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933B1 -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 및 스토리지 장치 - Google Patents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 및 스토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933B1
KR102329933B1 KR1020197022105A KR20197022105A KR102329933B1 KR 102329933 B1 KR102329933 B1 KR 102329933B1 KR 1020197022105 A KR1020197022105 A KR 1020197022105A KR 20197022105 A KR20197022105 A KR 20197022105A KR 102329933 B1 KR102329933 B1 KR 10232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orage
door
wal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248A (ko
Inventor
쿤 린 유니스 찬
루프 치이 엔지
Original Assignee
쿤 린 유니스 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 린 유니스 찬 filed Critical 쿤 린 유니스 찬
Publication of KR2019010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4Doors containing cup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60Tiltably- or pivotally-arranged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현관의 현관 측벽 상에 힌지-장착된 스토리지 설비(100)를 포함하는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토리지 설비(100)는 물품 보관을 위한 스토리지 조립체(120) 및 현관 측벽 상에 장착되고 힌지 축을 갖는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벽-장착 조립체(140)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상기 벽-장착 조립체(140)에 장착되고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현관에서 차단 또는 부분적인 차단을 형성할 때의 제1 위치와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현관을 관통하는 차단되지 않은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현관에 대해 비스듬하게(at an angle) 위치할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현관 측벽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 및 스토리지 장치
본 발명은 스토리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관(vestibule)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조립체 및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사용 가능한 공간은 많은 주요 도시에서 가장 귀중한 자원 중 하나이다. 사용 가능하고 편리한 저장 공간의 부족은 많은 도시 거주자들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현관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조립체 및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한 세트의 장치(an ensemble of apparatus)이고 현관의 현관 측벽 상에 힌지-장착된 스토리지 설비(storage arrangement)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설비는 물품 보관을 위한 스토리지 조립체 및 현관 측벽 상에 장착되고 힌지 축을 갖는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벽-장착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는 상기 벽-장착 조립체 상에 장착되고, 스토리지 조립체가 현관에서 차단(obstruction) 또는 부분적인 차단을 형성할 때의 제1 위치와 스토리지 조립체가 현관을 통한 차단되지 않은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현관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 할 때(at an angle)의 제2 위치 사이에서 현관 측벽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스토리지 장치와, 스토리지 장치를 하중-버팀 지지 구조(load-bearing support structure)에 부착하기 위한 벽-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설비의 스토리지 조립체가 개시된다.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강성(rigid) 장착 장치 상에 형성된 스토리지 구획(storage compartment) 또는 복수의 스토리지 구획을 포함한다. 상기 벽-장착 장치는 상기 지지 구조 상에 장착하기 위한 벽-장착부, 벽-장착부가 중량-버팀 구조(weight-bearing structure)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스토리지 장치를 운반 또는 지지하기 위한 중량-버팀부 및 벽-장착부 및 중량-버팀부를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hinged connection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버팀부는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벽-장착부에 대해 피벗 이동가능하고(pivotally movable) 반경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며, 힌지 축은 축 방향 및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이 하기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파킹 해제된(unparked) 구성에서 하중 버팀 구조 상에 장착된 스토리지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설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1a는 도 1의 선 A-A'을 따라 취해진 스토리지 설비의 상부에서 바라본 횡단면도로, 점선 화살표는 스토리지 조립체가 수납 위치(stowed position)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며,
도 1b의 (1b)는 도 1의 스토리지 조립체(100)의 구성 요소를 보여주는 부분 분해도이며,
(1b1)은 예시적인 백킹 조립체 및 예시적인 벽-장착 조립체의 일부를 보여주며,
(1b2)는 (1b1)의 예시적인 백킹 조립체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하며,
(1b3)은 예시적인 벽-장착 부품(section)의 확대도이며,
(1b4)은 (1b1)의 예시적인 백킹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c는 예시적인 스토리지 설비가 제거된 도 1 설비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a의 (2a)는 스토리지 조립체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도 1의 스토리지 설비의 횡단면도이고,
(2a1)은 도 1의 레벨 A-A' 아래의 축 방향 레벨에서 취해진, 도 2a의 (2a)의 스토리지 설비의 횡단면도로서, 예시적으로 mm 치수를 가지며,
(2a2)는 외부 게이트 (GD)가 개방된 상태에서 (2a1)의 횡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2a)의 선 W-W를 따라 취한 도 2a의 (2a)의 스토리지 설비의 종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a의 (2a2)의 모드에서 스토리지 조립체(100)를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3a의 (3a1), (3a2) 및 (3a3)은 예시적인 스토리지 구획(compartment)의 일련의 예시적인 작동 움직임의 예를 도시하며,
도 3b의 (3b1) 내지 (3b4)는 예시적인 벽-장착 부품의 일련의 팽창 또는 수축 이동을 보여주며,
도 4a의 (4a1) 내지 (4a4)는 일련의 도어 개폐 동작을 도시하며,
도 4b의 (4b1) 내지 (4b4)는 각각 도 4a의 (4a1) 내지 (4a4)의 도어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5a의 (5a1) 내지 (5a4)는 일련의 도어 개폐 동작을 도시하며,
도 5b의 (5b1) 내지 (5b4)는 각각 도 5a의 (5a1) 내지 (5a4)의 도어 개폐 동작에 대응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6의 (6a) 내지 (6i)는 스토리지 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하고,
도 7의 (7a1) 내지 (7a3)은 예시적인 스토리지 장치의 작동 사용예를 도시한다.
통합 스토리지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20) 상에 장착된 스토리지 설비(storage arrangement, 100)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설비(100)는 스토리지 조립체(storage assembly, 120) 및 벽-장착 조립체(140)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스토리지 장치 및 스토리지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포함한다. 지지 장치는 선택적으로 스토리지 장치(124)를 지지하기 위한 강성의 백본 구조를 갖는 백킹 조립체(backing assembly, 122)이다. 스토리지 장치(124)는, 예를 들어 사람이 아파트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필요로 하는 물품을 위한 임시 보관 공간과 같은 보관 공간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스토리지 장치는 복수의 스토리지 구획(compartment)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단일의 스토리지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백킹 조립체(122)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백킹 조립체(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성의 백킹 조립체(122)는 스토리지 장치가 플렉시블하거나 부정형(indefinite shape) 형상일 때 스토리지 장치의 측방향 폭 및/또는 형상 및 치수를 유지한다.
