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091B1 - 폐마스크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마스크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091B1
KR102324091B1 KR1020210031417A KR20210031417A KR102324091B1 KR 102324091 B1 KR102324091 B1 KR 102324091B1 KR 1020210031417 A KR1020210031417 A KR 1020210031417A KR 20210031417 A KR20210031417 A KR 20210031417A KR 102324091 B1 KR102324091 B1 KR 10232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ask
antibacterial
waste
unit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원
Priority to KR102021003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56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C19/0075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medical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마스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폐마스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 중 상기 투입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세절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항균 물질을 발산하여 세절된 상기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하는 항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폐마스크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그 폐기과정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투입된 폐마스크를 세절하여 세절된 폐마스크가 발상된 항균 물질에 의해 항균처리되도록 함으로써 항균처리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마스크 처리 장치{Treatment apparatus for waste mask}
본 발명은 폐마스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마스크의 폐기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폐기된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하여 2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주로 보온을 위한 방한대, 또는 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감염병 최고 경고 등급인 펜데믹(pandemic)을 선언할 정도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가 대유행을 하면서 그 방역대책으로 각 국에서 개인별 마스크 착용을 권고, 강제함에 따라 마스크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바이러스 방역대책으로 사용되는 마스크는 감염자의 비말을 차단하여 바이러스의 감염 확산을 방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숨쉬기가 용이하면서도 비말 차단이 가능한 비말차단 전용 마스크가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처럼 마스크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폐마스크의 발생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된 폐마스크는 일반 쓰레기통에 투입된 후 이를 일정량 모았다가 수거하여 배출처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폐마스크 처리 방법은 폐마스크 표면에 묻은 비말 등이 폐기 과정에서 쓰레기 비닐이나 쓰레기통 일측에 묻게 되고,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자가 쓰레기 비닐 또는 쓰레기통에 묻은 비말에 노출되어 2차 감염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해당 업계에서는 폐마스크를 쉽게 폐기할 수 있으면서도 폐마스크를 통한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마스크의 폐기 과정이 용이하면서도 폐기된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하여 2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폐마스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 중 상기 투입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세절부 및 상기 본체의 내면 측벽에 설치되고, 항균 물질을 발산하여 세절된 상기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하는 항균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항균처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면 측벽에 설치되고, 기화하면서 항균 물질을 발산하는 항균물질 발산부 및 상기 항균물질 발산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폐마스크 낙하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항균 물질을 송풍하는 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며, 측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폐마스크 투입구가 형성되며, 측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인입되거나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 및 상기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세절부 및 상기 항균물질 발산부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팬부는 상기 세절부로부터 낙하하는 상기 폐마스크 방향으로 송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절부는 다수의 세절날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세절유닛과, 상기 세절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세절유닛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제공수단은 상기 세절유닛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폐마스크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할 수 있어 위생적이면서도 그 폐기과정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투입된 폐마스크를 세절하여 세절된 폐마스크가 발상된 항균 물질에 의해 항균처리되도록 함으로써 항균처리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세절된 후 폐마스크 방향으로 송풍하여 폐마스크가 일정시간 부유하도록 함으로써 폐마스크 표면 전체에 항균물질이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면서도 접촉시간이 증대되도록 하여 폐마스크의 항균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와 제어부의 블럭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폐마스크 처리 장치에 마스크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팬부가 송풍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부가 송풍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센서와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1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1)는 본체(10)와, 세절부(20)와, 항균처리부(30)와,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와, 항균시약 검출부(50)와, 폐마스크 수용상태 검출부(6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내부에 공간부(11a)가 형성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인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폐마스크를 수용하여 일정시간 보관한다.
하우징(11)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11a)가 형성되며, 상면 일측에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1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 일측에 전원스위치가 구비되며, 그 측부에 작동 표시등, 마스크 걸림 등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 등 장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들이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11)은 측면에 수용부(12)와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11c)가 형성된다.
수용부(12)는 내부에 폐마스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a)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개구(11c)를 통해 하우징(11)에 인입,인출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수용부(12)는 투입구(11b)를 통해 투입된 폐마스크를 쓰레기 배출자가 배출하기 전까지 이를 일정시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수용부(12)는 제작과정에서 내면이 항균 코팅 등과 같이 항균처리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절부(20)는 하우징(11) 내부 중 투입구(11b) 하부에 설치되는 세절유닛(21)과, 일측이 세절유닛(21)에 연결되는 동력제공수단(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세절유닛(21)은 다수의 세절날이 항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세절날이 회전하면서 투입구(11b)를 통해 투입되는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세절유닛(21)을 통해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a)으로 낙하하는 폐마스크의 낙하시간이 증대되도록 하면서도 항균물질에 접촉되는 접촉면적 또한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폐마스크의 항균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세절날이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절날과 세절날 사이에 투입한 마스크를 빨아 당기고, 세절시 세절이 용이하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위한 우레탄 링(U)이 설치될 수 있다.
