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16B1 -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 Google Patents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16B1
KR102331116B1 KR1020190149073A KR20190149073A KR102331116B1 KR 102331116 B1 KR102331116 B1 KR 102331116B1 KR 1020190149073 A KR1020190149073 A KR 1020190149073A KR 20190149073 A KR20190149073 A KR 20190149073A KR 102331116 B1 KR102331116 B1 KR 102331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shape
breathing
cognitive rehabilit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183A (ko
Inventor
장우용
정보연
차정민
Original Assignee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장우용
정보연
차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장우용, 정보연, 차정민 filed Critical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1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20Curve rulers or templ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8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modulated by a simulated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active exerc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 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고 장애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인지 장애 재활을 위한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흡 유도 부재;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기 부재; 및 상기 필기 부재의 필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에 유도홈 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는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Cognitive rehabilitation set and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지 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고 장애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인지 장애 재활을 위한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의의 사고나 발달 지체나 파킨슨 병과 같이 뇌 신경 계통의 질환 또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뇌의 활도에 이상을 느끼기 때문에 손과 다리 등 신체 부위에 직접적인 운동을 전달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사물을 인지하고 판단을 내리는 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인지 장애의 다양한 증상들 중에서 예를 들면, 왼쪽과 오른쪽 중 어느 한쪽 방향을 무시하거나, 숫자나 문자를 인지하지 못하는 등 일상 생활에서 위험 상황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거나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자칫 생명에 위협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인지 장애는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서 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데, 현재 장애 정도와 그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훈련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5798호에는 인지 및 운동 장애를 가진 피검자의 재활 치료에 제스처 인식이나 모션 트랙킹 등의 인터랙티브 HCI(Human Computer Interface)기술을 활용함과 더불어 동영상을 통한 게임 기법을 도입한 인터랙티브 재활 지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인지 장애의 정도를 판단하고 장애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재활 치료는 주로 펜과 피검자의 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펜과 손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인지 장애 치료는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예컨대, "직선 이분 검사(Line bisection test)", "알버트 검사(Albert test)(Line crossing)", "곡선 추종 검사(Line trace tes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직선 이분 검사, 알버트 검사, 곡선 추종 검사의 기본 방식은 일반 종이(예컨대, A4 용지 혹은 US Letter 사이즈 용지)에 특정한 패턴들을 인쇄하여 피검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피검자가 펜을 이용하여 종이에 인쇄된 패턴상에 선을 그리도록 요청함으로써 테스트를 진행한다. 직선 이분 검사(도 1)의 경우는 피검자에게 패턴에 해당되는 각 선의 중심점을 표기하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알버트 검사(도 2)의 경우는 피검자에게 종이에 보이는 선을 표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곡선 추종 검사(도 3)는 피검자가 주어진 곡선을 정확하게 추종하여 선을 따라 그리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들은 왼쪽 또는 오른쪽 중 한 방향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피검자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목적에 있으며, 이를 통해 실제 인지 장애로 인하여 중심점을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거나, 한쪽 방향에 존재하는 선들을 인식하지 못하는 피검자들을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펜과 종이를 이용한 종래의 인지 장애 측정 및 인지 재활 운동은 자칫 쉽게 흥분하거나 제어가 어려운 환자에게 있어서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하기 어렵고, 정확한 필기 압력이나 필기 속도 등을 연습하기 어려우며, 뾰족한 펜이 자칫 위험한 물건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에 따라 한계가 있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심신의 안정을 위해서 먼저 호흡을 편안하게 유도할 수 있고, 그 이후에 환자의 상태가 안정이 되면 연질의 도구들을 이용하여 정확한 필기 압력이나 필기 속도로 필기 운동을 하는 연습을 반복할 수 있게 하여 인지 재활 운동을 쉽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손을 너무 꽉 쥐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호흡 운동과 인지 재활 운동은 물론이고, 다양한 촉감 운동과 힘의 제어 운동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지 재활 장치 세트는,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흡 유도 부재;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기 부재; 및 상기 필기 부재의 필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에 유도홈 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는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 유도 부재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제 1-1 개구부와 후단부에 제 1-2 개구부 및 내부에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중공부가 