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081B1 -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081B1
KR102327081B1 KR1020200043720A KR20200043720A KR102327081B1 KR 102327081 B1 KR102327081 B1 KR 102327081B1 KR 1020200043720 A KR1020200043720 A KR 1020200043720A KR 20200043720 A KR20200043720 A KR 20200043720A KR 102327081 B1 KR102327081 B1 KR 10232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mart key
module
smar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213A (ko
Inventor
김대영
박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머니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머니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머니컴
Priority to KR102020004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08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3Power supply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은 인증 서버(AS)에 연결 가능하면서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 및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적어도 차량 도어의 개폐 기능을 가지면서 차량 작동 기기(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을 포함하고, 인증이 된 스마트키가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접근 거리에 따라 통신/작동 제어 모듈(13)과 근거리 통신이 개시되면서 차량 작동 기기(14)의 작동을 위하여 작동 모듈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A Digital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Vehicl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설정된 권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차량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스마트키는 양방향 통신에 의하여 차량의 잠금 장치를 해제시키고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 있는 전자키를 말한다. 이와 같은 스마트키는 스마트 ECU(electric Control unit), 리시버 및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키는 가격이 비싸면서 별도로 소지가 되어야 하고, 분실되는 경우 새로운 등록 절차가 복잡하여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스마트키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같은 스마트키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5-0122708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공개번호 10-2017-0100173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리고 국제공개번호 WO 2014/052059는 다수의 인자를 이용하여 차량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스마트폰은 스마트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경우 필수적으로 휴대되는 휴대 물품이 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가 스마트키로 사용되는 경우 공지의 스마트키가 가진 단점이 제거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가 스마트키의 기능을 가지기 위하여 그에 적합한 구조가 만들어지면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가진 장점이 충분히 이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스마트키와 휴대용 전자기기를 연동시킬 수 있는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10-2017-0025769(주식회사 에스엘피테크, 2017.03.08. 공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방법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10-2017-0100713((주)우주일렉트로닉스, 2017.09.04. 공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특허문헌 3: 국제공개번호 WO 2014/052059(인텔 코포레이션, 2014.04.03. 공개) 다중 인자 보안을 위한 이동 디바이스와 전자 열쇠 페어링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 가능한 디지털 스마트키 및 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작동 제어 모듈로 이루어지면서 전자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작동이 되는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은 인증 서버에 연결 가능하면서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및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적어도 차량 도어의 개폐 기능을 가지면서 차량 작동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작동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인증이 된 스마트키가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접근 거리에 따라 통신/작동 제어 모듈과 근거리 통신이 개시되면서 차량 작동 기기의 작동을 위하여 작동 모듈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작동 제어 모듈은 차량 작동 기기로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 모듈; 스마트키를 탐지하여 근거리 통신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비콘 블루투스 모듈; 및 작동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 사이의 통신 신호를 처리하면서 차량에 전원에 연결되는 작동 프로세서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증 서버에 설치되는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이 설정되는 권한 설정 모듈; 및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에 설치되는 권한 설정 모듈에 기초하는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권한 실행 모듈을 포함하고, 차량 제어에 대한 권한은 서로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작동 제어 모듈은 차량의 작동 상태의 탐지가 가능하고,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은 강제적인 블루투스 연결 상태를 설정하는 안전 모드(safe mode)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 가능한 디지털 스마트키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제어가 되는 차량 및 차량에 대한 권한이 확인되는 단계; 권한 인증을 위한 정보가 인증 서버로부터 하나의 작동 애플리케이션으로 또는 하나의 작동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작동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단계;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전송되고, 스마트키가 활성화가 되는 단계; 스마트키의 활성화에 의하여 차량에 대한 제어 기능이 획득되고, 스마트키에 의하여 차량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 차량의 작동에 따라 차량의 기능 또는 작동 이력이 저장되는 단계; 차량 권한의 종료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 및 차량 권한 사용 이력이 저장되고, 차량 사용에 따른 차량 케어 리포트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어 차량용 스마트키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스마트키의 기능을 