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506B1 - 소독 및 방역장치 - Google Patents

소독 및 방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506B1
KR101820506B1 KR1020160093518A KR20160093518A KR101820506B1 KR 101820506 B1 KR101820506 B1 KR 101820506B1 KR 1020160093518 A KR1020160093518 A KR 1020160093518A KR 20160093518 A KR20160093518 A KR 20160093518A KR 101820506 B1 KR101820506 B1 KR 10182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vaporized
disinfection
supply pipe
pulve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잡 filed Critical (주)에이스잡
Priority to KR102016009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8Aseptic storing means
    • A61L2202/182Rigid packag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장치 본체,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소독액 저장통, 소독액 저장통에 저장된 소독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소독액 기화유닛, 소독액 기화유닛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장치 본체의 전방의 배출구로 전달하는 소독제 공급관, 소독제 공급관으로 송풍압력을 공급하여 기화된 소독액을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독제 공급관에서 분사되는 기화된 소독액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기화된 소독액을 초미립화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및 방역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소독 및 방역장치{An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device }
본 발명은 소독 및 방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기화 처리된 소독약을 분무하여 소독 및 방역할 수 있는 소독 및 방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국가간 국외여행 및 다양한 국제 교류로 인하여 다양한 전염병과 바이러스에 의한 보건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방역 소독에 의한 예방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 환경의 소독에 대해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종래의 방역 및 소독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휴대용, 오토바이용 및 차량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막소독 방법이 있다. 이러한 연막소독은 원료 자체를 태워야 하기 때문에 경유나 등유에 약품첨가를 하여 방역 및 소독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환경 호르몬이 발생되며, 인체에 유해한 연소가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특별한 경우가 장소가 아닌 이상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연무소독 방법이 있다. 이러한 연무 소독방법은 업체용 휴대(유선, 무선)용 또는 차량용 방역 및 소독장비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연무소독을 위한 방역 및 소독장비 중에서 유선 휴대용 소독기는 유선을 이용하여 전기공급을 받아 방역 및 소독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장소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무선 휴대용 소독기는 연무 입자가 크고, 부유시간이 짧고, 분사거리가 짧기 때문에 효과적인 방역 및 소독이 어렵고,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작업시간에 제한을 받으며,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무화방식 소독방식으로서, 주로 업체용 차량에 탑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휴대가 불가하며, 설치 및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개 방식이므로 뛰어난 부유시간과 연막효과를 갖는 이점이 있음에도 주차장, 창고, 빌딩 등과 같이 제한되고 협소한 현장 투입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단시간 내에 기화 처리된 소독약을 소독 분무 입자로 분사하여 효과적으로 소독 및 방역할 수 있도록 하는 소독 및 방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독 및 방역장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소독액 저장통; 상기 소독액 저장통에 저장된 소독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소독액 기화유닛; 상기 소독액 기화유닛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의 배출구로 전달하는 소독제 공급관; 상기 소독제 공급관으로 송풍압력을 공급하여 기화된 소독액을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독제 공급관에서 분사되는 기화된 소독액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기화된 소독액을 초미립화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형상을 가지는 노즐 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제 공급관에서 분사되는 기화된 소독제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회전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날개의 하류에 위치되도록 상기 노즐몸체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분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분쇄부재의 분쇄날이 회전하면서 기화된 소독제를 초미립자로 분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노즐몸체의 입구에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소독제 공급관 쪽으로 돌출된 분산용 돌출부; 및 상기 날개부의 외측 테두리에서 확장형성되어 소독제를 상기 노즐 몸체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쇄부재 각각은 회전중심으로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회전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쇄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쇄부재 각각의 분쇄날들이 상기 소독제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소독 및 방역장치에 따르면, 무선방식으로 소형화가 가능하며 휴대할 수 있어 장소에 제한 이 소독 및 방역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소독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빨리 기화하여 연무화할 수 있으며, 기화된 소독제를 배출시 분사압에 의해 자동 회전되는 분사노즐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기화된 소독제를 초미립화할 수 있다.
