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056B1 -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056B1
KR102324056B1 KR1020190099925A KR20190099925A KR102324056B1 KR 102324056 B1 KR102324056 B1 KR 102324056B1 KR 1020190099925 A KR1020190099925 A KR 1020190099925A KR 20190099925 A KR20190099925 A KR 20190099925A KR 102324056 B1 KR102324056 B1 KR 10232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ne panel
anchor bolt
insulating material
suppor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493A (ko
Inventor
김순길
Original Assignee
(주)대한볼트
김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볼트, 김순길 filed Critical (주)대한볼트
Priority to KR102019009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0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시 최소한의 원자재가 사용되도록 하면서 특히 단열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 고정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단열재까지 파고들어 가는 축관부가 형성되면서 받침앵글의 수직면과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좌우면은 막히지 않고 트이게 형성되면서 전후면은 상기 축관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접합면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각 접합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타단 끝단은 상기 단열재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삽입날부가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 편을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제작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함은 물론 석재패널의 하중에도 변형됨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져 우수한 시공성은 물론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support angles to support the building stone panel}
본 발명은 건축용 석재패널 시공에 따른 받침앵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작시 최소한의 원자재가 사용되도록 하면서 특히 단열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 고정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는 다양한 재질의 마감패널이 시공되는바, 마감패널에는 대리석 등과 같은 석재패널은 물론 다양한 재질의 목재로 제작된 목재패널 등을 단열패널 등과 같은 단열재와 함께 외벽을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외벽 마감은 건축물의 외벽과 마감패널 사이에 일정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이 강우나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마감패널을 건축물 외벽으로의 고정은 통상적인 받침앵글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받침앵글은 한글 자음의 니은('ㄴ') 자와 같은 형태로, 외벽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장공이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직교되게 절곡되어 마감패널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된 수평면이 형성된다.
상기한 받침앵글을 사용하여 외벽에 마감패널을 지지하도록 시공하는 과정에서, 특히 대리석 등과 같은 중량을 가지는 석재패널을 시공시에는 외벽에 부착된 단열재와 석재패널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시공됨으로 인해 받침앵글로만 석재패널을 지지하기에는 그 석재패널의 하중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여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시공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공사에 따른 공사기간 전체가 늘어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받침앵글이 설치되는 부분에 석재패널의 하중을 지지하여 보강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4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의 커팅날부에 의해 단열재를 앵커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회전에 의해 원형상으로 커팅하면서 삽입되어 벽체와 접촉 지지하게 되므로 차후에 결합되는 받침앵글을 틀어지거나 기우는 현상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어 견고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는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66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앵커볼트에 삽입되는 가이드 파이프, 지지돌기, 공구 연결부 및 가이드 날개를 포함하는 회전 툴 조립체와, 상기 회전 툴 조립체와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단열부재에 삽입되어 벽면에 접촉되도록 앵커부재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59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 툴 조립체와, 상기 회전 툴 조립체와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단열부재에 삽입되되, 내면이 앵커부재에 지지 되면서 앵커볼트로 받침앵글이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78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66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4596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기술적 구성이 복잡한 단점을 물론 받침앵글을 지지하기 위한 각 지지수단이 단열재로 삽입시 반듯이 회전에 의해 삽입되어야 함으로 인한 작업상에 번거로운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제작시 최소한의 원자재가 사용되도록 하면서 특히 단열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 고정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앵커 볼트와 받침앵글의 체결 부위에 더욱더 높은 강성을 갖도록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적정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단열재가 부착되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단열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석재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받침앵글로 가해지는 석재패널의 하중을 지지하기 지지장치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단열재 상에서 회전이 아닌 가압에 의해 삽입되어 끝단이 외벽에 접촉 지지되도록 결합된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ㄷ") 자 형태로,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단열재까지 파고들어 가는 축관부가 형성되면서 받침앵글의 수직면과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좌우면은 막히지 않고 트이게 형성되면서 전후면은 상기 축관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접합면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각 접합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타단 끝단은 상기 단열재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삽입날부가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 편을 포함한다.
