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566B1 - 옥내소화전방수구 - Google Patents

옥내소화전방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566B1
KR101036566B1 KR1020080075457A KR20080075457A KR101036566B1 KR 101036566 B1 KR101036566 B1 KR 101036566B1 KR 1020080075457 A KR1020080075457 A KR 1020080075457A KR 20080075457 A KR20080075457 A KR 20080075457A KR 101036566 B1 KR101036566 B1 KR 10103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valve rod
valve
valve body
fire hyd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783A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주)화이어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어대상 filed Critical (주)화이어대상
Priority to KR102008007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5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내 소화전 설비 중의 소화전함에 내장되어 소화용수를 개폐하는데 사용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에 관한 것으로,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밸브시트가 구비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체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밸브체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핸들 사이에 밀접 되게 위치시키되, 상기 밸브로드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뚜껑의 상부 바깥둘레면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이동상태 및 밸브로드의 노출 여부를 보고 옥내소화전방수구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설치공간이 좁은 소화전함의 내부 후면에 핸들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설치하였을 때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완전히 닫으면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전체크기를 콤팩트하게 하여 소화전함의 개폐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소방규격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밸브몸체, 밸브체, 뚜껑, 밸브로드, 소화전함

Description

옥내소화전방수구{Indoor hydrant outlet}
본 발명은 옥내 소화전 설비 중의 소화전함에 내장되어 소화용수를 개폐하는데 사용하는 앵글 밸브인 옥내소화전방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크기가 콤팩트하면서도 밸브몸체의 뚜껑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있는 밸브로드가 상승 및 하강할 때 외부에서 옥내소화전방수구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 소화전 설비는 소방대상 건축물에 설치되어 비상시 건물의 자체인원에 의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것으로, 건물의 구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크게 수원, 제어반, 가압송수장치, 소화전함, 소방배관 및 비상전원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화전함에는 옥내소화전방수구와 소화전 호스 등이 내장되어 있고, 조건에 따라 옥내소화전방수구는 여러 가지의 밸브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앵글 밸브가 사용된다. 상기 앵글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90°바꿔주는 역할을 하 며, 소화전함에 설치되어 일측으로 건물 배관으로부터 소화용수가 공급되고, 타측으로 상기 소화전 호스가 연결되어 비상시 밸브를 열면 상기 소화전 호스를 통해 소화용수가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유형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밸브몸체의 상부에 뚜껑이 체결되고, 이 뚜껑의 중앙에 핸들을 구비한 밸브로드가 회전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밸브로드가 뚜껑에서 좌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밸브로드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체의 패킹이 밸브몸체의 밸브시트에서 떨어져 옥내소화전방수구가 열리게 되고, 반대로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패킹이 밸브몸체의 밸브시트에 밀착되어 유입구로 들어오는 소화용수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나, 대부분이 밸브로드가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이 밸브몸체의 상부로 많이 돌출되어 있어 옥내소화전방수구가 닫혀있는 경우에도 밸브몸체의 하단면에서 핸들 상단면까지의 전체크기가 크므로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특히, 상기한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소방규격에 적합하게 제작되는 소화전함 내부의 좌,우측면이나 상,하부면에 설치할 경우는 가로와 세로의 크기가 넓으므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후면에 핸들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설치할 경우 소화전함의 폭이 좁으므로 핸들을 비롯한 일부가 소화전함 외부로 돌출하게 되어 소화전함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개폐도어를 닫을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밸브로드의 상하 이동스트로크가 짧으면서 옥 내소화전방수구의 개방스트로크가 길게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소화전함 내부의 좌,우측면 및 상,하부면과 후면에 설치하였을 때 개폐도어가 닫히도록 전체크기를 콤팩트하게 제조하여 소방규격을 만족하게 하도록 한 옥내소화전방수구에 대한 구성이 등록실용신안 제20-0411912호 및 등록특허 제10-080504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이들은 옥내소화전방수구를 개폐할 때 밸브로드의 회전에 의해 밸브체의 패킹이 밸브몸체 내에서만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밸브로드가 뚜껑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되어도 뚜껑 상부로 노출되게 상승 및 하강하지 못하고 원위치에서 회전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외부에서 옥내소화전방수구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뚜껑과 핸들 사이에 위치시키되, 상기 뚜껑의 상부 바깥둘레면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한 상하이동부재를 밸브로드 상부로 결합하여, 외부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이동상태 및 밸브로드의 노출 여부를 보고 옥내소화전방수구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공간이 좁은 소화전함의 내부 후면에 핸들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설치하였을 때 밸브를 완전히 닫으면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전체크기를 콤팩트하게 하여 소화전함의 개폐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소방규격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옥내소화전방수구는,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밸브시트가 구비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시트를 개폐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체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밸브체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와, 상기 밸브로드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핸들 사이에 밀접 되게 위치 시키되, 상기 밸브로드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뚜껑의 상부 바깥둘레면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육각볼트머리부에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단부를 안내하여 삽입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상부 바깥둘레면에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부 둘레면에 상기 오-링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밸브로드의 