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989B1 - 착탈식 묵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묵 교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989B1
KR102328989B1 KR1020200184247A KR20200184247A KR102328989B1 KR 102328989 B1 KR102328989 B1 KR 102328989B1 KR 1020200184247 A KR1020200184247 A KR 1020200184247A KR 20200184247 A KR20200184247 A KR 20200184247A KR 102328989 B1 KR102328989 B1 KR 102328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t
jelly
stirring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영
Original Assignee
허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영 filed Critical 허재영
Priority to KR1020200184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160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B01F15/00538
    • B01F15/00824
    • B01F7/00716
    • B01F7/22
    • B01F2015/00584
    • B01F2215/001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착탈식 묵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솥부재; 상기 솥부재의 내면에 안착되게 내부안착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부재; 상기 받침프레임부재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솥부재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부재의 상기 내부안착프레임에 의해 상기 솥부재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탈착프레임부재; 상기 받침프레임부재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의 내측에 위치되게 교반날개가 설치된 교반부재;를 마련하여 솥부재의 직경에 관계없이 받침프레임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고, 교반장치를 솥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탈착프레임부재를 솥의 외경에 맞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탈착프레임부재의 외부안착프레임을 솥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받침프레임부재의 내부안착프레임을 솥의 내면에 밀착시켜 솥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착탈식 묵 교반장치{Detachable jelly stirring device}
본 발명은 착탈식 묵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묵을 만들기 위한 교반장치를 솥의 상면에 자유롭게 탈착시켜 묵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묵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토리(acorn)는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생하는 참나무과(Fagaceae) 식물열매를 총칭하는 것으로, 구형, 난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모양을 가지며 그 크기도 다양하다.
도토리에는 탄수화물과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도토리묵을 만들어 식용하고 있다.
도토리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아콘산은 인체 내부의 중금속 및 여러 유해물질을 흡수,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고 피로회복 및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소화기능을 촉진시키고 입맛을 돋구워 준다.
또한 장과 위를 강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며 강장 효험을 볼 수 있으며, 당뇨 및 암 등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잇몸염,인후두염,화상등에 효과가 있다.
뛰어난 중금속 정화효과(도토리 1g이 중금속폐수 3.5ton을 정화)로 완전 무공해식품으로 열량이 적으며(100g당 70kcal) 성인병과 비만에 아주 좋은 식품으로 장과 위를 보호하며 설사를 멈추고 피를 맑게 하는 기능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늘 배가 부글거리고 끓는 사람, 불규칙적으로 또는 식사를 끝내자마자 대변을 보는 사람,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 몸이 자주 붓는 사람에게는 도토리 묵 한 가지만 섭취하더라도 원인치료가 쉽게 이루어진다고 기록되어 있다.
도토리 열매 자체는 치질을 다스리고 하혈과 혈통을 그치게 하며, 장을 튼튼히 하고 마른 사람을 살찌게 하며 설사를 다스린다고 하며, 1989년 10월 28일 과학기술처에서는 도토리에 항암 작용이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도토리로 만든 묵을 섭취하면 심한 설사도 멈춘다고 했는데, 이는 불용성으로 존재하고 있는 타닌 때문이며, 수분함량이 80%, 당류가 20%인 묵을 먹으면 만복감(滿腹感)은 있으나 칼로리가 적은 저열량식품이기 때문이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떫고 쓰다. 그러나 독은 없다. 60~80%가 녹말이며, 타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이 도토리를 먹으면 설사를 그치게 되는 것은 바로 타닌 때문이다. 도토리는 속이 차며 몸이 약한 사람이 먹어도 설사하지 않기 때문에 먹을 것이 없던 시절에는 중요한 식품이었다.