가지면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가지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추가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키의 등록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차량의 공동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획득되어 차량 소유자 또는 차량 공유자에게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메신저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 사용, 공유, 사용 이력 또는 이와 유사한 차량 사용에 따른 다양한 정보가 알림 방식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비콘 블루투스 방식으로 작동되어 별도로 페어링 과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관리 방법은 다수인의 차량 사용 또는 일시적 차량의 사용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의 작동 제어가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스마트키가 공유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스마트키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은 인증 서버(AS)에 연결 가능하면서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 및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적어도 차량 도어의 개폐 기능을 가지면서 차량 작동 기기(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을 포함하고, 인증이 된 스마트키가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접근 거리에 따라 통신/작동 제어 모듈(13)과 근거리 통신이 개시되면서 차량 작동 기기(14)의 작동을 위하여 작동 모듈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디지털 스마트키는 기본적으로 차량 도어를 전자 신호의 전송에 의하여 개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디지털 스마트키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디지털 전자 신호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정해진 차량에 대하여 작동되어 미리 결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디지털 스마트키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거나, 인증 서버(AS)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인증 서버(AS)는 디지털 스마트키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스마트키를 인증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하다.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은 각각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은 예를 들어 인증 서버(AS)로부터 또는 다른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은 디지털 스마트키를 생성하여 인증 서버(AS)로부터 인증을 받거나, 인증 서버(AS)로부터 생성된 스마트키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제1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으로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제2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2)으로 디지털 스마트키가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된 디지털 스마트키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에 저장될 수 있고, 인증 서버(AS)의 인증에 의하여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의 작동을 개시시킬 수 있다. 각각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은 통신/작동 제어 모듈(13)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다. 디지털 스마트키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는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디지털 스마트키에 의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스마트키가 저장된 하나의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이 설치된 차량으로 접근하면 디지털 스마트키가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디지털 스마트키로부터 예를 들어 고유 코드 또는 비밀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유 코드 또는 비밀 번호는 정해진 거리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자동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수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에 의하여 고유 코드가 확인될 수 있고, 만약 고유 코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인증되지 않은 스마트키로 확인되면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의 작동이 개시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비하여 고유 코드가 확인되고, 인증이 된 스마트키에 해당되면,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에 의하여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통신/작동 제어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어 열림 신호가 전송되거나 또는 시동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차량의 미리 결정된 거리 범위 내로 접근하면 차량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 작동 기기(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 신호를 차량 작동 기기(13)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작동을 위한 전원을 가질 수 있고,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의 위치 또는 상대적인 거리를 탐지할 수 있고, 차량 엔진의 작동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의 작동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 작동 기기(14)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다양한 주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작동 모듈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 작동 기기(14)로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 모듈(22); 스마트키를 탐지하여 근거리 통신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비콘 블루투스 모듈(24); 및 작동 모듈(22)과 블루투스 모듈(24) 사이의 통신 신호를 처리하면서 차량에 전원에 연결되는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을 포함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E)에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될 수 있고, 차량 제어를 위하여 실행 상태가 될 수 있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백 그라운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차량 작동을 위하여 활성화가 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21)에 디지털 스마트키가 저장될 수 있고, 활성화가 된 상태에서 자동 모드 버튼(211a)에 의하여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자동 모드 상태가 되면 제1, 2 버튼(B1, B2)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고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수동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제1, 2 버튼(B1, B2)을 직접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안전 모드(safe mode)는 수동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자동 모드에서 활성화가 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안전 모드 기능은 비활성화가 될 수 있다. 