형성되는 호흡 몸체; 및 상기 호흡 몸체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입술 또는 치아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입술 또는 치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의 제 1-1 단턱 및 제 1-2 단턱이 형성되는 호흡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 몸체는, 상기 호흡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1 각도로 경사진 제 1-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2 각도로 경사진 제 1-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 몸체는, 상기 사용자가 입으로 물 때, 반발력을 줄일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기 부재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제 2-1 개구부와 후단부에 제 2-2 개구부 및 내부에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기 몸체; 및 상기 필기 몸체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의 제 2-1 단턱 및 제 2-2 단턱이 형성되는 필기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기 몸체는, 상기 필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1 각도로 경사진 제 2-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2 각도로 경사진 제 2-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기 몸체는,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필기 운동을 할 때, 힘을 조절하는 연습을 위해 무리한 힘에서는 구부러질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기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호흡 유도 부재의 호흡 강도 보다 더 높은 강도의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내경은 상기 제 1 내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기 부재는, 상기 호흡 유도 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1 단턱 및 제 2-2 단턱을 제외한 상기 호흡 몸체의 제 2 외경이 상기 제 1 내경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상인 필기판 몸체; 및 상기 필기판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직선형, 물결형, 지그재그형, 격자형, 원형, 동심형, 문자형, 동심형 안에 형성된 문자형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지 재활 장치 세트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은,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흡 유도 부재,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기 부재 및 상기 필기 부재의 필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에 유도홈 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는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포함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에 있어서,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호흡 유도 부재를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하는 단계; 및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부재를 손으로 잡고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따라 필기 운동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심신의 안정을 위해서 먼저 호흡을 편안하게 유도할 수 있고, 그 이후에 환자의 상태가 안정이 되면 연질의 도구들을 이용하여 정확한 필기 압력이나 필기 속도로 필기 운동을 하는 연습을 반복할 수 있게 하여 인지 재활 운동을 쉽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손을 너무 꽉 쥐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호흡 운동과 인지 재활 운동은 물론이고, 다양한 촉감 운동과 힘의 제어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의 호흡 유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호흡 유도 부재의 III-II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의 필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필기 부재의 V-V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호흡 유도 부재에 필기 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는,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 또는 치아(T)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흡 유도 부재(10)와,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손(H)으로 잡고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기 부재(20) 및 상기 필기 부재(20)의 필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에 유도홈 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는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를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부재(20)를 손으로 잡고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따라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를 이용하여 심신의 안정을 위해서 먼저 호흡을 편안하게 유도할 수 있고, 그 이후에 환자의 상태가 안정이 되면 상기 필기 부재(20)와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 등의 연질의 도구들을 이용하여 정확한 필기 압력이나 필기 속도로 필기 운동을 하는 연습을 반복할 수 있게 하여 인지 재활 운동을 쉽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의 호흡 유도 부재(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호흡 유도 부재(10)의 III-II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제 1-1 개구부(10a)와 후단부에 제 1-2 개구부(10b) 및 내부에 제 1 내경(D1)을 갖는 제 1 중공부(A)가 형성되는 호흡 몸체(11) 및 상기 호흡 몸체(11)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입술 또는 치아(T)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입술 또는 치아(T)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의 제 1-1 단턱(12-1) 및 제 1-2 단턱(12-2)이 형성되는 호흡 파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의 상기 제 1-1 단턱(12-1) 및 상기 제 1-2 단턱(12-2) 사이의 상기 호흡 파지부(12)를 입술로 물거나 치아로 물고, 숨을 크게 들이 마시거나 크게 내쉬거나 하여 호흡을 안정되게 유도하면서 동시에 심신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 몸체(11)는, 상기 호흡 파지부(12)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1 각도(K1-1)로 경사진 제 1-1 경사면(F1-1)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2 각도(K1-2)로 경사진 제 1-2 경사면(F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단부와 후단부를 쉽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선단부를 뾰족하게 하여 상기 호흡 몸체(11)를 