상기 축관부는 앵커볼트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강성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축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앵커볼트와 체결되되, 상기 밀착면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체결구가 내장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합면 및 삽입 편은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맞물려 결합 고정되는 요철형태의 각각의 돌기와 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와 홈은 삽입날부의 골이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삽입 편은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작시 최소한의 원자재가 사용되도록 하면서 특히 단열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 고정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함은 물론 석재패널의 하중에도 변형됨 없이 안정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져 우수한 시공성은 물론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앵커 볼트와 받침앵글의 체결 부위에 더욱더 높은 강성을 갖도록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재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더욱더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적정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에 부착되는 단열재의 두께 따라 호환성이 뛰어남은 물론 시공 효율성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삽입 편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작업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래 들어 건축물의 외벽 마감은 건축물의 외벽과 마감패널 사이에 일정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이 강우나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이를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감패널 중 석재패널(P)을 건축물 외벽(200)으로의 고정은 통상적인 받침앵글(110)을 사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받침앵글(110)은 한글 자음의 니은('ㄴ') 자와 같은 형태로, 외벽에 앵커볼트(100)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장공이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직교되게 절곡되어 석재패널을 받쳐 지지하는 수평장공이 형성된 수평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받침앵글(110)을 사용하여 외벽에 마감패널을 지지하도록 시공하는 과정에서, 특히 대리석 등과 같은 중량을 가지는 석재패널(P)을 시공시에는 외벽에 부착된 단열재(210)와 석재패널(P)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공간이 형성되도록 시공됨으로 인해 받침앵글(110)로만 석재패널(P)을 지지하기에는 그 석재패널(P)의 하중을 충분히 보상하지 못하여 처짐이나 뒤틀림 등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시공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보수하기 위한 보수공사에 따른 공사기간 전체가 늘어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그에 따라 종래에도 단열재(210)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벽(200)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00)와, 상기 단열재(2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석재패널(P)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볼트(100)에 체결되는 받침앵글(110)로 가해지는 석재패널(P)의 하중을 지지하기 다양한 형태의 지지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작시 최소한의 원자재가 사용되도록 하면서 특히 단열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 고정에 따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는, 단열재(210) 상에서 회전이 아닌 가압에 의해 삽입되어 끝단이 외벽(200)에 접촉 지지되도록 결합된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ㄷ") 자 형태로, 크게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 편(20)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지지부재(10)는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1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단열재(210)까지 파고들어 가는 축관부(12)가 형성되면서 받침앵글(110)의 수직면(112)과 밀착되는 밀착면(15)과, 상기 밀착면(15)의 좌우면은 막히지 않고 트이게 형성되면서 전후면은 상기 축관부(12)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접합면(16)이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삽입 편(20)은 상기 각 접합면(16)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단이 통상적인 용접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되며 타단 끝단은 상기 단열재(210)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삽입날부(22)가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지지장치인 지지부재의 접합면에 결합 고정된 각 삽입 편은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작시 최소한의 원자재만이 사용됨으로써, 경제성이 우수한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지장치는 회전이 아닌 가압에 의해 단열재로 삽입됨으로 인해 단열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물론 단열재를 외벽으로의 밀착력도 높일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한다.
특히, 밀착면에 형성된 축관부는 단열재까지 파고들어 감에 따라 양측의 접합면과 그 접합면에 결합 고정된 삽입 편이 단열재로 삽입됨에 따라 3지점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형태이므로 안정적이면서 유동성 없이 견고하고 긴밀하게 삽입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관부(12)는 앵커볼트(11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강성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가 형성되는 축관부는 앵커볼트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이다.
그로 인해 상기 절곡부는 앵커볼트의 외주연을 감싸 지지하는 형태이므로 앵커볼트를 임시로 지지하는 역할도 겸한다.
또한, 상기 축관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10)와 체결되되, 상기 밀착면(15)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통상적인 너트 등과 같은 체결구(13)가 내장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축관부의 내부에서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체결구에 의해 본 발명의 지지장치인 지지부재와 삽입 편은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열재를 파고들어가면서 외벽으로 밀착시킨다. 더욱이 상기 삽입 편에 형성된 삽입날부에 의해 단열재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앵커볼트에 받침앵글의 수직면을 삽입한 후 너트로 다시 체결함으로써, 받침앵글의 수직면 또한 지지부재의 밀착면과 미세한 틈이 발생하지 않고 긴밀하게 밀착 고정됨에 따라 받침앵글의 수평면으로 받쳐 지지되는 석재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즉, 받침앵글의 수평면으로 전달된 하중은 수직면과 함께 그 수직면와 밀착되어 있는 밀착면을 통하여 지지부재와 삽입 편으로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석재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높은 지지력을 가져 받침앵글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접합면(16) 및 삽입 편(20)은 통상적인 평면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맞물려 결합 고정되는 요철형태의 각각의 돌기(30)와 홈(30A)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30)와 홈(30A)은 삽입날부(22)의 골이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접합면과 삽입 편은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통상적인 평면에 가해지는 하중 보다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결합 고정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요철형태의 각 돌기와 홈에 의하여 더욱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로 인해 단열재로 삽입되어 받침앵글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석재패널의 하중에 대해서도 지지장치가 비틀림과 같은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접합면과 삽입 편이 서로 맞대어 용접 등에 의해 2겹 형태로 결합 고정됨으로써, 더욱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맞물리는 돌기와 홈에 의하여 더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 자 형태로 제작됨으로 인해 최소한의 원자재 사용으로 인한 경제성이 우수한 조건을 가진다.
