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47B1 -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 Google Patents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547B1
KR102327547B1 KR1020200107351A KR20200107351A KR102327547B1 KR 102327547 B1 KR102327547 B1 KR 102327547B1 KR 1020200107351 A KR1020200107351 A KR 1020200107351A KR 20200107351 A KR20200107351 A KR 20200107351A KR 102327547 B1 KR102327547 B1 KR 10232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frame
vertex
carri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김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우 filed Critical 김건우
Priority to KR102020010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22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45C7/004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inflatable and deflatabl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부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이고, 일측단이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일측단과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캐리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하부면이 연결되어 제공하는 공간 상에 사용자의 물품을 저장하여 이동하는 캐리어(10)로서,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가변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캐리어가 포함하는 상부 캐리어와 하부 캐리어의 가로, 세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관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크기와 수량에 대응하여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Carrier bag with size adjustable}
본 발명은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저장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와 수량에 대응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지역 또는 타국으로 여행 또는 업무상의 출장 시, 사용자는 필요한 물품을 지참하고 보관하기 위하여 소정의 캐리어(carrier)를 사용한다.
여기서, 캐리어는 저장 용량이 정해져 있어, 보관 물품의 양이 증가하여 기존의 캐리어만으로 저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추가의 캐리어를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캐리어를 추가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의 휴대 개수가 증가하면 각각의 캐리어를 휴대하며 이동할 때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2016-0086042호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의 물품이 증가하면, 가방 본체의 일측에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추가의 가방 본체를 결합시켜, 물품을 모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가방 본체는 결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어, 복수의 가방 본체의 휴대하며 이동할 때 개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단일개의 물품을 보관하는 경우에도 물품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캐리어로는 보관이 어려워 별도의 캐리어를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관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크기와 수량에 대응하여 가로, 세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이고, 일측단이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일측단과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캐리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하부면이 연결되어 제공하는 공간 상에 사용자의 물품을 저장하여 이동하는 캐리어(10)로서,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가변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가로, 세로, 높이는 서로 동일한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는,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꼭지점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개방된 상부면의 모서리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개방된 하부면의 모서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된 상기 연결 프레임(15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일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상기 모서리 프레임(17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평면 플레이트(1600)와,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의 사이에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모서리 프레임(1700)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모서리 프레임(17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500)과, 양단이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개방된 상부면의 모서리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개방된 하부면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하부면(111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1 하부 연결홈(1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1 하부면(111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2 하부 연결홈(1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측면(113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2 측면 연결홈(1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면(11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는 제1-2 상면 연결홈(1136)이 형성되고, 상기 제1-3 측면(115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연결되는 제1-3 측면 연결홈(1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3 측면(11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3 상면 연결홈(11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을 포함하며, 상기 제2-1 하부면(1210)의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1 하부 연결홈(1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하부면(121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2-2 연결홈(1116)에 대응하는 제2-1 하부 연결단(1216)이 돌출되고, 상기 제2-2 측면(123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2 측면 연결홈(1132)에 대응하는 제2-2 연결단(1232)이 돌출되고, 상기 제2-2 측면(12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2 상면 연결홈(1236)이 형성되며, 상기 제2-3 측면(1250)의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3 측면 연결홈(12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3 측면(12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2-3 상면 연결홈(12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을 포함하며, 상기 제3-1 하부면(131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2-1 하부 연결홈(1212)에 대응하는 제3-1 연결단(1312)이 돌출되고, 상기 제3-1 하부면(1310)의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1 연결홈(1316)이 형성되고, 상기 제3-2 측면(1330)의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2 연결홈(1332)이 형성되고, 상기 제3-2 측면(13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2 상면 연결홈(1336)이 형성되며, 상기 제3-3 측면(135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3 측면 연결홈(1152)에 대응하는 제3-3 측면 연결단(1352)이 돌출되며, 상기 제3-3 측면(13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3 상면 연결홈(13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1 하부면(1410), 제4-2 측면(1430), 제4-3 측면(1450)을 포함하며, 상기 제4-1 하부면(141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결홈(1212)에 대응하는, 제4-1 연결단(1412)이 돌출되고, 상기 제4-1 하부면(141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1 연결단(1416)이 돌출되고, 상기 제4-2 측면(143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3-2 측면 연결홈(1332)에 대응하는 제4-2 연결단(1432)이 돌출되고, 상기 제4-2 측면(14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2 상면 연결홈(1436)이 형성되며, 상기 제4-3 측면(145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3 측면 연결홈(1252)에 대응하는 제4-3 측면 연결단(1452)이 돌출되며, 상기 제4-3 측면(14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3 상면 연결홈(13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15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5-1 하부면(1510)과 제5-2 측면(1530)을 포함하며, 상기 제5-1 하부면(1510)은, 일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단(1512)이 돌출되고, 타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4)이 형성되며, 상기 제5-2 측면(1530)과 연결되는 단부의 타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6)이 형성되고, 상기 제5-2 측면(1530)은, 일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단(1512)이 돌출되고, 타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4)이 형성되며, 상기 제5-2 측면(1530)과 연결되는 단부의 타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6)이 형성15001500
