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0312B1 -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0312B1
KR102330312B1 KR1020200030392A KR20200030392A KR102330312B1 KR 102330312 B1 KR102330312 B1 KR 102330312B1 KR 1020200030392 A KR1020200030392 A KR 1020200030392A KR 20200030392 A KR20200030392 A KR 20200030392A KR 102330312 B1 KR102330312 B1 KR 10233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concrete
curing film
fastening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4799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03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횡단부재; 상기 횡단부재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횡단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횡단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양생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concrete curing membran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에 양생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은 시공 중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기둥, 슬라브 등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콘크리트의 양생 과정을 거친다. 양생 중, 콘크리트는 얼어버리지 않도록 보온되어야 하며,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마르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콘크리트의 양생 중,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은 양생막으로 커버하여 덮어준다.
종래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중인 건물의 상측에 별도의 설치구조물(1)을 제작하여 설치하고, 상기 설치구조물(1)의 상측에 천막(2)을 덮어서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덮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 방식은 시공 중인 건물의 상측에 맞는 설치구조물(1)의 별도 제작을 요구한다. 상기 설치구조물(1)은 복수의 프레임(3)을 서로 결합하여 제작되므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또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에 따라서 설치구조물(1)의 크기 내지 구조가 변경되므로, 개별 사업장마다 별도의 설치구조물(1)을 제작 및 설치해야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에 양생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횡단부재; 상기 횡단부재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횡단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횡단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양생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생막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가리는 가림막부; 및 상기 가림막부로부터 상기 횡단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결합공에는 종공의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횡단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프레임;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의 입구 측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의 타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입구 측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구조물 측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당김장치는, 상기 제2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는 제2 삽입부;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상기 돌출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링부;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에 결합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이 상기 연결링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횡단부재의 단부에 마련된 고리부에 삽입되는 링형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횡단부재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는 상기 횡단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서로 대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2 관통공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제1 관통공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제1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 나사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장치 또는 상기 횡단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부를 갖는 제1 장력조절부; 상기 제2 관통공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제2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 나사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횡단부재의 타단부 또는 상기 고정장치에 연결되는 제2 링부를 갖는 제2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1 나사결합부 또는 상기 제2 나가결합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횡단부재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고정링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림막부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상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의 가장자리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설 영역의 측부를 커버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이며, 상기 갱폼은 건물의 다음 층을 시공할 때,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다음 층의 양생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의 타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장공에는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구조물 측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생막의 아래에는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보조횡단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생막은 상기 횡단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단부재와 상기 결합부는 중공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보조횡단부재와 상기 결합부는 중공의 보조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에 양생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다층으로 시공되는 건물에서 1회 설치 후 양생막 설치 장치를 그대로 상측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매층의 양생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양생막 설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횡단부재가 콘크리트 타설 영역 상측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측면도,
도4는 양생막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5 및 도6은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에서 체결프레임을 발췌한 단면도,
도8은 도5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9는 도6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10은 장력조절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구조물에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보조횡단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14는 횡단부재와 보조횡단부재가 각각 양생막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횡단부재가 콘크리트 타설 영역 상측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3은 도2의 측면도이다. 도4는 양생막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5 및 도6은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체결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8은 도5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도6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10은 장력조절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구조물에 고정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보조횡단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14는 횡단부재와 보조횡단부재가 각각 양생막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 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할 때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양생막(30)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횡단부재(10), 고정장치(20), 및 양생막(30)을 포함한다.
