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746B1 -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746B1
KR102328746B1 KR1020190166503A KR20190166503A KR102328746B1 KR 102328746 B1 KR102328746 B1 KR 102328746B1 KR 1020190166503 A KR1020190166503 A KR 1020190166503A KR 20190166503 A KR20190166503 A KR 20190166503A KR 102328746 B1 KR102328746 B1 KR 10232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nozzle
unit
resolution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436A (ko
Inventor
이덕규
허신
이보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7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7Ink jet characterised by je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4Structure thereof only for on-demand ink jet heads
    • B41J2/14016Structure of bubble jet print heads
    • B41J2/14032Structure of the pressure chamber
    • B41J2/14048Movable member in the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유니트들; 및 노즐 유니트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유니트를 포함하되, 노즐 유니트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인쇄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Inkjet printhead with changeable resolution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수배의 해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인쇄 품질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잉크 소모량을 최소화하여 프린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경우 고정된 노즐 간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대 구현 가능 해상도(예를 들어, 1200 dpi의 해상도, 노즐간격은 2.54/1200 cm)가 결정된다. 경우에 따라서 노즐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최대 해상도 이하 즉, 1200 dpi(모든 노즐 작동) 600 dpi(홀수번째 노즐만 작동), 400 dpi(1,4,7...번째 노즐만 작동) 등으로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린트헤드는 최대 해상도의 1/정수 배로만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500 dpi 급 인쇄물을 인쇄할 경우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600 dpi 또는 1200 dpi로 설정하여 사용하여야만 하며, 이는 필요 이상의 잉크 소모나 소자 사용 등을 발생시키므로 비경제적이며, 이러한 사용은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종래의 프린트헤드로는 모든 인쇄물에 대해 최적의 인쇄 해상도로 출력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필요 이상의 잉크 소모나 잉크 헤드 소자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결과가 공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은 1/실수 배의 해상도로 조절하여 다양한 해상도로 인쇄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은 해상도 조절을 통해 잉크 소모량을 최소화하여 프린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유니트들; 및 노즐 유니트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유니트를 포함하되, 노즐 유니트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인쇄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즐 유니트 몸체; 노즐 유니트 몸체의 하면에서 노즐 유니트 몸체의 회전축을 지나도록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되, 잉크 공급 유니트에서 공급된 잉크는 노즐들을 통해서 토출되며, 노즐 유니트 몸체들은 기어부를 통해 서로 맞물려 동일한 각도 크기만큼 회전할 수 있다.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노즐 유니트 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들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노즐 간격(x)을 가지는 노즐 유니트 몸체가 일 방향으로 θ 만큼 회전할 때, 해상도(y)는
Figure 112019128945632-pat00001
로 결정될 수 있다.
노즐 유니트는 잉크 공급 유니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노즐 유니트 몸체와 연결되어 잉크 공급 유니트에서 공급된 잉크를 노즐들에 공급하는 노즐 유니트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니트는 노즐 유니트 배관과 노즐에 연결되어 노즐로 공급되는 잉크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노즐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잉크 공급 유니트는 노즐 유니트 배관들의 상부에서부터 연장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진 2개의 배관으로 반복하여 분기되며 최종적으로 노즐 유니트 배관들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 몸체들로 이루어진 노즐 유니트 행들이 종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인접한 노즐 유니트 행들에 각각 속하며 서로 맞물린 노즐 몸체들은 각각의 회전 중심축을 연결한 선이 종이의 진행 방향과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하고 제 1 노즐 유니트와 인접한 원통형의 제 2 노즐 유니트; 제 1 노즐 유니트 행과 평행한 상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하고, 제 1 노즐 유니트와 제 2 노즐 유니트에 접하는 원통형의 제 3 노즐 유니트를 포함하되,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하면에는 각각 일렬로 복수개의 노즐이 배열되어 잉크가 토출되며,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되어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가 순서대로 맞물리며,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는 동일한 각도 크기 만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3 노즐 유니트의 노즐들 중에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서 토출된 잉크가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되는 노즐들만을 잉크 토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이용한 인쇄 방법은,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 및 제 2 노즐 유니트와 기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제 3 노즐 유니트에 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 1 노즐 유니트와 제 2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각각의 하면에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들은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각각의 회전축을 지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는 노즐 간격(x)을 가지고 동일한 각도 크기로 회전하며, 제 3 노즐 유니트가 제 2 방향으로 θ 만큼 회전할 때, 해상도(y)는