스토리지 설비(100)는 지지 구조(20) 상에 단일 유닛 또는 일체형 구조로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스토리지 조립체(120)에 의해 운반되는 하중의 중량을 포함하여 스토리지 설비(100)의 중량은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지지 구조(20)에 의해 지지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벽-장착 조립체(140)에 의해 지지 구조(20) 상에 장착되고,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중량은 벽-장착 조립체(140)에 의해 지지 구조로 전달된다.
벽-장착 조립체(140)는 하중-버팀부(load-bearing portion) 및 벽-장착부를 포함한다. 하중-버팀부는 장착된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장착된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중량은 벽-장착부에 의해 지지 구조로 전달된다. 벽-장착부는 지지 구조(20) 상에 벽-장착 조립체(140)를 장착하여 장착된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중량이 지지 구조(20)에 의해 지지 또는 실질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도어 힌지에 대해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중-버팀부(load-bearing portion)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벽-장착부(따라서, 지지 구조)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회전축에 대한 하중-버팀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벽-장착부는 회전축을 정의하는 힌지 축을 갖는 힌지 연결부(hinged connection portion)를 포함한다. 힌지 연결부는, 예를 들어 하중-버팀부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할 수 있는 확장가능한 힌지 연결부일 수 있으며, 상기 반경 방향은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에 직교하고 축방향은 힌지 축에 의해 정의된다. 연결부 힌지 축(connection portion hinge axis)이라고도 지칭되는,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은 스토리지 장치(124)가 도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경우의 응용에서 도어의 힌지 축에 평행하다. 상기 연결부 힌지 축은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통상의 또는 전형적인 현관 스토리지 응용에서 힌지 축을 중심으로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피벗 이동가능하다. 힌지 연결부는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벽-장착부에 대한 하중-버팀부의 피벗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힌지 연결부는 힌지 축이 약간 기울어져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수납 위치(stowed position)로부터 멀어질 때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수납 위치로 자기 복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시적인 응용예에서, 스토리지 조립체(100)는 실내 또는 실외 설치를 위한 것이고, 예를 들면 주택, 빌딩 또는 아파트와 같은 빌딩 유닛(집합적으로 "구내(premises)"라 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토리지 설비(100)는 구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고 구내의 입구 부분에서 현관에 근접한 장착 리셉터클(receptacle) 상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 리셉터클은 현관 리셉터클 구획(vestibule receptacle compartment)을 정의한다.
예시적인 지지 구조(20)는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은 빌딩 구조의 벽의 일 부분, 예를 들면 벽의 구성요소(integral part)이다. 예시적인 벽은 분할 벽(partitioning wall), 예를 들면 개인 영역 외부의 공공 또는 공동 영역으로부터 아파트 내의 개인 또는 폐쇄 영역(22)을 분리하는 분할 벽이다. 진입 개구(entry aperture)가 벽에 형성된다. 진입 개구는 아파트로의 입구를 정의하고 경계 벽에 의해 윤곽이 그려지는데, 이 경계 벽은 아파트의 입구에서 현관(vestibule)과 입구 평면(entry plane)을 정의하기 위해 협력하는, 제1 측벽(24) 및 제2 측벽(26)을 포함하는 내부 경계 벽 또는 외부 경계 벽일 수 있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 각각은 현관 측벽이고 각각의 현관 측벽은 수직 측벽이고 입구 평면은 상기 현관 측벽과 직교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측벽은 제1 측벽과 평행하고 제1 측벽에 대향하며 제1 측벽과 협력하여 현관의 폭을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제1 및 제2 측벽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두께는 현관 공간의 깊이를 정의하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의 이격 거리는 현관폭을 정의한다.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은 현관의 횡방향 대칭축인 중심 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중심 축은 제1 측벽과 평행하며 입구 평면 상에 있다. 입구 평면(entry plane)은 일반적으로 사람이 현관 또는 진입 개구를 통해 구내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하게 되는 출입 방향과 직각을 이룬다. 그 폭은 중심 축 및 출입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측정되고, 제1 측벽의 깊이 또는 두께는 상기 출입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경계 벽은 선택적으로 현관의 높이를 정의하도록 협력하는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경계 벽은 선택적으로 도어 장착 프레임으로 기능하는 현관 프레임을 정의한다. 제1 측벽(24) 및 제2 측벽(26)은 도어 장착 리셉터클을 정의하도록 협력하는 예시적인 현관 프레임의 2개의 횡방향 측벽(즉, 좌측 및 우측 측벽)이다. 복수의 입구 가드(entry guard) 중 하나의 입구 가드가 도어 장착 리셉터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의 (1b)의 실시예에서, 제1 입구 가드 및 제2 입구 가드가 도어 장착 리셉터클 상에 장착된다. 예시적인 제1 입구 가드는, 예를 들면, 상기 장착 리셉터클의 내측 단부 상에, 예를 들면 제1 입구면(first entry side)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측벽의 내측 단부 상에 힌지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내측 도어(27A)이다. 