상기 평면 플레이트(160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서, 서로 이웃하는 2변에는 각각 제6-1 연결단(1610)과 제6-2 연결단(1630)이 돌출되고, 나머지 서로 이웃하는 2변에는 각각 제6-1 연결홈(1650)과 제6-2 연결홈(16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프레임(1700)은,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연결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과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 사이에는 상기 평면 플레이트(1600)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모서리단 프레임(1700A)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1-1 연결단(1712A)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1-2 연결단(1714A)이 돌출되는 제6-1 측면(1710A)과, 하단으로는 제6-1-3 연결단(1722A)이 돌출되고, 직사각형으로 일측단으로 제6-1-4 연결홈(1724A)이 형성되는 제6-2 측면(1720A)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모서리단 프레임(1700B)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2-1 연결단(1712B)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일측단으로는 제6-2-2 연결홈(1714B)이 형성되는 제6-3 측면(1710B)과, 하단으로는 제6-2-3 연결단(1722A)이 돌출되고, 직사각형으로 일측단으로 제6-2-4 연결홈(1724B)이 형성되는 제6-4 측면(1720B)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 모서리단 프레임(1700C)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3-1 연결단(1712C)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3-2 연결단(1714C)이 돌출되는 제6-5 측면(1710C)과, 하단으로는 제6-3-3 연결단(1722C)이 돌출되고, 직사각형으로 일측단으로 제6-3-4 연결단(1724C)이 돌출되는 제6-6 측면(1720C)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D)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4-1 연결단(1712D)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4-2 연결홈(1714D)이 형성되는 제6-7 측면(1710D)과,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4-3 연결단(1722D)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4-4 연결단(1724D)이 돌출되는 제6-8 측면(1720D)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캐리어가 포함하는 상부 캐리어와 하부 캐리어의 가로, 세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관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크기와 수량에 대응하여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3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꼭지점 연결 프레임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꼭지점 연결 프레임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면 플레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면 플레이트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3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4 모서리단 프레임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모서리단 프레임, 제2 모서리단 프레임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의 구성과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의 가로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10)는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를 포함한다.
하부 캐리어(1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부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상부 캐리어(2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는 서로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가 포함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에는 소정의 힌지가 연결되어 있어,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는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결합 시,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내측 공간은 개방 부위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물품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로, 세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구성의 일 예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여기서는 하부 캐리어(100)의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캐리어의 내측 공간을 향하는 면은 전면으로 표현하고, 캐리어의 외부를 향하는 면은 배면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캐리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100)는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제2 꼭지점 프레임(1200), 제3 꼭지점 프레임(1300),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연결 프레임(1500), 평면 플레이트(1600), 모서리 프레임(1700)을 포함한다.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제2 꼭지점 프레임(1200), 제3 꼭지점 프레임(1300),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연결 프레임(1500), 평면 플레이트(1600), 모서리 프레임(170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제2 꼭지점 프레임(1200), 제3 꼭지점 프레임(1300),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은 직육면체 형상의 하부 캐리어(120)의 모서리를 이룬다.
제1 꼭지점 프레임(1100)과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캐리어(100)의 우측으로 배치되고, 제3 꼭지점 프레임(1300)과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은 도 2에 도시된 하부 캐리어(100)의 좌측으로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은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을 포함한다.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은 소정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후,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되어,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1 하부면(1110)은 하부 캐리어(100)의 하부면으로 배치되고, 제1-2 측면(1130)과 제1-3 측면(1150)은 하부 캐리어(100)의 측면으로 배치된다.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을 포함하는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은 후술하는 제2 내지 제3 프레임(1200, 1300, 140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하부면(1110)의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변은 제1-2 측면(1130)과 제1-3 측면(1150)과 연결된다.
제1-1 하부면(1110)의 나머지 2개의 변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 꼭지점 프레임(1200), 제3 꼭지점 프레임(13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1-1 하면 연결홈(1112)과 제1-2 하면 연결홈(1116)이 각각 형성된다.
제1-1 하부면(1110)의 후술하는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1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 또는 제2 꼭지점 프레임(1200)과의 연결을 위한 제1-1 하면 연결홈(1112)이 형성된다.
제1-1 하부면(1110)의 후술하는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1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 또는 제3 꼭지점 프레임(1300)과의 연결을 위한 제1-1 하면 연결홈(1112)이 형성된다.
제1-1 하면 연결홈(1112)과 제1-2 하면 연결홈(1116)은 소정의 길이와 폭 그리고 깊이를 갖는다. 제1-1 하면 연결홈(1112)과 제1-2 하면 연결홈(1116)의 깊이는 제1-1 하부면(1110)의 두께의 1/2에 대응할 수 있다. 제1-1 하면 연결홈(1112)과 제1-2 하면 연결홈(1116)의 길이와 폭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연결홀(1113)의 형성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제1-2 측면(1130)의 서로 이웃하는 2 변 중, 측단 즉, 후술하는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에는 제1-2 측면 연결홈(1132)이 형성되고, 상단으로 배치되는 일변에는 제1-2 상면 연결홈(1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3 측면(1150)의 서로 이웃하는 2변 중, 후술하는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에는 각각 제1-3 측면 연결홈(1152)이 형성되고, 상단으로 배치되는 일변에는 제1-3 상면 연결홈(1156)이 형성된다.