상승에 따라 상하이동부재의 내부 천정면에 상기 밸브로드의 수나사부 상단면이 걸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내부 상측에 오-링이 설치되어 상기 밸브로드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오-링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 의하면,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 상하이동부재가 뚜껑의 상부로 상승하고, 밸브로드가 상하이동부재의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열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완전히 닫았을 때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하강하고, 밸브로드가 하강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옥내소화전방수구의 닫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소화전함의 내부 후면에 설치하였을 때 소화전함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개폐도어를 열고 사용하기 때문에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완전히 열었을 때 옥내소화전방수구의 핸들을 비롯한 일부가 소화전함의 외부로 돌출되더라도 사용하는데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소화전함을 사용하지 않을 때 옥내소화전방수구를 완전히 닫으면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전체크기가 콤팩트하게 이루어져 소방규격에 적합하게 제작되는 소화전함의 개폐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 되며, 상하이동부재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을 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없어 조립공정의 간소화와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뚜껑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상하이동부재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는, 유입구(21)와 배출구(22) 사이에 밸브시트(23)가 구비된 밸브몸체(20)와, 상기 밸브시트(23)를 개폐시키는 밸브체(30)와, 상기 밸브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체결되는 뚜껑(40)과, 상기 뚜껑(40)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밸브체(30)를 승강시키는 밸브로드(50)와, 상기 밸브로드(50)의 상단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핸들(60)과, 상기 뚜껑(40)과 핸들(60) 사이에 밀접 되게 위치시키되, 상기 밸브로드(50)의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뚜껑(40)의 상부 바깥둘레면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이동부재(7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밸브몸체(20)의 내부에는 패킹(31)과 밸브디스크(32)를 구비한 밸브체(30)가 안착되는 밸브시트(23)가 유입구(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30)는 밸브시트(23)를 밀착시키는 고무재의 패킹(31)과, 상기 패킹(31)을 저면에 부착하여 상기 밸브몸체(20)의 밸브시트(23)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30)의 밸브디스크(32)는 상기 패킹(31)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밸브로드(5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브디스크(32)와 밸브로드(50) 사이에는 상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5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20)의 상부에는 개방부를 덮는 뚜껑(40)이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브몸체(20)와 뚜껑(40) 사이에는 밀폐를 하기 위한 오-링(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뚜껑(40)은 육각볼트머리부(41)에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하단부를 안내하여 삽입하는 안내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40)의 상부 바깥둘레면에는 오-링(80)이 설치되어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내부 둘레면에 상기 오-링(80)이 밀착되어 있다
상기 밸브로드(50)의 하부 바깥둘레면에는 수나사부(52)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4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43)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로드(50)의 상단에는 밸브로드(50)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60)이 와셔(61)와 볼트(62)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70)는 상기 밸브로드(50)의 상승에 따라 상하이동부재(70)의 내부 천정면에 상기 밸브로드(50)의 수나사부(52) 상단면이 걸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상부 누름부(71) 내부에 오-링(90)이 설치되어 상기 밸브로드(50)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오-링(90)이 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부(71)는 도면에서 육각볼트머리 형상을 하고 있으나, 원형이나 사각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는,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핸들(6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60)과 동시에 회전하는 밸브로드(50)가 뚜껑(40)에서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상승되어 상기 밸브로드(50)의 하단에 설치된 밸브체(30)의 패킹(31)이 밸브몸체(20)의 밸브시트(23)에서 떨어지게 되고, 핸들(60)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도 2의 상태와 같이 밸브체(30)의 밸브디스크(32) 상면이 상기 밸브몸체(20)에 체결된 뚜껑(40)의 저면에 맞닿아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서 옥내소화전방수구가 완전히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이동부재(70)는 상기 밸브로드(50)의 상승에 따라 상하이동부재(70)의 내부 천정면에 상기 밸브로드(50)의 수나사부(52) 상단면이 걸리게 되어 상승하게 되면서 상하이동부재(70)가 뚜껑(40)의 상부로 상승하고, 상기 밸브로드(50)가 상하이 동부재(70)의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부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이동상태 및 밸브로드(50)의 노출을 보고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열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반대로 핸들(6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60)과 동시에 회전하는 밸브로드(50)가 우측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도 1의 상태와 같이 상기 패킹(31)이 밸브몸체(20)의 밸브시트(23)에 밀착되어 유입구(21)로 들어오는 소화용수의 유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하이동부재(70)의 누름부(71) 상면에 상기 핸들(60)의 중앙부 저면이 접촉하여 누르게 되어 상하이동부재(70)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하단부가 상기 뚜껑(40)의 안내홈(42)에 삽입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서 옥내소화전방수구가 완전히 닫히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로드(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옥내소화전방수구의 전체크기가 콤팩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부재(70)가 하강하는 이동상태와 밸브로드(50)가 하강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옥내소화전방수구의 닫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내소화전방수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뚜껑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상하이동부재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밸브몸체 21 : 유입구
22 : 배출구 23 : 밸브시트
30 : 밸브체 40 : 뚜껑
41 : 육각볼트머리부 42 : 안내홈
50 : 밸브로드 60 : 핸들
70 : 상하이동부재 80, 90 : 오-링

