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095A -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095A
KR20220055095A KR1020200139215A KR20200139215A KR20220055095A KR 20220055095 A KR20220055095 A KR 20220055095A KR 1020200139215 A KR1020200139215 A KR 1020200139215A KR 20200139215 A KR20200139215 A KR 20200139215A KR 20220055095 A KR20220055095 A KR 2022005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sk
pieces
sterilizing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영 filed Critical 정준영
Priority to KR102020013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095A/ko
Publication of KR2022005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성 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용 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마스크를 분쇄하여 조각을 생성하는 분쇄부와, 상기 조각을 살균하는 살균성 물질이 방출되는 살균유닛 및 상기 조각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동이 간편하며, 살균성 물질을 이용하여 일회용 마스크에 서식하는 유해균을 99.99% 이상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Mask disposal processing device with sterilization unit}
본 발명은 살균성 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폐기물은 의료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로서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을 지칭한다. 경우에 따라 감염성 폐기물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러한 의료 폐기물의 예로는 탈지면, 붕대, 거즈, 일회용 주사기, 수액 세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폐기물은 혈액, 체액, 분뇨, 수액 등으로 오염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의료 폐기물은 인체에 유해성분을 함유하고 있거나 감염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통상 일반 폐기물과 구분되어 엄격한 관리하에 처리되고 있다. 의료 폐기물을 처리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소각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국내의 경우 거의 대부분의 의료 폐기물이 소각을 통해 처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각 장치는 의료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소각로, 연소 중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한 집진기, 배기가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의료 폐기물 처리장치는 등록특허 제10-111706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개시된 연속식 의료폐기물 처리장치는 의료폐기물을 분쇄하여 배출시키는 분쇄처리부와;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고온의 압력증기로 멸균 처리하는 열처리부와; 열처리부의 증기압을 유지시키며 분쇄된 의료폐기물을 공급 및 배출시키는 입출력장치; 및 입출력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를 태우는 버너와 버너로 악취를 유입시키는 팬으로 구성되어 열처리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 제거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의료 폐기물 처리장는, 의료 폐기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병원균이 확산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늘이나 튜브 등의 내부에는 멸균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0-1926259호(등록일:20181130)에는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779296호(등록일:20170911)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이송스크류형 의료폐기물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의료폐기물 처리기는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매우 커서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이동에도 제한된다. 현재까지 일회용 마스크를 폐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은 전무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6259호(등록일:201811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9296호(등록일:2017091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이 간편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고, 마스크를 손쉽게 분쇄할 수 있으며, 살균성 물질을 순환시키면서 자외선을 이용하여 분쇄된 마스크 조각에 서식하는 유해균을 99.99% 이상 제거할 수 있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기용 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마스크를 분쇄하여 조각을 생성하는 분쇄부와, 상기 조각을 살균하는 살균성 물질이 방출되는 살균유닛 및 상기 조각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분쇄부로부터 생성되는 조각이 상기 살균성 물질에 설정시간 동안 노출되도록 상기 조각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살균성 물질을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수거부는,
내부 바닥에 상기 살균성 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수거부의 내부로 방출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의 내부에 상기 조각이 쌓이면 상기 투입부를 통해서 상기 조각들 사이사이로 상기 살균성 물질이 침투하여 상기 조각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분사되는 소독제 및 소독타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부에 쌓이는 조각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용 마스크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여 조각을 생성하고, 살균성 물질에 조각을 일정시간 노출시켜 조각을 골고루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수거부에 마스크 조각이 쌓여도 쌓인 조각 내부로 살균성 물질을 침투시켜 수거부에 쌓인 마스크 조각을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살균성 물질을 순환시켜 마스크 조각 및 처리기의 내부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수거부에 마스크 조각이 쌓이면 쌓인 조각 위로 자외선 빛을 출력하여 마스크 조각을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폐기 후 소독제를 이용하여 처리기의 외부 또는 손을 소독할 수 있어서 처리기가 오염되거나 신체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각을 일정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어서 조각을 골고루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수거부에 조각의 쌓인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수거부에 조각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쇄기에 옷 또는 장갑 등이 말려 들어가 갈 경우 비상버튼을 통해서 분쇄기의 작동을 바로 멈출 수 있다.