예시적인 제2 입구 가드는, 예를 들면 상기 장착 리셉터클의 외측 단부 상에, 예를 들면 제2 입구면(second entry side))을 정의하도록 상기 제1 측벽(24)의 외측 단부 상에 힌지 결합에 의해 장착되는 금속 그릴 게이트(27B) 형태의 외측 도어이다. 상기 제1 입구 가드 및 제2 입구 가드는 현관 스토리지 용적(28)으로도 알려진, 현관 스토리지 공간을 정의하도록 협력한다. 수납 위치에 있는 스토리지 설비(100)는, 도 1a 및 도 2a의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문간(inter-door) 공간인, 현관 스토리지 공간(28) 내에 위치되거나 수용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벽-장착 조립체(140)는 도 1b의 (1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24) 상에 장착되고 현관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 단부 중간에 장착된다. 예시적인 벽-장착 조립체(140)는 예시적인 복수의 4개의 벽-장착 부품(section)을 포함한다. 각각의 벽-장착 부품은 벽-장착 디바이스(142) 및 벽-장착 디바이스(142)에 연결된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를 포함한다. 벽-장착 디바이스(142)는 지지 구조에 부착하고, 상기 지지 구조 및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벽-장착 디바이스는 벽-장착 플레이트 및 벽-장착 플레이트와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 연결 조인트(hinged connection joint)를 포함한다. 힌지 연결 조인트는 제1 측벽에 평행하고 도어 힌지 축에 평행한 힌지 축인, 조인트 축을 갖는다.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벽-장착 디바이스(142)의 힌지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버팀 부재(145A)를 포함한다.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벽-장착 디바이스(142)의 힌지 연결 조인트의 힌지 축에 대하여 반경 방향인, 횡방향으로 하중-버팀 디바이스(144)의 연장 및 수축을 용이하게 하는 확장 디바이스(145B)를 포함한다. 하중-버팀 디바이스(144)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은 힌지 연결 조인트를 통해 벽-장착 플레이트 (따라서, 지지 구조)로 전달된다. 예시적인 확장 디바이스(145B)는 도 1b의 (1b1) 및 (1b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조인트이다. 예시적인 접이식 조인트는 벽 장착 디바이스(142)의 힌지 축에 평행한 힌지 축을 갖는 힌지 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는 제1 바 부분 및 제2 바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힌지 조인트이다. 제1 바 부분은 벽-장착 디바이스(142)의 힌지 조인트에 연결되고, 제2 바 부분은 예를 들면 벽-장착 디바이스(142)의 힌지 축에 평행한 조인트 축을 갖는 다른 힌지 조인트에 의해 하중-버팀 부재(145A)에 연결된다. 도어(27A)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되는 예시적인 개방 동작의 동안,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도 3b의 (3b1)의 실질적으로 접혀진 구성으로부터 (3b2)의 더 펼쳐진 구성으로, (3b3)의 실질적으로 펼쳐진 구성으로, 마침내 (3b4)의 완전히 펼쳐진 구성으로 점진적으로 팽창한다. 반대로, 도어(27A)가 폐쇄될 때,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3b4)의 완전히 펼쳐진 구성으로부터 (3b1)의 실질적으로 접혀진 구성으로 점진적으로 접혀진다. 하중-버팀 디바이스(144)의 반경 방향의 확장성 및 수축성은 백킹 조립체(122)와 연결 조인트의 힌지 축 간의 반경방향 거리가 점진적으로 변화할 때, 개폐 동작의 동안 하중-버팀 디바이스(144) 및 백킹 조립체(122) 간의 연속적인 중량 지지 링크(weight support linkage)를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는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스토리지 장치(124) 및 힌지 연결부 간의 반경방향 거리가 변화하는 중에 힌지 축을 중심으로 스토리지 장치(124)가 회전하는 동안, 스토리지 장치(124)에 대한 하중-버팀 지지(load-bearing support)의 제공을 용이하게 한다.
하중-버팀 부재(145A)는 길게 연장된(elongate) 형상이고, 충분한 중량 버팀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면 강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금속 바, 또는 예를 들면 PC, ABS 또는 다른 경질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질 플라스틱 바(hard-plastic bar)를 포함한다. 확장 디바이스(145B)의 바 부분은 선택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충분한 하중-버팀 강도를 제공하도록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확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단일의 벽-장착 부품(section)을 가질 수 있다.
도 1b의 (1b1)의 예시적인 벽-장착 조립체(140)의 횡방향 연장 벽-장착 부품은 더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도록 종방향 보강을 제공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성 커넥터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확장 디바이스(145B)의 모든 제2 바 부분은 강성 종방향 바에 의해 단단하게 결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벽-장착 디바이스에 인접한 하중-버팀 부재(145A)의 단부는 함께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벽-장착 부품이 단단히 연결될 때, 연결된 바 부분들의 움직임은 동기화되어 모든 구성 연결 바 부분들이 제1 측벽을 중심으로 동기화되어 피벗되고 제1 측벽에 대해 동기화되어 확장 및/또는 수축된다. 하중-버팀 디바이스(144)는 집합적으로 하중-버팀부를 형성하고, 벽-장착 디바이스(142)는 집합적으로 벽-장착 조립체(140)의 벽-장착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벽-장착 부품(section)은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벽-장착 부품이 독립적으로 장착될 때, 각각의 하중-버팀 디바이스(144A, 144B, 144C, 144D)는, 도 1b의 (1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독립적으로 연장 가능하고 및/또는 독립적으로 수축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선택된 복수의 벽-장착 플레이트를 보다 신속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일의 바에 형성될 수 있다.