수동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졌지만 제2번 버튼(B2)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제2번 버튼(B2)을 작동시켜 강제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하는 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안전 모드 버튼(211b)은 수동 모드에서 기능 버튼(B1 내지 BN)이 미리 결정된 신호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강제적으로 해당 신호를 전송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안전 모드 버튼(211b)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강제 신호가 발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각각의 기능 버튼(B1 내지 BN)의 작동 상태, 차량의 작동 상태 또는 블루투스 통신의 연결 상태가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에 메시지, 아이콘 또는 인지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자동 모드로 작동되어 1번 버튼(B1)의 작동에 의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연결되면 휴대용 전자기기(E)의 위치에 따라 차량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스마트키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2번 버튼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송되어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될 수 있고,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에 대한 전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가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기능을 위한 기능 버튼(B1 내지 BN)에 따른 작동 상태가 작동 애플리케이션(21)에 메시지 또는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다양한 작동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차량의 다양한 전자 제어 기능이 작동 애플리케이션(21)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차량 제어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E) 또는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비콘 블루투스 모듈(24)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은 저 전력 작동 구조를 가지면서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에 결합될 수 있다.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에 또한 작동 모듈(22)이 결합될 수 있고, 작동 모듈(22)은 작동 애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전송된 작동 기능을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로 전송하여 관련 기능이 작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작동 프로세서 모듈(22)은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자기판 구조 또는 다수 개의 전자 소자 또는 전자 부품이 결합된 전자 칩 모듈이 될 수 있다. 작동 모듈(22)과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이 결합된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은 하나의 전자 모듈 구조가 될 수 있고,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작동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이 차량 내부에 설치되면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고, 작동 모듈(22)이 차량의 전자 작동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차량으로 접근하면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은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디지털 스마트키가 저장된 휴대용 전자기기(E)가 차량으로 접근되면 블루투스 비콘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고유 코드 또는 비밀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키가 해당 차량에 대한 것으로 확인되면 비콘 블루투스 통신이 활성화가 되면서 이와 동시에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에 전력이 공급되면서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은 휴대용 전자기기(E)와 비콘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고, 고유 코드가 확인된 스마트키를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1번 버튼(B1)이 작동되어 예를 들어 3V의 전기 신호가 전송되어 작동 모듈(22)을 통하여 차량의 전자 작동 기기로 전달되어 차량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휴대용 전자기기(E)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면 비콘 블루투스 모듈(12)이 이를 탐지할 수 있고,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2번 버튼(B2)이 작동되어 블루투스 연결 해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은 배터리와 같은 전원을 가질 수 있고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의 작동이 개시되면 전원으로부터 작동을 위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작동 모듈(22); 작동 프로세서 모듈(23); 및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은 차량에 설치되는 통신/작동 제어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차량 작동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의 전원이 차량의 배터리와 같은 전원(253)에 연결될 수 있고, 작동 모듈(22)의 차량의 도어의 작동을 위한 제어 유닛(25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작동 모듈(22)은 예를 들어 차량의 ECU, 다른 전자 장치 또는 부가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의 작동 상황을 저장할 수 있고, 주유 정보, 주행 거리 정보 또는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작동 제어 모듈에 예를 들어 진동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가 설치되어 정차된 차량에 가해지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을 탐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를 저장하거나, 주행 중 사고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차량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사고가 발생된 경우 작동 모듈(22)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이를 탐지하여 자동으로 구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사고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 모듈(22) 또는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증 서버(AS)에 설치되는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이 설정되는 권한 설정 모듈(31a); 및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에 설치되는 권한 설정 모듈(31a)에 기초하는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권한 실행 모듈(32a)을 포함하고, 차량 제어에 대한 권한은 서로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유 가능하다. 