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813Y1 -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813Y1
KR200373813Y1 KR20-2004-0030760U KR20040030760U KR200373813Y1 KR 200373813 Y1 KR200373813 Y1 KR 200373813Y1 KR 20040030760 U KR20040030760 U KR 20040030760U KR 200373813 Y1 KR200373813 Y1 KR 200373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ase member
support frame
bol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규
Original Assignee
성우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성우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20-2004-003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6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section with web perpendicular to plane of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E04B2002/7492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used in partition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 시공시 기존 사용해오던 조이너(Joiner)가 필요 없이 패널 상호간을 간단히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조는 패널(10)의 강판(1,2) 일측에 끝부분을 각각 절곡시킨 절곡부(3)(4)를 형성하여 요부(凹部)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절곡부(3)(4)가 형성된 요부(凹部)와 결합되는 철부(凸部)를 구비한 패널(10)과; 공지의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6)에 ㄴ-자 형상의 철편(6b)을 용접시켜 베이스부재(50)에 볼트(60)로 고정시키고,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6)의 상부에는 톱채널(20)과 결합되도록 볼트(7)를 고정 설치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벽체{Fabricated wall}
본 고안은 조립식 건축물 시공시 기존 사용해오던 조이너(Joiner)가 필요 없이 패널 상호간을 간단히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을 지지하는 H-자 형상의 프레임에 ㄴ-자 형상의 철편을 용접이나 볼트방식으로 고정시켜 베이스부재에 대한 조립공정을 간단화시키기 위한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 간막이 등으로 설치 사용되는 건축용 단열패널은 강판-단열재-강판이 샌드위치 형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진 것으로 이는 상기 단열재와 강판은 접착제(우레탄 접착제)를 통하여 상호 접합되어지고 상기 단열재의 재료로는 통상적으로 보온효과가 탁월하고 불연재인 유리섬유(GLASS WOOL)나 단열효과 및 방수성이 우수한 우레탄이나 스티로폼 등이 발포 충전되는 형태로제작되는 것이다.
그런데 조립식 건축물의 축조시 패널을 고정하는 방법은 베이스부재가 지면에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재의 장홈을 통해 너트를 삽입하여 패널의 보강 후레임에 형성된 볼트에 삽입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이도록 하였으나, 장홈을 통해 너트의 조임 작업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을 지지하는 H-자 형상의 프레임에 ㄴ-자 형상의 철편을 용접이나 볼트방식으로 고정시켜 베이스부재에 대한 조립공정을 간단화시키기 위한 조립식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패널을 이용하여 축조된 조립식 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H-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ㄴ-자 형상의 철편을 용접하여 베이스부재에 볼트로서 고정하고 상부에는 볼트를 용접하여 톱채널이 결합고정되도록 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 하부와 베이스부재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도3에서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와 앵커볼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베이스부재에 형상의 철편을 용접하여 H-자 형상의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볼트로서 고정하고 상부에는 볼트를 용접하여 톱채널이 결합고정되도록 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
도7은 도5에 도시된 지지프레임 하부와 베이스부재와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8은 도7에서의 VIII-VIII선을 따라 절단한 것으로서 베이스부재와 앵커볼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강판 3,4: 절곡부
5: 단열재 6: 지지 후레임
6b:고정용 철편 7: 볼트
10: 패널 20: 톱채널
40: 앵커볼트 50: 베이스부재