제1-3 측면 연결홈(1152)에는 연결홀(11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3 꼭지점 프레임(13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에 사용된다.
제1-2 상면 연결홈(1136)과 제1-3 상면 연결홈(1156)에는 연결홀(11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의 연결에 사용된다.
제1-2 측면 연결홈(1132), 제1-2 상면 연결홈(1136), 제1-3 측면 연결홈(1152), 제1-3 상면 연결홈(1156)은 각각 소정의 폭, 길이, 깊이로 형성된다. 제1-2 측면 연결홈(1132), 제1-2 상면 연결홈(1136), 제1-3 측면 연결홈(1152), 제1-3 상면 연결홈(1156)의 깊이는 제1-1 하부면(1110)의 두께의 1/2에 대응할 수 있다.
연결홀(1113)에는 소정의 연결핀(미도시) 또는 볼트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는 구성 요소들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연결핀 또는 볼트는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의 연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2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은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을 포함하고, 제1 꼭지점 프레임(110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는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을 포함하는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1 하부면(1210)은 하부 캐리어(100)의 하부면으로 배치되고, 제2-2 측면(1230)과 제2-3 측면(1250)은 하부 캐리어(100)의 측면으로 배치된다.
제2-1 하부면(1210)의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변은 제2-2 측면(1230)과 제2-3 측면(1250)과 연결된다.
제2-1 하부면(1210)의 나머지 2개의 변 중, 후술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또는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2-1 연결홈(1212)이 형성된다. 제2-1 연결홈(1212)에는 소정 개수의 연결홀(1213)이 형성된다.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제2-1 하부면(1210)의 나머지 일변의 단부에는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또는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2-1 연결단(1216)이 돌출된다.
제2-1 연결홈(1212)은 제1-1 하면 연결홈(1112)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1 하부면(1210)의 두께의 1/2에 대응한다.
제2-1 연결단(1216)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다. 제2-1 연결단(1216)의 폭과 길이는 제1-2 하면 연결홈(1116)의 폭과 길이에 대응한다. 또한, 제2-1 연결단(1216)의 두께는 제1-2 하면 연결홈(1116)의 깊이에 대응한다.
제2-2 측면(12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변은 제2-1 하부면(1210)과 연결되고, 일측단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변은 제2-3 측면(125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2 측면(1230)의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변의 단부에는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 연결되는 제2-2 연결단(1232)이 돌출된다.
제2-2 연결단(1232)의 폭과 길이는 제1-2 측면 연결홈(1132)의 폭과 길이에 대응한다. 또한, 제2-2 연결단(1232)의 두께는 제1-2 측면 연결홈(1132)의 깊이에 대응한다.
또한, 제2-2 측면(1230)의 상부로는 후술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연결되고 연결홀(1213)이 형성되는 제2-2 상면 연결홈(1236)이 형성된다. 제2-2 상면 연결홈(1236)은 제1-2 상면 연결홈(1136)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2-3 측면(12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변은 제2-1 하부면(1210)과 연결되고, 일측단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변은 제2-2 측면(123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2-3 측면(1250)의 후술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변의 단부로는 후술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 연결되고, 연결홀(1212)이 형성되는 제2-3 측면 연결홈(1252)이 형성된다. 제2-3 측면 연결홈(1252)의 형태와 크기는 제1-3 측면 연결홈(1152)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한다.
또한, 제2-3 측면(1250)의 상부로는 후술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연결되고 연결홀(1213)이 형성되는 제2-3 상면 연결홈(1256)이 형성된다. 제2-3 상면 연결홈(1256)은 제1-3 상면 연결홈(1156)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3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은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을 포함하고, 제1 꼭지점 프레임(110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는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은 서로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진다.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을 포함하는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1 하부면(1310)은 하부 캐리어(100)의 하부면으로 배치되고, 제3-2 측면(1330)과 제3-3 측면(1350)은 하부 캐리어(100)의 측면으로 배치된다.
제3-1 하부면(1310)의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변은 제3-2 측면(1330)과 제3-3 측면(1350)과 연결된다.
제3-1 하부면(1310)의 4변 중,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313)이 형성되고,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또는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3-1 연결단(1312)이 돌출된다. 제3-1 연결홈(1312)의 크기와 형상은 제1-1 하면 연결홈(1112)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한다.
제3-1 하부면(1310)의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3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3-1 연결홈(1316)이 형성된다.
제3-1 연결홈(1316)의 크기와 형상은 제1-2 하면 연결홈(1116)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한다.
