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639B1 - 소화전 밸브 - Google Patents

소화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639B1
KR102325639B1 KR1020200098046A KR20200098046A KR102325639B1 KR 102325639 B1 KR102325639 B1 KR 102325639B1 KR 1020200098046 A KR1020200098046 A KR 1020200098046A KR 20200098046 A KR20200098046 A KR 20200098046A KR 102325639 B1 KR102325639 B1 KR 10232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less
addition
hydrant val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혜숙
Original Assignee
(주) 동원비철소재
허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원비철소재, 허혜숙 filed Critical (주) 동원비철소재
Priority to KR102020009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드(90)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구리의 함량이 80.5wt% 미만일 경우 용탕의 흐름이 좋지 않고 83wt% 이상일 경우 로드(90)의 강도를 보장할 수 없어 최소 15㎜ 이상의 직경을 가져야만 함 => 이로 인하여 고압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초래],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아니하고 파괴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취성을 위하여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실리콘이 3.5wt% 미만일 경우 황동의 강도에 의존되어 토크압력[핸들(H)의 회전에 의한 토크압력]에 의해 로드(90)가 쉽게 변형되고 실리콘이 4.5wt% 이상일 경우 구리의 용탕의 흐름을 방해하여 주조 성형시 어려움에 봉착} 주조 성형의 용이함과 더불어 강도를 보장하고, 마찬가지로 취성을 위하여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아연이 13wt% 미만일 경우 황동의 강도에 의존되어 핸들(H)의 회전에 의한 토크압력에 의해 로드(90)가 쉽게 변형되고 아연이 15wt% 이상일 경우 제작완료된 로드(90)의 장기간 사용시 탈아연에 의한 부식이 발생] 강도의 보장[결과적으로 로드(90)의 직경을 10㎜까지 축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부식 현상까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크롬 도금과 같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는 소화전 밸브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소화전 밸브{VALVE FOR FIRE HYDRANT}
본 발명은 소화전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 취성을 좋게 하면서 강도를 보장하며,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강도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탈아연에 의한 부식현상까지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화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상수도 또는 고층건물의 물탱크가 있는 곳에 설치되어 화재시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압의 물(고압수)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밸브(소화전 밸브)를 구비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소화전 밸브는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구부(11), 차폐턱(12a)을 지닌 하부 유입구(12) 및 측면 배출구(13)를 구비한 하우징(10)과, 상부 개구부(11)에 결합되며 승강 나사홈(21)을 지닌 중공형 캡(20)과, 차폐턱(12a)을 개폐시키는 밸브체(30)와, 승강 나사홈(21)에 합치되는 승강 나사산(41)을 지니면서 핸들(50)에 결합되어 밸브체(30)를 승강시키는 로드(40)를 포함한다.
밸브체(30)는 차폐턱(12a)에 착탈되는 원판형 패킹(32)을 지닌 디스크(31)와, 디스크(31)의 상부로부터 상승 연장되며 그 상단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제2통과나사홈(33b) 및 제2유격중공홈(33c)을 차례로 지닌 어퍼봉(33)을 포함하고, 로드(40)는 그 하단 외주연에 제2통과나사홈(33b)에 치합되면서 통과된 후 제2유격중공홈(33c)에 위치되는 제2통과나사산(40c)을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소화전 밸브는 소규모의 화재시 오픈시켜 고압수를 사용하고 난 후 다시 클로즈시킬 경우 제2유격중공홈(33c) 속에 잔존하는 고압수에 의해 로드(40)의 나사산(41) 그리고 어퍼봉(33)의 제2통과나사홈(33b) 및 제2유격중공홈(33c)이 부식되어 장기간 방치될 경우 로드(40)의 끝단이 깨지거나 어퍼봉(33)이 파손되어 다른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오픈시키고자 할 경우 밸브체(30)가 작동되지 않는 위험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045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85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46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 취성을 좋게 하면서 강도를 보장하며,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강도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탈아연에 의한 부식현상까지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화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격중공홈의 최저점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쓰루홀을 형성시켜 유격중공홈 속에 남아있는 고압수를 모두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의 정역회전시 압력을 집중적으로 받는 로드의 끝단과 더불어 디스크의 어퍼봉에 대한 부식현상을 철저히 없애 수명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시 보다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는 소화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과나사산이 