특히, 지지부재의 접합면과 삽입 편은 서로 겹쳐져 2겹 형태로 형성되어 더욱더 높은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돌기와 홈에 의해 더욱더 높은 강성을 가짐으로써, 석재패널의 하중에 대하여 지지시에도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삽입 편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지지부재의 접합면에 결합 고정되는 삽입 편을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그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지지부재의 접합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각각의 삽입 편(2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단열재(210)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각 건축물의 규모나 구조 또는 조건에 따라 외부에 부착되는 단열재의 두께 또한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의 삽입 편 또한 서로 다른 길이로 각각 구비함에 따라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최적의 조건에 적정한 삽입 편이 구비된 지지장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건축물에 부착되는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최적의 지지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호환성도 우수함은 물론 설치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1 : 지지장치
10 : 지지부재 12 : 축관부
12A : 절곡부 13 : 체결구
15 : 밀착면 16 : 접합면
20 : 삽입 편 22 : 삽입날부
30 : 돌기 30A : 홈
100 : 앵커볼트
110 : 받침앵글 112 : 수직면
200 : 외벽
210 : 단열재

Claims (5)

  1. 단열재가 부착되는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단열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석재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받침앵글로 가해지는 석재패널의 하중을 지지하기 지지장치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단열재 상에서 회전이 아닌 가압에 의해 삽입되어 끝단이 외벽에 접촉 지지되도록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한글 자음의 디귿("ㄷ") 자 형태로, 중앙에 상기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단열재까지 파고들어 가는 축관부가 형성되면서 받침앵글의 수직면과 밀착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의 좌우면은 막히지 않고 트이게 형성되면서 전후면은 상기 축관부와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 각각의 접합면이 형성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각 접합면의 내측 또는 외측에 일단이 서로 겹쳐져 2겹 형태로 결합 고정되며 타단 끝단은 상기 단열재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의 삽입날부가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 편을 포함하되,
    상기 축관부는 앵커볼트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강성 보강을 위해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면 및 삽입 편은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강도 보강을 위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맞물려 결합 고정되는 요철형태의 각각의 돌기와 홈이 형성되되, 상기 돌기와 홈은 삽입날부의 골이 위치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
    상기 축관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앵커볼트와 체결되되, 상기 밀착면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체결구가 내장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
    상기 각각의 삽입 편은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20190099925A 2019-08-14 2019-08-14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232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925A KR102324056B1 (ko) 2019-08-14 2019-08-14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925A KR102324056B1 (ko) 2019-08-14 2019-08-14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93A KR20210020493A (ko) 2021-02-24
KR102324056B1 true KR102324056B1 (ko) 2021-11-11

Family

ID=7468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925A KR102324056B1 (ko) 2019-08-14 2019-08-14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790B1 (ko) * 2016-12-30 2018-01-22 고재영 건물의 외부단열재와 외장재 시공용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844B1 (ko) 2011-04-29 2011-11-07 김재옥 건축용 석재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1402669B1 (ko) 2013-10-14 2014-06-09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
KR101616699B1 (ko) 2014-06-17 2016-04-29 송미선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 지지유닛 설치 시스템
KR101741427B1 (ko) * 2015-04-22 2017-05-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170111347A (ko) * 2016-03-28 2017-10-12 이승원 마감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용 마감재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790B1 (ko) * 2016-12-30 2018-01-22 고재영 건물의 외부단열재와 외장재 시공용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493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692B1 (ko)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101663373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2358872B1 (ko)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KR102324056B1 (ko)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101846811B1 (ko) 건축외장패널용 지지장치
KR102324054B1 (ko)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KR200415963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JP4545179B2 (ja) 建築物の外断熱工法及びボルト用補強金具
KR101438132B1 (ko)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KR100557478B1 (ko) 아치지붕구조와 이를 이용한 아치지붕의 시공방법
RU80177U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ого фасада к стене
JP7441694B2 (ja) Ssg工法用コールドベンドガラスユニット
KR102182930B1 (ko) 강도가 강화된 지지프레임 결합구조
KR20210057977A (ko) 석재 고정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JP6727090B2 (ja) Alc取付枠とその組立工法
JP4678636B2 (ja) タイルパネルの固定施工方法
KR101612796B1 (ko) 커튼월 및 그 제작방법
JP2006241753A (ja) 締結具
KR20200039333A (ko)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를 포함한 외장재 설치를 위한 앵커 볼트
EP4183953B1 (en) Device for diatonic connection of two faces of a hollow box wall
KR100843933B1 (ko) 루버
KR102183615B1 (ko) 결합력과 지지력이 상승된 앙카플레이트
KR200373813Y1 (ko) 조립식 벽체
KR200492775Y1 (ko) 창호 하부 서포트
JP2017150186A (ja) 太陽光発電パネル取付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