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647B1 -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Google Patents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0647B1 KR102330647B1 KR1020210095971A KR20210095971A KR102330647B1 KR 102330647 B1 KR102330647 B1 KR 102330647B1 KR 1020210095971 A KR1020210095971 A KR 1020210095971A KR 20210095971 A KR20210095971 A KR 20210095971A KR 102330647 B1 KR102330647 B1 KR 102330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coupled
- hole
- gripper arms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스 크레인의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슈의 구조를 개선하여 슈의 전면 상측과 하측에 서로 이격되는 제1,2돌기부를 형성시켜 제1돌기부의 마모시 슈의 상,하부 전환동작을 통해 슈의 상부와 하부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슈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슈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슈를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스 크레인의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슈의 구조를 개선하여 슈의 전면 상측과 하측에 서로 이격되는 제1,2돌기부를 형성시켜 제1돌기부의 마모시 슈의 상,하부 전환동작을 통해 슈의 상부와 하부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슈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슈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슈를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인 각종 구조물을 운반하기 위하여 적재하거나 하역할때 또는 작업위치로 운반할때 크레인을 이용하게 된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구조물을 운반할때에는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크레인에 걸어 운반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나,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방법은, 구조물에 와이어를 엮은 후, 구조물에 엮여진 와이어에 크레인의 훅크를 걸은 다음 구조물을 상승시켜 원하는 위치에 구조물을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구조물에 엮어서 운반하는 방법은 구조물에 엮여진 와이어가 구조물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승시켰을때 구조물이 기울어져 와이어로부터 구조물이 이탈되어 낙하되어짐은 물론, 묶어 놓은 와이어가 풀리는 등 안전사고가 빈발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와이어를 구조물에 묶어매거나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옮긴 상태에서 와이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들어주어야하는 작업상의 번거러움이 있으며, 구조물 운반에 따른 노동력의 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H-빔과 같은 철재구조물은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크레인의 승강와이어에 설치되어진 훅크를 H-빔에 걸어 운반하는데, 상기한 운반 방법은, 운반중 크레인에 충격이 발생할경우 훅크가 H-빔으로부터 이탈되어져 대형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어지는 구조물은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묶어 운반하게 되나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운반할 수도 있는데, 대표적인 구조물로는 상.하수관로와 같은 콘크리트구조물을 예를 들을 수 있다.
기존에는 크레인의 권상 및 권하동작에 따라 벌려짐과 오므라짐 동작(개폐동작)을 수행하는 한쌍의 그립퍼가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에 의해 구조물이 클램핑 파지되어 운반하게 된다.
상기한 기존 크레인용 그립퍼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4489호 "크레인용 그립퍼"(등록일자 : 2000.09.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만곡되어진 단부로 미끄럼방지패드를 가지는 파지간이 크로스되게 조립되어서 크로스된 지점이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지고, 파지간의 상단부에는 양단이 힌지 연결된 절첩간의 단부가 힌지핀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절첩간의 상부에는 견인로우프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그립퍼와; 일측단부가 상기 절첩간을 결합한 힌지핀에서 회동자재토록 설치되고, 타측단부로 형성된 걸고리홈이 파지간의 힌지핀으로부터 연장형성된 고정핀에 걸림고정되어 그립퍼의 작동을 규제하는 고정레바와; 양단으로 그립퍼를 가지되, 절첩간의 견인로우프연결구멍에 연결핀으로 연결되어져서 크레인의 훅크에 걸쳐지는 견인로우프로 구성된다.