상기 횡단부재(10)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된다. 상기 횡단부재(10)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 중, 시공 중인 현재 최상층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층을 횡단하여 배치된다. 상기 횡단부재(10)는 팽팽하게 당겨져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횡단부재(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와이어부(11)와, 상기 와이어부(11)의 양단부에 링형으로 마련된 고리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장치(20)는, 상기 횡단부재(10)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고정장치(2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물(90)에 고정브라켓(70)에 의해 고정된다(도11 참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20)는 상기 건축물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횡단부재(10)는 서로 마주하는 고정장치(20)에 연결되어 건축물을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90)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이다. 상기 갱폼은 건축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련되고, 시공 중인 건물의 외측에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준다. 즉, 상기 갱폼은 시공 중인 건축물의 외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20)가 설치되는 구조물(90)은 시공 중인 건축물의 최상측에 마련되는 갱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생막 설치 장치가 설치된 갱폼은 건물의 다음 윗층을 시공할 때,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다음 윗층의 양생에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장치(20)는 체결프레임(21)와 연결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프레임(21)은, 콘크리트 타설 영역에 설치되는 상기 구조물(90)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프레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프레임(21)은 중공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프레임(21)은 고정브라켓(70)에 의해 상기 구조물(90)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프레임(21)의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213)의 입구 측에는 제1 걸림턱(21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턱(214)에 의해 상기 제1 홈부(213)의 입구 측의 폭은 좁아진다.
상기 체결프레임(21)의 타측은, 상기 일측과 유사한 구조로서, 상기 체결프레임(21)의 타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부(211)의 입구 측에는 제2 걸림턱(21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턱(212)에 의해 상기 제2 홈부(211)의 입구 측의 폭은 좁아진다.
상기 연결부(23)는, 도6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프레임(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10)와 연결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23)는, 제1 삽입부(231), 제1 돌출부(232), 및 연결링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부(231)는, 상기 체결프레임(21)의 제1 홈부(213)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걸림턱(214)에 걸린다. 상기 제1 삽입부(231)는 상기 제1 걸림턱(214)의 좁은 폭을 통과한 후 90°만큼 회전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1 걸림턱(214)에 걸려서 빠지지지 않도록 체결된다.
상기 제1 돌출부(232)는, 상기 제1 삽입부(231)로부터 제1 홈부(21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돌출부(232)는 상기 제1 삽입부(231)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부(233)는, 상기 제1 돌출부(232)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연결링부(233)는 상기 제1 돌출부(232)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고리 모양의 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링부(233)는 상기 제1 돌출부(232)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상기 제1 돌출부(232) 및 제1 삽입부(231)과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단부재(10)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장치(20)에 연결부재(50)를 매개로 하여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50)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단부재(10)의 우측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연결부재(50)의 일측은 상기 연결링부(233)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횡단부재(10)의 단부에 마련된 고리부(12)에 삽입된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소위 비너라고 알려진 고리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너에 의해 상기 횡단부재(10)의 단부와 상기 고정장치(20)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양생막(30)은, 상기 횡단부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양생막(30)은 상기 횡단부재(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양생막(30)은 마치 커튼으로 창문을 가리는 것과 같이, 상기 횡단부재(10)를 슬라이딩하면서 펼쳐져서 상기 타설 영역을 가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생막(30)은 가림막부(31)와 결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가림막부(31)는,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을 가리는 부분으로, 천장부(311)와 측면부(312)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부(311)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상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천장부(311)는 상기 횡단부재(10)와 비교적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부(311)의 크기 내지 폭은 시공 중인 건물의 크기 내지 폭 등의 형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천장부(311)가 각 영역을 커버하도록 분할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부(312)는, 상기 천장부(31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설 영역의 측부를 커버한다. 즉, 상기 측면부(312)는, 상기 천장부(311)와 함께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상측에서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측면부(312)는 상기 천장부(311)와 함께 상기 타설 영역의 온도를 보온하고, 콘크리트의 수분이 외부로 과하게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인 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3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림막부(31)로부터 상기 횡단부재(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32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결합공(321)에는 중공의 결합부재(40)가 삽입되고, 상기 횡단부재(10)는 상기 결합부재(4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32)는, 상기 연결부재(50)와 마찬가지로, 소위 비너라고 알려진 고리형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당김장치(22), 장력조절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장치(22)는, 도5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프레임(21)을 상기 구조물(90) 측으로 당겨주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당김장치(22)는, 제2 삽입부(221), 제2 돌출부(222), 고정링부(223), 및 당김부재(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삽입부(221)는, 상기 제2 홈부(2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걸림턱(212)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제2 삽입부(221)는 상기 제2 걸림턱(212)의 좁은 폭을 통과한 후 90°만큼 회전시켜서 그 단부가 상기 제2 걸림턱(212)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체결된다.