Figure 112019128945632-pat00002
로 결정될 수 있다.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3 노즐 유니트의 노즐들 중에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서 토출된 잉크가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되는 노즐들만을 잉크 토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즐 유니트 몸체; 노즐 유니트 몸체의 하면에서 노즐 유니트 몸체의 회전축을 지나도록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되, 노즐 유니트 몸체로 공급된 잉크는 노즐들을 통해서 토출되며, 노즐 유니트 몸체들은 기어부를 통해 서로 맞물려 동일한 각도 크기만큼 회전할 수 있다.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노즐 유니트 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이용한 인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 및 제 2 노즐 유니트와 기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제 3 노즐 유니트에 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 1 노즐 유니트와 제 2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각각의 하면에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은 1/실수 배의 해상도로 조절하여 다양한 해상도로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은 해상도 조절을 통해 잉크 소모량을 최소화하여 프린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에서 노즐 유니트 몸체의 회전에 따른 노즐의 간격 변화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저해상도로 인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저해상도로 인쇄하는 과정과 인쇄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고해상도로 인쇄하는 과정과 인쇄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고해상도로 인쇄하기 위해 작동되는 구동 방식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고해상도로 인쇄하기 위해 작동되는 구동 방식을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결합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에서 노즐 유니트 몸체의 회전에 따른 노즐의 간격 변화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저해상도로 인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저해상도로 인쇄하는 과정과 인쇄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고해상도로 인쇄하는 과정과 인쇄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고해상도로 인쇄하기 위해 작동되는 구동 방식을 도시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가 고해상도로 인쇄하기 위해 작동되는 구동 방식을 도시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노즐 유니트(200)들 및 잉크 공급 유니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잉크 공급 유니트(300)는 노즐 유니트(200)들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잉크 공급 유니트(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유니트 배관(250)들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진 2개의 배관으로 반복하여 분기되며 최종적으로 노즐 유니트 배관(250)들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각 노즐 유니트(200)들에 동일한 압력과 부피의 잉크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노즐 유니트(20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부로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즐 유니트(200)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인쇄 해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노즐 유니트(200)는 노즐 유니트 몸체(210), 노즐(220), 기어부(230), 베어링 부재(240), 노즐 유니트 배관(250) 및 노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유니트 몸체(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복수개의 원형 공간들이 형성되고, 이 원형 공간들에 원통형의 노즐 유니트 몸체(210)들이 삽입 결합되고, 노즐 유니트 몸체(210)들은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노즐(220)들은 노즐 유니트 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잉크 공급 유니트(300)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노즐 유니트 몸체(210)의 아래쪽으로 토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노즐(220)들은 노즐 유니트 몸체(210)의 하면(212)에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노즐(22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유니트 몸체(210)의 회전축(211)을 지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일정한 노즐 간격(x)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기어부(230)는 노즐 유니트 몸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230)는 노즐 유니트 몸체(210)와 일체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노즐 유니트 몸체(210)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노즐 유니트 몸체(210)들은 기어부(230)를 통해 서로 맞물리며 회전을 하게 된다.