기존 그립퍼가 채용된 통스크레인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754호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등록일자 : 2001.03.02)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 장치가 슬라브(Slab)를 집거나 놓기 위해 개,폐 동작을 하는 과정에서 통 키(Tong Key) 자체의 구조적 문제점과 작업 현장의 조건 변화에 따라 비정상적인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오작동 감지센서에 의해 사전 감지하여 설비의 파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 키의 오작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 키 몸체에 내부 통 키 핀의 오작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회전 키 몸체 외피를 관통하는 홀을 가공한 후 오작동 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오작동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를 응용한 2차적 안전 인터 록(Inter Lock) 기능을 추가 적용함으로써 통 키 오작동의 원인을 극명하게 검토 및 규명하여 현장 특성에 맞는 정확한 대안 모색으로 대형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천정크레인의 가동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종래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0373호 "토우가 교체되는 통스 크레인의 슈"(등록일자 : 2018.10.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면으로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내주면 접선방향으로 관통하는 핀홀이 형성되며 통스 크레인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일측 선단은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슬래브와 접촉하고 타측 후단은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삽입공으로 삽입되는 토우와, 상기 핀홀로 삽입되어 토우의 걸림홈에 요입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기존 크레인용 그립퍼구조는 슬라브 등의 인양구조물을 클램핑 파지하는 부위인 그립퍼 아암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측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패드나 슈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나, 잦은 클램핑 접촉으로 인해 슈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양구조물을 인양하는 과정에서 슬립현상으로 인양구조물이 낙하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기존에는 슈에 마모가 발생할 경우 그립퍼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교체 작업시 크레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스 크레인의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슈의 구조를 개선하여 슈의 전면 상측과 하측에 서로 이격되는 제1,2돌기부를 형성시켜 제1돌기부의 마모시 슈의 상,하부 전환동작을 통해 슈의 상부와 하부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슈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슈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슈를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빔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양대상물을 그립핑하는 한 쌍의 그립퍼 아암과; 상기 그립퍼 아암의 양측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의 상,하측에 돌출되며 홀더부재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양대상물의 그립핑 작업시 하나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2돌기부가 형성되는 슈와; 상기 그립퍼 아암의 양측 단부에 상기 슈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돌기부는 상기 슈의 전면 상,하측에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핀 결합되는 연결핀과, 일측에 상기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슈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수용되도록 타측에 요입홈이 형성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와 슈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와, 상기 연결핀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 및 상기 고정너트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핀의 외주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홀더부재의 타측에 상기 슈의 제1,2돌기부 중 하나에 인양대상물이 접촉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그립퍼 아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핀 결합되는 연결핀과, 일측에 상기 연결핀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슈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돌부가 끼워지도록 끼움공이 형성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끼움공에 끼워진 끼움돌부가 끼워지는 지지공이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끼움돌부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단이 상기 받침판의 수직방향 기립을 지지하는 지지편, 및 상기 받침판의 후방측에서 상기 끼움돌부에 형성된 제1,2고정공 중 하나에 상방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쇄기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1고정공은 상부의 내경 폭이 하부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공은 상부의 내경 폭보다 하부의 내경 폭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래브 등의 인양대상물에 접촉되어 그립핑 파지하는 슈의 전면 상,하측에 제1,2돌기부를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시키고, 착탈수단을 이용하여 슈를 홀더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착탈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2돌기부의 하나가 마모되더라도 슈를 180°회전시켜 나머지 하나의 돌기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 제품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착탈수단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착탈수단에 의해 결합된 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제1,2돌기부가 슬래브에 그립핑 파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본 발명 제2돌기부가 슬래브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 제1돌기부가 