또한, 분쇄기에 이물질이 껴서 작동이 안 되면 배출버튼을 눌러 분쇄기를 반대로 작동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서 처리기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살균유닛, 이송부, 분쇄부, 순환부, 자외선살균부 및 소독부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에서 분쇄부, 이송부 및 수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에서 이송부의 다른 예를 적용한 측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는, 본체(1), 분쇄부(2), 이송부(3, 3'), 수거부(4), 살균유닛(5), 순환부(6), 소독부(7), 자외선살균부() 및 제어부(8)를 포함한다.
본체(1)는, 외형을 이루고 분쇄부(2), 이송부(3), 수거부(4), 살균유닛(5), 순환부(6), 소독부(7) 및 제어부(8)를 수용하는 것으로, 하우징(11), 측벽(12), 구획벽(14), 내부바닥(15) 및 도어(16)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외형을 이루고, 상단에 폐기용 마스크(M)(일회용 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111)가 마련되며, 분쇄부(2), 이송부(3), 수거부(4), 살균유닛(5), 순환부(6), 소독부(7) 및 제어부(8)를 수용하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된다.
측벽(12)은, 내부공간(112)을 세로로 구획하는 패널로,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되 우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측벽(12)을 기준으로 내부공간(112)의 우측 공간에는 분쇄모터(21) 및 이송모터(35)가 배치되고 나머지 구성을 내부공간(112)의 좌측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마스크 조각(P)이 구동 부분에 끼어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획벽(14)은, 하우징(11)의 내부 후방에 통로(113)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공간(112)의 후방에 배치되되 일단은 하우징(11)의 상부 내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내부바닥(15)과 연결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내부바닥(15)은, 하우징(11)의 내부에 하부에 통로(113)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단은 하우징(11)의 전방 내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구획벽(14)의 하단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의 후방과 바닥에 "L" 모양의 통로(113)가 형성되고, 이 통로(113)를 통해서 살균성 물질이 이동할 수 있다.
도어(16)는, 하우징(11)의 전면 일 영역을 개폐하는 것으로, 잠금부(161)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어(16)를 통해 하우징(11)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으며, 잠금부(161)를 통해 도어(16)를 잠금으로써 수거부(4)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부(2)는, 폐기용 마스크(M)를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2)에 설치되고, 제어부(8)에 의해 제어되며, 분쇄모터(21), 분쇄커터(22) 및 기어(23)를 포함한다.
분쇄모터(21)는, 분쇄커터(2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2)에서 우측에 배치되고 기어(23)와 연결되며, 제어부(8)에 의해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분쇄커터(22)는, 폐기용 마스크(M)를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분쇄하는 것으로, 한 쌍이 마련되되 대략 헬리컬 기어(23) 모양의 커터날이 서로 맞물려 배치되고,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2)에서 좌측에 배치되며, 기어(23)와 연결된다.
기어(23)는, 분쇄커터(2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2)에서 우측에 배치되되 분쇄커터(22)의 일단에 각각 설치되어 분쇄커터(22)와 연결되고, 서로 맞물려 있으며, 이 중에서 하나는 분쇄모터(21)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분쇄모터(21)가 작동하면 기어(23)가 회전하고, 기어(23)가 회전하면 분쇄커터(22)가 회전한다. 따라서, 분쇄커터(22)가 정회전하면 폐기용 마스크(M)가 분쇄커터(22) 사이로 말려 들어가면서 마스크(M)가 분쇄되고, 이때 분쇄커터(22)를 역회전시키면 폐기용 마스크(M)가 투입구(111)로부터 배출된다. 즉, 분쇄커터(22)로 마스크(M) 이외의 이물질이 함께 말려들어가면 분쇄커터(22)를 역회전시켜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마스크(M)를 분쇄함으로써 분쇄커터(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송부(3)는, 분쇄된 마스크 조각(P)을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구동롤러(31), 이송벨트(32) 및 이송모터(35)를 포함한다.
구동롤러(31)는, 이송벨트(32)를 구동하는 것으로, 한 쌍이 마련되고,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2)에서 좌측에 배치되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배치되며, 이 중에서 하나는 이송모터(35)와 연결된다. 여기서, 전방에 배치되는 구동롤러(31)는 분쇄된 마스크 조각(P)이 수거부(4)의 중앙부분으로 떨어지도록 내부공간(112)의 중간 부분에 배치된다.