따라서, 소독 및 방역할 장소에 연무형태의 소독제가 오랜 시간 공기 중에 떠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구석구석까지도 소독제가 퍼지도록 하여 적은 양의 소독제도로 균일하고 오랜 시간 동안 소독 및 방역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무선방식이므로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면서 소독 및 방역을 해야 하므로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독액 저장통(120)의 용량을 줄이더라도 기화된 소독제를 분사하여 소독 및 방역을 하므로 적은 양의 소독제도로 넓은 장소를 소독 및 방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 및 방역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사노즐부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쇄부재들을 각각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쇄부재들을 겹쳐서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날개부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 및 방역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 및 방역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소독액 저장통(120)과, 소독액 기화유닛(130), 기화된 소독제 공급관(140), 송풍팬(150), 전원공급부(160), 분사노즐부(170) 및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본체(110)는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부에 손잡이(111)가 형성되고, 전방에 분사노즐부(170)가 설치되는 배출구(113)가 관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노즐부(170)를 통해 기화된 소독제를 분무형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소독액 저장통(120)은 장치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독액이 저장된다. 소독액 저장통(120)의 소독액 투입구(121)는 장치 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어 뚜껑(123)에 의해 개폐 가능하다.
소독액 저장통(120) 내부의 상부에는 장치 본체(110)를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했을 때 소독액이 출구(125)로 직접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127)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독액 기화유닛(130)은 소독액 저장통(120)의 바닥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자(131)와, 초음파 진동자(131)로 고주파를 발생시켜서 초음파 진동자(131)를 구동시키는 고주파 발생부(133)를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131)는 복수가 설치될 소독액 저장통(120) 내부의 바닥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은 독립적으로 구동되면서 소독액을 기화시킬 수 있다. 기화된 소독액은 소독액 저장통(1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출구(125)를 통해서 소독제 공급관(140)으로 이동된다. 고주파 발생부(133)는 전원공급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고주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초음파 진동자(131)가 동작되어 소독액을 기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주파 발생부(133)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의 주파수 크기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소독액의 기화량을 원하는 양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장치 본체(110)의 외부에는 소독액 기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노브(191)와, 조작 스위치(193)를 가지는 조작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화된 소독제 공급관(140)은 소독액 저장통(120)의 출구(12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분사노즐부(170)에 근접하는 거리까지 연장되어, 기화된 소독제를 분사노즐부(170) 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송풍팬(150)은 기화된 소독제 공급관(140) 내부로 송풍압력을 공급하여 주도록 설치됨으로써, 소독제 저장통(120)에서 기화된 소독제가 기화된 소독제 공급관(140)을 통해 분사노즐부(170) 쪽으로 빠른 속도도 강제 송풍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특히, 송풍팬(150)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상기 소독제 공급관(140)에 사선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기화된 소독제를 소독제 공급관(140)의 배출노즐(141) 쪽으로 기화된 소독제를 빠르게 이송시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장치 본체(110)에 설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충전식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부(170)는 장치 본체(110)의 배출구(113)에 설치되어 소독제 공급관(140)이 배출노즐(141)에서 분사되는 기화된 소독제의 입자를 더욱 미립화하여 분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분사노즐부(170)는 배출구(113)에 설치되는 베어링(171)과, 베어링(171)의 내륜(171b)의 내측에 결합되는 관형 노즐 몸체(172), 노즐 몸체(172)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회전날개(173)와, 회전날개(173)의 외측에 차례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쇄부재(174,175,176)를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171)의 외륜(171a)은 배출구(113)에 고정 설치되고, 내륜(171b)에는 노즐 몸체(172)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노즐 몸체(172)는 원통 형상으로 내륜(171b)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회전날개(173)는 노즐 몸체(172)의 입구 쪽에 설치되어 배출노즐(141)에서의 기화된 소독액과 공기가 혼합되어 분사되는 분사압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날개(173)는 복수의 날개부(173a)와, 날개부(173a)의 회전중심에서 소독제 공급관(140) 쪽으로 돌출된 분산용 돌출부(173b)와, 날개부(173a)의 외측 테두리에서 확장형성되어 소독제를 노즐 몸체(172)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리브(173c)를 구비한다.