백킹 조립체(122)는 스토리지 장치(124)를 지지하기 위한 백본 구조를 제공하고 스토리지 장치(124)의 중량을 운반하기 위한 강성의 백킹 장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백킹 장치는 도 1b의 (1b) 및 (1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의 백킹 프레임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백킹 프레임은, (1b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강성 중공 바(123A)를 포함한다. 각각의 중공 바(123A)는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중공 바는 상이한 축방향 레벨로 분포된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 바는 선택적으로 복수의 강성 종방향 바(123B, 123C)에 의해 연결되고, 강성의 중공 바는 협동하여 단일의 백킹 조립체(122)를 형성한다. 강성 종방향 바는 강성 중공 바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강성 백킹(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강성 중공 바는 함께 연결되지 않거나 단단하게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중공 바는 내부 보어를 정의하는 내부 벽을 갖는다. 강성 중공 바(123A)의 내부 보어 안으로 및 내부 보어로부터 길게 연장된(elongate) 하중-버팀 부재(145A)가 부드럽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 보어는 하중-버팀 부재(145A)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형상 및 치수가 정해진다. 각각의 하중-버팀 부재(145A) 및 대응하는 강성 중공 바(123A)는 조립될 때 신축가능한 쌍(telescopic pair)을 형성하고, 하중-버팀 부재(145A)는 강성 중공 바(123A)의 내부 애퍼쳐 안으로 및 내부 애퍼쳐로부터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다(move telescopically). 하중-버팀 부재(145A) 및 내부 애퍼처를 갖는 대응하는 강성 중공 바는 또한 레일 및 채널 조립체(rail-and-channel assembly)를 형성한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하중-버팀 부재(145A)는 강성 중공 바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123A)가 하중-버팀 부재(145A)의 내부 애퍼쳐 내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마찰 저감 수단, 예를 들면 볼 베어링이, 원활한 삽입 및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중-버팀 표면인 하중-버팀 부재(145A)의 상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백킹 프레임은 단일의 강성 중공 바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를 벽-장착 조립체(140) 상에 장착하기 위해, 스토리지 장치(124)와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더라도, 백킹 조립체(122)는 벽-장착 조립체(140)와 정렬되어 각각의 강성 중공 바(142)는 벽-장착 조립체(140)의 대응하는 하중-버팀 부재(145A)와 정렬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와 벽-장착 조립체(140)가 부착을 위해 정렬될 때, 백킹 조립체(122)는 하중-버팀 부재(145A)로 가압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가 벽-장착 조립체(140) 상에 장착될 때,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벽-장착 조립체(14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지지 구조로부터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벽-장착 조립체(1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백킹 조립체(122)가, 벽-장착 조립체(140)와의 부착 시에, 백킹 조립체 위에 장착된 스토리지 장치(124)를 갖지 않을 경우, 스토리지 장치(124)는 후에 장착될 수 있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내측 도어(27A)("결합된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토리지 장치(124)가 결합된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스토리지 조립체는 도어의 개폐 동안 도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결합된 도어의 회전 이동을 따라야 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와 도어(27A) 사이의 예시적인 회전 이동 결합은, 도 1b의 (1b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이동 결합 디바이스(30)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동 결합 디바이스(30)는 도어의 외향 면에 장착되고 도어의 회전 이동을 따른다. 예시적인 스토리지 장치(124)는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지만 축 방향으로는 도어와 결합되지 않아 스토리지 장치(124)와 도어가 도어 힌지 축 방향인, 축 방향으로 서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 결합 디바이스(30)는 도어(27A)의 외측 면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부와, 도어(27A)의 외측 면과 평행하게 변위되는 제2 플레이트부와, 제1 및 제2 플레이트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간 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수직 슬롯(30A)은 제2 플레이트부 상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수직 슬롯은 슬롯에 대한 진입 개구를 정의하도록 제2 플레이트부 하부 자유 단부에서 개방되고 상기 슬롯은 진입 개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동 결합 디바이스(30)는 도어 상에 부하가 없거나 최소인 상태에서 이동 추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토리지 장치(124) 상의 이동 추종 디바이스(125)와 협력한다. 예시적인 추종 디바이스(125)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성의 중공 바(123A), 예를 들면, 백킹 조립체(122)의 최상부를 형성하는 횡방향 바(123A)의 전방 대향면(forward-facing surface)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전방 대향면은 현관을 향하는 표면이다. 예시적인 이동 추종 디바이스(125)는 도 1b의 (1b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바(123A) 상에 장착된 베이스 단부를 갖는 스템 부분(stem portion) 및 상기 베이스 단부에서 먼 스템 부분의 자유 단에 확대된 헤드 부분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와 내측 도어(27A)가 이동 결합될 때, 제2 플레이트부는 강성 중공 바(123A)의 전방 대향면의 전방에 있고 스템 부분은 슬롯을 통해 돌출한다. 상기 추종 디바이스(125)의 스템 부분 및 확대된 헤드 부분은, 도어가 제1 측벽을 중심으로 피벗 또는 회전 이동할 때, 스토리지 조립체(120)와 내측 도어(27A) 사이의 연결 및 연결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플레이트부와 협력한다. 이동 결합 디바이스(30)가 도어로부터 분리되거나 추종 디바이스(125)의 범위를 벗어나 이동할 때, 또는 확대된 헤드 부분이 스템 부분으로부터 제거될 때 기계적 이동 연결이 제거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예에서, 상기 스템 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형일 수 있으며, 확대된 헤드 부분은 상기 나사형 스템 부분의 자유 단부 상에 나사 결합되어 탈착 가능한 헤드 부분을 갖는 이동 추종 디바이스(125)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슬롯(30A)은 폐쇄된 슬롯이다. 스토리지 장치로부터 도어로의 중량 전달을 완화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 스템 부분이 상기 슬롯을 따라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및/또는 도어의 외측 표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슬롯으로 및 슬롯으로부터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도록, 슬롯은 스템 부분의 폭보다 크거나 약간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슬롯은 또한 스토리지 장치 및 결합된 도어 사이의 상대적인 반경 방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해한다.