스마트키는 인증이 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고유 코드 또는 비밀 번호에 의하여 각각의 차량에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에 탐지될 수 있다. 통신/작동 제어 모듈이 차량에 설치되고, 스마트폰(32)에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통신/작동 제어 모듈로 고유 코드가 전송되어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32)으로부터 인증 서버(31)로 스마트키의 고유 코드가 전송되어 인증 및 저장되고, 인증 완료된 확인 코드가 스마트폰(32)으로 전송되어 통신/작동 모듈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인증 서버(31)는 각각의 스마트키를 저장할 수 있고, 스마트폰(32)에 저장된 스마트키가 손상되거나 또는 분실되는 경우 인증 서버(31)에 저장된 스마트키가 스마트폰(32)으로 전송되어 스마트키가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하나의 통신/작동 제어 모듈과 작동되는 스마트키는 다수의 스마트폰(32)에 의하여 공유되거나, 다른 스마트폰(32)으로 사용 권한이 이전되거나, 일시적으로 사용 권한이 설정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임의의 사용자에게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인 소유의 차량의 경우 다수인에 의하여 차량이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하나의 통신/작동 제어 모듈에 대하여 다수의 스마트폰(32)에 스마트키가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통신/작동 제어 모듈에 대하여 마스터 스마트키가 생성되고, 마스터 스마트키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스마트키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스마트키는 마스터 스마트키의 스마트폰(32)에 의하여 생성 및 인증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인증 서버(31)에 의하여 생성 및 인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스마트키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차량에 대한 사용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인증 서버(31)에 권한 설정 모듈(31a)이 설치되어 서브 스마트키가 스마트폰(32)으로 전송되거나, 서브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 범위가 설정되거나, 서브 스마트키의 권한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하나의 스마트폰(32)에 대한 서브 스마트키의 권한을 삭제할 수 있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권한 실행 모듈(32a)이 설치될 수 있고, 권한 실행 모듈(32a)에 각각의 스마트키에 따른 권한이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하나의 차량에 대한 서브 스마트키의 생성은 마스터 스마트키에 의한 요청에 의하여 인증 서버(31)의 관리자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마트폰(32)은 인증 서버(31)에 요청하여 마스터 스마트키 또는 서브 스마트키의 권한 설정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스마트폰(32)에 설치된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권한 실행 모듈(32a)에 저장된 권한에 따라 차량 제어 모듈(32b)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32b)은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설치되어 차량에 설치된 통신/작동 제어 모듈의 신호 처리 모듈(33a)로 차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작동 프로세서 모듈(23)과 비콘 블루투스 모듈(24)을 포함하는 통신/작동 제어 모듈이 차량(2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마트폰(32)은 차량(25)에 접근하여 권한 실행 모듈(32a)에 의하여 설정된 권한에 따라 작동 신호 처리 모듈(33a)을 통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터 스마트키 또는 서브 스마트키가 저장된 스마트폰(32)에 의하여 발렛 키(Valet Key)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발렛 키 기능은 차량에 대한 임시 사용 권한이 설정되는 것을 말하고, 예를 들어 QR 코드 또는 이와 유사한 식별 코드의 복사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발렛 키는 다수인의 이용하는 공공 이용 설비의 주차 요원 또는 일시적인 차량 이동을 위하여 스마트키를 가지지 않은 제3자에게 임시적으로 차량(25)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가지는 임시 스마트키를 말한다. 발렛 키의 설정을 위하여 제3자의 스마트폰(32)에 의하여 스마트키를 가진 스마트폰(32)의 QR 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가 복사되거나, 제3의 스마트폰(32)으로 발렛 스마트키가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렛 스마트키는 권한 유효 시간, 유효 이동 거리 또는 유효 작동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발렛 스마트키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키를 가진 스마트폰(32)에 저장될 수 있고, 발렛 스마트키의 권한이 종료되면 이에 대한 정보가 스마트폰(32)에 삭제될 수 있다. 발렛 스마트키는 권한 종료가 되기 전이라고 할지라도 임의로 제거될 수 있고, 발렛 스마트키는 권한 유효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삭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차량(25)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키가 생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차량의 작동 제어가 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키 시스템에 의한 차량의 작동 제어를 위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P411). 위에서 설명된 통신/작동 제어 모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스마트키 모듈이 차량에 설치될 수 있고(P412),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P413) 스마트키 모듈과 예를 들어 비콘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P414).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소유자가 차량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가진 상태라면 차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량의 제어를 위하여 스마트키의 고유 코드 및 차량 정보가 인증 서버로 전송되어 스마트키 및 차량의 식별을 위한 인증 코드가 생성되어 저장되고 인증 코드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인증될 수 있다(P415). 이후 인증 코드는 인증 서버와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과정에서 스마트키 및 차량의 식별을 위한 코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인증 서버에 의하여 인증이 되면 스마트키가 차량에 대하여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차량 제어를 위하여 스마트폰이 차량에 접근될 수 있고(P421),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신호가 스마트키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P422).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마트키 모듈에 전력이 공급되어 통신 모듈이 대기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될 수 있고(P423), 선택적으로 인증 여부가 확인될 수 있고(P424). 만약 인증이 확인되지 않는다면(NO), 인증 서버에 확인을 요청하여(P425) 인증 정보가 등록이 되도록 할 수 있다(P426). 