53: 고정너트 100: 마감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패널은, 패널의 강판 일측에 끝부분을 각각 절곡시킨 절곡부를 형성하여 요부(凹部)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절곡부가 형성된 요부(凹部)와 결합되는 철부(凸部)를 구비한 패널과; 공지의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에 ㄴ-자 형상의 철편을 용접시켜 베이스부재에 볼트로 고정시키고,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는 톱채널과 결합되도록 볼트를 고정 설치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ㄴ-자 형상의 철편은, 일측이 베이스부재에 용접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과 면하는 부위에는 적어도 1개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나사탭이 형성되어 볼트로서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는 소정 높이의 절단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에 패널을 고정 설치할 경우 상기 홈에 ㄴ-자 형상의 마감재를 덧대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패널(10)의 강판(1,2)일측에 끝부분을 각각 절곡시킨 절곡부(3)(4)를 형성하여 요부(凹部)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절곡부(3)(4)가 형성된 요부(凹部)와 결합되는 철부(凸部)를 구성하며, 두장의 얇은 강판(1)(2) 사이에는 단열재(5)가 통상의 방식으로 충전된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의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6)에는 ㄴ-자 형상의 철편(6b)을 용접시켜 베이스부재(50)에 볼트(60)로 고정시키고,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6)의 상부에는 톱채널(20)과 결합되도록 볼트(7)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70)와 와셔(71)를 이용하여 톱채널(20)과 결합되도록 하였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50)는 바탕면에 앵커볼트(40)를 이용하여 고정 가능한바, 앵커볼트(40)를 고정하기 위한 요홈(5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 후레임(6)을 볼트(60)로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52)이 형성되되, 구멍(52)의 하부에는 도3에서와 같이 너트(53)가 용접되어 볼트(60)를 상부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베이스부재는 도1에서와 같이-자 형상의 베이스부재(50)가 바람직하지만 기타의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재가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베이스부재(50)에 형성되는 요홈(51)의 깊이는 앵커볼트(40)가 너트(41)와 체결될 경우 베이스부재(50)의 상부면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패널의 설치시 패널(1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패널(10)을 베이스부재(50)에 조립식 벽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재(50)에 조립식 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패널(10)과 패널(10)을 횡으로 연결하여야 하는바, 우선적으로 콘크리트 바탕면에는 앵커볼트(40)가 도4에서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데, 이 경우 앵커볼트(40)의 자유단 부근 즉, 너트(41)가 체결되는 부위는 베이스부재(50)의 상부면보다 높아서는 않된다. 그 이유는 패널(10)의 설치시 앵커볼트(40)의 자유단부가 베이스부재(50)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면 패널(10)의 설치 상태가 양호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베이스부재(50)가 바탕면에 고정된 뒤에는 패널(10)을 베이스부재(50)상에 위치시킨뒤 ㄴ-자형 철편(6b)이 하부에 용접된 H-자형 지지후레임(6)을 도2에서와 같이 베이스부재(50)에 볼트(60)로서 고정설치하는바, 이 경우 도3에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53)는 사전에 베이스부재(50)의 내측하부에 용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트(60)를 지지후레임(6)의 하부에 용접고정된 철편(6b)의 구멍(도면 부호생략함)을 통해 삽입하여 도3과 같이 베이스부재(50)의 하부에 용접된 너트(53)에 나삽하면 된다.
한개의 패널(10)이 고정되면 후속 패널(10)을 기설치된 지지후레임(6)에 밀어 넣고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후레임(6)을 고정설치한 후 다시 볼트(60)로서 전술한 고정작업을 반복한 다음, 톱채널(20)을 상호 연결된 지지후레임(6)의 볼트(7)에 너트(70)와 와셔(71)로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6)의 하부 일측에는 소정 높이의 절단홈(6c)이 형성 되어 있는바, 이는 지지프레임(6)에 패널(10)을 고정 설치할 경우 상기 홈(6c)에 ㄴ-자 형상의 마감재(100)을 덧대어 조립후 외부에서 볼경우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마감재(100)가 없을 경우에는 베이스부재(50)와 패널(10)간의 면하는 부분이 일직선이 아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을 수도 있는바, 이를 위해 ㄴ-자 형상의 마감재(100)를 덧대어 외관을 수려하게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H-자형의 지지후레임(6)의 하부에 ㄴ-자형의 철편(6b)을 용접하고 볼트(60)로서 베이스부재(50)와 고정설치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벽체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단열 패널(10)을 일측부분을 단턱지게 형성시켜 조립후 벽체의 내측면이 H-자형의 지지후레임(6)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하부에 ㄴ-자형의 마감재(100)를 덧댐으로써 외부에서 볼경우 외관이 매우 수려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5내지 도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패널(10)이 도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완전 평면형으로 형성되고, ㄴ-자 형상의 철편(6b)은 일측이 베이스부재(50)에 용접되고, 지지 프레임(6)과 면하는 부위에는 2개의 나사탭이 형성되어 볼트(60)로서 지지프레임(6)에 고정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H-자형 