동력제공수단(22)은 일반적인 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세절유닛(2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세절유닛(21)이 폐마스크를 세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제공수단(22)은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과정에서 정역방향으로 전환하여 회전함으로써 폐마스크의 걸림을 방지하고, 폐마스크의 세절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낙하하는 폐마스크의 낙하패턴을 변경하여 폐마스크의 낙하시간이 보다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항균처리부(30)는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항균물질 발산부(31)와, 본체(10)의 내부 중 항균물질 발산부(31) 부근에 설치되는 팬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항균물질 발산부(31)는 고체화된 항균시약(31a)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31b)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스켓(31b)의 외면에는 다수의 발산공(31ba)이 형성되어 항균시약(31a)이 기화한 항균물질이 발산공(31ba)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발산됨으로써 낙하하는 폐마스크와 접촉하여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팬부(32)는 바스켓(31b) 일측에 설치되어 본체(10) 내부로 송풍함으로써 항균시약(31a)의 기화를 촉진하고, 발산된 항균물질과 세절된 폐마스크의 접촉 시간이 증대되도록 한다.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는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하는데, 이러한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는 일반적인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항균시약 검출부(50)는 본체(10)의 일측 중 항균시약(31a)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어 항균시약(31a)의 설치상태 여부를 검출하는데, 이러한 항균시약 검출부(50) 또한 일반적인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폐마스크 수용상태 검출부(60)는 수용부(1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수용부(12) 내에 폐마스크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70)는 정보수집모듈(71)과, 처리모듈(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수집모듈(71)에서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 항균시약 검출부(50), 폐마스크 수용상태 검출부(6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집하고, 처리모듈(72)에서 수집된 신호에 따라 각 구성을 제어한다.
일예로, 항균시약(31a)이 설치된 상태에서 검출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세절부(20) 및 항균처리부(30)를 제어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며, 폐마스크가 수용부(12) 내에 일정높이 이상으로 수용된 경우 본체(10) 일측에 구비된 부저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팬부(3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항균물질의 발산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폐마스크 처리 장치에 마스크를 투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팬부가 송풍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마스크 처리 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공급(S10)되면, 항균시약 검출부(50)에서 항균시약(31a)이 설치되어 있는지 유무를 검출(S20)하고, 항균시약(31a)이 검출되는 경우 신호를 발생하며, 제어부(70)에서는 발생된 신호에 따라 본체(10)에 구비된 표시등을 통해 항균시약(31a)의 설치상태를 표시(S21)한다.
다음, 제어부(70)에서는 항균시약(31a)의 설치시간이 기설정된 유효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본체(10) 일측에 구비되는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S30)
위와 같이 항균시약(31a)의 설치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사용한 폐마스크가 하우징(11)에 형성된 투입구(11b)를 통해 투입(S40)되면,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에서 이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발생한다.
정보수집모듈(71)에서 발생된 검출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검출신호에 따라 처리모듈(72)에서 세절부(20) 및 팬부(32)를 제어하여 이를 구동시킨다.(S50)
이에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절부(20)가 구동하면서 다수의 세절날이 회전하며, 세절날에 의해 폐마스크가 세절된 후 하방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구동중인 팬부(32)가 항균시약(31a)의 기화를 촉진함으로써 하우징(11) 내부에 항균물질이 발산되며, 도7과 같이 발산된 항균물질은 낙하하는 폐마스크와 접촉하여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한다.
아울러, 폐마스크는 팬부(32)의 송풍동작으로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일정시간 비산되어 항균물질과 접촉함으로써 표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항균물질과 접촉하므로 항균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항균처리된 폐마스크는 수용부(12) 내에 수용되며, 하우징(11) 내 항균물질과 지속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배출 전까지 항균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수용부(12) 내부에 폐마스크가 일정 높이 이상 수용된 경우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에서 이를 검출하고, 신호를 발생하며(S60), 제어부(70)를 발생된 신호에 따라 본체(10)에 구비된 표시등을 통해 이를 표시함과 아울러 부저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한다.(S61)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부가 송풍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내지 도7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폐마스크를 효율적으로 항균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팬부(32)가 본체(10)의 내면 측벽에 설치되어 폐마스크 낙하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송풍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본 실시예의 팬부(32)는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40)에서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세절부(20)로부터 낙하하는 폐마스크 방향으로 송풍, 즉 폐마스크 낙하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송풍한다.