베어링 부재(2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노즐 유니트 몸체(210) 사이에 위치되도록 노즐 유니트 몸체(2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즐 유니트 몸체(210)는 베어링 부재(240)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서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노즐 유니트 배관(250)은 잉크 공급 유니트(300)와 연결되고, 노즐 유니트 몸체(210)와 연결되어 잉크 공급 유니트(300)에서 공급된 잉크를 노즐(220)들에 공급할 수 있다. 노즐 유니트 몸체(210)가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서 회전하므로, 노즐 유니트 배관(250)과 잉크 공급 유니트(300)의 배관은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호스 피팅(hose fitting) 부재(251)로 연결될 수 있다. 노즐 유니트 배관(250)은 호스 피팅 부재(251)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노즐 제어부(미도시)는 노즐 유니트 배관(250)과 노즐(220)에 연결되어 노즐로 공급되는 잉크를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다. 노즐 제어부는 노즐마다 설치되어 공지의 방법으로 잉크의 유동을 차단 또는 통과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원하는 노즐(220)에서만 잉크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잉크 공급 유니트(300)에서 공급된 잉크는 노즐(220)들을 통해서 토출되며, 해상도 조절을 위해서 노즐 유니트 몸체(210)들은 기어부(230)를 통해 서로 맞물려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되, 동일한 각도 크기만큼 회전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의 수평 노즐 어레이의 경우 노즐 간격(x) (단위: μm)와 해상도(y)(단위: dpi)의 관계는 아래의 식(1)과 같다.
Figure 112019128945632-pat00003
식(1)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노즐 유니트 몸체(210)가 노즐 간격(x)를 가진 상태에서 일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각(θ) 만큼 회전할 때, 노즐 간격(x)(단위: μm)의 수평축에 대한 정사영 거리는 xcosθ가 되어 식(2)처럼 해상도(y)(단위: dpi)가 변경될 수 있다.
Figure 112019128945632-pat00004
식(2)
예를 들어, 수평 노즐 어레이의 해상도가 300 dpi (x=84.6 μm)인 경우 회전각(θ)을 최대 45°로 하여 회전하면 해상도가 약1.4배(=1/cos(45°))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해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복수 개의 노즐들이 적용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몸체(210)들로 이루어진 노즐 유니트 행들(1100)(1200)이 종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인접한 노즐 유니트 행들에 각각 속하며 서로 맞물린 노즐 몸체(210)들은 각각의 회전 중심축(211)을 연결한 선이 종이의 진행 방향과 소정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에 속한 제 1 노즐 유니트(1110)와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에 속한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종이(1)의 진행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이 아니라, 제 3 노즐 유니트(1210)가 소정 거리만큼 오른쪽으로 이동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1110)와 제 2 노즐 유니트(1120)는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에 속하고, 제 2 노즐 유니트(1120)는 제 1 노즐 유니트(1110)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원통형의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에 속하고,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은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과 평행한 상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 및 제 3 노즐 유니트(1210) 하면에는 각각 일렬로 복수개의 노즐이 배열되어 잉크가 종이(1)를 향해 토출될 수 있다.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제 1 노즐 유니트(1110) 및 제 2 노즐 유니트(1120)와 접하며,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 및 제 3 노즐 유니트(1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에 의해 제 1 노즐 유니트(1110)와 제 3 노즐 유니트(1210)가 서로 맞물리고, 제 2 노즐 유니트(1120)와 제 3 노즐 유니트(1210)가 서로 맞물리며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 및 제 3 노즐 유니트(121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 및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동일한 각도 크기 만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저해상도 인쇄를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저해상도 인쇄는 노즐 몸체(210)의 회전 없이 주어진 노즐 간격(x) 그대로 인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3개의 노즐 몸체(210)로 이루어진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과 3개의 노즐 몸체(210)로 이루어진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으로 구성된 잉크젯 프린터로 저해상도 인쇄를 할 경우,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에 있는 노즐 몸체(210)들의 노즐(220)들로 잉크를 토출시켜 도 4(b)와 같이 종이(1)에 제 1 인쇄(1101)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종이(1)를 노즐 유니트 행들의 수직 방향으로 움직여 인쇄 위치를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의 노즐(220)들 위치에 맞출 수 있다.