제3-2 측면(13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변은 제3-1 하부면(1310)과 연결되고, 일측단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변은 제3-3 측면(1350)과 연결된다.
제3-2 측면(1330)의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3-2 측면 연결홈(1332)이 형성된다.
제3-2 연결홈(1332)의 형상과 크기는 제1-2 측면 연결홈(1132)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한다.
또한, 제3-2 측면(13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313)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연결되는 제3-2 상면 연결홈(1336)이 형성된다. 제3-2 상면 연결홈(1336)은 제1-2 상면 연결홈(1136)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3-3 측면(13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변은 제3-1 하부면(1310)과 연결되고, 일측단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변은 제3-2 측면(133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3-3 측면(1350)의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313)이 형성되고, 제1 꼭지점 프레임(1100) 또는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과 연결되는 제3-3 측면 연결단(1352)이 돌출된다. 제3-3 측면 연결단(1352)의 형태와 크기는 제1-3 측면 연결홈(1152)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한다.
또한, 제3-3 측면(13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단으로는 후술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연결되는 제3-3 상면 연결홈(1356)이 형성된다. 제3-3 상면 연결홈(1356)은 제1-3 상면 연결홈(1156)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은 제4-1 하부면(1410), 제4-2 측면(1430), 제4-3 측면(1450)을 포함하고, 제1 꼭지점 프레임(110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4-1 하부면(1410), 제4-2 측면(1430), 제4-3 측면(1450)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는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4-1 하부면(1410), 제4-2 측면(1430), 제4-3 측면(145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가장자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4-1 하부면(1410), 제4-2 측면(1430), 제4-3 측면(1450)을 포함하는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4-1 하부면(1410)은 하부 캐리어(100)의 하부면으로 배치되고, 제4-2 측면(1430)과 제4-3 측면(1450)은 하부 캐리어(100)의 측면으로 배치된다.
제4-1 하부면(1410)의 4변 중,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변은 제4-2 측면(1430)과 제4-3 측면(1450)과 연결된다.
제4-1 하부면(1410)의 4변 중, 나머지 2개의 변 중,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제2 꼭지점 프레임(1200) 또는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과의 연결을 위한 제4-1 연결단(1412)이 돌출된다. 제4-1 연결단(1412)의 크기와 형상은 제1-1 하면 연결홈(1112)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한다. 제4-1 연결단(1412)은 제2-1 연결홈(12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4-1 하부면(1410)의 나머지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1 연결단(1416)이 돌출된다.
제4-1 연결단(1416)의 크기와 형상은 제1-2 하면 연결홈(1116)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고, 제4-1 연결단(1416)은 제3-1 연결홈(1316)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4-2 측면(14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변은 제4-1 하부면(1410)과 연결되고, 일측단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변은 제4-3 측면(1450)과 연결된다.
제4-2 측면(1430)의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형상과 크기가 제1-2 측면 연결홈(1132)에 대응하는 제4-2 연결단(1432)이 돌출된다. 제4-2 연결단(1432)은 제3 꼭지점 프레임(1300) 또는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과 연결된다.
제4-2 연결단(1432)은 제3-2 측면 연결홈(133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4-2 측면(14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홈(1413)이 형성되는 제4-2 상면 연결홈(1436)이 형성된다. 제4-2 상면 연결홈(1436)은 제1-2 상면 연결홈(1136)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제4-2 상면 연결홈(1436)은 후술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연결된다.
제4-3 측면(145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변은 제4-1 하부면(1410)과 연결되고, 일측단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변은 제4-2 측면(143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4-3 측면(1450)의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1413)이 형성되고 제2 꼭지점 프레임(1200) 또는 연결 프레임(1500)과 연결되는 제4-3 측면 연결단(1452)이 돌출된다. 제4-3 측면 연결단(1452)의 형태와 크기는 제1-3 측면 연결홈(1152)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한다. 또한, 제4-3 측면 연결단(145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4-3 측면(1450)의 상단으로는 제4-3 상면 연결홈(1356)이 형성된다. 제4-3 상면 연결홈(1456)은 제4-3 상면 연결홈(1456)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하부 캐리어(100)의 측면과 꼭지점은 상기한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지만, 후술하는 연결 프레임(1500)을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40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하부 캐리어(10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꼭지점 연결 프레임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연결 프레임(1500)은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의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배치되어,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부 캐리어(100)의 측면과 하부면의 일부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 프레임(1500)은 제5-1 하부면(1510), 제5-2 측면(1530)을 포함한다.
제5-1 하부면(1510), 제5-2 측면(1530)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5-1 하부면(1510), 제5-2 측면(153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단이 연결되어, 'L'형태를 이룬다.
제5-1 하부면(1510)의 일측단으로는 제5-1 하면 연결단(1512)이 돌출되고, 제5-1 하부면(1510)의 타측단으로는 제5-1 하면 연결홈(1514)이 형성된다.
제5-1 하면 연결홈(1514)은 제1-1 하면 연결홈(1112)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한다.