상기 날개부(173a)는 회전중심 즉, 분산용 돌출부(173b)를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노즐(141)에서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서, 소위 바람개비 원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용 돌출부(173b)는 회전중심에서 분사노즐(141)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원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배출노즐(173b)에서 배출되는 기화된 소독액을 도 6과 같이 1차로 충돌 후 주변으로 분산시켜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173c)는 날개부(173a)의 외측테두리에서 환형으로 돌출형성되어 분사되는 소독액이 날개부(173a)에 충돌하더라도 주변으로 퍼지지 않고 가이드 되어 베어링(171)의 내륜을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이드리브(173c)는 분산용 돌출부(173b)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쇄부재(174,175,176)는 노즐 몸체(172)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도 3과 같이 서로 동일한 수 및 간격으로 배치된 분쇄날(174a,175a,176a)을 가진다. 형상을 가지되, 소독액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분쇄날(174a,175a,176a)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분쇄부재들(174,175,175)의 분쇄날들(174a,175a,176a) 각각이 36°간격으로 배치될 경우, 3개의 분쇄부재들(174,175,175)이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되면, 결국 분쇄날들(174a,175a,176a)에 의한 간격은 12°간격으로 좁혀질 수 있다. 그리고 노즐몸체(172)와 함께 분쇄부재들(174,175,175)이 회전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회전되는 분쇄날들 사이의 간격은 회전속도 등을 감안하면 대략 1/1000° 이하로 예상해볼 수 있다. 따라서, 노즐몸체(172)를 빠져나가는 기화된 소독액은 더욱 작은 초미립자로 분쇄되어 기존의 연무방식의 입자를 보다 작은 초미립자로 형성하여 배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조작부(190)에서의 조작신호에 따라서 소독액 기화유닛(130) 및 송풍팬(150)의 구동을 제어하며, 특히 조절노브(191)의 조절신호에 따라 소독액 기화유닛(130)의 구동상태를 제어하여 소독액의 기화량을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 및 방역장치(100)에 따르면, 무선형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손잡이(111)를 잡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면서 소독 및 방역작업을 할 수 있다.
특히, 초음파를 이용하여 소독액을 기화시킨 후, 배출시 초미립화하여 배출시킴으로써 소독약의 사용 및 작업이 효율적이고, 소독약을 빨리 소독 분무 입자로 분리할 수 적은양의 소독약을 넓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독액 저장통(120)의 바닥에 소독액 기화유닛(130)을 설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소독액 저장통(120)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140)에 연결되도록 기화통을 별도로 설치하고, 그 기화통으로 소독액 저장통(120)의 소독액을 일정량씩 펌프를 이용하여 공급하면서 기화통에서 초음파 진동자를 설치하여 기화시켜서 공급관(140)으로 기화된 소독액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소독액 저장통(120)의 소독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기화된 소독액을 바로 분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분사노즐부(170)를 통해 초미립화시켜서 분사함으로써 소독약의 무화현상을 촉진함은 물론, 초미립자형 태로 된 소독액이 공기 중에 오랜 시간 머물러 있으면서 소독할 장소를 오랜 시간 소독할 수 있으며, 구석구석까지도 소독 및 방역을 할 수 있게 되어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도 더욱 넓은 영역을 효과적으로 소독 및 방역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소독 및 방역장치 110..장치 본체
120..소독액 저장통 130..소독액 기화유닛
140..소독제 공급관 150...송풍팬
160..배터리 170..분사노즐부
180..제어부 190..조작부

Claims (4)

  1.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소독액 저장통;
    상기 소독액 저장통에 저장된 소독액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기화시키는 소독액 기화유닛;
    상기 소독액 기화유닛에 의해 기화된 소독액을 상기 장치 본체의 전방의 배출구로 전달하는 소독제 공급관;
    상기 소독제 공급관으로 송풍압력을 공급하여 기화된 소독액을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배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소독제 공급관에서 분사되는 기화된 소독액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기화된 소독액을 초미립화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분사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형상을 가지는 노즐 몸체;
    상기 노즐몸체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제 공급관에서 분사되는 기화된 소독제의 분사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및 방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회전날개의 하류에 위치되도록 상기 노즐몸체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분쇄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분쇄부재의 분쇄날이 회전하면서 기화된 소독제를 초미립자로 분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및 방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는,
    상기 노즐몸체의 입구에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회전중심에서 상기 소독제 공급관 쪽으로 돌출된 분산용 돌출부; 및
    상기 날개부의 외측 테두리에서 확장형성되어 소독제를 상기 노즐 몸체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및 방역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쇄부재 각각은 회전중심으로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회전방향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분쇄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쇄부재 각각의 분쇄날들이 상기 소독제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 및 방역장치.