통과나사홈을 통해 유격중공홈에 위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통과나사산의 직경보다 통과나사홈의 직경을 작게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어퍼봉의 상단 외주연에 오목라인을 미리 형성하여 이 오목라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로드의 정역회전은 보장하고 어퍼봉으로부터의 로드의 이탈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화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수가 하부유입구로부터 측면배출구로 토출될 때 임펠러돌기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선회되면서 흘러갈 수 있도록 하여 고압수의 토출저항을 극소화시켜 보다 강력한 화재진압을 가능케 하는 소화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형상으로 임펠러돌기를 형성시켜 디스크에 의해 하부유입구의 외곽으로부터 고압수가 유입되어 측면배출구로 배출되는 경로에서 임펠러돌기의 외곽에서의 고압수의 흐름저항은 최소화시키는 대신 임펠러돌기의 내곽에서의 고압수의 흐름경로를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압수의 토출속도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소화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및 어퍼봉, 하우징 또는 중공형캡을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 취성을 좋게 하면서 강도를 보장하며,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강도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탈아연에 의한 부식현상까지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화전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차폐턱을 지닌 하부유입구, 상부개구부 및 측면배출구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상부개구부에 결합되며 승강나사홈을 지닌 중공형캡과, 상기 하부차폐턱을 개폐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승강나사홈에 치합되는 승강나사산을 지니면서 핸들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를 승강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소화전 밸브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80.5wt% 이상 83wt% 미만의 구리와, 3.5wt% 이상 4.5wt% 미만의 실리콘과, 13wt% 이상 15wt% 미만의 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 취성을 좋게 하면서 강도를 보장하며,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강도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탈아연에 의한 부식현상까지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격중공홈의 최저점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쓰루홀을 형성시켜 유격중공홈 속에 남아있는 고압수를 모두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핸들의 정역회전시 압력을 집중적으로 받는 로드의 끝단과 더불어 디스크의 어퍼봉에 대한 부식현상을 철저히 없애 수명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시 보다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통과나사산이 통과나사홈을 통해 유격중공홈에 위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통과나사산의 직경보다 통과나사홈의 직경을 작게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어퍼봉의 상단 외주연에 오목라인을 미리 형성하여 이 오목라인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여 로드의 정역회전은 보장하고 어퍼봉으로부터의 로드의 이탈을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압수가 하부유입구로부터 측면배출구로 토출될 때 임펠러돌기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선회되면서 흘러갈 수 있도록 하여 고압수의 토출저항을 극소화시켜 보다 강력한 화재진압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형상으로 임펠러돌기를 형성시켜 디스크에 의해 하부유입구의 외곽으로부터 고압수가 유입되어 측면배출구로 배출되는 경로에서 임펠러돌기의 외곽에서의 고압수의 흐름저항은 최소화시키는 대신 임펠러돌기의 내곽에서의 고압수의 흐름경로를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압수의 토출속도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크 및 어퍼봉, 하우징 또는 중공형캡을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 취성을 좋게 하면서 강도를 보장하며,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강도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탈아연에 의한 부식현상까지 방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나타내는 요부절개 분해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클로즈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를 포함한 종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오픈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에 적용된 중공형캡, 로드 및 디스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에 적용된 디스크 및 패킹을 나타내는 정면도.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클로즈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를 포함한 종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를 오픈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차폐턱(61a)을 지닌 하부유입구(61), 상부개구부(62) 및 측면배출구(63)를 구비한 하우징(60)과, 상부개구부(62)에 결합되며 승강나사홈(71)을 지닌 중공형캡(70)과, 하부차폐턱(61a)을 개폐시키는 밸브체(80)와, 승강나사홈(71)에 치합되는 승강나사산(91)을 지니면서 핸들(H)에 결합되어 밸브체(80)를 승강시키는 로드(90)를 포함한다.