제5-1 하면 연결단(1512)은 제3-1 연결단(1312)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한다.
제5-1 하부면(1510)의 타측단, 제5-2 측면(1530)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는 제5-1 하면 연결홈(1516)이 형성된다. 제5-1 하면 연결홈(1516)은 소정의 가로, 세로, 깊이로 이루어진다.
제5-2 측면(1530)은 일측단으로는 제5-2 하면 연결단(1532)이 돌출되고, 제5-2 측면(1530)의 타측단으로는 제5-3 하면 연결홈(1534)이 형성된다.
제5-2 측면(1530)의 타측단, 제5-1 하면 연결단(1512)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는 제5-2 하면 연결홈(1536)이 형성된다.
제5-1 하면 연결단(1512), 제5-1 하면 연결홈(1514), 제5-1 하면 연결홈(1516), 제5-2 하면 연결단(1532), 제5-3 하면 연결홈(1534), 제5-2 하면 연결홈(1536)에는 각각 연결홀(1513)이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꼭지점 연결 프레임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1500A)는 도 8에 도시된 연결 프레임(1500)과는 폭과 길이 및 연결홀의 형성 개수가 변경되는 것 이외에도 동일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면 플레이트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평면 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평면 플레이트(1600)는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5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연결 프레임(1500)을 서로 연결하여 연결 프레임(1500)와 함께 하부 캐리어(100)의 하부면을 이룬다.
또한, 평면 플레이트(1600)는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와 모서리 프레임(17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플레이트(1600)는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임을 알 수 있다.
평면 플레이트(1600)의 서로 이웃하는 2변에는 각각 제6-1 연결단(1610)과 제6-2 연결단(1630)이 돌출된다.
또한, 평면 플레이트(16001230)의 나머지 2변에는 각각 제6-1 연결홈(1650)과 제6-2 연결홈(1670)이 형성된다.
각각의 연결단과 연결홈에는 소정 개수의 연결홀(1613)이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평면 플레이트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평면 플레이트(1600A)는 도 10에 도시된 평면 플레이트(1600)와는 폭과 길이 및 연결홀(1613)의 형성 개수가 변경되는 것 이외에도 동일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모서리 프레임(1700)은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개방된 단부에 배치되어,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개방된 부위의 모서리를 이룬다.
모서리 프레임(1700)은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은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서리 프레임이 포함하는 제1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모서리단 프레임(1700A)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고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는 직사각형의 제6-1 측면(1710A)과 제6-2 측면(1720A)을 포함한다. 제6-1 측면(1710A)과 제6-2 측면(1720A)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다.
제6-1 측면(1710A)의 하단으로는 제6-1-1 연결단(1712A)이 돌출되고, 제6-1 측면(1710A)의 일측단으로는 제6-1-2 연결단(1714A)이 돌출된다. 또한, 제6-2 측면(1720A)의 하단으로는 제6-1-3 연결단(1722A)이 돌출되고, 제6-2 측면(1720A)의 일측단으로는 제6-1-4 연결홈(1724A)이 형성된다.
제6-1-1 연결단(1712A), 제6-1-2 연결단(1714A), 제6-1-3 연결단(1722A), 제6-1-4 연결홈(1724A)에는 각각 연결홀(1713A)이 형성된다.
제6-1-1 연결단(1712A), 제6-1-3 연결단(1722A)은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서리 프레임이 포함하는 제2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모서리단 프레임(1700B)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고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6-3 측면(1710B)과 제6-4 측면(1720B)을 포함한다.
제6-3 측면(1710B)의 하단으로는 제6-2-1 연결단(1712B)이 돌출되고, 제6-3 측면(1710B)의 일측단으로는 제6-2-2 연결홈(1714B)이 형성된다. 또한, 제6-4 측면(1720B)의 하단으로는 제6-2-3 연결단(1722B)이 돌출되고, 제6-4 측면(1720B)의 일측단으로는 제6-2-4 연결홈(1724B)이 형성된다.
제6-2-1 연결단(1712B), 제6-2-2 연결홈(1714B), 제6-2-3 연결단(1722B), 제6-2-4 연결홈(1724B)에는 각각 연결홀(1713B)이 형성된다.
제6-2-1 연결단(1712B), 제6-2-3 연결단(1722B)은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3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 모서리단 프레임(1700C)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고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6-5 측면(1710C)과 제6-6 측면(1720C)을 포함한다.
제6-5 측면(1710C)의 하단으로는 제6-3-1 연결단(1712C)이 돌출되고, 제6-5 측면(1710C)의 일측단으로는 제6-3-2 연결단(1714C)이 돌출된다. 또한, 제6-5 측면(1720C)의 하단으로는 제6-3-3 연결단(1722C)이 돌출되고, 제6-5 측면(1720C)의 일측단으로는 제6-3-4 연결단(1724C)이 돌출된다.
제6-3-1 연결단(1712C), 제6-3-2 연결단(1714C), 제6-3-3 연결단(1722C), 제6-3-4 연결단(1724C)에는 각각 연결홀(1713C)이 형성된다.