또는 만약 인증이 확인되지 않는다면(NO), 인증 서버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P431), 신규 스마트키에 해당하는지 또는 스마트키의 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P432), 만약 신규 스마트키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이와 동시에 스마트키의 변경에 해당되지 않은 사용 권한이 없는 경우라면(NO), 해당 신호를 전송하고 연결을 종료시킬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신규 또는 변경에 해당되면(YES), 관련 내용이 인증 서버에 등록되고(P426), 블루투스 통신 연결이 되도록 할 수 있다(P427). 또한 정당하게 인증을 받은 스마트키에 해당하면(YES),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연결이 될 수 있다(P427). 스마트폰과 스마트키 모듈 사이에 블루통신 연결이 되면 스마트키 모듈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어 스마트키에 의한 제어 신호가 처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고,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기능이 활성화가 되어(P429) 차량 제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시동이 걸리거나, 에어컨이 작동되거나 이와 유사한 차량 운행을 위한 초기 작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이 운행될 수 있고(P441), 차량 운행이 종료되면 차량 엔진이 꺼질 수 있다(P442). 스마트키 모듈에 의하여 엔진 정지 상태가 탐지되고,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엔진 정지 상태가 전송되면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가 될 수 있다(P443). 스마트폰이 차량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탐지되면 스마트키 모듈에 의하여 차량 도어가 잠길 수 있다(P445). 이후 스마트키 모듈에 의하여 블루투스가 연결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445). 만약 블루투스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고 이에 따라 스마트폰이 차량과 충분히 먼 거리에 있는 것이라면 스마트키 모듈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될 수 있고 비콘 블루투스 모듈은 저전력 대기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블루투스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YES), 이에 따라 스마트키 모듈은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P447). 스마트키에 의한 차량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스마트키가 공유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스마트키는 공유가 될 수 있고, 스마트키의 공유를 위하여 서브 스마트키가 생성될 필요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브 스마트키의 생성 및 수신을 위하여 서브 스마트키를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인증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P511).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P512), 인증 서버로부터 스마트키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다(P413). 스마트폰에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거나, 스마트키의 전송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P514). 스마트폰으로 등록된 서브 스마트키가 인증 서버에 등록 및 저장이 되고(P515), 이후 서브 스마트키는 미리 설정된 권한 범위에서 마스터 스마트키와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차량에 스마트키 모듈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스마트키 모듈에서 서브 스마트키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전송되어 확인될 수 있다(P521). 서브 스마트키가 저장된 스마트폰이 차량에 접근하면(P522), 차량에 설치된 비콘 블루투스 모듈에 의하여 탐지되고, 스마트폰에서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가 되어(P524)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스마트폰과 스마트키 작동 모듈이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P524). 그리고 인증 서버에 의하여 인증이 확인되면 스마트키 모듈로 작동 신호가 전송되어(P526) 차량 운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는 인증 서버에 의한 인증 정보의 확인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P531). 이후 과정은 도 4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은 차량 제어를 비롯하여 차량 운행 정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탐지하여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차량 관리 리포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적용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차량 사용 상태, 차량 제어 상태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차량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처리되도록 한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의 실행 화면은 기본적으로 차량 리스트 라벨(612) 및 제어 상태 라벨(614)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 라벨(611)이 형성될 수 있고, 표시 라벨(611)의 아래쪽에 리스트 라벨(612)이 형성되어 권한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차량이 표출될 수 있다. 도 6의 중간에 표시된 것처럼, 다수 개에 대한 소유자, 차량 정보가 표출될 수 있고, 각각의 차량이 선택되면 차량의 사용 상태, 위치 정보 또는 권한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 상태 항목(613)에 현재 사용 중인 사람이 표시될 수 있고, 제어 상태 라벨(614)에 예를 들어 도어 열림 또는 잠금과 같은 차량의 제어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기능 라벨(615)은 예를 들어 트렁크 제어 항목, 경적 제어 항목 또는 이와 유사한 차량 기능의 제어를 위한 항목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또한 도어 잠금의 해제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자동 도어 락 아이콘, 발렛 키의 설정을 위한 발렛 키 아이콘, 차키 공유의 실행을 위한 차키 공유 아이콘 및 강제 종류 아이콘이 표시된 신속 실행 라벨(621)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 기능의 작동 상황, 위치 정보, 주유 정보, 주행 시간 정보 또는 이와 유사한 차량 운행 정보를 저장하여 미리 만들어진 양식에 따라 차량 운행 리포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 운행 리포터에 기초하여 차계부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21)은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스마트키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 가능한 디지털 스마트키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S71); 제어가 되는 차량 및 차량에 대한 권한이 확인되는 단계(S72); 권한 인증을 위한 정보가 인증 서버로부터 하나의 작동 애플리케이션으로 또는 하나의 작동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른 작동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는 단계(S73);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이 전송되고, 스마트키가 활성화가 되는 단계(S76); 스마트키의 활성화에 의하여 차량에 대한 제어 기능이 획득되고, 스마트키에 의하여 차량 작동이 제어되는 단계; 차량의 작동에 따라 차량의 기능 또는 작동 이력이 저장되는 단계(S77); 차량 권한의 종료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S78); 및 차량 권한 사용 이력이 저장되고(S80), 차량 사용에 따른 차량 케어 리포트가 생성되는 단계(S81)를 포함한다.