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에 위치한 노즐(220)들로 잉크를 토출시켜 도 4(b)와 같이 종이(1)에 제 2 인쇄(1201)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의 노즐(220)들과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의 노즐(220)들이 겹쳐 제 1 인쇄(1101)와 제 2 인쇄(1201)가 겹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인쇄(1101)와 제 2 인쇄(1201)가 겹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의 노즐(220)들의 잉크 토출을 노즐 제어부가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노즐 제어부를 이용하여 제 3 노즐 유니트(1210)의 노즐(220)들 중에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의 제 1 노즐 유니트(1110) 및 제 2 노즐 유니트(1120)에 의해 인쇄된 제 1 인쇄(1101)의 영역이 아닌 영역에 대응되는 노즐들만을 선택적으로 잉크 토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노즐(220)의 선택적 잉크 토출에 의해 도 4(c)와 같이 제 1 인쇄(1101)와 제 2 인쇄(1201)가 겹치지 않는 상태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고해상도 인쇄를 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고해상도 인쇄는, 노즐(220)들이 수평으로 정렬되도록 위치된 노즐 몸체(210)들을 회전각(θ) 만큼 회전시켜 인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고 해상도가 구현이 되는 회전각 45°로 회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노즐 몸체(210)들은 기어부에 의해 맞물려 있는 상태이고, 어느 하나의 노즐 몸체(210)가 회전각 45°로 회전하게 되면, 나머지 노즐 몸체(210)들도 45°로 회전하게 된다.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의 노즐 몸체(210)들은 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하고,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의 노즐 몸체(210)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45°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노즐 몸체(210)들을 45°로 회전한 경우에는 겹치는 노즐(220)들이 없기 때문에 인쇄를 할 경우 제 1 인쇄(1101) 및 제 2 인쇄(1201)이 겹치지 않게 된다. 45°회전의 경우에는 노즐 제어부가 일부 겹치는 노즐(220)들의 잉크 토출 차단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 다른 예로, 300 dpi 급 노즐 간격(x)을 이용하여 1200 dpi 인쇄를 하는 경우를 살펴 본다. 위에서 설명된 노즐 몸체(210) 회전을 통한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경우 최대 회전각이 45°이기 때문에, 해상도 증가량이 최대 약1.4배(=1/cos(45°)) 정도 된다. 이번에는 300 dpi급 노즐 피치를 이용하여 최대 4배의 해상도 증가가 가능한 즉, 최대 해상도 1200 dpi급 인쇄가 가능한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식(2)에 따르면 해상도를 4배 늘리기 위해 필요한 회전각 θ는 약 76°(θ=acos(1/4)=75.5°)가 된다. 위에서 설명된 1.4배의 해상도 증가를 위해 두 행으로 구성된 노즐 몸체(210)들로 해당 회전각(45°)을 회전시킬 경우 각 노즐 몸체(210)의 노즐(220)들의 끝단 간의 거리가 벌어져 인쇄되지 못하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과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으로 구성된 잉크젯 프린트 헤드로는 1200 dpi의 인쇄를 할 수 없다.
도 6 및 도 7은 300 dpi의 노즐 간격(x)을 갖고 있는 노즐 몸체(210)의 회전각(θ)을 최대 약 76°까지 구현하면서, 인쇄되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최대 1200 dpi까지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 제 3 노즐 유니트 행(1300) 및 제 4 노즐 유니트 행(1400)으로 구성되며, 노즐 몸체(210)들을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기어 행(1000)이 포함될 수 있다. 회전 기어 행(1000)의 기어들에는 노즐(220)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노즐 유니트 행의 노즐 몸체(210)들 사이는 기어부에 의해 맞물리지 않으며, 인접한 노즐 유니트 행의 노즐 몸체(210)들과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시에 동일한 각도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각(θ)의 설정과 노즐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종이(1)에 인쇄된,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에 의한 제 1 인쇄(1101),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에 의한 제 2 인쇄(1201), 제 3 노즐 유니트 행(1300)에 의한 제 3 인쇄(1301) 및 제 4 노즐 유니트 행(1400)에 의한 제 4 인쇄(1401)가 서로 겹치지 않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이용한 인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는 제 1 노즐 유니트 행(1100)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1110) 및 제 2 노즐 유니트(1120)와 기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1200)에 속한 제 3 노즐 유니트(1210)에 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 및 제 3 노즐 유니트(1210)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 1 노즐 유니트(1110)와 제 2 노즐 유니트(1120)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노즐 유니트(1210)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제 1 노즐 유니트(1110), 제 2 노즐 유니트(1120) 및 제 3 노즐 유니트(1210) 각각의 하면에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종래 기술의 한계였던 실수배 해상도 조절을 가능케 함으로써 무한 종류의 해상도 구현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인쇄 품질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품질에 따라 해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잉크 소모량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잉크 토출 구동부의 작동을 막아 잉크젯 수명 연장에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종래에 있던 회전을 통해 해상도 증가를 구현한 프린터의 경우 프린터 헤드가 한 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해당 제품의 가장 큰 단점은 해상도 증가를 위해 단일 헤드를 회전시킬 경우 출력되는 인쇄 폭이 좁아져 인쇄 시간이 증가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는 다수의 노즐들로 구성된 다수의 노즐 몸체들이 회전하기 때문에 출력되는 인쇄 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1: 종이