제6-3-1 연결단(1712C), 제6-3-3 연결단(1722C)은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4 모서리단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D)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고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는 제6-7 측면(1710D)과 제6-8 측면(1720D)을 포함한다.
제6-7 측면(1710D)의 하단으로는 제6-4-1 연결단(1712D)이 돌출되고, 제6-4 측면(1710C)의 일측단으로는 제6-4-2 연결홈(1714D)이 형성된다. 또한, 제6-8 측면(1720D)의 하단으로는 제6-4-3 연결단(1722D)이 돌출되고, 제6-8 측면(1720D)의 일단으로는 제6-4-4 연결단(1724D)이 형성된다.
제6-4-1 연결단(1712D), 제6-4-2 연결홈(1714D), 제6-4-3 연결단(1722D), 제6-4-4 연결단(1724D)에는 각각 연결홀(1713D)이 형성된다.
제6-4-1 연결단(1712D), 제6-4-3 연결단(1722D)은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은 소정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서,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의 사이에 배치된다.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하단으로는 제7-1 연결단(1810)이 돌출된다.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일단으로는 제7-2 연결단(1820)이 돌출되고, 타단으로는 제7-3 연결홈(1830)이 형성된다.
제7-1 연결단(1810), 제7-2 연결단(1820), 제7-3 연결홈(1830)에는 연결홀(1813)이 형성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모서리단 프레임, 제2 모서리단 프레임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의 구성과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일 참조하면, 제1 모서리단 프레임(1700A)의 제6-1-2 연결단(1714A)은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제7-3 연결홈(1830)으로 삽입되고,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제7-2 연결단(1820)은 제2 모서리단 프레임(1700B)의 제6-2-4 연결홈(1724B)에 삽입되어, 모서리 프레임(1700)의 일측을 구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제6-1-4 연결홈(1724A)과 제6-2-2 연결홈(1714B)에는 미도시된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의 제7-2 연결단이 삽입되어, 모서리 프레임(170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의 크기에 따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이 생략되거나, 사용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의 크기 변화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하부 캐리어(10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하부 캐리어(100)는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500), 그리고 평면 플레이트(1600)에 의해 측면과 하부면이 형성되고,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에 의해 하부 캐리어(100)의 개방단의 모서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하부 캐리어의 가로 길이를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의 가로 길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하부 캐리어(100)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 제2 꼭지점 프레임(1100, 1200)과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 그리고 제1, 제2 꼭지점 프레임(1100, 1200)과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 사이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1500) 중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의 연결을 해체하여, 도 18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과,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에서 제1 및 제2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방향으로 연결된 연결 프레임(1500)의 연결을 해체한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1500)의 연결 해체는 연결핀(미도시)을 연결홀에서 이탈시키는 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및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B, 1700D)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연결도 함께 해체한다.
각각의 구성 요소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이는 하부 캐리어(100)의 외면에도 노출되지만,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해체되는 구성 요소의 외면에만 연결홀을 도시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이 이탈되면 사용자는 제1 및 제2 꼭지점 프레임(1100, 1200)과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연결 프레임(1500), 평편 플레이트(1600) 및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을 제거하여,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제1 및 제2 꼭지점 프레임(1100, 1200)과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400)과 연결하면, 가로 길이가 축소된 하부 캐리어(100)가 완성된다.
여기서, 제3 및 제4 꼭지점 프레임(1300, 1400)의 연결이 해체된 후, 연결 프레임(1500), 평편 플레이트(1600) 및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을 추가로 배치하면, 가로 길이가 확장된 하부 캐리어(100)가 완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부 캐리어의 가로 길이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하부 캐리어 세로 길이 변화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및 제3 꼭지점 프레임(1100, 1300) 측의 연결을 해체한 후, 연결 프레임(1500), 평편 플레이트(1600) 및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을 제거하거나 추가로 연결함으로써, 하부 캐리어(100)의 세로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 캐리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연결 프레임(1500) 그리고,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의 사이에는 평면 플레이트(1600)를 배치하여 하부 캐리어(100)의 높이를 설정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캐리어(10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연결 프레임(1500)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과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1800)을 포함하는 모서리 프레임(1700)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의 상부에 배치된 연결 프레임(1600)과 평면 플레이트(1600)를 해체하여, 하부 캐리어(100)의 높이를 낮추고, 모서리 프레임(170)을 다시 연결하면, 하부 캐리어(100)의 높이가 낮아지며, 하부 캐리어(100)의 내부 용적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모서리 프레임(1700)의 연결을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연결 프레임(1600)과 평면 플레이트(1600)를 추가로 배치하면 하부 캐리어(100)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10)는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외주를 감싸는 제1 및 제2 커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버부는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하부 캐리어(100)와 상부 캐리어(200)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캐리어가 포함하는 상부 캐리어와 하부 캐리어의 가로, 세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보관을 필요로 하는 물품의 크기와 수량에 대응하여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100: 하부 캐리어 200: 상부 캐리어