스마트키에 의하여 차량에 대한 사용 권한이 생성되고, 동일한 차량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사용 권한을 가진 다수 개의 스마트키가 생성될 수 있다. 스마트키의 작동을 위한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S71).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차량 정보 및 차량에 대한 권한이 확인될 수 있고(S72), 권한 인증이 유효한 것인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 다수 개의 스마트키가 생성될 수 있고, 스마트키는 하나의 마스터 스마트키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스마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스마트키는 반드시 인증 서버의 인증이 필요한 것이 아니지만 스마트키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증 서버에서 인증될 수 있다. 마스터 스마트키로부터 서브 스마트키가 생성되거나, 인증 서버로부터 서브 스마트키가 생성될 수 있다. 마스터 스마트키로부터 또는 인증 서버로부터 스마트키가 생성되기 위하여 스마트키와 함께 권한 인증 코드가 스마트키가 생성되어야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S73). 또는 스마트키가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송되고, 스마트키가 수신된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작동되어 인증 서버로부터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다(S74). 인증 서버로부터 권한에 대한 인증이 전송되면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S75).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이 인증되면 스마트키가 활성화가 되고(S76), 이에 따라 차량 제어 및 운행이 가능해진다. 하나의 차량에 대하여 다수 개의 스마트키가 생성되어 권한 인증이 된 경우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의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에 대한 정보가 확인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차량 위치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각각의 스마트키를 가진 운행자에 의하여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차량 기능 및 작동 이력이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 경로, 운행 중 주유 정보 또는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77). 운행이 종료되면 또는 미리 결정된 권한 실행 종료 시기가 되면 권한 종료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S78). 권한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NO), 차량 운행이 계속될 수 있다(S77). 이에 비하여 차량 운행이 종료된 경우 권한 종류 및 차량 정보가 인증 서버, 마스터 스마트키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관리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S79). 그리고 차량 작동 이력이 저장되고(S80), 차량 작동 이력에 따라 차량 관리 리포터가 생성될 수 있다(S81). 이와 같은 차량 관리 방법은 다수인에 의하여 사용될 필요가 있는 법인 차량, 렌트 차량, 리스 차량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의 차량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12: 스마트 애플리케이션 13: 통신/작동 제어 모듈
14: 차량 작동 기기 21: 스마트 작동 애플리케이션
22: 작동 모듈 23: 작동 프로세서 모듈
24: 비콘 블루투스 모듈 25: 차량
32: 스마트 폰 31: 인증 서버
31a: 권한 설정 모듈 32a: 권한 실행 모듈

Claims (5)

  1. 인증 서버(AS)에 연결 가능하면서 각각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 및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하고, 적어도 차량 도어의 개폐 기능을 가지면서 차량 작동 기기(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을 포함하고,
    인증이 된 스마트키가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접근 거리에 따라 통신/작동 제어 모듈(13)과 블루투스 통신이 개시되면서 차량 작동 기기(14)의 작동을 위하여 작동 모듈이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 작동 기기(14)로 신호를 출력하는 작동 모듈(22); 스마트키를 탐지하여 블루투스 통신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비콘 블루투스 모듈(24); 및 작동 모듈(22)과 비콘 블루투스 모듈(24) 사이의 통신 신호를 처리하면서 차량에 전원에 연결되는 작동 프로세서 모듈(23)을 포함하고,
    통신/작동 제어 모듈(13)은 차량의 작동 상태의 탐지가 가능하고,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차량 내부에 위치하면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되고, 블루투스 연결이 해제되지 않은 경우 강제적으로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하는 안전모드(safe mode) 기능을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증 서버(AS)에 설치되는 스마트키에 대한 권한이 설정되는 권한 설정 모듈(31a); 및 스마트 애플리케이션(11, 12)에 설치되는 권한 설정 모듈(31a)에 기초하는 스마트키에 대한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권한 실행 모듈(32a)을 포함하고, 차량 제어에 대한 권한은 서로 다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3720A 2020-04-10 2020-04-10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KR10232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20A KR102327081B1 (ko) 2020-04-10 2020-04-10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720A KR102327081B1 (ko) 2020-04-10 2020-04-10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13A KR20210126213A (ko) 2021-10-20
