화(30)의 회로 기판(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집음부(34)에 의하여 음성으로부터 변환된 전기 신호가 단자를 통하여 회로 기판(31)에 출력된다. 휴대 전화(30)에서는, 제1 집음구(39) 및 제2 집음구(36)를 이격시키도록 배치된 방수 통음막(2)에 의하여, 제1 집음구(39) 및 제2 집음구(36)로부터 마이크로폰(33)의 집음부(34)에의 진애나 물 등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집음부(34)에 음성을 통과시킬 수 있어, 마이크로폰(33)에 있어서의 잡음의 발생이나 그 고장을 방지하면서 마이크로폰(33)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PTFE 연신 다공질 시트(NTF610AP, 닛토 덴코사 제조) 및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시트(SCF(등록 상표)300, 닛토 덴코사 제조)를, 각각 도 1에 도시하는 형상(방수 통음막 및 지지층의 외주 단부의 짧은 변의 길이 A가 7㎜, 방수 통음막 및 지지층의 외주 단부의 긴 변의 길이 B가 25㎜, 개구부를 둘러싸는 지지층의 내주 단부의 짧은 변의 길이 C가 2.8㎜, 개구부를 둘러싸는 지지층의 내주 단부의 긴 변의 길이 D가 19.8㎜)이 되도록 톰슨형을 사용하여 펀칭함으로써, 방수 통음막 및 지지층을 제작하였다. 제1 양면 점착 테이프, 지지층, 제2 양면 점착 테이프, 방수 통음막, 제3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하는 구조의 방수 통음 부재를 제작하였다. 제1 내지 제3 양면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0.05㎜이며, 기재는 PET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2)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시트로서 SCF(등록 상표)400(닛토 덴코사 제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하여 방수 통음 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시트로서 SCF(등록 상표)500(닛토 덴코사 제조)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하여 방수 통음 부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시트 대신 우레탄계 발포 수지 시트인 PORON(등록 상표) SR-S 40P(로저스 이노악사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하여 방수 통음 부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시트 대신 우레탄계 발포 수지 시트인 PORON(등록 상표) SR-S 48P(로저스 이노악사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하여 방수 통음 부재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폴리올레핀계 발포 수지 시트 대신 우레탄계 발포 수지 시트인 PORON(등록 상표) SR-S 70P(로저스 이노악사 제조)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에 의하여 방수 통음 부재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의 방수 통음 부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하여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손실 계수 및 고조파 왜곡을 조사하였다.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및 손실 계수]
지지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및 손실 계수는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RSA-G2, 티에이 인스트루먼트 저팬사 제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는 JIS K7244-3(A법)에 준거한 측정 장치이며, 시험편의 진동 주파수 1000㎐, 시험 온도 20 내지 30℃에서의 지지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및 손실 계수를 측정하였다.
[고조파 왜곡]
방수 통음 부재에 있어서의 고조파 왜곡은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처음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의 하우징을 모방한 모의 하우징(41)(아크릴제, 길이 70×폭 50×높이 15㎜)을 준비하였다. 이 모의 하우징(41)은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을 포함하며,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은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다. 제1 부분(41a)에는 설치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분(41a) 및 제2 부분(41b)을 서로 끼워 맞춤으로써 모의 하우징(41) 내에, 설치 구멍(42) 및 리드선(44)의 도통구(43) 이외의 개구가 없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는 별도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제작한 방수 통음 부재의 제3 양면 테이프(제1 점착층(4))를, 음원이 되는 스피커(45)(스타 세이미쓰사 제조, SCM-09C-J)에 부착하였다.
다음으로, 방수 통음 부재를 부착한 스피커(45)를, 모의 하우징(41)의 제1 부분(41a)에 있어서의 설치 구멍(42)에, 방수 통음 부재가 설치 구멍(42)에 면함과 함께 방수 통음 부재가 설치 구멍(42)을 막도록, 제2 부분(41b)과 끼워 맞추었을 때 내측이 되는 면으로부터 고정하였다. 스피커(45)의 제1 부분(41a)에의 고정은, 방수 통음 부재에 있어서의 스피커(45)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부착된 제1 양면 테이프(제3 점착층(6))에 의하여 행하며, 그때 제1 양면 테이프가 설치 구멍(42)에 걸리지 않도록 함과 함께, 설치 구멍(42)이 방수 통음 부재에 의하여 완전히 막히도록 주의하였다.
다음으로, 스피커(45)의 리드선(44)을, 도통구(43)를 통하여 모의 하우징(41)의 외부로 도출하면서 제1 부분(41a)과 제2 부분(41b) 부분을 끼워 맞춰, 방수 통음 부재의 고조파 왜곡을 측정하기 위한 모의 하우징(41)을 형성하였다. 도통구(43)는 리드선(44)을 도출한 후 퍼티로 막았다.
다음으로, 리드선(44)과 마이크(B&K사 제조, Type2669)를 통음성 평가 장치(B&K사 제조, 3560-B-030)에 접속하고, 스피커(45)로부터 50㎜ 이격된 위치에 마이크를 배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 통음 부재를 설치한 상태에서 통음성 평가 장치의 평가 방식으로서 SSR 분석(정상 상태 응답 분석, 시험 신호 20㎐ 내지 20㎑, sweep)을 선택, 실행하여, 방수 통음막의 고조파 왜곡을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기본파 200 내지 800㎐의 소리에 있어서의 12 내지 100차 고조파의 총합으로 표현되는 고조파 왜곡을 측정하였다.
방수 통음 부재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지지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저장 탄성률, 손실 탄성률, 손실 계수 및 고조파 왜곡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67889086-pat00001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지지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손실 탄성률이 1.0×107㎩ 이하이고 손실 계수가 1.0×10-1 이상이어서, 고조파 왜곡이 작다.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지지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손실 탄성률이 1.0×107㎩보다 크고 손실 계수가 1.0×10-1 미만이어서, 고조파 왜곡이 크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3의 방수 통음 부재는 비교예 1 내지 3의 방수 통음 부재보다도 소리의 왜곡을 저감시킬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 통음 부재는, 음향 장치가 수용되어 있는 전자 기기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 무선 전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IC 레코더, 휴대 음악 플레이어, 휴대 미디어 플레이어, 휴대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기, 스피커, 헤드폰, 마이크로폰 등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1: 방수 통음 부재
2: 방수 통음막
3: 지지층
3A: 개구부
4: 제1 점착층
5: 제2 점착층
6: 제3 점착층
7: 제2 지지층
8: 제4 점착층