110: 베이스 플레이트
200: 노즐 유니트
210: 노즐 유니트 몸체
220: 노즐
230: 기어부
240: 베어링 부재
250: 노즐 유니트 배관
300: 잉크 공급 유니트

Claims (18)

  1.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유니트들; 및
    노즐 유니트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유니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제 1, 제 2 노즐 유니트들을 포함하는 제 1 노즐 유니트 행; 및
    상기 제 1 및 제 2 노즐 유니트들 각각에 기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3 노즐 유니트를 포함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포함된 노즐 유니트들은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포함된 노즐 유니트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노즐 유니트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인쇄 해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즐 유니트 몸체;
    노즐 유니트 몸체의 하면에서 노즐 유니트 몸체의 회전축을 지나도록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되,
    잉크 공급 유니트에서 공급된 잉크는 노즐들을 통해서 토출되며,
    노즐 유니트 몸체들은 기어부를 통해 서로 맞물려 동일한 각도 크기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노즐 유니트 몸체 사이에 위치되도록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4. 제 2 항에 있어서,
    노즐들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노즐 간격(x)를 가지는 노즐 유니트 몸체가 일 방향으로 θ 만큼 회전할 때, 해상도(y)는
    Figure 112019128945632-pat00005

    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6. 제 2 항에 있어서, 노즐 유니트는
    잉크 공급 유니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노즐 유니트 몸체와 연결되어 잉크 공급 유니트에서 공급된 잉크를 노즐들에 공급하는 노즐 유니트 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7. 제 6 항에 있어서, 노즐 유니트는
    노즐 유니트 배관과 노즐에 연결되어 노즐로 공급되는 잉크를 차단 또는 통과시키는 노즐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잉크 공급 유니트는
    노즐 유니트 배관들의 상부에서부터 연장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진 2개의 배관으로 반복하여 분기되며 최종적으로 노즐 유니트 배관들의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9.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 유니트들; 및
    노즐 유니트들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유니트를 포함하고,
    노즐 유니트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되는 노즐 유니트 몸체;
    노즐 유니트 몸체의 하면에서 노즐 유니트 몸체의 회전축을 지나도록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
    노즐 유니트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되,
    잉크 공급 유니트에서 공급된 잉크는 노즐들을 통해서 토출되며,
    노즐 유니트 몸체들은 기어부를 통해 서로 맞물려 동일한 각도 크기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노즐 몸체들로 이루어진 노즐 유니트 행들이 종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인접한 노즐 유니트 행들에 각각 속하며 서로 맞물린 노즐 몸체들은 각각의 회전 중심축을 연결한 선이 종이의 진행 방향과 소정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10.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하고 제 1 노즐 유니트와 인접한 원통형의 제 2 노즐 유니트;
    제 1 노즐 유니트 행과 평행한 상태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하고, 제 1 노즐 유니트와 제 2 노즐 유니트에 접하는 원통형의 제 3 노즐 유니트를 포함하되,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하면에는 각각 일렬로 복수개의 노즐이 배열되어 잉크가 토출되며,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의 외주면에는 기어부가 구비되어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가 순서대로 맞물리며,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는 동일한 각도 크기 만큼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3 노즐 유니트의 노즐들 중에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서 토출된 잉크가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되는 노즐들만을 잉크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12.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이용한 인쇄 방법에 있어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 및 제 2 노즐 유니트와 기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제 3 노즐 유니트에 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 1 노즐 유니트와 제 2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각각의 하면에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노즐들은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각각의 회전축을 지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는 노즐 간격(x) 를 가지고 동일한 각도 크기로 회전하며,