즉, 폐마스크로 직접 송풍하여 폐마스크의 비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항균시약(31a)으로부터 발산된 항균물질이 폐마스크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므로 폐마스크의 항균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본체 11 : 하우징
11a : 공간부 11b : 투입구
11c : 개구 12 : 수용부
12a : 수용공간 20 : 세절부
21 : 세절유닛 22 : 동력제공수단
30 : 항균처리부 31 : 항균물질 발산부
31a : 항균시약 31b : 바스켓
31ba : 발산공 32 : 팬부
40 :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 50 : 항균시약 검출부
60 : 폐마스크 수용상태 검출부 70 : 제어부
71 : 정보수집모듈 72 : 처리모듈

Claims (5)

  1. 내부에 폐마스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 중 상기 투입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세절부; 및
    상기 본체의 내면 측벽에 설치되고, 항균 물질을 발산하여 세절된 상기 폐마스크를 항균처리하는 항균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항균처리부는
    상기 본체의 내면 측벽에 설치되고, 기화하면서 항균 물질을 발산하는 항균물질 발산부; 및
    상기 항균물질 발산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폐마스크 낙하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항균 물질을 송풍하는 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며, 측부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인입되거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폐마스크 투입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항균물질의 설치된 상태를 검출하는 항균시약 검출부와;
    상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폐마스크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수용되는 경우 이를 검출하는 폐마스크 수용상태 검출부; 및
    상기 항균물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폐마스크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세절부 및 상기 항균물질 발산부를 제어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폐마스크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부는
    다수의 세절날이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폐마스크를 세절하는 세절유닛과;
    상기 세절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세절유닛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제공수단은 상기 세절유닛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마스크 처리 장치.
KR1020210031417A 2021-03-10 2021-03-10 폐마스크 처리 장치 KR10232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417A KR102324091B1 (ko) 2021-03-10 2021-03-10 폐마스크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417A KR102324091B1 (ko) 2021-03-10 2021-03-10 폐마스크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091B1 true KR102324091B1 (ko) 2021-11-11

Family

ID=78516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417A KR102324091B1 (ko) 2021-03-10 2021-03-10 폐마스크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008A (zh) * 2022-01-25 2022-04-26 刘虹余 一种环保回收用口罩消毒回收设备
KR102431299B1 (ko) * 2021-10-27 2022-08-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마스크 처리 장치
KR102529699B1 (ko) * 2021-12-16 2023-05-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세절기
KR20230072829A (ko) * 2021-11-18 2023-05-25 정준영 톱니형 파쇄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폐기 처리기
CN114393008B (zh) * 2022-01-25 2024-06-07 海科仪器(南京)有限公司 一种环保回收用口罩消毒回收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757A (ja) * 1988-06-30 1990-01-18 Nippon Seiki Co Ltd 破砕機
KR101820506B1 (ko) * 2016-07-22 2018-01-19 (주)에이스잡 소독 및 방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757A (ja) * 1988-06-30 1990-01-18 Nippon Seiki Co Ltd 破砕機
KR101820506B1 (ko) * 2016-07-22 2018-01-19 (주)에이스잡 소독 및 방역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299B1 (ko) * 2021-10-27 2022-08-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마스크 처리 장치
KR20230072829A (ko) * 2021-11-18 2023-05-25 정준영 톱니형 파쇄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폐기 처리기
KR102620318B1 (ko) * 2021-11-18 2024-01-02 정준영 톱니형 파쇄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폐기 처리기
KR102529699B1 (ko) * 2021-12-16 2023-05-0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마스크 세절기
CN114393008A (zh) * 2022-01-25 2022-04-26 刘虹余 一种环保回收用口罩消毒回收设备
CN114393008B (zh) * 2022-01-25 2024-06-07 海科仪器(南京)有限公司 一种环保回收用口罩消毒回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091B1 (ko) 폐마스크 처리 장치
US5236135A (en) Medical waste treatment system
CN114728290B (zh) 用于处理医疗废弃物的废弃物销毁装置
US6978954B2 (en) Detector for a shredder
AU2005275237A1 (en) Medical waste disposal device
JP7233746B2 (ja) 殺菌ユニットを用いたマスクの廃棄処理装置
US20030192816A1 (en) Cleaning system for animal litter and bedding
KR10209350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529699B1 (ko) 마스크 세절기
JPH11313881A (ja) 廃棄物の消毒殺菌方法及び装置
KR20220055095A (ko)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KR20230023849A (ko) 자율 살균 로봇
JPH09253180A (ja) 殺菌装置
ES2326476T3 (es) Disco portacuchillas con dientes arrancadores para una desmenuzadora.
JP4593701B2 (ja) 切りくず破砕装置および切りくず処理システム
JP2011045547A (ja) 電気掃除機
KR102431299B1 (ko) 폐마스크 처리 장치
US20230149940A1 (en) Mask disposal apparatus having serrated type crushing structure
KR102562096B1 (ko) 내부 살균기능을 갖는 핸드 드라이어
JP3600045B2 (ja) 廃棄物破砕装置
JP2001179121A (ja) 粉砕機
JP7465176B2 (ja) 製氷機
KR102552364B1 (ko) 폐마스크 회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폐마스크 회수 시스템
JP2000342985A (ja) 混合廃棄物破砕・選別装置
KR20230136724A (ko) 마스크 자동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