상기 제2 돌출부(222)는, 상기 제2 삽입부(221)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제2 돌출부(222)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부(2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는 볼트에 의해 조여져서 상기 제2 삽입부(221)를 당김으로써 상기 제2 삽입부(221)를 상기 제2 홈부(211)에 밀착시킨다.
상기 고정링부(223)는, 상기 제2 돌출부(222)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고정링부(223)는 상기 제2 돌출부(222)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리 모양의 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당김부재(224)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부(224)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에 결합된다. 상기 당김부재(224)는 상기 체결프레임(21)을 상기 구조물(90) 측으로 당기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김부재(224)는 상기 고정링부(223)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구조물(90)에 고정된다. 상기 당김부재(224)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당김부재고정장치(80)가 상기 구조물(9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고정장치(80)는, 실질적으로 고정장치(2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당김부재고정장치(80)는 상기 고정장치(20)에 대하여 대각선 하측 방향에서 상기 구조물(9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81), 상기 고정프레임(81)에 결합되고 상기 당김부재(224)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링부를 갖는 연결고리부(82)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부재(224)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부(223)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당김부재고정장치(80)의 연결고리부(82)에 연결되어 당겨짐으로써, 상기 체결프레임(21)을 상기 구조물(90) 측으로 당겨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60)는, 상기 횡단부재(1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도3을 기준으로 상기 장력조절장치(60)는 상기 횡단부재(10)의 좌측에 배치된다. 물론, 상기 장력조절장치(60)는 상기 횡단부재(1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단부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장치(60)는, 본체(61), 제1 장력조절부(62), 및 제2 장력조절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61)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제1,2 관통공(611,612)이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61)는 전체적으로 장공의 형태로 내부는 비어 있으며, 양단부 측에 각각 제1,2 관통공(611,6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장력조절부(62)는, 상기 제1 관통공(611)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장력조절부(62)는 제1 나사결합부(621)와 제1 링부(6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는 상기 제1 관통공(611)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부분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 부재와 그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링부(622)는,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장치(20) 또는 상기 횡단부재(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가 상기 본체(61)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횡단부재(10)의 장력이 조절된다.
상기 제2 장력조절부(63)는, 상기 제1 장력조절부(6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관통공(612)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장력조절부(63)는 제2 나사결합부(631)와 제2 링부(6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는 상기 제2 관통공(612)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부분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 부재와 그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가 상기 제2 관통공(612)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의 단부는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의 단부와 마주한다.