Claims (5)

  1. 유입구(21)와 배출구(22) 사이에 밸브시트(23)가 구비된 밸브몸체(20)와, 상기 밸브시트(23)를 개폐시키는 밸브체(30)와, 상기 밸브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부에 체결되는 뚜껑(40)과, 상기 밸브체(30)를 승강시키도록 뚜껑(4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된 밸브로드(50)와, 상기 밸브로드(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6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드(50)의 상부로 부터 삽입되어 상기 뚜껑(40)의 상부와 핸들(60) 사이에 배치되고 뚜껑(40)의 상부 바깥둘레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이동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이동부재(70)는 상기 밸브로드(50)의 상승에 따라 상하이동부재(70)의 내부 천정면에 상기 밸브로드(50)의 수나사부(52) 상단이 걸려 승강되고 밸브로드(50)의 하강시 밸브로드 중앙 저면에 의해 상하이동부재(70)가 눌려져 하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옥내소화전방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은 육각볼트머리부(41)에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하단부를 안내하여 삽입하는 안내홈(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의 상부 바깥둘레면에 오-링(80)이 설치되어 상기 상하이동부 재(70)의 내부 둘레면에 상기 오-링(80)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70)의 상부 누름부(71) 내부에 오-링(90)이 설치되어 상기 밸브로드(50)의 바깥둘레면에 상기 오-링(90)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20080075457A 2008-08-01 2008-08-01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1036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57A KR101036566B1 (ko) 2008-08-01 2008-08-01 옥내소화전방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57A KR101036566B1 (ko) 2008-08-01 2008-08-01 옥내소화전방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83A KR20100013783A (ko) 2010-02-10
KR101036566B1 true KR101036566B1 (ko) 2011-05-24