도 1a 및 도 2a의 (2a)를 참조하면, 도어 장착 리셉터클은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weight bearing support structure, 2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도어 장착 리셉터클은 입구 평면(entry plane)과 구내에 대한 진입 개구(entry aperture)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 제1 측벽(24)과 제2 측벽(26)을 포함한다. 제1 도어 장착 프레임은 지지 구조의 일 측면 상에 장착되어 도어 장착 리셉터클의 제1 측벽(24)을 형성하고, 제2 도어 장착 프레임은 지지 구조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장착되어 도어 장착 리셉터클의 제2 측벽(26)을 형성한다. 제1 도어(27A)는 도어 장착 리셉터클의 제1 입구 측에 장착되고, 제2 도어(27B)는 도어 장착 리셉터클의 제2 입구 측에 장착된다. 제1 도어(27A) 및 제2 도어(27B)는 각각 도어 장착 리셉터클에 대해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 있을 때, 도어는 입구 평면과 평행하고 진입 개구를 차단하거나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횡단 장벽을 형성한다. 도어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도어는 입구 평면에 대해 비스듬하게(at an angle) 위치되고, 구내로의 진입(entry)을 허용하거나 그로부터 진출(exit)을 허용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제1 도어(27A)는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에서 도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다. 현관 스토리지 공간(28)은 제1 도어(27A)와 제2 도어(27B) 사이에 형성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현관 스토리지 공간(28) 내부에 장착된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제1 측벽 상에 장착된 장착 조립체(140)의 힌지 연결부에 의해 지지 구조 상에 장착되고,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중량은 완전히 아니더라도 실질적으로, 벽-장착 조립체(140)에 의해 지지된다. 장착 조립체(140)의 힌지 연결부는 도어(27A)의 힌지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 힌지 축을 갖는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제1 도어(27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rotational coupled) 제1 도어(27A)의 도어 힌지에 대한 회전은 상기 도어 힌지 축에 대한 스토리지 조립체(120)의 회전 운동을 유발할 것이다.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도어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 힌지 축을 가지는 힌지 연결부에 대한 하중-버팀 링크(load-bearing linkage) 하에 있으면서 도어(27A)의 도어 축인 제1 힌지 축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2a의 (2a) 및 (2a1)을 참조하면,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수납 위치(stowed position)에서 파킹된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현관 스토리지 공간(28) 내에 완전히 수용되고,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현관에서 적어도 부분적인 장벽을 형성한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백킹 조립체(122)를 포함하는 스토리지 장치(124)는 제1 측벽과 직각을 이루며 입구 평면에 평행하거나 또는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수납 위치에 있을 때, 벽-장착 조립체(140)의 하중-버팀부는 제1 측벽과 직각을 이루며 입구 평면에 평행하거나 또는 동일 평면 상에 있다.
도 2a의 (2a)의 예시적인 상황에서, 내측 도어(27A) 및 외측 도어(27B)는 모두 폐쇄 상태 또는 파킹된 상태이다. 폐쇄 또는 파킹된 상태일 때, 각 도어는 입구 평면에 평행하여 입구를 막거나 현관 측벽과 직각을 이루고, 입구 현관을 가로지르는 입구 장벽을 형성한다. 도 2a의 (2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도어가 파킹되어 있지 않거나 개방될 때, 스토리지 조립체(120)는 외측으로 노출되지만 도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된 위치에 유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외측 도어는 슬라이드 레일 상에 장착되고 미끄럼 이동하여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도어가 개방될 때, 즉, 현관 스토리지 용적 또는 입구 평면으로부터 각도 θ만큼 회전될 때, 스토리지 장치(124)는 도어(27A)의 회전 이동을 따라, 입구 평면에 대해 각도 θ를 이루어 진입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도는 30도 이상이고, 보통 30도에서 90도 사이이다. 도어(27A)가 개방되고 있을 때, 이동 추종 디바이스(125)는 도어의 개방 움직임을 추종하고 벽-장착 디바이스(142)의 힌지 축에 대해 피벗 이동하고, 추종 디바이스(125)의 결과적인 피벗 운동은 스토리지 장치(124)의 피벗 운동을 초래한다. 도어(27A) 및 스토리지 장치(124)가 기계적으로 비-중량식으로 결합되어(mechanically and non-weight coupled) 도어가 스토리지 장치(124)의 중량 또는 임의의 유의미한 중량을 지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결합된 도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장착된 도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회전 구동력을 상기 도어 힌지 축 중심으로 상기 결합된 도어에 가할 필요만 있다.
스토리지 설비(10)가 현관 스토리지 용적(28)으로부터 제거되면, 현관 및 현관 스토리지 용적(28)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된다.
예시적인 일련의 도어 개폐 작동이 도 4a의 (4a1) 내지 (4a4) 및 도 4b의 (4b1) 내지 (4b4)에 도시되어 있다.
처음에 내측 도어(27A), 외측 도어(27B) 및 스토리지 조립체(100)가 파킹된 상태에 있을 때, 스토리지 시스템(10)은 도 2a의 (2a)의 폐쇄 상태에 있다. 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내측 도어 (27A), 외측 도어 (27B) 및 스토리지 조립체(100)는 모두 현관에서 진입 장벽이다.
구내를 나가기 위해, 사람은 내측 도어(27A), 즉, 결합된 도어가 열리게 할 것이다. 결합된 도어가 개방될 때, 결합된 도어와 입구 평면 사이의 각도는 (결합된 도어가 입구 평면에 평행할 때의) 0으로부터 진입에 충분한 개방 각도, 예를 들면 θ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스토리지 장치와 결합된 도어 사이의 이동 결합으로 인해, 스토리지 장치와 입구 평면 사이의 각도도 도 4a의 (4a1) 및 도 4b의 (4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에서 θ로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외측 도어는 출구를 막는 출구 장벽으로 유지되면서 구내의 안쪽으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 4a의 (4a2) 및 도 4b의 (4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내의 내부(22)로부터 진행하여 현관 영역으로 이동하여 외측 도어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이중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 도어 및 외측 도어는 모두 개방되고, 내부 및 외부 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관통 통로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현관 외부에 있을 때, 사용자는 내측 도어 및 외측 도어를 닫히게 하고, 스토리지 시스템은 도 4a의 (4a3), (4a4) 및 도 4b의 (4b3) 및 (4b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폐쇄된 상태로 된다.
예시적인 일련의 도어 개폐 작동이 도 5a의 (5a1) 내지 (5a4) 및 도 5b의 (5b1) 내지 (5b4)에 도시되어 있다.