이송벨트(32)는, 분쇄커터(22)로부터 떨어지는 마스크 조각(P)을 수거부(4)로 떨어트리는 것으로, 구동롤러(31)에 장착되고, 외면에 조각을 용이하게 이송하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이송모터(35)는, 이송벨트(3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공간(112)에서 우측에 배치되고, 후방에 배치된 구동롤러(31)와 연결되며, 제어부(8)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이송모터(35)가 작동하면, 구동롤러(31)가 회전하고, 구동롤러(31)가 회전하면 이송벨트(32)가 작동하고, 이송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이송벨트(32)의 회전속도가 변경되며, 이로 인해 마스크 조각의 이동속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폐기할 마스크의 투입량이 적으면 이송모터의 회전속도를 늦춰서 마스크 조각의 이동속도를 늦추고, 폐기할 마스크의 투입량이 많으면 이송모터의 회전속도를 높여서 마스크 조각의 이동속도를 올린다. 따라서, 이송벨트(32)에 마스크 조각이 쌓여서 분쇄커터와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송부(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송패널(37)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송패널(37)은 마스크 조각(P)이 수거부(4)의 중앙으로 떨어지도록 길이가 짧으면서 전단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쇄부(2)로부터 마스크 조각(P)이 떨어지면, 이송패널(37)을 타고 수거부(4)로 자유낙하 한다. 여기서, 이송패널(37)은 각도에 따라 조각의 이동속도가 결정되는데 조각이 가장 늦게 이동할 수 있는 범위의 각도로 배치된다. 이는 마스크 조각이 수거부(4)에 쌓이기 전에 살균성 물질에 충분히 노출되어 마스크 조각을 용이하게 살균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1검출부(S1)는 생략할 수 있다.
수거부(4)는, 분쇄된 마스크 조각(P)을 수거하는 통으로, 상부가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되 전면 일 영역은 후술할 손잡이(미도시)가 돌출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함몰되고, 수거부(4)의 바닥에 투입부(42) 및 제1관통공(151)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2관통공(41)이 형성되며, 본체(1)의 내부 바닥에 얹혀진다. 이에 따라, 이송부(3)로부터 떨어지는 마스크 조각(P)은 수거부(4)로 수거되고, 살균성 물질은 제1관통공(151) 및 제2관통공(41)을 통해 수거부(4)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수거부(4)는 투입부(42) 및 손잡이(미도시)를 포함한다.
투입부(42)는, 수거부(4)의 내부로 살균성 물질을 공급하면서 확산시키는 것으로, 다수가 마련된다.
또한, 투입부(42)는 대략 콘 모양으로 형성되되 외면에 마스크 조각(P)은 통과하지 못하고 살균성 물질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타공이 형성되거나 메시 형태로 형성되며, 수거부(4)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하단이 제2관통공(41)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관통공(151) 및 제2관통공(41)을 통해 들어오는 살균성 물질은 투입부(42)의 내부로 유입되고, 투입부(42)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거부(4)에 쌓인 마스크 조각(P)을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손잡이는, 하우징(11)으로부터 수거부(4)를 용이하게 꺼내거나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거부(4)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어(16)를 열고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거부(4)를 손쉽게 꺼내거나 삽입할 수 있다.
살균유닛(5)은, 살균성 물질을 방출하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되 이송부(3, 3')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어부(8)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살균유닛(5)이 작동하면 살균성 물질이 본체(1)의 내부로 방출된다.
여기서, 살균유닛(5)은, 오존, 플라스마이온, 고전압에 의해 방출되는 이온 클러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오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성 방전법, 전해법, 광화학법, 고주파 전계법 및 방사선 조사법 등이 있지만, 에너지 효율면과 성능의 안정성, 조작 및 제어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무성방전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온 클러스터는 공기 중 산소 분자의 이온화, 발생된 이온이 공기 중 수분과 결합한 후 산소이온과 래디컬이 뭉쳐 이온클러스터가 생성된다. 즉, 산소 음이온/양이온, 수산화기, 과산화기는 강력한 친화력을 지니기 때문에 집단의 형태로 뭉쳐 이온 클러스터로 형성된 후 약 120초 동안 활동하게 된다. 이때, 120초 동안 활동하면서 악취성분, 세균 및 진균류 등을 분해 및 질식시킨 후 산소나 물분자로 다시 환원된다.