Claims (7)

  1. 방수 통음막과,
    상기 방수 통음막 중 적어도 한쪽 면에 접착된 지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층의 손실 탄성률은 1.0×107㎩ 이하이고 상기 지지층의 손실 계수는 1.0×10-1 이상인, 방수 통음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개구부를 갖는, 방수 통음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지지층의 내주 단부와 교차하는 2점 간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선분을 제1 선분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개구부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고, 상기 제1 선분과 직교하며, 또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지지층의 내주 단부와 교차하는 2점 간의 선분을 제2 선분이라고 정의했을 때,
    상기 제2 선분의 길이는 상기 제1 선분의 길이의 2배 이상인, 방수 통음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상기 지지층의 내주 단부는, 상기 제1 선분과 평행한 제1 변과, 상기 제2 선분과 평행한 제2 변을 갖는 직사각형인, 방수 통음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소리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하우징에 상기 방수 통음 부재를 접착하기 위한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지지층의 외주 단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점착층의 외주 단부와 일치하는, 방수 통음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통음막과 상기 지지층을 접착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방수 통음막을 소리가 통과하는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상기 지지층의 외주 단부는 전체 둘레에 걸쳐 상기 점착층의 외주 단부와 일치하는, 방수 통음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통음막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연신 다공질막인, 방수 통음 부재.
KR1020150099612A 2015-07-14 2015-07-14 방수 통음 부재 KR102331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12A KR102331665B1 (ko) 2015-07-14 2015-07-14 방수 통음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612A KR102331665B1 (ko) 2015-07-14 2015-07-14 방수 통음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436A KR20170008436A (ko) 2017-01-24
KR102331665B1 true KR102331665B1 (ko) 2021-11-25

Family

ID=5799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612A KR102331665B1 (ko) 2015-07-14 2015-07-14 방수 통음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6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705B1 (ko) * 2019-08-16 2021-12-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버 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부재 공급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2834B1 (en) 1999-07-07 2003-01-2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Acoustic protective cover assembly
US20050150720A1 (en) * 2004-01-12 2005-07-1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dash insulators containing viscoelastic foams
JP5687566B2 (ja) * 2011-06-01 2015-03-18 日東電工株式会社 防水通音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436A (ko) 201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3134B2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member
JP6300542B2 (ja) 防水通音部材
US9271070B2 (en) Waterproof sound transmitting member
CN208353585U (zh) 扬声器箱
TWI572210B (zh) 微型揚聲器
JP4435841B2 (ja) 電子機器
KR20080056441A (ko) 케이스의 음향홀에 방진 및 방습 수단이 구비된 콘덴서마이크로폰
JP6758796B2 (ja) 防水通音部材
KR102331665B1 (ko) 방수 통음 부재
JP5054749B2 (ja) エレクトレット電気音響変換器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187186A (ja)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の実装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5006376B2 (ja) 電子機器
US10623545B2 (en) Receiver module
CN101742388B (zh) 具有驻极体式电声换能器的电子装置
KR200484877Y1 (ko) 마이크 홀더
JP6036412B2 (ja) 収音装置
CN208353586U (zh) 扬声器箱
CN207531066U (zh) 扬声器箱
CN207531065U (zh) 扬声器箱
CN202617338U (zh) 发声器件
JP2013183261A (ja) 電気音響変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5024077A1 (en) Hearing aid device
JP2013131840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0166286A (ja)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の実装構造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