지지후레임(6)의 하부 일측이 타측에 비해 소정의 높이로 절단되어 도7에서와 같이 베이스부재(50)의 돌출부분에 지지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ㄴ-자형의 철편(6b)에 2개의 나사탭을 형성한 이유는 지지프레임(6)과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도면에는 비록 2개의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며, 1개 또는 3개 이상의 나사탭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5에 도시된 볼트(60)는 도면의 작도상 1개만을 도시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패널을 지지하는 H-자 형상의 프레임에 ㄴ-자 형상의 철편을 용접이나 볼트방식으로 고정시켜 베이스부재에 대한 조립공정을 간단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지지프레임으로 사용되는 H-자형 빔 대신에-자형 앵글을 뒤로 맞대 용접이나 볼트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베이스부재(50)는 도시된 것 이외에 기타의 형상을 가진 베이스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패널(10)의 강판(1,2) 일측에 끝부분을 각각 절곡시킨 절곡부(3)(4)를 형성하여 요부(凹部)를 구성하고, 타측은 상기 절곡부(3)(4)가 형성된 요부(凹部)와 결합되는 철부(凸部)를 구비한 패널(10)과;
    공지의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6)에 ㄴ-자 형상의 철편(6b)을 용접시켜 베이스부재(50)에 볼트(60)로 고정시키고, H-자 형상의 지지 프레임(6)의 상부에는 톱채널(20)과 결합되도록 볼트(7)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ㄴ-자 형상의 철편(6b)은,
    일측이 베이스부재(50)에 용접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6)과 면하는 부위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나사탭이 형성되어 볼트(60)로서 지지프레임(6)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6)의 하부 일측에는 소정 높이의 절단홈(6c)을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프레임(6)에 패널(10)을 고정 설치할 경우 상기 홈(6c)에 ㄴ-자 형상의 마감재(100)을 덧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체.
KR20-2004-0030760U 2004-11-01 2004-11-01 조립식 벽체 KR200373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60U KR200373813Y1 (ko) 2004-11-01 2004-11-01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760U KR200373813Y1 (ko) 2004-11-01 2004-11-01 조립식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813Y1 true KR200373813Y1 (ko) 2005-01-21

Family

ID=4944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760U KR200373813Y1 (ko) 2004-11-01 2004-11-01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8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80B1 (ko) 2007-06-29 2007-10-23 주식회사 청산기업 수조의 보온재 구조
KR100902388B1 (ko) * 2009-01-15 2009-06-11 주식회사 대원칸막이 칸막이용 패널의 결합장치
KR101807469B1 (ko) * 2017-06-16 2018-01-18 추선엽 조립식 파티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80B1 (ko) 2007-06-29 2007-10-23 주식회사 청산기업 수조의 보온재 구조
KR100902388B1 (ko) * 2009-01-15 2009-06-11 주식회사 대원칸막이 칸막이용 패널의 결합장치
KR101807469B1 (ko) * 2017-06-16 2018-01-18 추선엽 조립식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135B1 (ko) 강재 절감형 h형 철골거더
KR101180575B1 (ko) 각형강관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기둥과 보 접합부 구조
JP4710067B2 (ja) 柱梁接合構造
KR200373813Y1 (ko) 조립식 벽체
KR100727383B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101409796B1 (ko) 유닛구조체용 절곡형 기둥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접합부
KR20200112460A (ko) 하지 트러스용 브라켓의 설치구조.
KR102602175B1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KR200289680Y1 (ko) 스틸하우스 골조의 조립 구조
KR100341363B1 (ko) 스틸하우스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100457173B1 (ko) 건축용 골조
JP2009068332A (ja) 床構造
KR102037633B1 (ko) W형 합성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20040033618A (ko) 조립식 물탱크
KR20220146721A (ko) 건식 벽체용 h형 보강대 및 지지프레임
KR200368257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JP2020197028A (ja) 柱梁接合方法
JP2002327513A (ja) 長尺部材
JP3241376U (ja) 住宅用断熱パネル及び管柱付住宅用断熱パネル
JPH1115900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構造
KR20180120971A (ko) 강도를 높이고 시공이 용이한 철골구조
KR101474747B1 (ko) 스틸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
KR101904118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