상기 제2 링부(632)는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횡단부재(10)의 타단부 또는 상기 고정장치(20)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가 상기 본체(61)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횡단부재(10)의 장력이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력조절장치(60)는 상기 횡단부재(10)의 좌측(도3 기준)에 결합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장력조절부(62)의 제1 링부(622)는 상기 고정장치(20)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장력조절부(63)의 제2 링부(632)는 상기 횡단부재(10) 측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장력조절부재가 상기 횡단부재(10)의 우측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장력조절부(62)의 제1 링부(622)는 상기 횡단부재(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장력조절부(63)의 제2 링부(632)는 상기 고정장치(20)에 연결된다.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 또는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를 상기 본체(61)의 내부로 나사 방식으로 몰입시키면 상기 횡단부재(10)가 당겨져 상기 횡단부재(10)에 더 큰 장력이 걸리고,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 또는 상기 제2 나사결합부(631)를 상기 본체(61)로부터 더 돌출시키면 상기 횡단부재(10)가 느슨해져 상기 횡단부재(10)에 걸리는 장력이 완화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의 작용 내지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시공 중인 건물의 최상측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을 위해 사용된다. 시공 중인 건물의 외측에는 작업자의 이동 및 외벽을 형성하기 위한 갱폼이 설치되며, 상기 건물의 층이 높아지면 상기 갱폼은 수직으로 함께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최상층에 설치되는 갱폼에 고정장치(20)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장치(20)의 체결프레임(21)은 상기 구조물(90)(갱폼)을 따라서 체결된다. 상기 체결프레임(21)은 고정브라켓(70)에 의해 상기 구조물(90)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프레임(21)에 결합된 연결부(23)에는 횡단부재(10)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단부재(1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부(23)의 연결링부(233)와 링형의 연결부재(5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다만, 상기 횡단부재(1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장력조절장치(60)가 중간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횡단부재(10)는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상측에서 상기 영역을 가로질러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어서, 상기 횡단부재(10)에 양생막(30)을 결합한다. 상기 양생막(30)의 결합부(3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32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321)에 중공의 결합부재(4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횡단부재(10)는 상기 결합부재(40)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40)는 상기 횡단부재(1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 양생 작업이 수행되면, 상기 양생막(30)은 상기 횡단부재(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 상기 타설 영역의 상부를 커버한다. 이때, 상기 가림막부(31)의 천장부(311)는 상기 횡단부재(10)에 근접하여 수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타설면과 적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가람막부의 측면부(312)는 상기 타설 영역의 가장자리를 함께 덮어주게 되므로, 양생 중 보온을 유지하고, 수분 증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단부재(10)의 장력은 장력조절장치(6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결합부(621) 또는 제2 나사결합부(631)가 상기 본체(61)로 몰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횡단부재(10)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양생막(3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김장치(22)는 체결프레임(21)을 구조물(90) 측으로 당겨서 상기 횡단부재(10)가 당겨지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횡단부재(10)가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구조물(90)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분리하여 상부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 중인 건물이 현재 층의 양생을 완료하면, 이어서 현재 층의 윗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갱폼은, 그대로 분리되어 상부로 올려지고, 그 사이에 새로운 갱폼을 추가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가 설치된 갱폼은 항상 최상층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최초 설치된 이후에 갱폼과 함께 하나의 층이 완료되면 그대로 분리되어 상승된다. 따라서, 타설 영역을 덮어주기 위한 양생막(30)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위한 시간을 현저히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시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에 양생막(30)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양생막(30)을 횡단부재(10)를 따라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횡단부재(10)의 일측에 후속 양생 작업 때까지 대기시켜 놓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는, 다층으로 시공되는 건물에서 1회 설치 후 양생막 설치 장치를 그대로 상측으로 반복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매층의 양생 작업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양생 작업의 편의성 향상은 물론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프레임(21')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내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프레임(21')은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프레임(21')은, 도3에 따른 체결프레임(21)이 구조물(90)에 체결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구조물(9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프레임(21')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 장공(101)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체결프레임(21')의 타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제2 장공(102)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프레임(21')의 일측에 복수의 제1 장공(101)이 형성되고, 타측에 복수의 제2 장공(10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장공(101)에는 연결부(23)가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23)는 상기 횡단부재(1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3)는 도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2 장공(102)에는 상기 체결프레임(211')을 상기 구조물(90) 측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22)가 결합된다. 