묵은 원료가 되는 메밀이나 도토리 및 녹두 등을 곱게 분쇄하고, 분쇄된 액상원료를 솥에 투입하여 끓여준 다음 증숙이 완료된 증숙원료를 단일체로 된 성형틀에 쏟아붓고 식혀주는 방법으로 묵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우리나라 고유음식인 묵은 전분질(도토리가루, 메밀가루, 녹두가루 등)을 풀처럼 쑤어 식혀서 굳힌 것으로, 전분의 젤(gel)화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현재에는 묵제조공장에서 대형의 제조기를 이용하여 대형으로 대량 제조하여 일반인에게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제조된 묵 제품은 하나의 큰 덩어리 상태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일정크기로 분할하여 판매하기 위해서는 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일정규격으로 절단하여 포장지에 담아주는 방법으로 판매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큰 덩어리 형태로 제조된 묵 제품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판내하는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고, 절단작업 및 포장작업 등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요즈음에는 묵의 액상원료를 끓여주는 끓임솥에서 끓여진 증숙원료를 설정된 규격별로 제조된 포장용기에 일정량씩 투입하고 포장용기를 밀봉포장하는 방법으로 포장묵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포장묵을 생산하는 종래 기술은 묵의 액상원료를 끓여주기 위한 복수개의 끓임솥을 일렬로 고정 설치하는 한편, 증숙이 완료된 증숙원료를 일정량씩 포장하기 위한 묵포장기는 상기한 복수개의 끓임솥과는 별도의 장소에 고정 설치해 놓고 포장묵을 생산하게 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복수개의 끓임솥에서 끓여진 증숙원료를 다른 운반용기에 퍼담아 묵포장기로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증숙원료를 옮겨주는데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운반용기를 이용하여 운반된 증숙원료가 굳어지기 전에 포장용기에 담아주는 포장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포장묵의 품질은 떨어지게 되는 반면에, 생산비는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묵 제조기는 그 용량이 대형으로 일반 음식점이나 상점 등에서는 즉석에서 묵을 제조하여 음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묵이 일반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동안 신선도가 떨어져 묵의 신선미를 떨어뜨여 일반 소비자가 신선한 묵을 음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회전식 묵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식 묵 제조장치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닥고정판과, 상기 바닥고정판 상면에 고정 입설된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부는 상기 회전통보다 높게 연장된 상태로 회전통의 외주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수평부는 상기한 수직부의 상단에서 직각을 이룬 채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의 수직부에 고정 부착된 채 상기 회전통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끓임솥과,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각각의 수평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끓임솥 내부까지 하향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액상원료를 교반하기 위해 형성된 교반날개를 구비하고 있는 교반용 모터와, 상기 끓임솥 각각을 스팀열로 가열하기 위하여 각 끓임솥 저부측으로 스팀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스팀배출관과, 상기 회전통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열을 상기한 각 스팀배출관으로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스팀분배수단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동교반응고 및 용기충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자동교반응고 및 용기충진장치는 가열해서 익힌 중간재를 응고제와 교반하여 응고시키고, 용기에 충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와 상기 응고제를 주입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중간재와 상기 응고제를 와상관(渦狀管)을 거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와,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된 충진부 및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 및 상기 중간재와 상기 응고제가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교반부로 이송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임펠러(impeller)를 구비하며, 상기 교반부와 상기 충진부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56554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7449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130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음식점이나 상점(매장)에서 즉석으로 묵을 제조할 수 있는 소형의 묵 제조기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선한 묵을 일반 소비자가 신선미를 간직한 체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솥의 크기에 관계없이 묵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다른 솥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111)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솥부재(110); 상기 솥부재(110)의 내면에 안착되게 내부안착프레임(137)에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부재(130);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기 내부안착프레임(137)에 의해 상기 솥부재(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탈착프레임부재(150);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내측에 위치되게 교반날개(175, 176)가 설치된 교반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17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와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에 의해 상기 솥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133);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프레임(134); 상기 제1 수직프레임(133)과 제2 수직프레임(134)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35); 상기 제1, 2 프레임(131, 132)과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133, 134) 및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36);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내면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내부안착프레임(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상면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51);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상기 제2 프레임(13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51)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52); 상기 수평프레임(151)에 