필기 부재의 용도로도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흡 몸체(11)는, 상기 사용자가 입으로 물 때, 반발력을 줄일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독성이 적은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의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너무 세게 물더라도 충격을 크게 완화시켜서 기구의 손상 및 입술 또는 치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의 필기 부재(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필기 부재(20)의 V-V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부재(20)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제 2-1 개구부(20a)와 후단부에 제 2-2 개구부(20b) 및 내부에 제 2 내경(D2)을 갖는 제 2 중공부(B)가 형성되는 필기 몸체(21) 및 상기 필기 몸체(21)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의 제 2-1 단턱(22-1) 및 제 2-2 단턱(22-2)이 형성되는 필기 파지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필기 부재(20)의 상기 제 2-1 단턱(22-1) 및 상기 제 2-2 단턱(22-2) 사이의 상기 필기 파지부(12)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정확한 필기 압력이나 필기 속도로 필기 운동을 하는 연습을 반복할 수 있게 하여 인지 재활 운동을 쉽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몸체(21)는, 상기 필기 파지부(22)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1 각도(K2-1)로 경사진 제 2-1 경사면(F2-1)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2 각도(K2-2)로 경사진 제 2-2 경사면(F2-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기 몸체(21)는,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필기 운동을 할 때, 힘을 조절하는 연습을 위해 무리한 힘에서는 구부러질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손을 너무 꽉 쥐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호흡 운동과 인지 재활 운동은 물론이고, 다양한 촉감 운동과 필기 압력 및 필기 속도의 제어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필기 부재(20)를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의 용도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기 부재(20)는, 사용자가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의 호흡 강도 보다 더 높은 강도의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내경(D2)은 상기 제 1 내경(D1) 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호흡 유도 운동과 필기 운동을 반복하다가 사용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호흡시 훨씬 더 힘이 드는 좁은 내경을 갖는 상기 필기 부재(20)를 이용하여 강도 높은 호흡 운동을 단계적으로 훈련해 보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도 1의 호흡 유도 부재(10)에 필기 부재(20)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부재(20)는,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1 단턱(22-1) 및 제 2-2 단턱(22-2)을 제외한 상기 호흡 몸체(11)의 제 2 외경(D3)이 상기 제 1 내경(D1)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의 내부에 상기 필기 부재(20)를 부분적으로 삽입하여 길이를 길게 하여 다양한 필기 도구를 모사함으로써 필기감을 더욱 높이거나, 보관시 공간을 절약하거나, 호흡시에도 보다 길게 호흡할 수 있게 하는 등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상인 필기판 몸체(31) 및 상기 필기판 몸체(31)의 상면에 형성되고, 직선형(32a), 물결형(32b), 지그재그형(32c), 격자형(32d)으로 이루어지는 요철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의 요철부(32)를 따라 좌측으로 또는 우측으로 또는 상하로 선을 그으면서 인지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의 상기 요철부(32)는 동심형(32e) 안에 형성된 문자형(32f)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심형(32e)을 따라 큰 원부터 작은 원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선을 그으면서 좌측 손 또는 우측 손을 이용하면서 인지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요철부(32)의 형상은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인지 재활 운동에 효과적인 매우 다양한 문자, 숫자, 도형, 그림은 물론이고, 2차원 또는 3차원적인 각종 기하학적 형상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먼저, 심신의 안정을 위해서 먼저 호흡을 편안하게 유도할 수 있고, 그 이후에 환자의 상태가 안정이 되면 연질의 도구들을 이용하여 정확한 필기 압력이나 필기 속도로 필기 운동을 하는 연습을 반복할 수 있게 하여 인지 재활 운동을 쉽고 편안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손을 너무 꽉 쥐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호흡 운동과 인지 재활 운동은 물론이고, 다양한 촉감 운동과 힘의 제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인지 재활 장치 세트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은,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흡 유도 부재(10),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기 부재(20) 및 상기 필기 부재(20)의 필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에 유도홈 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는 필기 방향 유도 부재(30)를 포함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100)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에 있어서,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호흡 유도 부재(10)를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하는 단계(a) 및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필기 부재(20)를 손으로 잡고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를 따라 필기 운동을 하는 단계(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기 부재(20)를 호흡 유도의 용도로 활용하여 더욱 강도 높은 호흡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인지 재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T: 치아
H: 손
10: 호흡 유도 부재
10a: 제 1-1 개구부
10b: 제 1-2 개구부
11: 호흡 몸체
A: 제 1 중공부
B: 제 2 중공부
12: 호흡 파지부
12-1: 제 1-1 단턱
12-2: 제 1-2 단턱
20: 필기 부재
21: 필기 몸체
20a: 제 2-1 개구부
20b: 제 2-2 개구부
22: 필기 파지부
22-1: 제 2-1 단턱
22-2: 제 2-2 단턱
30: 필기 방향 유도 부재
31: 필기판 몸체
32: 요철부
100: 인지 재활 장치 세트

Claims (10)

  1. 심신 안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 또는 치아로 물어서 호흡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호흡 유도 부재;
    심신 안정 후,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필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필기 부재; 및