상기 당김장치(22)는 도3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내지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13의 실시예는, 도3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양생막(30)의 아래에는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보조횡단부재(11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횡단부재(110)는 실질적으로 횡단부재(10)와 동일하며, 상기 보조횡단부재(110)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장치(20)에 의해 구조물(90)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횡단부재(110)에는 장력조절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횡단부재(110)의 양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장치(20)에는 당김장치(22)가 마련되고, 당김부재(214)가 상기 구조물(9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횡단부재(110)는 상기 양생막(30)이 바람에 의해 펄럭이는 정도를 최소화하여 상기 양생막(30)이 바람에 불구하고 유동을 최소화하면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생막(30)의 측면부(312)는 상기 구조물(9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구조물(9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양생막(30)은 상기 횡단부재(10) 및 상기 보조횡당단부재(110)가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별도의 통과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312)가 구조물(9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복수의 층을 가리도록 구성하여 양질의 양생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를 도시한다. 도14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3 및 도13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내지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14의 실시예는, 도1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보조횡단부재(110)가 상기 양생막(20)과 결합된 것이 상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생막(30)의 구성은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상기 양생막(30)은 상기 횡단부재(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321)이 형성된 결합부(32)를 포함하는데, 상기 횡단부재(10)와 상기 결합부(32)는, 도3과 마찬가지로, 중공의 결합부재(4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횡단부재(110)와 상기 결합부(32)는 중공의 보조결합부재(12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양생막(30)의 측면부(312)는 도13과 같은 방식으로 구조물(9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횡단부재(110)가 상기 보조결합부재(120)에 의해 상기 결합부(32)에 결합되므로, 상기 양생막(3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상기 양생막(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횡단부재 11... 와이어부
12... 고리부 20... 고정장치
21, 21'... 체결프레임 211... 제2 홈부
212... 제2 걸림턱 213... 제1 홈부
214... 제1 걸림턱 22... 당김장치
221... 제2 삽입부 222... 제2 돌출부
223... 고정링부 224... 당김부재
23... 연결부 231... 제1 삽입부
232... 제1 돌출부 233... 연결링부
30... 양생막 31... 가림막부
311... 천장부 312... 측면부
32... 결합부 321... 결합공
40... 결합부재 50... 연결부재
60... 장력조절장치 61... 본체
611... 제1 관통공 612... 제2 관통공
62... 제1 장력조절부 621... 제1 나사결합부
622... 제1 링부 63... 제2 장력조절부
631... 제2 나사결합부 632... 제2 링부
70... 고정브라켓 80... 당김부재고정장치
81... 고정프레임 82... 연결고리부
90... 구조물 101... 제1 장공
102... 제2 장공 110... 보조횡단부재
120... 보조결합부재

Claims (14)

  1.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횡단부재;
    상기 횡단부재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횡단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횡단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양생막;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프레임;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의 입구 측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는 제1 삽입부;
    상기 제1 삽입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막은,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을 가리는 가림막부; 및
    상기 가림막부로부터 상기 횡단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결합공에는 중공의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횡단부재는 상기 결합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3. 삭제
  4. 삭제
  5.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횡단부재;
    상기 횡단부재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횡단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횡단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양생막;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프레임;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프레임의 타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의 입구 측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구조물 측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당김장치는,
    상기 제2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는 제2 삽입부;
    상기 제2 삽입부로부터 상기 돌출되는 제2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링부;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구조물에 결합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연결링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횡단부재의 단부에 마련된 고리부에 삽입되는 링형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는 상기 횡단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서로 대향하여 관통 형성되는 제1,2 관통공이 마련된 본체;
    상기 제1 관통공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제1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1 나사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장치 또는 상기 횡단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부를 갖는 제1 장력조절부;
    상기 제2 관통공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 제2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 나사결합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횡단부재의 타단부 또는 상기 고정장치에 연결되는 제2 링부를 갖는 제2 장력조절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제1 나사결합부 또는 상기 제2 나사결합부가 상기 본체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횡단부재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고정링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부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상부와 대응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천장부와, 상기 천장부의 가장자리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타설 영역의 측부를 커버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갱폼이며,