따라서, 오존, 플라스마이온 및 이온 크러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체의 내부에서 순환시켜 마스크 조각을 골고루 살균할 수 있다.
순환부(6)는, 본체(1)의 내부에서 살균성 물질을 순환시키는 것으로, 제어부(8)에 의해 제어되고 제1송풍팬(61) 및 제2송풍팬(62)을 포함한다.
제1송풍팬(61)은, 살균성 물질을 본체(1)의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것으로, 복수가 마련되되 구획벽(14)의 상부와 살균유닛(5)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제어부(8)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제2송풍팬(62)은, 살균성 물질을 수거부(4)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가 마련되고, 내부바닥(15)의 저면에 설치되되 제1관통공(151)에 각각 설치되며, 제어부(8)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제1송풍팬(61)이 작동하면 살균성 물질이 통로(113)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고, 제2송풍팬(62)을 통해 살균성 물질이 투입부(42)로 주입되며, 투입부(42)로 주입된 살균성 물질이 외부로 방출된다. 이렇게 투입부(42) 외부로 방출된 살균성 물질은 상부에 배치된 제1송풍팬(61)에 의해 내부공간(112)의 상부로 이동하고 통로(113)로 다시 주입된다. 이때, 살균성 물질이 상부로 이동하면 이송 중인 마스크 조각(P)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분쇄커터(22)가 순환하는 살균성 물질에 노출돼 있어서 분쇄커터(22)도 함께 살균된다.
소독부(7)는, 마스크(M) 살균 처리 후 장치를 소독하거나 작업자의 손을 소독하기 위한 것으로, 소독제 분사부(71) 및 소독타월부(72)를 포함한다.
소독제 분사부(71)는, 소독액(미도시)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고, 입구는 전면에 형성되되 도어(16)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어부(8)에 의해 분사량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소독제 분사부(71) 입구에 손 또는 타월을 넣고 터치스크린(81)을 통해 소독제 분사부(71)를 작동시키면 소독제 분사부(71)로부터 소독액이 분사됨으로써 마스크(M)를 투입한 손을 소독할 수 있다.
소독타월부(72)는, 소독액이 묻은 타월이 배출되는 것으로, 입구는 소독제 분사부(71) 옆에 마련되고, 제어부(8)에 의해 배출량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소독타월부(72)를 통해서 소독액이 묻은 타월이 배출되면 본체(1)의 외면을 닦아서 소독할 수 있으며, 소독액이 부족할 경우에는 소독제 분사부(71)의 입구에 타월을 넣고 소독액을 분사시켜 타월에 소독액을 적셔서 사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살균부(9)는, 수거부(4)에 쌓인 마스크 조각(P)을 자외선 빛으로 살균하는 것으로, 하우징(11)의 내부 양측 내면에 설치되되 이송벨트(32)와 수거부(4) 사이에 배치되고 수거부(4)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거부(4)에 쌓인 마스크 조각(P)을 2차로 살균할 수 있어서 마스크 조각(P)에 서식하는 유해균을 99.99% 이상 제거할 수 있다.
제어부(8)는, 분쇄부(2), 이송부(3), 살균유닛(5), 순환부(6), 자외선살균부() 및 소독부(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으로,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고 터치스크린(81), 비상정지버튼(82), 정회전버튼(83), 역회전버튼(84), 제1검출부(S1) 및 제2검출부(S2)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81)은,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되 투입구(111)의 후방에 배치되고, 소정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터치스크린(81)은 분쇄부(2), 이송부(3), 살균유닛(5), 순환부(6) 및 소독부(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8)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81)을 통해서 분쇄커터(22)의 회전방향, 분쇄속도, 이송속도, 살균성 물질의 방출량, 살균성 물질의 순환속도, 자외선 방출시간 및 소독부(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비상정지버튼(82)은, 분쇄부(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되 터치스크린(81) 옆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쇄커터(22)에 옷 또는 장갑 등의 이물질이 마스크(M)와 함께 말려 들어가면 비상정지버튼(82)을 눌러서 분쇄부(2)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역회전버튼(84)은, 분쇄커터(22)의 회전방향을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되 터치스크린(81) 옆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비상정지버튼(82)을 눌러서 분쇄부(2)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역회전버튼(84)을 누르면, 분쇄커터(22)가 역회전하면서 말려들어간 이물질 및 마스크(M)가 투입구(111)로부터 배출된다.