고정바(154)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153); 상기 관통구멍(153)에 설치되는 고정바(154); 상기 고정바(154)에 형성되는 나사부(155); 상기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바(154)의 하단에 형성되는 외부안착프레임(156); 상기 고정바(154)의 높이를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15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부재(17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71); 상기 구동모터(17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71)의 전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172); 상기 구동모터(171)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71)의 전면에 설치되는 비상정지스위치(173); 상기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74); 상기 회전축(174)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교반날개(175); 상기 회전축(174)의 하단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교반날개(17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교반날개(175)와 상기 제2 교반날개(176)는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에 의하면, 솥부재의 직경에 관계없이 받침프레임부재를 탈착시킬 수 있고, 교반장치를 솥에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탈착프레임부재를 솥의 외경에 맞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고, 탈착프레임부재의 외부안착프레임을 솥의 외면에 밀착시키고 받침프레임부재의 내부안착프레임을 솥의 내면에 밀착시켜 솥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에 의해 묵을 서서히 저어줄 수 있고, 교반날개를 사람이 젓는 속도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양질의 묵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수의 솥에 번갈아가면서 교반부재를 탈착할 수 있어 하나의 교반부재로도 다수개의 교반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탈착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탈착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탈착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111)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솥부재(110)와, 상기 솥부재(110)의 내면에 안착되게 내부안착프레임(137)이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부재(130)와,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기 내부안착프레임(137)에 의해 상기 솥부재(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탈착프레임부재(150)와,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내측에 위치되게 교반날개(175, 176)가 설치된 교반부재(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솥부재(110)는 소정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묵을 교반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다량의 묵을 교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탈착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탈착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탈착프레임부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31) 및 제2 프레임(132)과,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133)과,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프레임(134)과, 상기 제1 수직프레임(133)과 제2 수직프레임(134)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35)과, 상기 제1, 2 프레임(131, 132)과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133, 134) 및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36)과,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내면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내부안착프레임(1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는 솔부재(110)의 상면에 안착되며, 교반부재(170)를 안정되게 받쳐주는 것으로,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프레임(131) 및 제2 프레임(132)의 일단에는 소정 높이로 제1 수직프레임(133)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131) 및 제2 프레임(132)의 타단에는 제1 수직프레임(133)과 동일한 높이의 제2 수직프레임(1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직프레임(133)의 내측에는 수평프레임(135)이 형성되고, 제2 제2 수직프레임(133)의 내측에도 수평프레임(13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131, 132)과 수직프레임(133, 134)의 외면에는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136)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3, 134)과 수평프레임(135)의 외면에는 고정프레임(136)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내측에는 솥부재(110)의 내면에 밀착되는 내부안착프레임(137)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안착프레임(137)은 솥부재(110)의 직경에 관계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안착프레임(137)은 솥부재(110)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의 외부안착프레임(156)은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받침프레임부재(130)을 솥부재(110)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상면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51)과,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상기 제2 프레임(13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51)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52)과, 상기 수평프레임(151)에 고정바(154)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153)과, 상기 관통구멍(153)에 설치되는 고정바(154)와, 상기 고정바(154)에 형성되는 나사부(155)와, 상기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바(154)의 하단에 형성되는 외부안착프레임(156)과, 상기 고정바(154)의 높이를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15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57)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는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에는 외부안착프레임(157)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안착프레임(157)은 솥부재(110)의 직경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부재(1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의 수평프레임(151)은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이격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51)을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51)의 저면에 수직프레임(152)이 형성된다.