초기에, 스토리지 시스템(10)은 도 2a의 (2a)의 폐쇄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현관은 진입 방향 및 진출 방향으로 폐쇄되고, 현관 스토리지 공간은 내측 도어와 외측 도어 사이에 둘러싸여진 폐쇄 또는 둘러싸여진 공간이다.
구내로 진입하기 위해, 사람은 외측 도어(27B)를 열리게 할 것이다. 외측 도어가 진입을 위한 충분한 각도로 비스듬하게 위치될 때, 내측 도어(27A) 및 스토리지 장치는 도 5a의 (5a1) 및 도 5b의 (5b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을 막는 입구 장벽으로 유지되면서 노출되어 접근 가능하다. 스토리지 시스템(10)이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내측 도어(27A) 및 스토리지 조립체(100)는 현관에서 진입 장벽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외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측 도어(27A), 즉, 결합된 도어를 열리게 할 것이다. 결합된 도어가 개방되고 있을 때, 결합된 도어와 입구 평면 사이의 각도는 (결합된 도어가 입구 평면에 평행한 경우의) 0도 에서 개방 각도, 예를 들면, 진입을 위해 충분한 각도인 θ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스토리지 장치와 결합된 도어 사이의 이동 결합으로 인해, 스토리지 장치와 입구 평면 사이의 각도도 도 5a의 (5a2) 및 도 5b의 (5b2)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에서 θ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와 같이 추가적인 부분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현관의 모든 진입 장벽이 해제된다.
결합된 도어(27A)가 개방된 후에, 사용자는 도 5a의 (5a3) 및 도 5b의 (5b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내의 내부로 들어가고 외측 도어(27B)를 닫게 될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도 5a의 (5a4) 및 도 5b의 (5b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도어(27B)가 닫히게 하고, 시스템(10)은 도 2a의 (2a)의 폐쇄 상태로 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 4b의 (4b1), (4b2), (4b3) 및 도 5b의 (5b1), (5b2), (5b3)의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물품 보관 및/또는 물품을 꺼내기 위해 스토리지 장치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어 및 제2 도어 각각은 입구 장벽(입구 가드로도 알려짐),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관을 통한 통로를 막거나 또는 차단하기 위한 재-폐쇄 가능한(re-closable) 입구 장벽으로 기능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토리지 시스템은 예를 들면 외측 도어 또는 내측 도어와 같은 단일의 입구-장벽을 가질 수 있으며, 스토리지 설비(100)는 단일-입구 장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입구 장벽에 이동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스토리지 시스템이 단일의 입구-장벽을 갖는 경우, 구내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현관 스토리지 공간에 항상 접근할 수 있다. 현관 스토리지 설비가 결합된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단일-입구 장벽 또는 모든 입구 장벽이 개방 된 상태일 때 현관에 통로(thoroughfare)가 형성된다.
선택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토리지 시스템은 입구 장벽으로서 추가 도어를 갖지 않을 수 있고, 수납 위치에 있는 스토리지 시스템은 입구 장벽 또는 현관을 가로 지르는 또는 현관의 부분적인 입구 장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이 스토리지 조립체에 대한 추가적인 입구 장벽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현관(vestibule)은 스토리지 시스템이 개방 상태인지 폐쇄 상태인지에 따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결합된 입구 장벽(결합된 도어로도 알려짐)과 스토리지 조립체 사이의 회전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결합 메커니즘은 필요하거나 원할 경우 스토리지 조립체의 독립적인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해제 가능한(releasable) 결합 메커니즘이다. 입구 장벽과 스토리지 조립체 사이의 회전 이동 결합이 해제되면, 스토리지 조립체는 결합된 입구 장벽의 힌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더 이상 기계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해제된 또는 비-결합 상태에 있을 때, 스토리지 조립체는 개폐 동작 중에 벽-장착 조립체의 힌지 연결부(hinged connection portion)의 힌지 축인 그 자체 힌지 중심으로 회전하고, 결합된 입구 장벽의 힌지 축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도 1을 포함하는 일부 실시형태에서, 입구 장벽은 금속 그릴 도어와 같은 그릴 입구 가드 및 목재 도어와 같은 비-그릴 밀폐 도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스토리지 장치(120)는 도 1, 도 2b 및 도 6의 (6a) 내지 (6i)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스토리지 구획(storage compartment)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구획은 각각 일정한 형상 및 일정한 보관 용량을 갖는 복수의 강성 스토리지 캐비닛으로 배열된다. 스토리지 구획은 후면 패널에 장착되고 행과 열의 매트릭스로 배열된다. 스토리지 캐비닛은 백킹 조립체(122)의 강성 백본 부재에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모듈식 스토리지 캐비닛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토리지 캐비닛은 단일 세트의 스토리지 캐비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토리지 캐비닛은 일반성을 잃지 않고 단일의 유닛으로 강성 백본 부재와 일체화 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토리지 구획은 연질 및/또는 플렉시블 재료로 제조된 보관 포켓을 포함할 수 있고, 유연한 보관 효용성을 위해 일정한 형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스토리지 캐비닛은 도 3a의 (3a1) 내지 (3a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복귀(self-returning) 캐비닛이다. 스토리지 캐비닛은 수평 힌지 축을 가지는 한 쌍의 힌지에 의해 강성의 주 캐비닛 프레임에 힌지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힌지는 캐비닛의 하단에 인접하여 장착되며 캐비닛은 하중의 유무에 관계없이 힌지 축 둘레의 무게 중심 모멘트로 인해 개방될 때 그 무게 중심이 캐비닛이 그 폐쇄 위치로 자기-복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캐비닛의 무게 중심은 항상 힌지 축의 뒤쪽과 위쪽에 있어야 한다.