슬래브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착탈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착탈수단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착탈수단의 다른 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착탈수단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착탈수단에 의해 결합된 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제1,2돌기부가 슬래브에 그립핑 파지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본 발명 제2돌기부가 슬래브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 제1돌기부가 슬래브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착탈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착탈수단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착탈수단의 다른 예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빔(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양대상물을 그립핑하는 한 쌍의 그립퍼 아암(110,120)과;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의 상,하측에 돌출되며 홀더부재(330)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양대상물의 그립핑 작업시 하나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슈(200)와;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슈(200)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그립퍼 아암(110,120)은 상단부가 상부빔(10)의 하측에 매달리도록 연결되고,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하단부는 서로 이격된 거리에서 슬래브(50) 등의 인양대상물을 좌,우 양측에서 파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그립퍼 아암(110,120)은 좌,우측 하단부 각각에 슈(200)가 착탈수단(30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슈(200)는 상기 인양대상물의 좌,우측에 접촉되는 전면 상,하측에 제1,2돌기부(210,220)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슈(200)에 구비되는 제1,2돌기부(210,220)는 상기 슈(200)의 전면 상,하측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슈(200)의 돌출부(250)는 후면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홀더부재(330)의 전면에 형성된 요입홈(334) 내에 수용되도록 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착탈수단(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310)과, 상기 결합공(310)에 핀 결합되는 연결핀(320)과, 일측에 상기 연결핀(320)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332)이 형성되고 상기 슈(200)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250)가 수용되도록 타측에 요입홈(334)이 형성되는 홀더부재(330), 및 상기 홀더부재(330)와 슈(200)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35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핀(320)은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310)에 관통되고 상기 고정브라켓(332)에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홀더부재(330)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핀(320)은 상기 고정브라켓(332)과의 결합시 슬리브 부시(340)가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연결핀(320)의 양단부에는 그립퍼 아암(110,120)과의 이탈 방지를 위해 고정너트(360)와 체결부재(370)가 구비되어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370)는 상기 고정너트(360)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핀(320)의 외주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홈(325,365)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너트(360)와 연결핀(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32)은 상기 홀더부재(330)의 후면 일측과 타측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320)이 핀 결합되도록 연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연결핀(320)이 결합공(310)에 관통되도록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부재(330)의 고정브라켓(332)에 형성된 연결공에 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홀더부재(330)의 요입홈(334)은 상기 슈(200)의 돌출부(250)가 수용되도록 상기 돌출부(250)와 대응되는 사각형 단면 구조의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부재(330)는 상기 슈(200)가 밀착되는 전면 부위에 상기 슈(200)의 제1,2돌기부(210,220) 중 하나가 인양대상물의 좌,우측에 접촉되도록 경사진 경사면(3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볼트(350)는 상기 슈(200)의 중앙 부위에 관통되고 상기 홀더부재(330)에 체결되어 상기 슈(200)를 홀더부재(33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상부빔(10)에 매달리도록 연결된 한 쌍의 그립퍼 아암(110,120)의 하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슈(200)가 착탈수단(30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부빔(10)의 인양작업시 상부빔(10)과 하부빔(미도시)간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하단부가 오므라들면서 상기 슈(200)가 슬래브(50) 등의 인양대상물의 좌,우 양측을 그립핑 파지하게 된다.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슈(200)의 돌출부(250)가 홀더부재(330)의 요입홈(334)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더부재(330)의 전면에 슈(200)가 결합볼트(350)로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홀더부재(330)가 연결핀(320)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200)의 전면에 형성된 제1,2돌기부(210,220) 중 하나인 하부측의 제2돌기부(220)가 슬래브(50)의 좌,우 양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2돌기부(210,220) 중 다른 하나인 상부측에 위치한 제1돌기부(210)는 슬래브(50)와 접촉되지 않도록 갭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그립핑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제2돌기부(220)가 마모될 경우, 상기 슈(200)를 홀더부재(33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모된 제2돌기부(220)가 상측을 향하도록 