Family

ID=4208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457A KR101036566B1 (ko) 2008-08-01 2008-08-01 옥내소화전방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5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5775A (zh) * 2018-04-28 2018-11-16 沪消消防科技有限公司 室内消防栓
KR101987693B1 (ko) 2018-06-14 2019-06-11 주식회사 대성기계 옥내 소화전용 방수구
KR20190138018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
KR20190138016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의 밸브 홀딩 장치
KR20190138017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장치
KR102225120B1 (ko) 2020-10-26 2021-03-09 최승호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KR102373872B1 (ko) 2021-06-23 2022-03-29 (주) 오행 밸브로드 회전 안내형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KR20220091113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대성코어 옥내소화전용 방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349Y1 (ko) * 2012-09-07 2013-01-02 김진명 소화전용 다기능 복합 개폐기
KR102194180B1 (ko) * 2019-10-25 2020-12-23 문용택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KR102466702B1 (ko) * 2022-03-28 2022-11-16 주식회사 미성 옥내 소화전 밸브 개폐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620A (ko) * 2000-12-06 2002-06-19 박승옥 소화전 밸브
KR20040011912A (ko) * 2002-07-31 2004-02-11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KR200411912Y1 (ko) * 2005-12-28 2006-03-21 박갑수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0804504B1 (ko) * 2007-02-01 2008-02-20 주식회사 육송 옥내소화전방수구
KR20080021908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육송 옥내소화전방수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620A (ko) * 2000-12-06 2002-06-19 박승옥 소화전 밸브
KR20040011912A (ko) * 2002-07-31 2004-02-11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KR200411912Y1 (ko) * 2005-12-28 2006-03-21 박갑수 옥내소화전방수구
KR20080021908A (ko) * 2006-09-05 2008-03-10 주식회사 육송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0804504B1 (ko) * 2007-02-01 2008-02-20 주식회사 육송 옥내소화전방수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5775A (zh) * 2018-04-28 2018-11-16 沪消消防科技有限公司 室内消防栓
KR20190138018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
KR20190138016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시스템의 밸브 홀딩 장치
KR20190138017A (ko)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대성기계 소화전밸브 주물 세트 커팅 장치
KR101987693B1 (ko) 2018-06-14 2019-06-11 주식회사 대성기계 옥내 소화전용 방수구
KR102225120B1 (ko) 2020-10-26 2021-03-09 최승호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KR20220091113A (ko)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대성코어 옥내소화전용 방수구
KR102373872B1 (ko) 2021-06-23 2022-03-29 (주) 오행 밸브로드 회전 안내형 옥내 소화전 밸브용 방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83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566B1 (ko) 옥내소화전방수구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KR101167608B1 (ko) 지상 소화전
US11014115B2 (en) Showerhead capable of discharging residual water
KR200411912Y1 (ko) 옥내소화전방수구
US20090320933A1 (en) Weeping System for Fire Hydrant Having a Protective Valve or Device
KR100877927B1 (ko) 옥내 소화전 방수구
KR101578022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KR101440053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KR20180105032A (ko) 옥외 소화전
CN205776528U (zh) 一种可收展的地下消防栓
KR200448696Y1 (ko) 옥내소화전 방수구
JP2000176040A5 (ko)
KR20100003722U (ko) 옥내소화전방수구용 밸브로드와 밸브체의 조립구조
JP5734227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KR20220165954A (ko) 옥내 소화전 밸브 개폐구
KR101223965B1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KR20110075750A (ko) 알람밸브
KR200415806Y1 (ko) 개폐식 소방밸브
CN220580114U (zh) 一种消防栓防护锁
CN207034261U (zh) 应用于隔膜式雨淋报警阀的新型防复位阀
CN201906386U (zh) 弹簧式消火栓
CN2925528Y (zh) 快开式室外消火栓
KR200400031Y1 (ko) 소방용 연결송수구
CN215673735U (zh) 一种能排残留水的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