정회전버튼(83)은, 분쇄커터(22)의 회전방향을 정회전시키는 것으로,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되 터치스크린(81) 옆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분쇄커터(22)에 이물질이 낀 상태에서 역회전버튼(84)을 눌러도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면, 정회전버튼(83)과 역회전버튼(84)을 순차적으로 눌러서 분쇄커터(22)에 낀 이물질을 조금씩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분쇄커터(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검출부(S1)는, 이송벨트(32)에 쌓인 마스크 조각(P)의 높이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구획벽(14)에 설치되되 상부에 배치된 제1송풍팬(61) 아래 배치되고, 제어부(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8)는 제1검출부(S1)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고, 마스크 조각(P)의 쌓인 상태를 터치스크린(81)을 통해 알리며, 이를 토대로 이송부(3)의 작동 및 이송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이송벨트(32)에 마스크 조각(P)이 과도하게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검출부(S2)는, 수거부(4)에 쌓인 마스크 조각(P)의 높이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소독부(7)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어부(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8)는 제2검출부(S2)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수거부(4)에 쌓인 마스크 조각(P)의 수거시기를 터치스크린(81)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수거부(4)에 마스크 조각(P)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는 투입구(111)로 투입되는 마스크(M)를 검출하는 제3검출부(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구(111)에 마스크(M)를 삽입하면 제3검출부(S3)가 이를 검출하고 마스크(M)가 검출되면 분쇄부(2)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투입구(111)에 마스크(M)가 투입되지 않으면 분쇄부(2)는 정지하고 투입구(111)에 마스크(M)가 투입될 때에만 분쇄부(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쇄부(2)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나아가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수거부(4)가 본체(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81)을 통해 살균유닛(5) 및 순환부(6)를 작동시킨다.
살균유닛(5)이 작동하여 본체(1)의 내부에 살균성 물질이 일정량 채워지면 투입구(111)에 폐기용 마스크(M)를 투입한다.
마스크(M)가 투입구(111)에 삽입되면, 제3검출부(S3)가 이를 검출하고 제어부(8)가 분쇄부(2)를 작동시킨다.
분쇄부(2)가 작동하면 마스크(M)가 분쇄커터(22)에 말려들어가고 분쇄커터(22)에 의해서 일정한 크기로 조각나면서 분쇄된다.
분쇄된 마스크 조각(P)은 이송벨트(32) 위에 쌓이고, 쌓인 상태에 따라 제어부(8)가 이송부(3)를 작동시킨다.
이송부(3)가 작동하면 마스크 조각(P)이 일정한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이동하면 수거부(4)로 떨어진다.