핸들(H)의 정역회전에 따라 로드(90)가 중공형캡(70)에 지지되면서 승강나사홈(71) 및 승강나사산(91)의 치합에 연동되어 밸브체(80)를 승강시켜 하부차폐턱(61a)을 개폐시킴으로서 하부유입구(61)를 통한 고압수의 통과 여부를 통제하여 측면배출구(63)로의 배출 및 차단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로드(90)는 80.5wt% 이상 83wt% 미만의 구리와, 3.5wt% 이상 4.5wt% 미만의 실리콘과, 13wt% 이상 15wt% 미만의 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로드(90)는 제작 용이성을 고려하여 황동으로 제작되는데, 황동으로 제작된 로드(90)일 경우 강도가 약하여 최소 15㎜ 이상의 직경을 유지하여야 한다[로드(90)의 직경이 클수록 고압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음]. 뿐만 아니라 황동 속에는 아연 함량이 15wt% 이상으로 이루어져 장기간 사용시 탈아연에 의한 부식이 초래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크롬 도금이 필수적이어서 생산성까지 현저히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로드(90)를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를 80.5wt% 이상 83wt% 미만으로 하여 성형시 용탕의 흐름을 좋게 하고[구리의 함량이 80.5wt% 미만일 경우 용탕의 흐름이 좋지 않고 83wt% 이상일 경우 로드(90)의 강도를 보장할 수 없어 최소 15㎜ 이상의 직경을 가져야만 함 => 이로 인하여 고압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초래],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아니하고 파괴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취성을 위하여 실리콘을 3.5wt% 이상 4.5wt% 미만으로 하여{실리콘이 3.5wt% 미만일 경우 황동의 강도에 의존되어 토크압력[핸들(H)의 회전에 의한 토크압력]에 의해 로드(90)가 쉽게 변형되고 실리콘이 4.5wt% 이상일 경우 용탕의 흐름을 방해하여 주조 성형시 어려움에 봉착} 주조 성형의 용이함과 더불어 강도를 보장하고, 마찬가지로 취성을 위하여 아연을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하여 [아연이 13wt% 미만일 경우 황동의 강도에 의존되어 핸들(H)의 회전에 따른 토크압력에 의해 로드(90)가 쉽게 변형되고 아연이 15wt% 이상일 경우 제작완료된 로드(90)의 장기간 사용시 탈아연에 의한 부식이 발생] 강도의 보장[결과적으로 로드(90)의 직경을 10㎜까지 축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부식 현상까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크롬 도금과 같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까지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에 적용된 중공형캡(70), 로드(90) 및 디스크(81)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에 적용된 디스크(81) 및 패킹(82)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바람직하게, 밸브체(8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차폐턱(61a)에 착탈되는 패킹(82)을 지닌 디스크(81)와, 디스크(81)의 상부로부터 상승 연장되며 그 상단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통과나사홈(81b) 및 유격중공홈(81c)을 차례로 지닌 어퍼봉(81a)을 포함하고, 로드(90)는 하단 외주연에 통과나사홈(81b)에 치합되면서 통과된 후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되는 통과나사산(92)을 포함하고, 어퍼봉(81a)은 유격중공홈(81c)의 최저점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뚫려진 쓰루홀(81d)을 더 포함한다.
로드(90)와 밸브체(80)를 조립시키고자 할 때, 어퍼봉(81a)의 통과나사산(92)이 로드(90)의 통과나사홈(81b)에 치합되면서 통과된 후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되어 상호간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되고, 이때 통과나사산(92)은 유격중공홈(81c)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서로 치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핸들(H)의 정역회전시 로드(90)가 함께 연동되더라도 밸브체(80)에는 어떠한 회전력을 주지 않게 되어 하부차폐턱(61a)과 밸브체(80) 상호간의 마찰 등과 같은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건물이나 각종 시설 등에 소규모의 화재가 발생되어 소화전 밸브를 사용하고 난 후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유격중공홈(81c) 속에 고압수가 잔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격중공홈(81c)의 최저점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쓰루홀(81d)을 형성시켜 유격중공홈(81c) 속에 남아있는 고압수를 모두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핸들(H)의 정역회전시 압력을 집중적으로 받는 로드(90)의 끝단과 더불어 디스크(81)의 어퍼봉(81a)에 대한 부식현상을 철저히 없애 수명 보장은 물론이거니와 화재시 보다 정확한 동작을 보장케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는 통과나사산(92)이 통과나사홈(81b)을 통해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된 부분을 기준하여 어퍼봉(81a)의 상단 외주연에 오목라인(81e)을 형성하고, 이 오목라인(81e)을 따라 가압하여 통과나사산(92)의 직경보다 통과나사홈(81b)의 직경을 작게 만들어주는 것을 또 하나의 핵심 특징으로 한다.