슈(200)를 180°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돌기부(210)를 슈(200)의 하측에 위치시켜 그립핑 작업시 슬래브(50)의 좌,우 양측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한 슈(200)와 홀더부재(330)의 분해 작업은 상기 결합볼트(35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슈(200)의 돌출부(250)를 상기 홀더부재(330)의 요입홈(33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80°의 각도로 회전시킨 슈(200)의 돌출부(250)를 상기 요입홈(334) 내에 수용되도록 한 후에 결합볼트(350)를 이용하여 슈(200)와 홀더부재(33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1돌기부(210)를 이용하여 마모된 제2돌기부(220) 대신에 슬래브(50) 등의 인양대상물을 그립핑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래브(50) 등의 인양대상물에 접촉되어 그립핑 파지하는 슈(200)의 전면 상,하측에 제1,2돌기부(210,220)를 서로 이격되게 돌출 형성시키고, 착탈수단(300)을 이용하여 슈(200)를 홀더부재(33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1,2돌기부(210,220)의 하나가 마모되더라도 슈(200)를 180°회전시켜 나머지 하나의 돌기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200) 제품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착탈수단(300)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310)과, 상기 결합공(310)에 핀 결합되는 연결핀(320)과, 일측에 상기 연결핀(320)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332)이 형성되고 상기 슈(200)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돌부(270)가 끼워지도록 끼움공(337)이 형성되는 홀더부재(330)와, 상기 끼움공(337)에 끼워진 끼움돌부(270)가 끼워지는 지지공(382)이 형성된 받침판(380)과, 상기 끼움돌부(270)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단이 상기 받침판(380)의 수직방향 기립을 지지하는 지지편(390), 및 상기 받침판(380)의 후방측에서 상기 끼움돌부(270)에 형성된 제1,2고정공(272A,272B)중 하나에 상방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쇄기부재(35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판(380)은 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쇄기부재(350A)의 하부가 제1,2고정공(272A,272B)중 하나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 및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390)은 일측단이 상기 받침판(380)에 밀착되고, 타측단이 상기 슈(200)의 후면과 접촉되며 상기 끼움돌부(270)의 상측에 고정볼트(395)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쇄기부재(350A)는 일측이 상기 받침판(380)에 접촉된 상태로 하측의 제1,2고정공(272A,272B)중 하나에 결합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330)에 대한 슈(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고정공(272A,272B)의 제1고정공(272A)은 상부의 내경 폭이 하부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공(272B)은 상부의 내경 폭보다 하부의 내경 폭이 더 크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쇄기부재(350A)가 제1,2돌기부(210,220)의 교체작업을 위한 슈(2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2고정공(272A,27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돌기부(210)가 상측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쇄기부재(350A)가 제1고정공(272A)에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돌기부(210)가 슈(20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될 경우에는, 상기 쇄기부재(350A)가 상기 제2고정공(272B)에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받침판(38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지지편(39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쇄기부재(350A)의 일측과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며, 상기 쇄기부재(350A)와 같이 상기 슈(200)의 끼움돌부(270)가 상기 홀더부재(330)의 끼움공(337)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 예의 착탈수단(300)은 볼트 체결방식이 아니라 쇄기 끼움방식으로 슈(200)를 홀더부재(3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볼트 체결작업없이 슈(200)를 홀더부재(3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볼트의 풀림 발생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상부빔 50 : 슬래브
110,120 : 그립퍼 아암 200 : 슈
210,220 : 제1,2돌기부 250 : 돌출부
270 : 끼움돌부 272A,272B : 제1,2고정공
300 : 착탈수단 310 : 결합공
320 : 연결핀 325,365 : 체결홈
330 : 홀더부재 332 : 고정브라켓
334 : 요입홈 335 : 경사면
337 : 끼움공 340 : 슬리브 부시
350 : 결합볼트 350A : 쇄기부재
360 : 고정너트 370 : 체결부재
380 : 받침판 382 : 지지공
390 : 지지편 395 : 고정볼트
110,120 : 그립퍼 아암 200 : 슈
210,220 : 제1,2돌기부 250 : 돌출부
270 : 끼움돌부 272A,272B : 제1,2고정공
300 : 착탈수단 310 : 결합공
320 : 연결핀 325,365 : 체결홈
330 : 홀더부재 332 : 고정브라켓
334 : 요입홈 335 : 경사면
337 : 끼움공 340 : 슬리브 부시
350 : 결합볼트 350A : 쇄기부재
360 : 고정너트 370 : 체결부재
380 : 받침판 382 : 지지공
390 : 지지편 395 : 고정볼트
Claims (5)
- 상부빔(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양대상물을 그립핑하는 한 쌍의 그립퍼 아암(110,120)과;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의 상,하측에 돌출되며 홀더부재(330)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인양대상물의 그립핑 작업시 선택적으로 하나가 접촉되는 제1,2돌기부(210,220)가 형성되는 슈(200)와;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양측 단부에 상기 슈(200)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착탈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돌기부(210,220)는 상기 슈(200)의 전면 상,하측에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방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삼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310)과,
상기 결합공(310)에 핀 결합되는 연결핀(320)과,