지지 구조 또는 현관 프레임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목재, 강철, 알루미늄, 아연 철(galvanized iron),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복합 재료, 플라스틱, 지지 구조의 형성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 또는 이들의 결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어 장착 프레임은 목재, 강철, 알루미늄, 아연 철, 금속 또는 금속 합금, 복합 재료 또는 플라스틱, 도어 및 게이트 장착 형성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실시예 및 도면은 제한 또는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닌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수직, 수평, 평행, 직교 등의 용어는 일반성을 상실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수직, 실질적으로 수평, 실질적으로 평행, 실질적으로 직교 등을 포함한다. 단수 명사는 단수 아이템에 국한되지 않으며 문맥에 달리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복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 명사는 복수의 아이템을 지칭하기위한 제한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문맥이 필요로 하거나 허용할 경우 또는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단수의 아이템을 지칭할 수도 있다.
Figure 112019076929771-pct00001

Claims (14)

  1.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으로서,
    현관의 입구 평면에 직교하고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며 두께는 현관 공간의 깊이를 정의하고 이격 거리는 현관의 폭을 정의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된 장착 리셉터클에 힌지-장착된 스토리지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설비는 물품 보관을 위한 스토리지 조립체와 현관 측벽 상에 장착되고 힌지 축을 갖는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는 벽-장착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는 상기 벽-장착 조립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가 현관에서 차단(obstruction) 또는 부분적인 차단을 형성할 때의 제1 위치와 스토리지 조립체가 현관을 관통하는 차단되지 않는 통로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현관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할 때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현관 측벽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스토리지 설비가 상기 장착 리셉터클에 수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관 측벽에 힌지 장착되고 도어 힌지부와 도어 힌지 축을 가지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는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추종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개방 및 폐쇄 동작 중에 상기 도어 힌지 축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장착 조립체의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은 현관 측벽 상의 제1 힌지 축이고 상기 벽-장착 조립체는 제1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힌지 축을 가지며 상기 도어는 현관 측벽 상의 제2 힌지 축인 도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힌지 축과 상기 제2 힌지 축은 평행하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는 개방 및 폐쇄 동작 중에 상기 제1 힌지 축 및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가 상기 제2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와 상기 도어가 회전 이동 결합되고,
    상기 스토리지 조립체와 상기 도어는 비-중량식으로 결합(non-weight coupled)되어 도어 힌지부가 스토리지 조립체의 중량 또는 최소 중량을 지지하지 않고, 스토리지 조립체의 중량은 상기 벽-장착 조립체에 의해 지지 구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 스토리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현관의 입구 평면에 직교하고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며 두께는 현관 공간의 깊이를 정의하고 이격 거리는 현관의 폭을 정의하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사이 공간으로 정의된 장착 리셉터클에 힌지-장착되는 스토리지 설비의 스토리지 조립체로서,
    스토리지 장치 및 상기 스토리지 장치를 하중-버팀 구조에 부착하기 위한 벽-장착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강성의 장착 장치에 형성된 하나의 스토리지 구획 또는 복수의 스토리지 구획을 포함하고;
    상기 벽-장착 장치는 상기 하중-버팀 구조 상에 장착하기 위한 벽-장착부와, 상기 벽-장착부가 상기 하중-버팀 구조 상에 장착될 때 상기 스토리지 장치를 운반 또는 지지하기 위한 중량-버팀부와, 상기 벽-장착부와 상기 중량-버팀부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버팀부는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벽-장착부에 대해 피벗 이동 가능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며, 상기 힌지 축은 축 방향 및 상기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벽-장착 장치의 상기 중량-버팀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을 중심으로 상기 벽-장착부에 대해 피벗 이동 가능하며,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에 대하여 상기 힌지 축과 직교하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레일 및 채널 장치(rail-and-channel arrangement)에 의해 상기 중량-버팀부 상에 장착되고, 상기 스토리지 장치는 상기 힌지 연결부의 힌지 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상기 벽-장착부 상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장치의 상기 벽-장착 장치는 복수의 길게 연장된(elongate) 지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강성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며, 각각의 길게 연장된 지지 구성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횡으로 연장되고, 상기 길게 연장된 지지 구성요소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축 레벨로 분포되며;
    상기 벽-장착 장치의 중량-버팀부는 복수의 길게 연장된 중량-버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길게 연장된 중량-버팀 구성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횡으로 연장되고, 상기 길게 연장된 중량-버팀 구성요소는 길게 연장된 지지 구성요소의 축 레벨에 대응하는 축 레벨에서 축 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량-버팀부는 상기 중량-버팀부의 반경방향 연장 및 반경방향 수축 또는 단축을 용이하게 하는 확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확장 디바이스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힌지 결합에 있는 제1 힌지부와, 상기 힌지 연결부와 먼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힌지부와 힌지 결합에 있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는 이중-힌지된 힌지 커넥터부(double-hinged hinge connector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버팀부의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와 상기 힌지 연결부는 평행하고 이격된 힌지 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중량-버팀부는 축방향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지지 부재는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중-힌지된 힌지 커넥터부와 결합하여 상기 중량-버팀부에 분배된 축방향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벽-장착 장치의 중량-버팀부에 포함되는 각각의 길게 연장된 중량-버팀 구성요소는 상기 중량-버팀부의 반경 방향 연장 및 반경 방향 수축 또는 단축을 용이하게 하는 이중-힌지된 힌지부(double-hinged hinge portion)를 확장 디바이스로서 포함하고;
    상기 이중-힌지된 힌지부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힌지 결합에 있는 제1 힌지부와, 상기 힌지 연결부와 먼 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힌지부와 힌지 결합에 있는 제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버팀부의 상기 제1 힌지부와 제2 힌지부 및 상기 힌지 연결부는 평행하고 이격된 힌지축을 가지며;
    상기 중량-버팀부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길게 연장된 중량-버팀 구성요소의 상기 제2 힌지부를 연결하여 상기 중량-버팀부에 분배된 지지를 제공하는 축방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리지 조립체.