1100, 1200, 1300, 1400: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
1500: 연결 프레임 1600: 평면 플레이트
1700: 모서리 프레임
1700A, 1700B, 1700C, 1700D: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
1800: 모서리단 연결 프레임

Claims (10)

  1. 상부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하부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이고, 일측단이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일측단과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캐리어(20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상부면과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하부면이 연결되어 제공하는 공간 상에 사용자의 물품을 저장하여 이동하는 캐리어(10)로서,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는,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꼭지점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개방된 상부면의 모서리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개방된 하부면의 모서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서리 프레임(1700)과,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의 사이에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상기 모서리 프레임(1700) 사이에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상기 모서리 프레임(17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500)과,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에 연결된 상기 연결 프레임(150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일면을 이루거나,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과 상기 모서리 프레임(17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평면 플레이트(1600)와,
    양단이 상기 하부 캐리어(100)의 개방된 상부면의 모서리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개방된 하부면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는 힌지와,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프레임(1100, 1200, 1300, 1400), 상기 모서리 프레임(1700), 상기 연결 프레임(1500), 상기 평면 플레이트(1600)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핀을 포함하고,
    가로, 세로, 높이가 가변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캐리어(100)와 상기 상부 캐리어(200)의 가로, 세로, 높이는 서로 동일한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1 하부면(1110), 제1-2 측면(1130), 제1-3 측면(1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1 하부면(111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1 하부 연결홈(1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1 하부면(111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2 하부 연결홈(1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측면(113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2 측면 연결홈(1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측면(11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는 제1-2 상면 연결홈(1136)이 형성되고,
    상기 제1-3 측면(115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연결되는 제1-3 측면 연결홈(1152)이 형성되고,
    상기 제1-3 측면(11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3 상면 연결홈(1156)이 형성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1 하부면(1210), 제2-2 측면(1230), 제2-3 측면(1250)을 포함하며,
    상기 제2-1 하부면(1210)의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1 하부 연결홈(1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하부면(121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2-2 연결홈(1116)에 대응하는 제2-1 하부 연결단(1216)이 돌출되고,
    상기 제2-2 측면(123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2 측면 연결홈(1132)에 대응하는 제2-2 연결단(1232)이 돌출되고,
    상기 제2-2 측면(12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2 상면 연결홈(1236)이 형성되며,
    상기 제2-3 측면(1250)의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2-3 측면 연결홈(1252)이 형성되며,
    상기 제2-3 측면(12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2-3 상면 연결홈(1256)이 형성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1 하부면(1310), 제3-2 측면(1330), 제3-3 측면(1350)을 포함하며,
    상기 제3-1 하부면(131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2-1 하부 연결홈(1212)에 대응하는 제3-1 연결단(1312)이 돌출되고,
    상기 제3-1 하부면(1310)의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1 연결홈(1316)이 형성되고,
    상기 제3-2 측면(1330)의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2 연결홈(1332)이 형성되고,
    상기 제3-2 측면(13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2 상면 연결홈(1336)이 형성되며,
    상기 제3-3 측면(1350)의 상기 제1 꼭지점 프레임(11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1-3 측면 연결홈(1152)에 대응하는 제3-3 측면 연결단(1352)이 돌출되며,
    상기 제3-3 측면(13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3-3 상면 연결홈(1356)이 형성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꼭지점 프레임(14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1 하부면(1410), 제4-2 측면(1430), 제4-3 측면(1450)을 포함하며,
    상기 제4-1 하부면(141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연결홈(1212)에 대응하는, 제4-1 연결단(1412)이 돌출되고,
    상기 제4-1 하부면(141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1 연결단(1416)이 돌출되고,
    상기 제4-2 측면(1430)의 상기 제3 꼭지점 프레임(13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제3-2 측면 연결홈(1332)에 대응하는 제4-2 연결단(1432)이 돌출되고,
    상기 제4-2 측면(143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2 상면 연결홈(1436)이 형성되며,