KR1020160093518A 2016-07-22 2016-07-22 소독 및 방역장치 KR101820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18A KR101820506B1 (ko) 2016-07-22 2016-07-22 소독 및 방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518A KR101820506B1 (ko) 2016-07-22 2016-07-22 소독 및 방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506B1 true KR101820506B1 (ko) 2018-01-19

Family

ID=6102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518A KR101820506B1 (ko) 2016-07-22 2016-07-22 소독 및 방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506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254A (zh) * 2018-05-03 2018-10-19 陈宗宗 一种喷雾式园林环保消毒水喷洒设备
CN109289068A (zh) * 2018-11-28 2019-02-01 徐叶 一种疾病预防便携式消毒装置
CN111068091A (zh) * 2020-03-03 2020-04-28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防疫用消毒液加压装置
CN111331571A (zh) * 2020-03-16 2020-06-26 中自机器人技术(安庆)有限公司 一种疫情防控用多功能巡检机器人
KR20210029933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파티클 휴대용 살균 소독기
KR102231994B1 (ko) 2020-09-24 2021-03-25 주식회사 지나테크 소독 분무기
KR102272586B1 (ko) 2020-11-10 2021-07-05 주식회사 지나테크 파형분무형 소독 분무기
KR102297150B1 (ko) * 2021-02-19 2021-09-02 남용일 멸균장치
KR20210118051A (ko) * 2020-03-20 2021-09-29 로우비 (광저우) 헬스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초음파 무화기
KR102307938B1 (ko) 2021-03-08 2021-10-08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공간 방역장치
KR102324091B1 (ko) * 2021-03-10 2021-11-11 주식회사 티원 폐마스크 처리 장치
KR20220022908A (ko) 2020-08-18 2022-03-02 김복영 생활 방역 장치
KR20220040276A (ko) 2020-09-23 2022-03-30 신정선 초미세입자 미스트 분사 방역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102381931B1 (ko) 2020-11-02 2022-03-31 정윤정 약액의 선택적 인입을 통한 혼합 약액 분사 시스템
KR102388606B1 (ko) 2021-09-16 2022-04-20 주식회사 지나테크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소독 분무기
KR102400717B1 (ko) * 2021-03-12 2022-05-20 양창영 고출력 무습성 분사용 기구장치
KR20220079281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시엘케이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KR102592045B1 (ko) * 2022-12-28 2023-10-20 주식회사 더가넷 액자형 살균 탈취 가습장치
CN117883614A (zh) * 2024-03-15 2024-04-16 吉林农业科技学院 一种狐狸养殖场消毒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668A1 (en) 2000-07-31 2002-02-07 Dell'acqua Lucio Device for the atomization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liquids
KR101212756B1 (ko) 2010-10-15 2012-12-14 유바스 주식회사 공압 진동자를 이용한 기화 살균기
KR101241051B1 (ko) * 2010-10-12 2013-03-07 유바스 주식회사 초음파 자동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668A1 (en) 2000-07-31 2002-02-07 Dell'acqua Lucio Device for the atomization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liquids
KR101241051B1 (ko) * 2010-10-12 2013-03-07 유바스 주식회사 초음파 자동 소독장치
KR101212756B1 (ko) 2010-10-15 2012-12-14 유바스 주식회사 공압 진동자를 이용한 기화 살균기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254A (zh) * 2018-05-03 2018-10-19 陈宗宗 一种喷雾式园林环保消毒水喷洒设备
CN109289068A (zh) * 2018-11-28 2019-02-01 徐叶 一种疾病预防便携式消毒装置