로드(90)와 밸브체(80)를 조립할 때, 어퍼봉(81a)의 통과나사산(92)이 로드(90)의 통과나사홈(81b)에 치합되면서 통과된 후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되어 상호간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데, 이때 하부차폐턱(61a)에 밀착되는 패킹(82)이 눌러붙게 될 경우 핸들(H)의 역회전시 통과나사산(92)이 통과나사홈(81b)에 치합되면서 어퍼봉(81a)으로부터 로드(90)가 오히려 빠져버리는 현상, 즉 화재시 하부차폐턱(61a)으로부터 밸브체(80)를 이격시켜 고압수의 토출을 실현시킬 수 있어야 되는데, 패킹(82)과 더불어 디스크(81)를 그대로 하부차폐턱(61a)에 눌러붙게 한 채로 어퍼봉(81a)으로부터 로드(90)만이 빠져버리는 현상이 초래되어 화재진압을 못 하는 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통과나사산(92)이 통과나사홈(81b)을 통해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된 부분을 기준으로 통과나사산(92)의 직경보다 통과나사홈(81b)의 직경을 작게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때 어퍼봉(81a)의 상단 외주연을 단순히 가압할 경우 어퍼봉(81a) 전체가 찌그러지면서 로드(90)까지 밀착시켜 로드(90)의 정역회전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어퍼봉(81a)의 상단 외주연에 오목라인(81e)을 미리 형성하여 이 오목라인(81e)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로드(90)의 정역회전은 보장하고 어퍼봉(81a)으로부터의 로드(90)의 이탈은 철저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디스크(81)는 그 상부에 방사상으로 선회되는 임펠러돌기(81f)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임펠러돌기(81f)는 디스크(81)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 로드(90)의 강도를 보장하여 그 직경을 10㎜까지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고압수의 흐름 방해를 최소화하는 것과 더불어 고압수가 하부유입구(61)로부터 측면배출구(63)로 토출될 때 임펠러돌기(81f)에 의해 하우징(60) 내부에서 선회되면서 흘러갈 수 있도록 하여 고압수의 토출저항을 극소화시켜 보다 강력한 화재진압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이때 디스크(81)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형상으로 임펠러돌기(81f)를 형성시켜 디스크(81)에 의해 하부유입구(61)의 외곽으로부터 고압수가 유입되어 측면배출구(63)로 배출되는 경로에서 임펠러돌기(81f)의 외곽에서의 고압수의 흐름저항은 최소화시키는 대신 임펠러돌기(81f)의 내곽에서의 고압수의 흐름경로를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압수의 토출속도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81) 및 어퍼봉(81a), 하우징(60) 또는 중공형캡(70)은 80.5wt% 이상 83wt% 미만의 구리와, 3.5wt% 이상 4.5wt% 미만의 실리콘과, 13wt% 이상 15wt% 미만의 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로드(90)의 강도 및 부식 방지를 위한 구리, 실리콘과 더불어 아연의 최적화된 함량 조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 밸브의 구성이 되는 디스크(81) 및 어퍼봉(81a), 하우징(60) 나아가 중공형캡(70)을 제작함에 있어서 구리 80.5wt% 이상 83wt% 미만, 실리콘 3.5wt% 이상 4.5wt% 미만, 그리고 아연 13wt% 이상 15wt% 미만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강도 및 부식 방지 나아가 생산성까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고압의 물(고압수)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전 밸브 분야에 활용된다.
60 : 하우징 61 : 하부유입구
61a : 하부차폐턱 62 : 상부개구부
63 : 측면배출구 70 : 중공형캡
71 : 승강나사홈 80 : 밸브체
81 : 디스크 81a: 어퍼봉
81b : 통과나사홈 81c : 유격중공홈
81d : 쓰루홀 81e : 오목라인
81f : 임펠러돌기 82 : 패킹
90 : 로드 91 : 승강나사산
92 : 통과나사산 H : 핸들

Claims (6)

  1. 하부차폐턱(61a)을 지닌 하부유입구(61), 상부개구부(62) 및 측면배출구(63)를 구비한 하우징(60)과, 상기 상부개구부(62)에 결합되며 승강나사홈(71)을 지닌 중공형캡(70)과, 상기 하부차폐턱(61a)을 개폐시키는 밸브체(80)와, 상기 승강나사홈(71)에 치합되는 승강나사산(91)을 지니면서 핸들(H)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80)를 승강시키는 로드(90)를 포함하는 소화전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80)는 상기 하부차폐턱(61a)에 착탈되는 패킹(82)을 지닌 디스크(81)와, 상기 디스크(81)의 상부로부터 상승 연장되며 그 상단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통과나사홈(81b) 및 유격중공홈(81c)을 차례로 지닌 어퍼봉(81a)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90)는 하단 외주연에 상기 통과나사홈(81b)에 치합되면서 통과된 후 상기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되는 통과나사산(92)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봉(81a)은 상기 유격중공홈(81c)의 최저점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뚫려진 쓰루홀(81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90)는 80.5wt% 이상 83wt% 미만의 구리와, 3.5wt% 이상 4.5wt% 미만의 실리콘과, 13wt% 이상 15wt% 미만의 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봉(81a)의 상단 외주연에 오목라인(81e)을 