    상기 제4-3 측면(1450)의 상기 제2 꼭지점 프레임(1200)을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3 측면 연결홈(1252)에 대응하는 제4-3 측면 연결단(1452)이 돌출되며,
    상기 제4-3 측면(1450)의 상부를 향하는 일변의 단부에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4-3 상면 연결홈(1356)이 형성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500)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5-1 하부면(1510)과 제5-2 측면(1530)을 포함하며,
    상기 제5-1 하부면(1510)은, 일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단(1512)이 돌출되고, 타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4)이 형성되며, 상기 제5-2 측면(1530)과 연결되는 단부의 타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6)이 형성되고,
    상기 제5-2 측면(1530)은, 일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단(1512)이 돌출되고, 타측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4)이 형성되며, 상기 제5-2 측면(1530)과 연결되는 단부의 타단으로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5-1 하면 연결홈(1516)이 형성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플레이트(160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서,
    서로 이웃하는 2변에는 각각 제6-1 연결단(1610)과 제6-2 연결단(1630)이 돌출되고,
    나머지 서로 이웃하는 2변에는 각각 제6-1 연결홈(1650)과 제6-2 연결홈(1670)이 형성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프레임(1700)은,
    상기 제1 내지 제4 꼭지점 연결 프레임(1100, 1200, 1300, 14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과 제1 내지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A, 1700b, 1700C, 1700D) 사이에는 상기 평면 플레이트(1600)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모서리단 프레임(1700A)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1-1 연결단(1712A)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1-2 연결단(1714A)이 돌출되는 제6-1 측면(1710A)과, 하단으로는 제6-1-3 연결단(1722A)이 돌출되고, 직사각형으로 일측단으로 제6-1-4 연결홈(1724A)이 형성되는 제6-2 측면(1720A)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모서리단 프레임(1700B)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2-1 연결단(1712B)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일측단으로는 제6-2-2 연결홈(1714B)이 형성되는 제6-3 측면(1710B)과, 하단으로는 제6-2-3 연결단(1722A)이 돌출되고, 직사각형으로 일측단으로 제6-2-4 연결홈(1724B)이 형성되는 제6-4 측면(1720B)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3 모서리단 프레임(1700C)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3-1 연결단(1712C)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3-2 연결단(1714C)이 돌출되는 제6-5 측면(1710C)과, 하단으로는 제6-3-3 연결단(1722C)이 돌출되고, 직사각형으로 일측단으로 제6-3-4 연결단(1724C)이 돌출되는 제6-6 측면(1720C)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4 모서리단 프레임(1700D)은,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4-1 연결단(1712D)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4-2 연결홈(1714D)이 형성되는 제6-7 측면(1710D)과, 직사각형으로 하단으로는 제6-4-3 연결단(1722D)이 돌출되고, 일측단으로 제6-4-4 연결단(1724D)이 돌출되는 제6-8 측면(1720D)이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KR1020200107351A 2020-08-25 2020-08-25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KR10232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51A KR102327547B1 (ko) 2020-08-25 2020-08-25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351A KR102327547B1 (ko) 2020-08-25 2020-08-25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547B1 true KR102327547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351A KR102327547B1 (ko) 2020-08-25 2020-08-25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5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719A (ja) * 1999-11-03 2001-05-15 Tumi Inc 拡張可能な鞄
JP2002332044A (ja) * 2001-05-10 2002-11-22 Hiroko Ouchi 組み立て式容量可変箱
JP2005329994A (ja) * 2004-05-21 2005-12-02 Daiwa Kasei Ind Co Ltd 組付式収容箱
JP2013056686A (ja) * 2011-09-08 2013-03-28 Futoshi Fujimoto 組立式通い箱
JP2017012296A (ja) * 2015-06-29 2017-01-19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エス
KR20180084060A (ko) * 2015-10-21 2018-07-24 파우아 트레이딩 리미티드 취미 장비를 위한 케이스 또는 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719A (ja) * 1999-11-03 2001-05-15 Tumi Inc 拡張可能な鞄
JP2002332044A (ja) * 2001-05-10 2002-11-22 Hiroko Ouchi 組み立て式容量可変箱
JP2005329994A (ja) * 2004-05-21 2005-12-02 Daiwa Kasei Ind Co Ltd 組付式収容箱
JP2013056686A (ja) * 2011-09-08 2013-03-28 Futoshi Fujimoto 組立式通い箱
JP2017012296A (ja) * 2015-06-29 2017-01-19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エス
KR20180084060A (ko) * 2015-10-21 2018-07-24 파우아 트레이딩 리미티드 취미 장비를 위한 케이스 또는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055B2 (en) Adjustable size apparatuses that secu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o display tables
US7481355B2 (en) Foldable boxes
US6727961B2 (en) Liquid crystal displayer assembly and foldable support frame therefor
KR102327547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캐리어
JP2017139663A (ja) スタンド
US6039188A (en) Socket displaying device
CA2577354A1 (en) Folding type package box for display
KR200491142Y1 (ko) 접이식 다용도 카트
CN212233666U (zh) 一种鞋子收纳架
JP4538172B2 (ja) 樹脂製収納ケース
KR200218041Y1 (ko) 여행용 가방의 캐리어 장치
CN217360665U (zh) 折叠式终端销售机稳定结构
CN217185094U (zh) 一种拥有扩展空间功能的箱包
US20080054058A1 (en) Packaging box assembly with a changeable size
JP3333151B2 (ja) 折畳コンテナ
CN218588544U (zh) 一种多功能鞋架
CN211063943U (zh) 一种计算机网络控制箱
KR200152792Y1 (ko) 서류가방
KR200326189Y1 (ko) 독서대
JP2896556B2 (ja) 折畳式机
JP2009051508A (ja) 折畳式引出し装置
JP2001348021A (ja) 折りたたみ収容ケース
JPH0736525Y2 (ja) 物品陳列台
JP3058735U (ja) 折畳み式スタンド鏡
KR200143009Y1 (ko) 절첩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