이들 수직프레임(152)은 프레임(131, 13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151)에는 고정바(154)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관통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154)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154)는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게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154)를 체결 고정시킴은 물론 솥부재(110)의 높이에 관계없이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154)의 하단에는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는 외부안착프레임(157)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안착프레임(157)은 솥부재(110)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는 나사부(15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57)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부재(17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71)와, 상기 구동모터(17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71)의 전면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172)와, 상기 구동모터(171)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171)의 전면에 설치되는 비상정지스위치(173)와, 상기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74)과, 상기 회전축(174)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는 제1 교반날개(175)와, 상기 회전축(174)의 하단 타측에 설치되는 제2 교반날개(17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부재(170)는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솥부재(110)의 내부에 위치되게 교반날개(175, 176)가 구비되어 솔부재(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묵을 저어주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71)는 교반날개(175, 176)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구동모터(171)에는 작동스위치(172)와 비상정지스위치(173)가 설치된다.
상기 작동스위치(172)는 구동모터(171)을 온 또는 오프시키며, 상기 비상정지스위치(173)는 위급상황 발생 시 구동모터(171)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71)의 하부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74)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74)의 하부에는 제1 교반날개(175)와 제2 교반날개(17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교반날개(175)와 제2 교반날개(176)는 교반대상물이 고르게 교반될 수 있도록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교반날개(175)와 제2 교반날개(176)는 교반대상물의 교반이 원활하면서도 양호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식 묵 교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탈시 묵 교반방치는 솥부재(110)의 상면에 받침프레임부재(13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안착프레임(137)은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솥부재(11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즉, 내부안착프레임(137)은 서로 이격된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내부안착프레임(137)은 솥부재(110)의 내면에 서로 이격된 상태를 밀착된다.
이러한 내부안착프레임(137)은 솥부재(110)의 내면 4곳에 각각 밀착되므로,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를 보다 안정되면서도 견고한 상태로 밀착된다.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에는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는 탈착프레임부재(150)가 설치된다. 이들 탈착프레임부재(150)는 솔부재(110)의 직경에 따라 솥부재(110)의 외면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솥부재(110)의 직경이 작은 경우, 한 쌍의 탈착프레임부재(150)는 좁게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직경이 큰 경우, 한 쌍의 탈착프레임부재(150)는 넓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솥부재(110)의 직경에 관계없이 교반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의 외부안착프레임(157)은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바(154)는 수평프레임(151)의 관통구멍(153)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너트(157)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는 구동모터(171)가 안착되고, 한 쌍의 교반날개(175, 176)는 솥부재(110)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교반날개(175, 176)는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교반날개(175, 176)는 사람이 묵의 제조 시 젓는 속도로 천전히 회전된다.
이에 솥부재(110)의 내부에 담긴 교반대상물은 교반날개(175, 176)의 회전에 의해 서서히 저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솥부재
130: 받침프레임부재 131: 제1 프레임
132: 제2 프레임 133: 제1 수직프레임
134: 제2 수직프레임 135: 수평프레임
136: 고정프레임 137: 내부안착프레임
150: 탈착프레임부재 151: 수평프레임
152: 수직프레임 153: 관통구멍
154: 고정바 155: 나사부
156: 외부안착프레임 157: 고정너트
170: 교반부재 171: 구동모터
172: 작동스위치 173: 비상정지스위치
174: 회전축 175: 제1 교반날개
176: 제2 교반날개

Claims (4)

  1. 내부에 일정한 공간부(111)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솥부재(110);
    상기 솥부재(110)의 내면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부재(130);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내부안착프레임(137)에 의해 상기 솥부재(11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탈착프레임부재(150);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내측에 위치되게 교반날개(175, 176)가 설치된 교반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17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와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에 의해 상기 솥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탈착프레임부재(150)는,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의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상면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51);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상기 제2 프레임(132)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51)의 저면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52);