    상기 필기 부재의 필기 방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표면에 유도홈 또는 유도돌기가 형성되는 필기 방향 유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 유도 부재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제 1-1 개구부와 후단부에 제 1-2 개구부 및 내부에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중공부가 형성되는 호흡 몸체; 및
    상기 호흡 몸체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입술 또는 치아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입술 또는 치아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의 제 1-1 단턱 및 제 1-2 단턱이 형성되는 호흡 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부재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선단부에 제 2-1 개구부와 후단부에 제 2-2 개구부 및 내부에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기 몸체; 및
    상기 필기 몸체의 외경면에 형성되고, 손으로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의 제 2-1 단턱 및 제 2-2 단턱이 형성되는 필기 파지부;
    를 포함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몸체는, 상기 호흡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1 각도로 경사진 제 1-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1-2 각도로 경사진 제 1-2 경사면이 형성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몸체는, 상기 사용자가 입으로 물 때, 반발력을 줄일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몸체는, 상기 필기 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선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1 각도로 경사진 제 2-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 2-2 각도로 경사진 제 2-2 경사면이 형성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몸체는,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필기 운동을 할 때, 힘을 조절하는 연습을 위해 무리한 힘에서는 구부러질 수 있고, 안전을 위해서 연질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호흡 유도 부재의 호흡 강도 보다 더 높은 강도의 호흡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내경은 상기 제 1 내경 보다 작고,
    상기 필기 부재는, 상기 호흡 유도 부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1 단턱 및 제 2-2 단턱을 제외한 상기 호흡 몸체의 제 2 외경이 상기 제 1 내경 이하인, 인지 재활 장치 세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방향 유도 부재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 형상인 필기판 몸체; 및
    상기 필기판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직선형, 물결형, 지그재그형, 격자형, 원형, 동심형, 문자형, 동심형 안에 형성된 문자형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
    를 포함하는, 인지 재활 장치 세트.
  10. 삭제
KR1020190149073A 2019-11-19 2019-11-19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KR102331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73A KR102331116B1 (ko) 2019-11-19 2019-11-19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73A KR102331116B1 (ko) 2019-11-19 2019-11-19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83A KR20210061183A (ko) 2021-05-27
KR102331116B1 true KR102331116B1 (ko) 2021-11-26

Family

ID=7613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73A KR102331116B1 (ko) 2019-11-19 2019-11-19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1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05B1 (ko) 2013-06-18 2014-10-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펜을 이용한 인지 장애 재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7083B1 (ko) * 2019-01-22 2019-10-25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발성 호흡 기반 지각 학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호흡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925A (ko) * 2015-07-24 2017-02-02 송상호 유아 및 어린 아동용 문자연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05B1 (ko) 2013-06-18 2014-10-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펜을 이용한 인지 장애 재활 방법 및 시스템
KR102027083B1 (ko) * 2019-01-22 2019-10-25 한글콘텐츠산업 주식회사 발성 호흡 기반 지각 학습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호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83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511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health treatment
Ma et al. EMG biofeedback based VR system for hand rotation and grasping rehabilitation
KR102331116B1 (ko) 인지 재활 장치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지 재활 방법
JP4851205B2 (ja) 指動作補助具
DE212006000095U1 (de) Haltungskorrekturschreibstift
JP6604567B2 (ja) 上肢リハビリテーション支援装置
CN205145030U (zh) 手部动态矫型器
CN115155003B (zh) 一种基于vr的吞咽障碍训练方法及其设备
Baccarini et al.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hand: Plasticity of body–space interactions following tool use
CN211752217U (zh) 一种用于儿童协调能力和下肢力量训练的装置
JP3173845U (ja) リハビリ器具
JP3175081U (ja) 筆記具の持ち方矯正具
KR200494260Y1 (ko) 삼킴 운동 보조 기구
KR20140080407A (ko) 피아노 연주자세 훈련교구
CN220276217U (zh) 一种舌肌触觉训练装置
RU1877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сьма и рисования
JP6894565B1 (ja) 器具、トレーニング方法
Bae The effects of origami on the improvement of hand dexterity
Ustinova et al. Short-term practice with customized 3D immersive videogame improves arm-postural coordination in patients with TBI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TWI814005B (zh) 眼鏡安裝式磁性治療器
Pareek Cognitive adaptation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JP3143033U (ja) 指先運動の健康器具
KR101994936B1 (ko) 소근육 운동용 코인 삽입 장치
JP2014140612A (ja) ツボ刺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