    제 3 노즐 유니트가 제 2 방향으로 θ 만큼 회전할 때, 해상도(y)는
    Figure 112019128945632-pat00006

    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3 노즐 유니트의 노즐들 중에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서 토출된 잉크가 인쇄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되는 노즐들만을 잉크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를 이용한 인쇄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제 1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원통형의 제 1 노즐 유니트 및 제 2 노즐 유니트와 기어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 2 노즐 유니트 행에 속한 제 3 노즐 유니트에 잉크를 공급하는 단계;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도록 하여 제 1 노즐 유니트와 제 2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 노즐 유니트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및
    제 1 노즐 유니트, 제 2 노즐 유니트 및 제 3 노즐 유니트 각각의 하면에 일렬로 배열된 노즐들을 통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90166503A 2019-12-13 2019-12-13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KR10232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03A KR102328746B1 (ko) 2019-12-13 2019-12-13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503A KR102328746B1 (ko) 2019-12-13 2019-12-13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436A KR20210075436A (ko) 2021-06-23
KR102328746B1 true KR102328746B1 (ko) 2021-11-22

Family

ID=7659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503A KR102328746B1 (ko) 2019-12-13 2019-12-13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7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024A (ja) * 2002-04-08 2003-10-31 Lg Electronics Inc インクジェット方式のディスプレイパネル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9241560A (ja) * 2008-03-31 2009-10-22 Fujifilm Corp インク供給システム、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印字ヘッドのパージ方法
JP2010221478A (ja) 2009-03-23 2010-10-07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28434A (ja) 2009-03-05 2010-10-14 Ricoh Co Ltd マルチ記録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217761A (ja) *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8024A (ja) * 2002-04-08 2003-10-31 Lg Electronics Inc インクジェット方式のディスプレイパネル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9241560A (ja) * 2008-03-31 2009-10-22 Fujifilm Corp インク供給システム、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印字ヘッドのパージ方法
JP2010228434A (ja) 2009-03-05 2010-10-14 Ricoh Co Ltd マルチ記録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221478A (ja) 2009-03-23 2010-10-07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217761A (ja) * 2016-06-03 2017-12-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436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113B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JP5383099B2 (ja) 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記録ヘッド
JP5304517B2 (ja) 流体噴射装置、及び、流体噴射方法
JP4513802B2 (ja) 印刷装置
JP2008221496A (ja) 三次元プリンタ
CN102596580A (zh) 电缆标注设备和用于标注电缆的方法
KR102328746B1 (ko) 해상도 가변형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JP6960543B2 (ja) 可動式プリントヘッド
US9004646B2 (en) Rotary inkjet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stationary page of media in a curved configuration
US5462371A (en) Indexing planetary gear train for a printer
DE69723637T2 (de) Tintenstrahldruckvorrichtung mit Trommelkopf
JP6661161B2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CN106573465B (zh) 液体排出装置以及液体排出方法
JP2008155378A (ja) 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JP2011025608A (ja) 流体噴射装置、及び、流体噴射方法
CN101214756B (zh) 打印数据处理装置及其方法
JP2015178202A (ja) 記録装置及び調整パターンの記録方法
US5092690A (en) Portable printer
JP2010201828A (ja) キャリッジユニット、液体噴射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ヘッドの固定方法
JP5195525B2 (ja)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装置における駆動位相の調整方法及び画像記録装置における位置調整チャートの出力方法
US20160279982A1 (en) Droplets ejecting apparatus
JP5828965B2 (ja) インク移し・インキング方法、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印刷機器
US7866792B2 (en) Ink jet printer
JP548278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35097B2 (ja) 印字方法及び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