    상기 수평프레임(151)에 고정바(154)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153);
    상기 관통구멍(153)에 설치되는 고정바(154);
    상기 고정바(154)에 형성되는 나사부(155);
    상기 솥부재(1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바(154)의 하단에 형성되는 외부안착프레임(156); 및
    상기 고정바(154)의 높이를 조절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155)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57);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프레임부재(1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133);
    상기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의 타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2 수직프레임(134);
    상기 제1 수직프레임(133)과 제2 수직프레임(134)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35);
    상기 제1, 2 프레임(131, 132)과 상기 제1, 2 수직프레임(133, 134) 및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36);
    상기 수평프레임(135)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솥부재(110)의 내면에 안착되게 형성되는 내부안착프레임(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묵 교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84247A 2020-12-28 2020-12-28 착탈식 묵 교반장치 KR102328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47A KR102328989B1 (ko) 2020-12-28 2020-12-28 착탈식 묵 교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247A KR102328989B1 (ko) 2020-12-28 2020-12-28 착탈식 묵 교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989B1 true KR102328989B1 (ko) 2021-11-22

Family

ID=7871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247A KR102328989B1 (ko) 2020-12-28 2020-12-28 착탈식 묵 교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9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44A (ko) 2004-01-14 2004-02-11 박종언 묵 제조기
KR100774493B1 (ko) 2006-09-25 2007-11-08 문준식 자동교반응고 및 용기충진장치
KR100847668B1 (ko) * 2008-03-26 2008-07-21 최상은 제빵용 팥 분말의 반죽 및 교반 장치
KR100856554B1 (ko) 2007-03-09 2008-09-04 공점구 회전식 묵 제조장치
KR20140005244U (ko) * 2013-03-28 2014-10-08 안종원 식품용 교반 장치
KR102028033B1 (ko) * 2018-04-26 2019-10-04 손정란 회전식 꽃차 로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044A (ko) 2004-01-14 2004-02-11 박종언 묵 제조기
KR100774493B1 (ko) 2006-09-25 2007-11-08 문준식 자동교반응고 및 용기충진장치
KR100856554B1 (ko) 2007-03-09 2008-09-04 공점구 회전식 묵 제조장치
KR100847668B1 (ko) * 2008-03-26 2008-07-21 최상은 제빵용 팥 분말의 반죽 및 교반 장치
KR20140005244U (ko) * 2013-03-28 2014-10-08 안종원 식품용 교반 장치
KR102028033B1 (ko) * 2018-04-26 2019-10-04 손정란 회전식 꽃차 로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030B1 (ko) 냉동 식품에 기초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어셈블리
EP2051593B1 (en) Method of producing popcorn confectionery and machine for use with the method
RU245411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рыбные котлеты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CN103859428B (zh) 果味肉干加工方法
KR101760796B1 (ko) 전통방식의 죽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통죽 제조방법
CN104855484A (zh) 一种茯苓红枣戚风蛋糕及其制作方法
WO2005070271A2 (en) Blending apparatus and method
CN104413124A (zh) 一种即食的酥油茶糌粑食品制作方法
US11363799B2 (en) Fresh-serve pet food system
KR102328989B1 (ko) 착탈식 묵 교반장치
CN204210934U (zh) 内置式粉状食品定量供给装置
US5538749A (en) Apparatus, soup concentrate and process for dispensing soup
CN209135421U (zh) 一种具有多口味的东北松子烘炒装置
WO2019031616A1 (ja) 食材のピューレないしペーストの製造方法、この食材のピューレないしペーストを用いた氷菓の製造方法、密閉容器入り飲料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の製造システム
RU2462946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рыбные котлеты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RU245411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рыбные котлеты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KR101477737B1 (ko) 음료제조기
RU2462062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ов "рыбные котлеты в томатном соусе"
AU633770B1 (en) Method of producing rice ice cream
KR100232373B1 (ko) 감자전분과 고구마전분을 주원료 하는 송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송편
CN217024574U (zh) 一种火锅底料制作用的牛油注入设备
KR100367660B1 (ko) 해조류 볶음장치
KR102028367B1 (ko) 압력 수두 및 슬라이드 개폐형 노즐을 갖는 천사채 제조장치
KR20060078559A (ko) 닭곰탕 쌀국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US2266093A (en) Method of converting edibl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