KR102327081B1 true KR102327081B1 (ko) 2021-11-16

Family

ID=7826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720A KR102327081B1 (ko) 2020-04-10 2020-04-10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2129B (zh) * 2022-12-19 2024-04-2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无感解锁系统、方法、车辆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544A (ja) * 2003-07-22 2004-02-19 Yupiteru Ind Co Ltd 自動車の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2027347B1 (ko) * 2018-10-29 2019-10-01 김광우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68357B1 (ko) * 2019-09-16 2020-02-11 (주)케이스마텍 디지털 키 기반 차량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134B1 (ko) * 2012-09-21 2019-02-26 주식회사 케이티 카쉐어링 차량에서 사용자별 통합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933778B2 (en) 2012-09-28 2015-01-13 Intel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key fob pairing for multi-factor security
KR101792097B1 (ko) 2015-08-31 2017-11-02 주식회사 에스엘피테크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99283B1 (ko) 2016-02-25 2017-11-2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카메라 기반 모바일 로봇 제어를 위한 그림자 제거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8031A (ko) * 2016-06-03 2017-12-14 자동차부품연구원 스마트키 권한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544A (ja) * 2003-07-22 2004-02-19 Yupiteru Ind Co Ltd 自動車の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2027347B1 (ko) * 2018-10-29 2019-10-01 김광우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스위칭 제어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시스템
KR102068357B1 (ko) * 2019-09-16 2020-02-11 (주)케이스마텍 디지털 키 기반 차량 원격 제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213A (ko)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67563B (zh) 车辆共享附件设备和系统
CN103770749B (zh) 车载系统、车辆控制方法以及车辆控制系统
KR100834303B1 (ko) 자동차 관리 시스템
JP5298807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EP1376481B1 (en) Electronic key system
JP5170177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WO2015033527A1 (ja) 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9012337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用プログラム
JP2004187096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およびキーレスエントリ方法
JP2016511191A (ja) 車両を利用可能にする方法および車両を利用可能にするための対応するシステム
WO2005061289A1 (ja) 盗難防止システム
CN107685711A (zh) 用于车辆的接近度确认被动访问系统
JP6790917B2 (ja) キーシステムを用いた車載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キーシステム
CN112365632A (zh) 车辆进入隐私模式的nfc激活
KR102045033B1 (ko) 통합 nfc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45443B1 (ko) 운전자 인증 시스템
JP6813689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KR102327081B1 (ko) 차량용 디지털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차량 관리 방법
KR101406192B1 (ko) 스마트단말을 이용한 차량액세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TWM550899U (zh) 無線繼電器裝置及具有該無線繼電器裝置之無線繼電器控制系統
JP2010023548A (ja) 車両機能制限システム及び車両機能制限対応キー
US9026266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use of the functions of a provided vehicle
JP2004088337A (ja) キーレス制御方法、識別コード登録方法、通信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314747B2 (ja) 車両のための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7206794B2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