KR1020197022105A 2017-01-03 2018-01-03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 및 스토리지 장치 KR102329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K17100036 2017-01-03
HK17100036.7 2017-01-03
PCT/IB2018/050030 WO2018127805A1 (en) 2017-01-03 2018-01-03 Vestibule storage assemblies and storag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248A KR20190103248A (ko) 2019-09-04
KR102329933B1 true KR102329933B1 (ko) 2021-11-23

Family

ID=6279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105A KR102329933B1 (ko) 2017-01-03 2018-01-03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 및 스토리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905766B2 (ko)
KR (1) KR102329933B1 (ko)
CN (1) CN110177487B (ko)
SG (1) SG11201906149RA (ko)
TW (1) TW201829901A (ko)
WO (1) WO2018127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357B1 (ko) * 2020-12-28 2022-09-02 김청미 마스크 보관용 수납장
CN112806733B (zh) * 2020-12-31 2022-11-29 西南政法大学 一种法律文件智能存档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0903A1 (en) 2008-02-13 2009-08-13 Timothy Wayne Tassi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JP2010264073A (ja) 2009-05-14 2010-11-25 Sekisui Jushi Co Ltd ドアを利用した収納装置
JP2015505704A (ja) * 2011-12-19 2015-02-26 ヒンジニュイティ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Hingenuity International, LLC 部屋のドアをドアフレームに支持するヒンジに選択的に取り付けられるキャビネットおよび鏡、かかる取付用のヒンジ、ならびにその取り付けのため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8186A (en) * 1990-09-14 1992-10-27 Krut Wayne G Hanging file system
WO1994013175A1 (en) * 1992-12-16 1994-06-23 Paul Solomon Door comprising recessed cabinet
US6647664B1 (en) * 2000-06-27 2003-11-18 Metropolitan Industries, Inc. Hanger for a housing
US6712228B2 (en) * 2002-02-04 2004-03-30 Richard B. Lowe Mountable hanger apparatus and kit of parts therefore
CN2732072Y (zh) * 2004-06-17 2005-10-12 罗玉明 一种能前后叠加层数的组合式柜子
CN2923958Y (zh) * 2006-06-06 2007-07-18 王盛修 鞋柜式住宅二道门
JP5104117B2 (ja) * 2007-08-08 2012-12-19 ソニー株式会社 収納システム、収納付きパネルおよび壁
JP2009195587A (ja) * 2008-02-25 2009-09-03 Hidehiko Mabuchi 伸縮壁ピタ吊戸棚及び吊戸棚を設置する方法
CN201561245U (zh) * 2009-10-29 2010-08-25 梁剑龙 能够调节张开角度的平板电视支撑用支架
CN201883711U (zh) * 2010-07-20 2011-06-29 尤旭鸣 隐蔽式房间装置
CN201765758U (zh) * 2010-07-21 2011-03-16 福建捷联电子有限公司 壁挂显示器的壁挂结构
CN201827621U (zh) * 2010-10-26 2011-05-11 宁波股达电子科技有限公司 电器支架
CN202364330U (zh) * 2011-09-29 2012-08-01 浙江忆丰科技有限公司 用于液晶电视的壁挂式工装底座
CN103565120B (zh) * 2012-08-03 2016-09-2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收纳装置
CN104453660A (zh) * 2014-11-24 2015-03-25 时洪良 一种储物式门中门
CN204386316U (zh) * 2014-11-28 2015-06-10 中电科信息产业有限公司 开闭活动门及其外置铰链
CN105747542A (zh) * 2014-12-20 2016-07-13 哈尔滨金苹果橱柜有限公司 一种可用作写字台或画板的壁柜
CN204963355U (zh) * 2015-07-24 2016-01-13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壁挂式冰箱和用于壁挂式冰箱的固定组件
CN205618907U (zh) * 2016-03-30 2016-10-05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壁挂组件和显示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00903A1 (en) 2008-02-13 2009-08-13 Timothy Wayne Tassi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JP2010264073A (ja) 2009-05-14 2010-11-25 Sekisui Jushi Co Ltd ドアを利用した収納装置
JP2015505704A (ja) * 2011-12-19 2015-02-26 ヒンジニュイティ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Hingenuity International, LLC 部屋のドアをドアフレームに支持するヒンジに選択的に取り付けられるキャビネットおよび鏡、かかる取付用のヒンジ、ならびにその取り付けのため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248A (ko) 2019-09-04
SG11201906149RA (en) 2019-08-27
JP6905766B2 (ja) 2021-07-21
CN110177487B (zh) 2021-08-10
CN110177487A (zh) 2019-08-27
TW201829901A (zh) 2018-08-16
JP2020522287A (ja) 2020-07-30
WO2018127805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933B1 (ko) 현관 스토리지 조립체 및 스토리지 장치
US8079179B2 (en) Sliding door structure
EP3272251B1 (en)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US8162159B2 (en) Modular garage storage
US20090272707A1 (en) Pocket door system
CA2568054A1 (en) Retractable shower curtain rod
KR20160018239A (ko) 공간활용 여닫이문
CN101031223A (zh) 用于具有可交替地接近的诸侧面的可运动结构物的方法和装置
CN211622744U (zh) 折叠式私密仓
JPH10507377A (ja) シャワー用個室
WO1994001647A1 (en) A detachable and movable modular wall panel system
WO2005124064A2 (en) Hinge for an enclosure
CN110601109A (zh) 一种组合式电缆桥架
CN114391059B (zh) 可配置台阶辅助装置
GB2423115A (en) Retractable locking device impeding opening of door in one direction
DE202010000567U1 (de) Befestigungssystem für Flachbildschirme, mit einem angetriebenen Schwenkarm zur Positionierung der Bildfläche für eine horizontale oder vertikale Projektion
JP3506041B2 (ja) 収納間仕切り
CN219374275U (zh) 一种便携式展览台
JP2000336807A (ja) 間仕切用折畳み保管庫
JPH1181724A (ja) 仮設ハウス
JP2005139774A (ja) 伸縮式開閉案内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建具
JP3085644B2 (ja) 浴室戸の上部取付構造
GB2564861A (en) A support assembly for supporting a tiltable window
EP3611322A1 (en) Sliding door arrangement
KR20210002096U (ko) 멀티 무빙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