형성하고, 상기 오목라인(81e)을 따라 가압하여 상기 통과나사산(92)의 직경보다 상기 통과나사홈(81b)의 직경을 작게 만들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80)는 상기 하부차폐턱(61a)에 착탈되는 패킹(82)을 지닌 디스크(81)와, 상기 디스크(81)의 상부로부터 상승 연장되며 그 상단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통과나사홈(81b) 및 유격중공홈(81c)을 차례로 지닌 어퍼봉(81a)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90)는 하단 외주연에 상기 통과나사홈(81b)에 치합되면서 통과된 후 상기 유격중공홈(81c)에 위치되는 통과나사산(92)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81)는 그 상부에 방사상으로 선회되는 임펠러돌기(81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돌기(81f)는 상기 디스크(81)의 외곽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81) 및 어퍼봉(81a), 하우징(60) 또는 중공형캡(70)은 80.5wt% 이상 83wt% 미만의 구리와, 3.5wt% 이상 4.5wt% 미만의 실리콘과, 13wt% 이상 15wt% 미만의 아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KR1020200098046A 2020-08-05 2020-08-05 소화전 밸브 KR102325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46A KR102325639B1 (ko) 2020-08-05 2020-08-05 소화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046A KR102325639B1 (ko) 2020-08-05 2020-08-05 소화전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639B1 true KR102325639B1 (ko) 2021-11-12

Family

ID=7849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046A KR102325639B1 (ko) 2020-08-05 2020-08-05 소화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6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54A (ko) 1998-09-03 2000-04-06 안병성 심전계 및 심전도 측정 방법
KR20020044620A (ko) 2000-12-06 2002-06-19 박승옥 소화전 밸브
KR100460451B1 (ko) 2002-07-24 2004-12-08 한국화학연구원 쯔비터이온 화합물 촉매를 이용한 다중 고리 올레핀의반응사출성형방법
JP2010229952A (ja) * 2009-03-27 2010-10-14 Yamada Seisakusho Co Ltd クローズドインペラの製造法
KR20110068457A (ko) * 2009-12-16 2011-06-22 (주)에쎈테크 4-웨이 밸브 바디용 합금 조성물 및 이의 합금방법
KR20110007424U (ko) * 2010-01-20 2011-07-27 우명배 소화전 밸브
KR20180023245A (ko) * 2016-08-25 2018-03-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속 개폐 기능을 포함하는 게이트밸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554A (ko) 1998-09-03 2000-04-06 안병성 심전계 및 심전도 측정 방법
KR20020044620A (ko) 2000-12-06 2002-06-19 박승옥 소화전 밸브
KR100460451B1 (ko) 2002-07-24 2004-12-08 한국화학연구원 쯔비터이온 화합물 촉매를 이용한 다중 고리 올레핀의반응사출성형방법
JP2010229952A (ja) * 2009-03-27 2010-10-14 Yamada Seisakusho Co Ltd クローズドインペラの製造法
KR20110068457A (ko) * 2009-12-16 2011-06-22 (주)에쎈테크 4-웨이 밸브 바디용 합금 조성물 및 이의 합금방법
KR20110007424U (ko) * 2010-01-20 2011-07-27 우명배 소화전 밸브
KR20180023245A (ko) * 2016-08-25 2018-03-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속 개폐 기능을 포함하는 게이트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049613C2 (ko)
KR102325639B1 (ko) 소화전 밸브
KR100703762B1 (ko) 밸브용 실란트 피팅
CH651341A5 (de) Betaetigungsvorrichtung fuer das ablaufventil eines unterputz-spuelkastens.
DE1295938B (de) Niederschraubventil, insbesondere Drosselventil
DE10126540B4 (de) Endoskopabsperrhahn mit Rasteinrichtung
WO1993001435A1 (de) Rückschlagventil
KR101520429B1 (ko) 니들 밸브 어셈블리
DE2060415A1 (de) Drehventilanordnung
DE10257517B4 (de) Rückflußverhinderer
KR200434924Y1 (ko) 밸브용 실란트 피팅
DE202005008464U1 (de) Frostsicheres Außenwandventil
KR20220121656A (ko) 소화전 밸브
KR20220115767A (ko) 소화전밸브용 개폐뭉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22799B1 (ko) 소화전밸브용 개폐뭉치
AT85381B (de) Zapfhahnverschluß.
EP3260607A1 (de) Siphon
CN210800106U (zh) 一种厨卫角阀
DE102008035356A1 (de) Ventilgehäuse
EP0953772B1 (de) Kreiselmotorpumpe mit Entlüftungsschraube
DE688543C (de) Siphonkopf
DE571873C (de) Selbsttaetig sich schliessendes Spuelventil mit in dem Ventilkoerper eingebautem Anhebe- und Auslaufstutzen
DE97572C (ko)
DE139346C (ko)
CH440885A (de) Absperrorg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