KR102292847B1 (ko) * 2019-09-09 2021-08-25 주식회사 파티클 휴대용 살균 소독기
KR20210029933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파티클 휴대용 살균 소독기
US11524088B2 (en) 2019-09-09 2022-12-13 Particle Co., Ltd. Portable sterilizer
WO2021049804A3 (ko) * 2019-09-09 2021-05-14 주식회사 파티클 휴대용 살균 소독기
CN111068091A (zh) * 2020-03-03 2020-04-28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防疫用消毒液加压装置
CN111331571A (zh) * 2020-03-16 2020-06-26 中自机器人技术(安庆)有限公司 一种疫情防控用多功能巡检机器人
KR102510702B1 (ko) 2020-03-20 2023-03-15 로우비 (광저우) 헬스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초음파 무화기
KR20210118051A (ko) * 2020-03-20 2021-09-29 로우비 (광저우) 헬스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초음파 무화기
KR20220022908A (ko) 2020-08-18 2022-03-02 김복영 생활 방역 장치
KR20220040276A (ko) 2020-09-23 2022-03-30 신정선 초미세입자 미스트 분사 방역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102231994B1 (ko) 2020-09-24 2021-03-25 주식회사 지나테크 소독 분무기
KR102381931B1 (ko) 2020-11-02 2022-03-31 정윤정 약액의 선택적 인입을 통한 혼합 약액 분사 시스템
KR102272586B1 (ko) 2020-11-10 2021-07-05 주식회사 지나테크 파형분무형 소독 분무기
KR20220079281A (ko)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시엘케이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KR102297150B1 (ko) * 2021-02-19 2021-09-02 남용일 멸균장치
KR102307938B1 (ko) 2021-03-08 2021-10-08 지상뉴매틱 주식회사 공간 방역장치
KR102324091B1 (ko) * 2021-03-10 2021-11-11 주식회사 티원 폐마스크 처리 장치
KR102400717B1 (ko) * 2021-03-12 2022-05-20 양창영 고출력 무습성 분사용 기구장치
KR102388606B1 (ko) 2021-09-16 2022-04-20 주식회사 지나테크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소독 분무기
KR102592045B1 (ko) * 2022-12-28 2023-10-20 주식회사 더가넷 액자형 살균 탈취 가습장치
CN117883614A (zh) * 2024-03-15 2024-04-16 吉林农业科技学院 一种狐狸养殖场消毒装置
CN117883614B (zh) * 2024-03-15 2024-05-10 吉林农业科技学院 一种狐狸养殖场消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506B1 (ko) 소독 및 방역장치
KR102198073B1 (ko) 소독제 분사용 건
KR102215252B1 (ko) 이종 밸브가 설치된 송풍식 분무기
KR20210029933A (ko) 휴대용 살균 소독기
KR20100012728U (ko) 차량용 방역 소독 장치
KR101966067B1 (ko) 약액 분무기
ES2832800T3 (es) Dispositivo de nebulización de un producto líquido, proceso para la desinfección por vía aérea y uso de este dispositivo para la desinfección por vía aérea
KR20120037853A (ko) 초음파 자동 소독장치
CN102552956B (zh) 一种车载式消毒剂蒸气消毒系统
WO2007012226A1 (fr) Stérilisateur à ventilateur de brume d'anions/d'ozone
JP6118563B2 (ja) ミスト発生装置および美顔器
WO2010087486A1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01141268A (ja) 加湿装置
KR20230096621A (ko) 휴대용 방역장치
KR20220040276A (ko) 초미세입자 미스트 분사 방역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CN201533920U (zh) 大面积烟雾消毒装置
KR20220128860A (ko) 약액 분사기
JP4360222B2 (ja) 塗装ブース用空調機における充填材ワッシャの微生物付着防止装置および方法
JP2009115440A (ja) 遠心式加湿器
KR100452127B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CN101905029B (zh) 大面积烟雾消毒装置
KR102484294B1 (ko) 스마트 방역 및 탈취용 이동식 안개분사기
KR102588220B1 (ko) 연무기
KR200166143Y1 (ko) 분무, 초미립자 분무 및 입제와 분제 살포가 가능한 휴대형동력 살포기
KR200242883Y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