    상기 갱폼은 건물의 다음 층을 시공할 때,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다음 층의 양생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11.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횡단부재;
    상기 횡단부재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횡단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횡단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양생막;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프레임;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12.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횡단부재;
    상기 횡단부재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장치; 및
    상기 횡단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횡단부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펼쳐져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을 가릴 수 있도록 된 양생막;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프레임;
    상기 체결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횡단부재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프레임의 타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장공에는 상기 체결프레임을 상기 구조물 측으로 당겨주는 당김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막의 아래에는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된 영역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보조횡단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막은 상기 횡단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마련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단부재와 상기 결합부는 중공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보조횡단부재와 상기 결합부는 중공의 보조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KR1020200030392A 2020-03-11 2020-03-11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KR10233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92A KR102330312B1 (ko) 2020-03-11 2020-03-11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392A KR102330312B1 (ko) 2020-03-11 2020-03-11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99A KR20210114799A (ko) 2021-09-24
KR102330312B1 true KR102330312B1 (ko) 2021-11-24

Family

ID=7791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392A KR102330312B1 (ko) 2020-03-11 2020-03-11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8633B (zh) * 2021-12-07 2023-01-24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低温季节大坝混凝土浇筑用暖棚及浇筑方法
CN115726363B (zh) * 2022-12-22 2023-09-1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汕尾供电局 一种电力基建工程用混凝土养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91Y1 (ko) * 2005-11-14 2006-02-07 태원정공 주식회사 조립식 덮개용 지붕틀
KR200441857Y1 (ko) * 2007-03-23 2008-09-11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막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5897A (ja) * 1992-04-15 1993-11-09 Takenaka Komuten Co Ltd スライド式仮設屋根工法および仮設屋根
JP3335464B2 (ja) * 1994-03-23 2002-10-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現場のテント用シート包装体、筒状カバー、及び、テント施工方法
KR20150065027A (ko) * 2013-12-04 2015-06-12 조기철 수평형 천막 설치장치
KR20200014612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도가 와이어를 이용한 개폐식 천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91Y1 (ko) * 2005-11-14 2006-02-07 태원정공 주식회사 조립식 덮개용 지붕틀
KR200441857Y1 (ko) * 2007-03-23 2008-09-11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콘크리트구조물의 양생막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799A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0312B1 (ko) 콘크리트 양생막 설치 장치
US9163413B2 (en) Exterior wall assembly systems
US9404269B2 (en) Exterior wall assembly systems
EP19143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nd fixing a drain channel
EP3056632A1 (de) Randeinfassung für balkon- und terrassenböden
KR101162109B1 (ko) 조적식 외부벽돌벽
KR100887366B1 (ko) 지붕슬래브 형성을 위한 거푸집 받침 장치
KR101128401B1 (ko) 천장의 경량틀 조립체
KR20120001878U (ko)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DE10023419C2 (de) Haltestruktur für eine Rauchabzugsleitung bei einer Dachdurchführung
KR102217031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KR101524353B1 (ko) 방수형 어닝 마운트 블록, 어닝 마운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닝 마운트 구조체 및 어닝 마운트 구조체를 사용하여 조립된 어닝 구조물
DE102015107196A1 (de) Befestigungselement für die Befestigung eines Fensterrahmens an einer Gebäudedecke eines Bauwerks, zugehöriges Bauwerk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Fensterrahmens an einer Gebäudedecke
JPH0224447A (ja) 手摺り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JP3989381B2 (ja) 基礎天水切
RU2205925C1 (ru) Наруж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JP2008297700A (ja) 換気棟用棟木受承具及びそれを使用した換気棟構造
RU2298617C2 (ru) Перекрытие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101025648B1 (ko)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AT291501B (de) Aus Platten zusammengesetzte Unterdecke
JPH03295960A (ja) 庇状部用防水パン
CN113605533A (zh) 一种气膜底部边界固定装置及固定方法
JP3223177B2 (ja) アール付き屋根用化粧瓦棒
DE202023104824U1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Balkons an einem Gebäude
JP2520371B2 (ja) 枠組壁工法のコンクリ―ト造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