이때, 살균성 물질은 이송하는 과정에서 마스크 조각(P)을 살균한다. 즉, 마스크 조각(P)의 이송속도를 최소화함으로써 마스크 조각(P)을 살균성 물질에 최대한 노출 시켜 살균할 수 있어서 마스크(M)에 남아있는 유해균을 최대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수거부(4)에 마스크 조각(P)이 쌓여도 투입부(42)를 통해 살균성 물질이 마스크 조각(P)의 사이사이로 침투함으로써 마스크 조각(P)을 지속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 자외선살균부(9)로부터 출력되는 자외선 빛으로 한 번 더 살균함으로써 유해균을 99.99% 이상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살균성 물질이 본체(1)의 내부에서 계속해서 순환함으로써, 본체(1)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부(4) 및 분쇄커터(22)를 따로 살균하지 않아도 순환하는 살균성 물질에 의해 소독됨으로써 분쇄커터(22) 및 수거부(4)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하우징
111; 투입구 112; 내부공간
113; 통로 12; 측벽
14; 구획벽 15; 내부바닥
151; 제1관통공 16; 도어
161; 잠금부 2; 분쇄부
21; 분쇄모터 22; 분쇄커터
23; 기어 3, 3'; 이송부
31; 구동롤러 32; 이송벨트
35; 이송모터 37; 이송패널
4; 수거부 41; 제2관통공
42; 투입부 5; 살균유닛
6; 순환부 61; 제1송풍팬
62; 제2송풍팬 7; 소독부
71; 소독제 분사부 72; 소독타월부
8; 제어부 81; 터치스크린
82; 비상정지버튼 83; 정회전버튼
84; 역회전버튼 S1; 제1검출부
S2; 제2검출부 S3; 제3검출부
9; 자외선살균부
M; 마스크 P; 마스크 조각

Claims (6)

  1. 폐기용 마스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상기 마스크를 분쇄하여 조각을 생성하는 분쇄부;
    상기 조각을 살균하는 살균성 물질이 방출되는 살균유닛; 및
    상기 조각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로부터 생성되는 조각이 상기 살균성 물질에 설정시간 동안 노출되도록 상기 조각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살균성 물질을 순환시키는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는,
    내부 바닥에 상기 살균성 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수거부의 내부로 방출되는 투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거부의 내부에 상기 조각이 쌓이면 상기 투입부를 통해서 상기 조각들 사이사이로 상기 살균성 물질이 침투하여 상기 조각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본체의 외부로 분사되는 소독제 및 소독타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공급되는 소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부에 쌓이는 조각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KR1020200139215A 2020-10-26 2020-10-26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KR20220055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15A KR20220055095A (ko) 2020-10-26 2020-10-26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215A KR20220055095A (ko) 2020-10-26 2020-10-26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095A true KR20220055095A (ko) 2022-05-03

Family

ID=8159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215A KR20220055095A (ko) 2020-10-26 2020-10-26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0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1577A (zh) * 2022-10-13 2022-12-30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节能型医用类用品的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96B1 (ko) 2016-05-27 2017-09-26 주식회사 엠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이송스크류형 의료폐기물 처리방법
KR101926259B1 (ko) 2017-05-30 2018-12-06 주식회사 엠투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96B1 (ko) 2016-05-27 2017-09-26 주식회사 엠투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이송스크류형 의료폐기물 처리방법
KR101926259B1 (ko) 2017-05-30 2018-12-06 주식회사 엠투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의료폐기물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1577A (zh) * 2022-10-13 2022-12-30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节能型医用类用品的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33746B2 (ja) 殺菌ユニットを用いたマスクの廃棄処理装置
ES2749959T3 (es) Sistema y método para desinfectar desechos médicos
US5089228A (en) Method for sterilizing and disposing of infectious waste
EP1019098B1 (en) Mobile apparatus and process for treating infectious waste
US7550111B2 (en) Treatment of biomedical waste
EP05493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al of medical waste
KR100743463B1 (ko) 오존수 제조장치를 구비한 실내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정화기
KR20220055095A (ko) 살균유닛을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장치
JPH03173566A (ja) 医療廃棄物の処理方法並びに装置
JP5065132B2 (ja) 除菌消臭ユニット及び除菌消臭機能付き暖房装置
CN112264435A (zh) 一种废旧口罩收集销毁装置
CN209101283U (zh) 一种医疗垃圾预处理装置
KR20060085847A (ko) 의료용 폐기물 처리장치
JP5834336B2 (ja) 食品装置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DE102018010294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und Desinfizierung von Textilien
KR20220040036A (ko) 플라스마를 이용한 마스크 폐기 처리기
DE4303034C2 (de) Mobile Desinfektionsanlage, insbesondere für Klinikabfälle
JP2003175094A (ja) マイクロ波による廃棄物の滅菌処理装置
KR20120106028A (ko) 평면형태의 대기압 공기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형의 다용도 멸균소독기
JP2023039524A (ja) 廃棄物分解装置の破砕滅菌装置
KR102437474B1 (ko) 의료용 폐기물 분쇄 멸균장치
KR100804435B1 (ko) 문서 지폐 등의 기록물의 살균장치
CN209918017U (zh) 一种医疗废弃物处理系统用消毒粉碎装置
CN109084306A (zh) 一种医疗垃圾预处理装置
JP3000807U (ja) 廃棄物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