일측에 상기 연결핀(320)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332)이 형성되고 상기 슈(200)의 후면에 형성된 돌출부(250)가 수용되도록 타측에 요입홈(334)이 형성되는 홀더부재(330)와,
상기 홀더부재(330)와 슈(200)를 결합시키는 결합볼트(350)와,
상기 연결핀(320)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너트(360), 및
상기 고정너트(360)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핀(320)의 외주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체결홈(325,36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홀더부재(330)의 타측에 상기 슈(200)의 제1,2돌기부(210,220) 중 하나에 인양대상물이 접촉되도록 경사진 경사면(3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300)은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310)과,
상기 결합공(310)에 핀 결합되는 연결핀(320)과,
일측에 상기 연결핀(320)을 매개로 상기 그립퍼 아암(110,120)에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332)이 형성되고 상기 슈(200)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돌부(270)가 끼워지도록 끼움공(337)이 형성되는 홀더부재(330)와,
상기 끼움공(337)에 끼워진 끼움돌부(270)가 끼워지는 지지공(382)이 형성된 받침판(380)과,
상기 끼움돌부(270)의 상측에 결합되고 일측단이 상기 받침판(380)의 수직방향 기립을 지지하는 지지편(390), 및
상기 받침판(380)의 후방측에서 상기 끼움돌부(270)에 형성된 제1,2고정공(272A,272B)중 하나에 상방에서 하방향으로 결합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쇄기부재(350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공(272A)은 상부의 내경 폭이 하부의 내경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공(272B)은 상부의 내경 폭보다 하부의 내경 폭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5971A KR102330647B1 (ko) | 2021-07-21 | 2021-07-21 |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5971A KR102330647B1 (ko) | 2021-07-21 | 2021-07-21 |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0647B1 true KR102330647B1 (ko) | 2021-11-24 |
Family
ID=7874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5971A KR102330647B1 (ko) | 2021-07-21 | 2021-07-21 |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064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063B1 (ko) | 2023-02-20 | 2023-05-18 | 주식회사 아텍 | 픽업 크레인용 슈 구조체 |
CN118419763A (zh) * | 2024-07-01 | 2024-08-02 | 江苏常超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大型环锻件热加工吊装装置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4268A (ja) * | 1995-10-30 | 1997-05-13 | Super Tool:Kk | 吊クランプ |
KR200204489Y1 (ko) | 2000-06-23 | 2000-11-15 | 김종운 | 크레인용 그립퍼 |
KR200223754Y1 (ko) | 2000-12-15 | 2001-05-15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 |
KR100965279B1 (ko) * | 2009-10-02 | 2010-06-22 | (주)탬코 | 통스크레인의 그립핑 조우 |
KR200482874Y1 (ko) * | 2016-12-08 | 2017-03-10 | (주)한성중공업 | 토우가 교체되는 통스 크레인의 슈 |
KR101910373B1 (ko) | 2016-01-08 | 2018-10-23 | (주)한성중공업 | 토우가 교체되는 통스 크레인의 슈 |
KR102019430B1 (ko) * | 2019-06-05 | 2019-09-16 | 주식회사 대방산업 | 통크레인의 균일 마모형 슈 장치 |
KR102150105B1 (ko) * | 2020-03-30 | 2020-09-01 | 신일인텍 주식회사 | 통스용 그립퍼 죠오 구조체 |
-
2021
- 2021-07-21 KR KR1020210095971A patent/KR1023306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4268A (ja) * | 1995-10-30 | 1997-05-13 | Super Tool:Kk | 吊クランプ |
KR200204489Y1 (ko) | 2000-06-23 | 2000-11-15 | 김종운 | 크레인용 그립퍼 |
KR200223754Y1 (ko) | 2000-12-15 | 2001-05-15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통스 크레인의 통 키 오작동 감지장치 |
KR100965279B1 (ko) * | 2009-10-02 | 2010-06-22 | (주)탬코 | 통스크레인의 그립핑 조우 |
KR101910373B1 (ko) | 2016-01-08 | 2018-10-23 | (주)한성중공업 | 토우가 교체되는 통스 크레인의 슈 |
KR200482874Y1 (ko) * | 2016-12-08 | 2017-03-10 | (주)한성중공업 | 토우가 교체되는 통스 크레인의 슈 |
KR102019430B1 (ko) * | 2019-06-05 | 2019-09-16 | 주식회사 대방산업 | 통크레인의 균일 마모형 슈 장치 |
KR102150105B1 (ko) * | 2020-03-30 | 2020-09-01 | 신일인텍 주식회사 | 통스용 그립퍼 죠오 구조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4063B1 (ko) | 2023-02-20 | 2023-05-18 | 주식회사 아텍 | 픽업 크레인용 슈 구조체 |
CN118419763A (zh) * | 2024-07-01 | 2024-08-02 | 江苏常超新材料科技有限公司 | 一种大型环锻件热加工吊装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0647B1 (ko) | 통스 크레인용 슈 구조체 | |
CN108975157A (zh) | 一种专用于工字轮的吊装夹具 | |
KR102150105B1 (ko) | 통스용 그립퍼 죠오 구조체 | |
CN207276039U (zh) | 铝锭夹钳 | |
CN110733964A (zh) | 一种夹取圆形大物件吊索具 | |
CN211733607U (zh) | 一种吊装气缸体专用吊具 | |
CN206767430U (zh) | 剪刀式电线杆装卸装置 | |
CN211393536U (zh) | 一种船舶清仓机械用吊具 | |
CN210716268U (zh) | 一种天然气长输管道铺设旋转工装 | |
CN114873429B (zh) | 一种基于钢结构大型机械楼面的吊装自动脱钩装置 | |
JP2018146065A (ja) | 抜け止め装置 | |
CN209835421U (zh) | 一种工字轮吊具 | |
CN112813851A (zh) | 一种桥梁施工挂篮前吊挂系统 | |
KR20120123936A (ko) |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 |
CN107739008B (zh) | 一种辅助安装卸扣的工装 | |
CN214570024U (zh) | 一种具有扩力机构和自锁检测的吊具 | |
CN211004214U (zh) | 一种自动化机械吊具 | |
CN221165624U (zh) | 一种起吊平衡装置 | |
KR100822969B1 (ko) | 고중량 롤 이송용 통 크레인 | |
CN217921074U (zh) | 一种c型吊具结构 | |
CN212832659U (zh) | 一种叉车装卸铁桶的装置 | |
CN210854982U (zh) | 用于钢桶吊装的夹爪机构 | |
CN217148255U (zh) | 一种废纸回收用吊装夹具 | |
CN217175712U (zh) | 用于盘扣支撑杆与顶撑上的高安全性连接结构 | |
CN213707523U (zh) | 一种磨损部分可替换的莲花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